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

申请号 KR1020110122540 申请日 2011-11-22 公开(公告)号 KR1020130056779A 公开(公告)日 2013-05-30
申请人 현금채원; 发明人 현금채원;
摘要 PURPOSE: A multifunctional boiler using a wasted cathode ray tube and a wasted engine oil is provided to save a time for generating hot water by heat-exchanging water using the wasted engine oil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with heat collected in a light collecting plate. CONSTITUTION: A multifunctional boiler using a wasted cathode ray tube and a wasted engine oil comprises a light collecting plate(100), a heating boiler(200), and a circulating pipe(300) for heating. The light collecting plate includes a fixing device on one side and a support member(120) on both sides of a central part and uses the wasted cathode ray tube collecting solar heat. The circulating pipe for heating includes an wasted engine oil inlet hole(310)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light collecting plate and the heating boiler.
权利要求
  •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하되,
    일측에 고정장치(110)와 중앙부 양측에 지지부재(120)가 구성되며 태양열을 집광하는 폐 브라운관을 이용한 집광판(100);
    내부로 공간부를 형성하는 난방보일러(200);
    일 측에 폐 엔진오일주입구(310)가 구성되며 상기 집광판(100)과 상기 난방보일러(200)에 연결 구성되는 난방용 순환파이프(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보일러(200)의 일측에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210)와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20)가 각각 구성되고, 상측에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2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로 폐 엔진오일이 순환되며 상기 난방보일러(200) 내부에 담수된 물과 열 교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
  •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유입구(420)가 구성되며 내부에 회전하는 회전체(410)가 구성되는 전력발생장치(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생장치(400)는 상기 난방보일러(200)의 일측에 배출구(240)를 구성하여 상기 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로 다수개의 회전날개(411)로 구성되는 회전체(410)가 회전되며 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
  • 제 4항 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410)의 양측으로 발전기(430)와 발전모터(440)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410)에서 발생되는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
  • 说明书全文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Waste cathode- ray tube and waste engine oil with multifunctional boiler}

    본 발명은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폐 브라운관으로 집광판을 만들고, 폐 엔진오일을 난방의 원료로 사용하여 물과 태양열을 열 교환시킴과 동시에 발생되는 수증기로 전력을 얻고 데워진 물은 온수로 사용이 가능한 산업폐기물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온수공급이 가능한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를 획득함에 있어, 자원의 고갈과 화석연료의 연소에 따른 환경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체 에너지원 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그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대체 에너지원 개발의 예로서, 태양열, 풍력, 파력, 지열 등을 이용한 발전을 들 수 있다. 이 중 상기 풍력, 파력, 지열을 이용한 발전은 발전장치를 위한 설치장소가 특정 위치에 국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은 비교적 그 입지조건이 까다롭지 않으며, 건물 등에 부가적인 설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태양열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을 하고 있는 가운데 태양광모듈, 집광판, 집열판 등이 구성되어 태양의 열을 집광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오는 태양광모듈, 집열판, 집광판 등은 고가의 장비로서 비용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10-2010-0123966(특)프레임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집열기에 태양열을 집열시켜 주기 위한 반원형상의 보조집열판과 상기 보조집열판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집열기와 상기 집열기에는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가 유체이송파이프에 연결된 유체유입구를 거쳐 유체파이프를 통해 유체관에 유입되어 상기 보조집열판에 의해 진공관이 집열되고, 상기 집열된 유체가 다시 유체파이프를 거쳐 유출에 이어 유체유출구에 연결된 유체이송파이프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 또 다른 집열기의 유체유입구를 거쳐 유체파이프를 통해 유체관에 유입되어 상기 보조집열판에 의해 진공관이 집열됨과 함께, 상기 직렬로 연결된 또 다른 집열기에서 집열된 유체가 다시 유체파이프를 거쳐 유체유출구에 연결된 유체이송파이� ��를 통해 칸막이로 격리 된 복수 개의 제1온수조 및 제2온수조에 각각 내장된 제1축열기 및 제2축열기에 공급되어, 상기 제1온수조에 채워진 제1용수 및 상기 제2온수조에 채워진 제2용수와 각각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10-0932240(특)태양열을 집열하여 열교환매체를 가열하는 집열유닛과 난방용수가 저장되는 축열탱크와 상기 집열유닛에서 가열된 열교환매체와 상기 축열탱크에 저수된 난방용수가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집열유닛과 상기 축열탱크를 연결하는 열교환관과 상기 축열탱크의 상부와 하부측 난방용수 사이의 온도편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 난방용수를 혼합시키는 온도편차 제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온도편차 제거수단은 상기 축열탱크의 상부와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난방용수를 상기 혼합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혼합용펌프를 구비되는 것이다.

    공개번호 10-2008-0016193(특)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봉이 갖추어지고, 전자밸브에 의해 급수량을 조절 급수할 수 있는 급수관 및 온수배출관을 갖추고 있는 온수용저장탱크와 상기 온수용저장탱크에 순환펌프에 의해 담수 되어 있는 물이 강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는 일조량이 많은 주간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순환관내를 순환하는 물의 온도를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집열판과 상기 온수용저장탱크내의 물이 순환펌프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온수순환관과 상기 온수순환관의 일부가 내삽 되도록 한 상태에서 난방장치의 분배기와 연결되어 난방에 필요한 물을 온수순환관의 온도에 의해 데워줄 수 있도록 하는 난방용저장탱크와 상기 온수용저장탱크와 난방용저장탱크내에 각각 갖추어져 일조시 발생 되는 태양� ��에 의해 축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히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온수 및 난방으로 사용되는 목적들을 중심적으로 기제 하고 있다. 즉 태양광을 이용하여 온수 및 난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부가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 있었다.

    다른 형태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태양열이 축전되어 축전된 태양열로 인해 히터가 구동되어 담수된 물이 가열되어 선택적으로 온수 및 난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는 태양의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을 적용시켜 히터를 구동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하나만의 기술들로서 다양한 형태의 기술로 더 이상 응용이 안 되는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극히 적은 량의 태양열을 집광하여 사용되어 오다 보니 활용되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이며 반영구적인 구성으로 전자산업폐기물인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활용하여 집광판을 만들고 나아가 전력을 얻고 난방 보일러 및 온수를 공급 할 수 있는 복합적인 장치가 개발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산업폐기물인 폐 브라운관을 재활용하여 태양에너지를 집열 할 수 있도록 집광판을 구성하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상기 집광판에 집광된 태양에너지를 직접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순환파이프를 구성하되 일측으로 엔진오일주입구를 구성하여 폐 엔진오일을 주입하여 열 전도성을 높이고,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난방보일러를 연결 구성하되 일측에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와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각각 구성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증기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력발생장치를 구성하여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재활용하며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게 됨과 동시에 난방보일러 내부에서 데워진 물은 온수로 폐 엔진오일은 난방용 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하되, 일측에 고정장치(110)와 중앙부 양측에 지지부재(120)가 구성되며 태양열을 집광하는 폐 브라운관을 이용한 집광판(100)과 내부로 공간부를 형성하는 난방보일러(200)와 일 측에 폐 엔진오일주입구(310)가 구성되며 상기 집광판(100)과 상기 난방보일러(200)에 연결 구성되는 난방용 순환파이프(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방보일러(200)의 일측에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210)와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20)가 각각 구성되고, 상측에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2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내부로 폐 엔진오일이 순환되며 상기 난방보일러(200) 내부에 담수된 물과 열 교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일러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유입구(420)가 구성되며 내부에 회전하는 회전체(410)가 구성되는 전력발생장치(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발생장치(400)는 상기 난방보일러(200)의 일측에 배출구(240)를 구성하여 상기 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로 다수개의 회전날개(411)로 구성되는 회전체(410)가 회전되며 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410)의 양측으로 발전기(430)와 발전모터(440)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410)에서 발생되는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이용한 다기능 보일러에 의하면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전자산업폐기물인 폐 브라운관으로 집광판을 제작 하여 구성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상기 집광판에 집광된 태양에너지에 열을 이용하여 열 전도성이 높은 폐 엔진오일을 사용하여 물과 열 교환시킴으로 온수를 만드는 시간이 절약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수증기로 전기에너지를 만들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폐 엔진오일을 활용하여 난방을 하며 열 교환되어 데워진 물은 온수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반영구적이며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집광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난방보일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순환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력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 - A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는 사용상태도

    이에 본 발명을 도 1 내지 10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온수공급과 난방보일러 및 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태양광모듈과 보일러를 연결 구성하여 태양광모듈에 집광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통상의 구조형태에서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구성함으로서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가적인 기능이 부여되고, 우수한 효과와 친환경적으로이며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폐 브라운관과 폐 엔진오일을 재활용하여 경제적으로 유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태양열을 이용한 전력생산과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는 집광판(100), 난방보일러(200), 순환파이프(300), 전력발생장치(400)로 대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①집광판(100)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집광판(100)은 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어려운 폐 브라운관을 재활용하여 태양의 빛이 투과되지 않고 기하학적인 형상의 변화, 즉, 상기 집광판(100)은 원호 형상을 갖는 형상을 취하도록 제작하여 구성되되 일측에 고정장치(110)와 중앙부 양측으로 지지부재(120)가 구성되며 태양열이 집광되는 량이 많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 브라운관 내부로는 납이 포함되어 있어 빛이 투과되지 않으며 빛은 굴절이 되지 않고 직선으로 움직이는 특성상 폐 브라운관을 재활용하여 제작된 집광판(100)이 구성되어 통상 집광판을 구성하는 원가를 절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집광판(100)의 중앙부로는 순환파이프(300)가 연결 구성되되 집광판(100)에 집광된 태양열로 인해 열전달이 잘되도록 상기 집광판(100)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집광판(100)은 원호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에 평판형상으로 구성된 집광판(100)에 비해 단위면적이 넓게 되어 태양열을 집광하는 태양의 열량은 많아지고, 제한된 공간에서 집광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일조시 태양의 움직임의 위치에 따라 집광판(1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조절장치가 구성되는데 이는 중앙부를 지나는 순환파이프(300)로 열이 잘 전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태양에너지의 기울어진 각도에서 조사 시에도 충분한 집광능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순환파이프(300)가 중앙부로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 순환파이프(300)는 지지부재(120)에 지지되며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태양열이 잘 전도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집광판(100)은 내부로 공간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빛이 1차적으로 순환파이프(300)로 열을 전달하고 추가적으로 폐 브라운관 내부에 구성되는 납에 의해 빛이 투과되지 않고, 반사되어 열을 전달 받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원호 형상으로 제작되어 움직이는 태양의 변환되는 각도에도 납이 포함되어 있어 자체적으로 빛을 반사하여 순환파이프(300)로 열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아날로그 TV방식에서 디지털TV방식으로 발 빠르게 전환되고 기술 발전으로 더 이상 브라운관 방식의 TV나 모니터를 생산하지 않고 있다. 폐 브라운관은 납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다른 상품으로 재활용이 어렵고, 그로 인해 엄청난 양의 폐 브라운관이 발생되고 있으며 전자산업폐기물인 폐 브라운관을 재활용 및 처리하지 못하여 국가적인 문제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산업폐기물로 처분하기 어려운 폐 브라운관을 재활용하여 집광판(100)으로 만들어 사용하게 됨으로써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높고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며 별도의 태양열을 집광하는 집열판, 태양광모듈 등을 구입하여야 할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원가가 절감되고, 친환경적인 재료와 기술로 사용 되는 것이다.

    상기 집광판(100)을 다수개로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집광되는 태양열의 량이 많기 때문에 오래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폐 브라운관으로 쉽게 제작 할 수 있어 단순한 구조로 많은 태양열을 집광 할 수 있고 납으로 인해 빛이 투과되지 않고 반사되어 순환파이프(300)로 열을 잘 전도하게 되는 것이다.

    ②난방보일러(200)

    도 1, 2, 4,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보일러(200)는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중요 구성요소로서 통상의 사각 형태로 구성되는데 일측에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210)와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20)가 각각 구성되고, 상측으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230)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일부분이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우선 전체적으로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210)를 통해 내부의 공간부에 물을 담수 하게 되는데 통상 물을 주입하는 수도꼭지, 호스 등을 이용하여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난방보일러(200)는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일측에 폐 엔진오일을 주입하는 엔진오일주입구(310)로 폐 엔진오일을 주입하게 되면 순환파이프(300)를 통해 지속적으로 폐 엔진오일은 순환하게 되며 상기 집광판(100)의 중앙부를 지나며 집광판(100)에 집광된 태양열을 전도 받아 난방을 하게 되며 재차 난방보일러(200) 내부의 물과 열 교환 되어 물의 온도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난방보일러(200)의 내부에 물이 담수된 상태에서 순환파이프(300)의 내부에 주입된 폐 엔진오일이 순환되며 난방을 하며 지속적으로 순환되어 상기 난방보일러(200) 내부의 물과 열 교환됨과 동시에 물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난방보일러(200) 내부에서 폐 엔진오일과 열교환 되어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된 온수를 씻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아파트, 주택 등과 같은 곳에 난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오는 난방방식으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고, 폐 엔진오일을 활용하여 난방을 할 수도 있으며 폐 엔진오일이 연속적으로 순환됨에 따라 난방이 되고, 난방보일러(200) 내부에서 열 교환 되며 폐 엔진오일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상측에 구성되는 가스배출구(230)로 자연스레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난방보일러(200)는 온수로 인해 난방이 되는 통상의 보일러의 원리에서 온수를 대처할 수 있는 열 전도성이 높은 폐 엔진오일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 난방보일러(200)는 통상의 보일러에 온수로도 난방이 가능하고, 더불어 폐 엔진오일을 사용하여 난방이 가능한 통합적이며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리로서 난방보일러(200)에 조절장치 및 센서를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며 온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폐 엔진오일의 온도 또한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보일러(200)와 별도로 물탱크(500)를 구성하여 사용할 시에는, 난방보일러(200)에서 순환파이프(300)로 순환되는 폐 엔진오일은 난방을 하고 재차 난방보일러(200) 내부로 순환하며 열 교환 되어 데워진 온수는 물탱크(500)로 유동하며 물탱크(500)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폐 엔진오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난방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물탱크(500) 또한 통상 보일러에 구성되는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③순환파이프(300)

    상기 순환파이프(300)는 도 1 ,2, 4, 5,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난방보일러(200) 내부의 물의 온도를 높이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일측에 폐 엔진오일을 주입하는 엔진오일주입구(310)가 구성되고, 주입된 폐 엔진오일이 상기 난방보일러(200) 내부에 담수된 물과 열 교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난방보일러의 내부에는 꽈배기형상으로 구성되며 집광판(100)의 중앙부를 지나며 상기 집광판(100)에 집광된 태양열을 용의하게 전도 받도록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엔진오일주입구(310)를 통해 폐 엔진오일을 주입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폐 엔진오일은 순환하게 되고, 폐 엔진오일이 집광판(100)의 중앙부를 지날 때 집광된 태양열을 전도 받게 되어 난방을 하게 되고 재차 순환되어 난방보일러(200) 내부에 담수된 물과 열 교환 되어 물의 온도를 높여주게 됨으로서 데워진 온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폐 엔진오일은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전혀 되고 있지 않으며 폐기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무한 관계다. 본 발명에서는 폐기하기 어렵고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폐 엔진오일을 재활용하여 물과 열 교환 시켜 온수를 만들고, 나아가 난방의 용도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매우 높고, 환경보호에도 이바지 하게 되는 것이다.

    ④전력발생장치(400)

    상기 집광판(100), 난방보일러(200), 순환파이프(300)로 구성되는 산업폐기물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온수공급이 가능한 난방보일러에 도 8, 9,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발생장치(400)는 난방보일러(200)와 연결 구성되되 일 측에 수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20)와 내부로 회전하는 회전체(410)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력발생장치(400)의 회전체(4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풍력발전과 비슷한 원리로서 다수개의 회전날개(411)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파이프(300)의 폐 엔진오일이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되며 상기 난방보일러(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과 열 교환됨과 동시에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수증기는 난방보일러(200)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됨에 따라 상기 난방보일러(200)의 일측에 배출구(240)를 구성하여 상기 배출구(240) 통해 연속적으로 전력발생장치(400)의 일측에 구성되는 유입구(420)로 유입되어 다수개로 구성된 회전날개(411)로 압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회전체(410)가 회전하게 되며 전기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410)의 회전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체(410)의 양측에 발전기(430)와 발전모터(440)가 각각 연결 구성되어 수증기에 의해 회전체(410)가 회전함과 동시에 발생되는 전력으로 구동되어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하여 가정용 가전제품, 냉장고, 세탁기 등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판(100), 난방보일러(200), 순환파이프(300), 전력발생장치(400)로 구성되어 이러한 형태로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산업폐기물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온수공급이 가능한 난방보일러 및 전력발생장치는 일조시에 태양열을 흡수하여 집광하여 열을 한곳에 모으는 집광판(100)은 납이 포함되어 있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전자산업폐기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처리하는 방법이 전무한 폐 브라운관을 재활용하여 제작됨으로서 산업발전과 환경오염에 이바지 하게 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구성되고, 집광판(100)에 집광된 태양열을 전도 받아 난방보일러(200)로 순환되어 열 교환 시켜주는 순환파이프(300)와 또 하나의 산업폐기물인 열전도성이 높은 폐 엔진오일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난방보일러(200) 내 부에 담수된 물과 열 교환 되어 온수를 공급하게 되고, 이때 통상 보일러의 원리와 비슷한 구조와 형태로 구성되는 난방보일러(200)에 의해 폐 엔진오일로 난방이 가능함과 동시에 배출구(240)로 배출되는 수증기로 인해 전력발생장치(400)가 구동되며 전력을 발생시켜 가전제품, 냉장고, 세탁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집광판 110 : 고정장치 120 : 지지부재
    200 : 난방보일러 210 : 주입구 220 : 토출구 240 : 가스배출구300 : 순환파이프 310 : 엔진오일주입구
    400 : 전력발생장치 410 : 회전체 411 : 회전날개 420 : 유입구
    420 : 발전기 440 : 발전모터
    500 : 물탱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