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申请号 KR1020120037164 申请日 2012-04-10 公开(公告)号 KR1020130114825A 公开(公告)日 2013-10-21
申请人 라병열; 发明人 라병열;
摘要 PURPOSE: A sweet potato planting apparatus installed in a sweet potato planting specialized furrow maker is provided to accurately plant browse in a ridging part by making the browse be supported by a brush not to be sagged even in an erect state while rotating in a gathering clamp of a rotating board. CONSTITUTION: A sweet potato browse planting apparatus installed in a sweet potato planting specialized furrow maker comprises a gathering clamp, a clamping unit, a gathering unit, and a browse supplying unit. Browse is received opening one of gathering clamps which rotates at the top by the clamping unit while a rotating board is rotated once the browse of the sweet potato is supplied through the browse supplying unit. The browse dropped in a ridging part is planted automatically once the browse is dropped opening a mouth of the gathering clamp by the clamping unit rotating to a lower ground while holding the browse with the gathering clamp biting through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as the rotation is additionally progressed.
权利要求
  • 두둑성형기의 후방에 체결하되, 전방은 배토를 위한 쐐기 형상의 배토성형부(11)와 후방은 배토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12)로 이루어진 성형가이더(10)에 결합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있어서,
    성형가이더(10) 내측에서, 모터를 통해서 회전하는 회전판(20)의 외곽부를 일정간격을 두고 돌려가며 형성되는 회동클램프(30);
    상기 회전판(20)에 근접하게 연결판(12A)에 고정된 클램핑캠(40)에 의해 회전판(20)이 회전할 때, 회동클램프(30)를 조이고 푸는 작동을 반복시키는 클램핑부;
    상기 회전판(20)에 근접하게 연결판(12B)에 고정된 회동캠(42)에 의해 회전판(20)이 회전할 때, 회동클램프(30)를 힌지(38)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고구마 묘순(2)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묘순공급부(60);로 이루어져, 묘순공급부(60)를 통해서 고구마 묘순(2)이 공급되면, 회전판(20)이 회전하며 클램핑부가 최상단의 회전하는 회동클램프(30) 하나를 벌려 묘순(2)을 공급받고, 회전이 더 진행되어 회동클램프(30)가 클램핑부의 작동을 통해 아구를 물어 묘순(2)을 잡아 하단 지면으로 회전하며, 다시 클램핑부가 회동클램프(30)를 아구를 벌려 배토부에 묘순(2)을 떨어트리면 배토부에 떨어진 묘순(2)을 자동으로 심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20)에 일정간격을 두고 힌지(38)로 고정되는 회동클램프(30)는, 일측에 힌지공(31B)가 형성되고 위쪽으로 트윈관(81)이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연동포인트(43A)가 구비된 연동바(43)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스프링공(31A)이 형성된 회동밀개(99);와 직사각형 형태의 클램핑판(31);과 직사각 형태의 판 일측면 아래쪽에 트윈관(81)이 설치되고 타측면에 클램핑바(37)가 회동되는 고정구가 설치되는 클램핑판(31);과 상기 회동밀개(99)의 상부 절단면과 직사각 형태의 클램핑판(31)의 저부 절단면을 결합 또는 용접하여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또한, 회동밀개(99)에 설치된 트윈관(81)과 클램핑판(31)에 설치된 트윈관(81)을 힌지(44)를 통해서 결합되어 힌지(44)결합된 클램핑판(31)은 클램핑바(37)에 의해서 작동될때 힌지(44)를 중심으로 좁혀졌다 벌어졌다 하여 클램핑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20)에 일정간격을 두고 힌지(38)로 고정되는 회동클램프(30)는, 일측에 힌지공(31B)이 형성되고 위쪽으로 한쌍의 관형태의 트윈관(81)이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연동포인트(43A)가 구비된 연동바(43)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스프링공(31A)이 형성된 회동밀개(99);각각 직사각 형태의 판 아래쪽에 한쌍의 관형태의 트윈관(81)이 설치된 클램핑판(31)각각의 끝단에 회동기어(83)가 고정된 샤프트(82);상기 회동밀개(99)에 설치된 각각의 트윈관(81)과, 상기 각각의 클램핑판(31)에 설치된 트윈관(81)에 각각의 샤프트(82)로 끼워 체결하여 회동밀개(99)의 각각의 트윈관(81)에 끼워진 샤프트(82)는 회동하고 클램핑판(31)에 설치된 트윈관(81)에 끼워진 샤프트(82)는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클램핑판(31)이 클램핑바(37)에 의해서 작동될때
    샤프트(82)가 회동하게 되고 샤프트(82)끝에 고정되어 서로 치합된 회동기어(83)에 의하여 상기 쌍의 클램핑판(31)이 서로 동일한 연동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3항에 있어서, 클램핑판(31)이 항상 아구를 물도록 클램핑판(31)과 회동밀개(99)에 형성된 트윈관(81)에 삽입되는 샤프트(82)에 비틀림스프링(45)이 끼워져 한쌍의 클램핑판(31)이 항상 아구를 무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클램핑판(31)의 내측에는 스폰지나 러버 재질의 쿠션패드층(71)을 깔아 클램핑시 고구마 묘순(2)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회동클램프(30)의 타단으로는 탄성스프링(32)을 연결하되, 회전판(20)의 일측과 끝단을 결합시키고,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이 항상 회동클램프(30)를 회전판(20)을 향해 밀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회동클램프(30)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는,
    회전판(20)에 근접하게 연결판(12A)에 고정되는 편심캠(40);
    편심캠(40)의 외곽부에 면접되게 설치하되, 중심부는 회동힌지(34)로 회전판(20)에 고정되고, 일측단에는 클램핑포인트(36) 타측단에는 면접포인트(35)가 형성되는 "ㄱ"자연동판(33);
    상기 클램핑포인트(36)에서 연장되어 클램핑판(31)까지 회동되게 연결되는 클램핑바(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상기 면접포인트(35)가 편심캠(40)을 타고 회전하면서, 클램핑바(37)를 당기고 밀어 회동클램프(30)의 클램핑판(31)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회동클램프(30)를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부는,
    회전판(20)에 근접하게 연결판(12B)에 고정되는 회동캠(42);
    회동클램프(30)의 회동밀개(99)에 연동포인트(43A)가 구비된 연동바(43); 상기 연동바(43)에 구비된 연동포인트(43A)는 회동캠(42)의 외곽부에 면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상기 연동포인트(43A)가 회동캠(42)을 타고 회전하면서 회동클램프(30)를 연동바(43)가 당기고 밀어 회동클램프(30)를 수평과 회전판(20)에 밀착시키는 상하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묘순공급부(60)는,
    회전판(20)의 상부로는 성형가이더(10)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올라선 묘순이송밸트(61);
    묘순이송밸트(61)의 상부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설치되는 가이드패널(65);로 형성되어 묘순이송밸트(61)가 묘순(2)을 이송시켜 가이드패널(65)로 떨어트리면, 가이드패널(65)은 묘순(2)을 테이퍼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하단에서 회전하여 올라온 회동클램프(30)에 정확하게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묘순이송밸트(61)는, 좌우양단에 회동클램프(30)에 대응되게 묘순이송밸트(61)의 외부면에 5개의 간격으로 구분된 밸트의 회전을 위한 타이밍롤(63)을 형성하고, 밸트의 양단에는 타이밍롤(63)의 타이밍돌기(64)에 대응하는 타이밍공(62)을 형성하여 보다 정확하게 묘순(2)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성형가이더(10)에 형성된 회전판(20)의 끝단 회동클램프(30)가 회전하여 지면으로 하향하는 방향에서 서로 만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가이더(10)에 상하로 세운 브러쉬(BH)를 좌우측에 설치하여, 하향하는 묘순(2)의 머리를 들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说明书全文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the rotary unit to plant sweet potato}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심기 위해서 두둑을 성형하면서, 그 두둑의 상단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이와 동시에 배토부의 내부에 고구마 묘순을 투입할 때, 회전판에 형성된 회동클램프를 통해서 정확하게 고구마 묘순을 공급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두둑 성형슬라이더가 장착된 두둑성형기의 하단에 성형가이더를 장착하되, 두둑성형기가 두둑을 성형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따르는 후속 작업으로 성형가이더를 통해서 두둑의 상단부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할 때, 작업자는 두둑성형기의 상부 의자에서 고구마 묘순을 집어 고구마 묘순공급부에 묘순을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묘순이 묘순이송밸트에 의해서 회동클램프의 내측으로 공급되고, 회전판 내의 5개 회동클램프는 묘순을 잡고 회전하여 지면에 떨어트리면 고구마 묘순의 머리만 남겨둔 채 줄기를 배토부에 안전하게 심고, 후 작업으로 다시 상승하여 묘순을 공급받는 방식의 작동방법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고구마 묘순을 심어주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 묘순을 심는 작업은 바닥면에 굴곡을 성형하는 두둑 성형기를 통해서, 두둑을 먼저 성형하고 두둑의 상단에 배토부를 성형한 후, 다음의 작업으로 고구마 묘순을 심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를 타파하고, 특허출원 제 10-2008-17703호를 통해서 종순심기장치를 제안했는데, 두둑을 성형하고, 다음의 작업으로 고랑을 형성하는 배토를 한 후 종순을 간편하게 심을 수 있는 장치를 제안했다. 그럼 이 장치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도시된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장치는 지지판(11)에 삽입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에 고정되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되어 종순(1)을 종순(1)을 잡아주는 클램핑수단(30)이 있고, 상기 클램핑수단(30)에 끼워진 종순(1)을 밀어 지면에 심어주는 밀개수단(40)과 상기 클램핑수단(30)을 작동시켜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과 상기 종순(1)을 지면에 심을시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이 있다. 이들은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20)의 외주면을 둘레로 클램핑수단(30)과 밀개수단(40)을 형성하여 1회전 시에 종순(1)을 심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밀개수단(40)은,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된 클램프(36)와 동일 힌지(33)로 끼워진 상태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판(2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태로 밀개블럭(31)이 측판(42)과 밀개판(43)으로 형성된 밀개(4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은, 상기 회전판(20)에서 상기 고정판(52) 타측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된 캠(61)을 형성한 고정2판(62)과 상기 고정2판(62)의 캠(61)에 대응되게 상기 밀개(44)의 일측 측판(42)에서 돌출된 제2캠바(64)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2판(62)의 캠(61)이 상기 밀개(44)의 제2캠바(64)를 밀며 밀개판(43)의 외주면에 위치한 종순(1)을 지면으로 밀어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종래 트랙터 설치용 종순심기장치는, 종순(1; 묘순)을 심는 작업이 반자동화되어 회전판이 회전시 종순을 잡아 회전하여 자연스럽게 배토부에 종순의 뿌리와 줄기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전술된 종래의 발명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별도의 성형가이더가 이 종순심기 장치에는 마련되지 않았기에 배토하는 과정이 어렵다. 물론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새롭게 출원된 다른 고구마 묘순 공급장치에는 성형가이더가 형성된다.

    둘째, 회전판에 형성된 클램핑수단에 종순을 공급하기 어렵다. 회전을 통해서 정확하게 종순을 공급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과 타이밍이 정확하게 일치해야 한다. 고구마 종순은 엉킨 상태로 밭으로 이송시켜져 일일이 손으로 분리를 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과 동시에 클램핑수단에 묘순을 하나씩 정확한 시간에 공급하기가 어렵다.

    셋째, 클램핑수단에의해 클램핑된 종순은 회전하면서 머리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머리도 함께 지면에 묻혀져 소생이 어려울 소지가 높기에 심각한 주의를 요한다.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심기 위해서 두둑을 성형하면서, 그 두둑의 상단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이와 동시에 배토부의 내부에 고구마 묘순을 투입할 때, 회전판에 형성된 회동클램프를 통해서 정확하게 고구마 묘순을 공급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두둑 성형슬라이더가 장착된 두둑성형기의 하단에 성형가이더를 장착하되, 두둑성형기가 두둑을 성형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따르는 후속 작업으로 성형가이더를 통해서 두둑의 상단부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할 때, 작업자는 두둑성형기의 상부 의자에서 고구마 묘순을 집어 고구마 묘순공급부에 묘순을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묘순이 회전판의 회동클램프의 내측으로 공급되고, 회전판 내의 5개 회동클램프는 묘순을 잡고 회전하여 지면에 떨어트리면 고구마 묘순의 머리만 남겨둔 채 줄기를 배토부에 안전하게 심고, 후 작업으로 다시 상승하여 묘순을 공급받는 방식의 작동방법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고구마 묘순을 심어주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는, 두둑성형기의 일측에 체결하되, 전방은 배토를 위한 쐐기 형상의 배토성형부(11)와 후방은 배토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로 이루어진 성형가이더(10)에 결합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있어서, 성형가이더(10) 내측에서, 모터를 통해서 회전하는 회전판(20)의 외곽부를 일정간격을 두고 돌려가며 형성되는 5개의 회동클램프(30)는 회동밀개(99)에 한쌍의 클램핑판(31)을 힌지(44) 또는 샤프트(82)로 결합되는 회동클램프(30); 상기 회전판(20)의 일측면에 근접하게 연결판(12A)에 고정된 클램핑캠(40)에 의해 회전판(20)이 회전할 때, 회동클램프(30)를 조이고 푸는 작동을 반복시키는 클램핑부; 상기 회전판(20)에 근접하게 연결판(12B)에 고정된 회동캠(42)에 의해 회전판(20)이 회전할 때, 회동클램프(30)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고구마 묘순(2)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묘순공급부(60);로 이루어져, 묘순공급부(60)를 통해서 고구마 묘순(2)이 공급되면, 회전판(20)이 회전하며 클램핑부가 최상단의 회전하는 회동클램프(30) 하나를 벌려 묘순(2)을 공급받고, 회전이 더 진행되어 회동클램프(30)가 클램핑부의 작동을 통해 아구를 물어 묘순(2)을 잡아 하단 지면으로 회전하며, 다시 클램핑부가 회동클램프(30)를 아구를 벌려 지면에 묘순(2)을 자동으로 심어준다.

    또한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따른, 5개의 회동클램프(30)는 회동밀개(99)에 한쌍의 클램핑판(31)이 한쪽 이나 양쪽이 좁혀졌다 벌어졌다 하도록 결합된 회동클램프(30)는 회전판(20)에 일정간격을 두고 5개를 고정하되, 제1실시예의 회동클램프(30)는 회동밀개(99)의 상부 절단면에 클램핑판(31)의 아래쪽의 절단면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의 클램핑판(31)을 트윈관(81)에 힌지(44)를 끼워 힌지(44)로 끼워 결합된 쪽의 클램핑판(31)만 접혔다 벌어졌다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제2실시예의 회동클램프(30)는 회동밀개(99)에 설치된 한쌍의 트윈관(81)과 한쌍의 클램핑판(31)에 설치된 트윈관(81)을 각각 회동기어(83)가 고정된 각각의 샤프트(82)로 끼워 결합하면 회동기어(83)는 서로치합되고 회동밀개(99)의 각각의 트윈관(81)에 끼워진 샤프트(82)는 회동되고,한쌍의 클램핑판(31)의 트윈관(81)과 샤프트(82)를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면 한쪽의 클램핑판(31)이 작동되면 다른쪽 클램핑판(31)도 동시에 연동하게 되는데 동일한 각도로 벌리고 좁히는 클램핑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회동클램프(30)는 일측의 힌지공(31B)에 힌지(38)을 통해서 회전판(20)에 고정되고,회동클램프(30)내의 힌지(44)와 샤프트(82)에는 비틀림스프링(45)이 삽입되어 항상 클램핑판(31)이 아구를 무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따른, 클램핑판(31)의 내측에는 스폰지나 러버 재질의 쿠션패드층(71)을 깔아 클램핑시 고구마 묘순(2)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 회동클램프(30)의 끝단으로는 탄성스프링(32)을 고정하되, 회전판(20)의 일측과 끝단을 결합시키고,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이 항상 회동클램프(30)를 회전판(20)을 향해 밀착하도록 하며 : 회동클램프(30)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는, 회전판(20)에 근접하게 연결판(12A)에 고정되는 편심캠(40); 편심캠(40)의 외곽부에 면접되게 설치하되, 중심부는 회동힌지(34)로 회전판(20)에 고정되고, 일측단에는 클램핑포인트(36) 타측단에는 면접포인트(35)가 형성되는 "ㄱ"자연동판(33); 상기 클램핑포인트(36)에서 연장되어 클램핑판(31)까지 연결되는 클램핑바(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상기 면접포인트(35)가 편심캠(40)을 타고 회전하면서, 클램핑바(37)를 당기고 밀어 회동클램프(30)의 클램핑판(31)을 연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따른, 회전판(20)에 힌지(38)로 고정되는 회동클램프(30)를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부는, 회전판(20)에 근접하게 연결판(12B)에 고정되는 회동캠(42); 회동클램프(30)의 회동밀개(99)에 연동포인트(43A)가 구비된 연동바(43); 상기 연동바(43)에 구비된 연동포인트(43A)는 회동캠(42)의 외곽부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상기 연동포인트(43A)가 회동캠(42)을 타고 회전하면서, 연동바(43)를 당기고 밀어 회동클램프(30)의 클램핑판(31)을 일정간격 상하 회동시키고 : 묘순공급부(60)는, 회전판(20)의 상부로는 성형가이더(10)에 결합되어 수평지게 올라선 묘순이송밸트(61); 묘순이송밸트(61)의 상부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설치되는 가이드패널(65);로 형성되어 묘순이송밸트(61)가 묘순(2)을 이송시켜 가이드패널(65)로 떨어트리면, 가이드패널(65)은 묘순(2)을 테이퍼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하단에서 회전하여 올라온 회동클램프(30)에 정확하게 투입하며 : 묘순이송밸트(61)의 외면부에는 회동클램프(30)에 대응되게 5개의 간격으로 구분된 밸트의 회전을 위한 타이밍롤(63)을 형성하고, 밸트의 양단에는 타이밍롤(63)의 타이밍돌기(64)에 대응하는 타이밍공(62)을 형성하여 보다 정확하게 묘순(2)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따라, 성형가이더(10)에 형성된 회전판(20)의 끝단 회동클램프(30)가 회전하여 지면으로 하향하는 방향에서 서로 만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가이더(10)에 상하로 세운 브러쉬(BH)를 좌우측에 설치하여, 하향하는 묘순(2)의 머리를 들어줄 수 있도록 하고 : 회전판(20)이 설치된 성형가이더(10)의 후방에는, 스크류(52)와 가이드판(51) 및 다짐롤(53)을 더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라, 두둑의 성형, 배토부(=고랑)의 성형을 동시 달성하면서, 고구마 묘순의 심기시에도 작업자가 묘순을 집어 묘순공급부에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묘순이송밸트를 타고 묘순이 이동하여 회동클램프로 전달되고, 이 회동클램프 내의 묘순은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배토부에 자동으로 심어지기에, 모든 작업이 자동화되어 있으며,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종래 사용하던 두둑성형기를 그대로 활용하여,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 내에 묘순심기장치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이점을 실현시킬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고구마 묘순이 회전판의 회동클램프에 담겨 회전하다가 직립한 상태에서도 머리가 쳐지지 않도록 브러쉬의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게 묘순이 배토부에 심어질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작업의 정확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둑성형기에 묘순심기 장치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판에 회동클램프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회동부, 클램핑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핑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회동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묘순공급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묘순공급부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회동클램프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회동클램프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브러쉬부를 추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종래의 발명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심을 때 사용하는 두둑성형기 특히 두둑성형기에서 배토부를 성형하는 성형가이더 내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을 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 1 내지 10에서처럼 두둑성형기의 일측에 체결하되, 전방은 배토를 위한 쐐기 형상의 배토성형부(11)와 후방은 배토된 흙과 고구마줄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12)로 이루어진 성형가이더(10)에 결합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있어서, 성형가이더(10) 내측에서, 모터를 통해서 회전하는 회전판(20)의 외곽부를 일정간격을 두고 돌려가며 형성되는 5개 또는 다수의 회동클램프(30)가 있고, 상기 회전판(20)의 일측면에 근접하게 배토가이드(12)에 고정된 연결판(12A)에 고정 설치된 클램핑캠(40)에 의해 회전판(20)이 회전할 때, 회동클램프(30)를 조여지게 하고 푸는 작동을 반복시키는 클램핑부가 있으며, 상기 회전판(20)에 근접하게 배토가이드(12)에 고정된 연결판(12B)에 고정된 회동캠(42)에 의해 회전판(20)이 회전할 때, 회동클램프(30)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부가 있다. 또한 고구마 묘순(2)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묘순공급부(60)가 있다. 따라서 묘순공급부(60)를 통해서 고구마 묘순(2)이 공급되면, 회전판(20)이 회전하면서 클램핑부가 최상단의 수평이된 회동클램프(30) 하나를 벌려 묘순(2)을 공급받고, 회전이 더 진행되어 회동클램프(30)가 클램핑부의 작동을 통해 아구를 물고 회전판(20)에 밀착되며 묘순(2)을 잡아 하단 지면으로 회전하며, 다시 회동부가 회동클램프(30)를 수평되게 하면서 클램핑부가 회동클램프를 벌려 지면에 묘순(2)를 자동으로 심어주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은 두둑성형기(100)에 성형가이더(10)가 장착될 때, 상기 성형가이더(10)의 내측에 회전판(20)을 수용시켜 배토부 내에 묘순(2)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두둑성형배토기(A)가 먼저 지면을 쓸고 가면서 두둑을 성형하게 되면, 상기 두둑의 상단부분을 다시 성형가이더(10)가 지나가면서 배토부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성형가이더(10)의 내측에는 회전하는 회전판(20)을 형성하고 있고, 이 회전판(20)의 끝단 외곽부에는 일정한 각도를 두고 별도의 회동클램프(30)가 힌지(38)로 결합된 상태이기에 이 회동클램프(30) 내측의 묘순(2)이 배토부에 하나씩 떨어져 고구마 묘순(2)이 자동으로 심어진다. 즉 두둑의 성형, 배토, 고구마 묘순(2)의 심기, 및 다짐작용까지 본 발명은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달성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가이더(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판(20)의 외곽부로는 5개 또는 다수의 회동클램프(30)가 배치된다. 이 회동클램프(30)는 회동밀개(99)와 한쌍의 클램핑판(31)이 힌지(44)또는 샤프트(81)로 결합되어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판(20)은 속도를 작업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고구마 묘순(2)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판(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동력수단인 모터나 구동력으로 회전한다. 묘순공급부(60)를 통해서 묘순(2)이 공급되면,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회동클램프(30)의 내측으로 묘순(2)이 떨어진다(도 4 내지 6의 1단계). 회동클램프(30)는 이 전에 배토부 내에 묘순(2)을 떨어트리고 회전하여 상부로 올라온 상태이기에 내측에 묘순(2)이 없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0)이 회전을 하면, 회동클램프(30)는 닫히면서 아구를 물어 사선의 각도를 유지한다(2단계). 이때에는 상기 묘순(2)이 중력에 의해서 회동클램프(30)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클램프부를 통해서 상기 회동클램프(30)의 아구를 물어 묘순(2)의 줄기부분을 거의 다 파지하여 쳐지는 부분을 적게하면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즉, 도시된 도 4 내지 6의 1단계에서 회동클램프(30)가 상승하여 묘순공급부(60)에서 공급하는 묘순(2)을 자동으로 공급받을 때에는 클램핑부의 작동에 따라 회동클램프(30)의 아구를 풀어 클램프가 묘순(2)을 받기 쉽도록 한다. 이후 회전판(20)이 회전하여 중력에 의해서 묘순(2)이 지면으로 낙하할 수 있는 낙하각도로 비스듬한 위치(도 4 내지 6의 2단계)에 있게 되면 회동클램프(30)의 아구를 물어 묘순(2)을 잡아 주게 된다. 그리고 더 이동하여 제3단계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상기 회동클램프(30)는 상기 묘순(2)의 클램핑 작용을 계속해서 유지하여 묘순(2)을 안전하게 회전시킨다. 그 후 4단계의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회동클램프(30)는 회전하여 지면에 가까운 상태에서 수평이 된다. 배토부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바로 이때에 클램핑부도 작동을 하여 회동클램프(30)의 아구를 풀어 묘순(2)을 떨어트려준다. 줄기부분을 먼저 떨어트리고 머리부분은 후술되는 브러쉬(BH)에 의해서 고개를 들고 떨어진다. 그 후 스크류(52)를 통해서 고구마 묘순(2)의 머리만 들린 상태로 흙이 배토부를 매우고 가이드판(51)에 묘순(2) 머리가 젖히면서 매워진 부분을 다짐롤(53)을 통해서 다짐작용을 한다. 보다 상세한 사항을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렇게 연속적으로 모든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중요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회전판(20) 외곽부의 5개 또는 다수의 회동클램프(30)는 그 아구를 풀고 닫는 과정을 반복한다. 5개의 회동클램프(30)는 회전하면서 이러한 아구를 풀고 닫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도시된 도 4 내지 6에서 1단계로 도시한 상태에서는 그 아구를 풀어 입을 활짝 벌린상태를 유지한다. 이유는 묘순(2)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묘순을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2단계로 진입될 정도로 회전판(20)이 회전을 하게 되면, 클램핑부가 작동을 하여 회동클램프(30)는 그 아구를 물어준다. 묘순(2)을 지그시 잡고 회전을 계속하는 것이다. 이때 중력에 의해서 묘순(2)이 지면으로 떨어질 우려가 없이 소망하는 작업은 계속된다. 다음으로 3단계로 진입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회동클램프(30)는 묘순(2)을 물어주는 작업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만일 클램핑력이 풀리면 묘순(2)이 배토부에 정확하게 투입되지 못하여 묘순심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클램프(30)는 그 클램핑 작용을 유지하여 묘순(2)을 잡고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더 회전하여 도시된 도 4 내지 6의 4단계의 위치로 회동클램프(30)가 회전하면, 지면인 배토부의 내측에 묘순(2)의 줄기부분은 수평으로 위치한다. 줄기는 모두 배토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머리부분만이 지면의 상부로 들려진 상태이다. 이때에 클램핑부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회동클램프(30)는 아구를 풀어 묘순(2)이 배토부에 떨어지도록 클램핑 작용을 해제시킨다. 자연스럽게 떨어진 묘순(2)은 머리를 든 채, 다짐되어 완벽하게 심어진다.

    다음의 단계인 5단계에서는 다시 클램핑부가 작용을 하여 회동클램프(30)는 아구를 물고 상승하고, 연속되는 1단계의 위치로 돌아가 다음 묘순(2)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판(20)의 회전을 통해서 연속해서 묘순(2)을 공급받고 묘순(2)을 심고 다짐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은 상기 도시된 도 3에서처럼 회동클램프(30)를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작동도 주기적으로 진행시킨다. 즉, 묘순(2)을 회동클램프(30)가 공급받는 1단계의 위치에서는 상기 회동클램프(30)의 타측이 회전판(20)의 상부로 상승하여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묘순(2)을 보다 안전하게 공급받기 위해서 지면과 수평의 상태를 유지한다. 작업자가 상기 회동클램프(30) 내측에 직접 묘순(2)을 공급할 때에도 유리하고, 묘순공급부(60)를 통해서 묘순(2)을 공급할 때에도 유리하기 위해서 수평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후술될 본 발명의 상하 회동부를 통해서 작동된다.

    그리고 회전판(20)이 회전하여 2단계의 위치로 가게 되면 회동클램프(30)는 상하 연동을 하여 회전판(20)에 바싹 달라붙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된 회동힌지(38)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클램프(30)의 타측이 들어 올려지고 다시 내려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3단계의 위치에서도 회동클램프(30)는 회전판(20)에 바싹 달라 붙어 있고, 5단계의 위치에서도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단지 4단계의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회동부는 다시 회동클램프(30)를 지면과 수평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내려주게 된다.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램핑부의 작동을 통해서 회동클램프(30)의 아구를 풀어주기에 묘순(2)이 정확하게 배토부에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한 구성과 작동의 방식을 후술한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도9는 1실시예이고, 도10은 2실시예인데 5개의 회동클램프(30)는 회동밀개(99)에 한쌍의 클램핑판(31)이 힌지(44)와 샤프트(82)로회동되도록 결합된 회동클램프(30)를 회전판(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5개를 고정하되,1실시예는 회동밀개(99)의 상부 절단면에 클램핑판(31)의 아래 절단면을 용접결합하여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다른 한쪽 클램핑판(31)은 회동밀개(99)에 설치된 트윈관(81)과 클램핑판(31)에 설치된 트윈관(81)을 힌지(44)를 통해서 결합되어 경첩처럼 좁혀졌다 벌어졌다 하여 클램핑 작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고 회동클램프(30)의 일측은 힌지(38)를 통해서 회전판(20)에 상하 회동 되도록 고정한다.

    즉, 전술된 것처럼 도 4 내지 6의 1단계와 4단계의 위치에 회동클램프(30)가 위치할 때에는 회동클램프(30)가 그 아구를 풀어 활짝 벌린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를 위한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는 2가지 실시예를 제안한다. 즉, 도시된 도 9의 제1실시예와 도 10이 제2실시예를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경우 회동클램프(30)는 일측에 힌지공(31B)가 형성되고 위쪽으로 트윈관(81)이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연동포인트(43A)가 구비된 연동바(43)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스프링공(31A)이 형성된 회동밀개(99); 직사각형 형태의 클램핑판(31);과 직사각 형태의 판 일측면 아래쪽에 트윈관(81)이 설치되고 타측면에 클램핑바(37)가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된 클램핑판(31);상기 회동밀개(99)의 상부 절단면과 직사각 형태의 클램핑판(31)의 저부 절단면을 결합 또는 용접하여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또한, 회동밀개(99)에 설치된 트윈관(81)과 클램핑판(31)에 설치된 트윈관(81)을 힌지(44)를 통해서 결합되어 힌지(44)결합된 클램핑판(31)은 클램핑바(37)에 의해서 작동될때 힌지(44)를 중심으로 좁혀졌다 벌어졌다 하여 클램핑 작동하고,힌지(44)에는 비틀림스프링(45)이 삽입되어 클램핑판(31)은 항상 아구를 보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한다. 또한,회동밀개(99)에 형성된 힌지공(31A)에 힌지(38)로 회전판(20)에 결합되어 힌지(38)를 중심축으로 회동클램프(30)가 상하회동한다.

    다음의 제2실시예인 5개의 회동클램프(30)는,일측에 힌지공(31B)이 형성되고 위쪽으로 한쌍의 관형태의 트윈관(81)이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연동포인트(43A)가 구비된 연동바(43)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스프링공(31A)이 형성된 회동밀개(99);각각 직사각 형태의 판 아래쪽에 각각의 관형태의 트윈관(81)이 설치된 클램핑판(31)각각의 끝단에 회동기어(83)가 고정된 샤프트(82);상기 회동밀개(99)에 설치된 각각의 트윈관(81)과, 상기 각각의 클램핑판(31)에 설치된 트윈관(81)에 각각의 샤프트(82)로 끼워 체결하여 회동밀개(99)의 각각의 트윈관(81)에 삽입된 샤프트(82)는 회동되도록 하고 각각의 클램핑판(31)에 설치된 각각의 트윈관(81)에 끼워진 샤프트(82)는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클램핑판(31)이 클램핑바(37)에 의해서 작동될때 타측의 클램핑판(31)도 한쌍의 서로치합된 회동기어(83)에 의하여 동일한 각도로 간격을 벌리고 좁히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82)에는 비틀림스프링(45)가 삽입되어 클램핑판(31)은 항상 아구를 무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한다.또한 회동밀개(99)에 형성된 힌지공(31B)에 힌지(38)로 회전판(20)에 고정하면 회동밀개(99)가 회동하게 되므로 회동클램프(30)가 힌지(38)를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판(31)은 비틀림스프링(45)이 설치되어 항상 아구를 무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클램핑판(31)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회동클램프(30)가 모두 항상 아구를 물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요한 경우인 제1단계와 4단계에서만 그 아구를 풀어주면 족하다. 이는 캠을 이용한 클램핑부의 작동을 통해서 아구를 풀어주게 되는데, 이 외의 단계에서는 이 비틀림스프링(45)의 탄성력을 통해서 항상 회동클램프(30)의 아구는 닫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클램핑판(31)의 내측에는 스폰지나 러버 재질의 쿠션패드층(71)을 깔아 클램핑시 고구마 묘순(2)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전자인 제1실시예의 회동클램프(30)나 후자인 제2실시예의 회동클램프(30)의 클램핑판(31)내측에 모두 스폰지나 러버 재질의 쿠션패드층(71)을 깔아 묘순(2)을 보호한다. 회동클램프(30)의 그 클램핑판(31)이 연동하여 그 간격을 좁히는 과정에서 상기 묘순(2)을 가압하여 홰손시킬 우려를 제거한 것이다. 부드러운 스폰지나 러버 재질의 쿠션패드층(71)을 형성하여 고구마 묘순(2)을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동클램프(30)의 끝단의 스프링공(31A)에 탄성스프링(32)을 고정하되, 회전판(20)의 일측과 끝단의 스프링공(31A)와 결합시키고,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이 항상 회동클램프(30)를 회전판(20)을 향해 밀착되도록 한다. 전술한 것처럼 1단계와 4단계에서만 지면과 수평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묘순(2)을 받을 때와 지면에 심을 때에만 수평의 상태를 유지함이 작업에 유리하다.

    2, 3, 5단계에서는 회전판(20)에 접혀 회전하는 것이 안전한 까닭에 본 발명에서는 1, 4단계에서는 상기 회동클램프(30)를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작용을 회동부를 통해서 달성하고, 나머지 단계에서는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판(20)에 회동클램프(30)를 밀착시킨다. 이 힘은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용한다. 회동클램프(30)의 타단의 스프링공(31A)과 회전판(20)의 외곽부를 탄성스프링(32)으로 연결시켜 활용한다. 연결된 탄성스프링(32)은 그 탄성력을 통해서 회동클램프(30)를 당겨 특별한 힘이 작용되지 않는 한 회동클램프(30)를 회전판(20)에 밀착시킨다.

    그럼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클램핑부의 구성과 작동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회동클램프(30)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는, 회전판(20)에 근접하게 배토가이드(12)에 고정된 연결판(12A)에 고정되는 편심캠(40)이 있고, 편심캠(40)의 외곽부 설치하되, 중심부는 회동힌지(34)로 회전판(20)에 고정되고, 일측단에는 클램핑포인트(36) 타측단에는 면접포인트(35)가 형성되는 "ㄱ"자연동판(33)이 있으며, 상기 클램핑포인트(36)에서 연장되어 클램핑판(31)까지 연결되는 클램핑바(37)가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상기 면접포인트(35)가 편심캠(40)을 타고 회전하면서, 클램핑바(37)를 당기고 밀리어 회동클램프(30)의 클램핑판(31)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즉,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클램핑부는 도 4 내지 6에서처럼, 회전판(20)의 일측에 근접하게 연결판(12A)에 편심캠(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편심캠(40)은 회동축(13)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모터를 통해서 회전판(20)이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ㄱ"자연동판(33)이 연동을 하게 되는데, 그 작동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ㄱ"자연동판(33)의 중심이 되는 회동힌지(34)는 회전판(20)에 고정되어 회전판(20)이 회전함에 따라 "ㄱ"자연동판(33)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ㄱ"자연동판(33)의 일측단인 면접포인트는 편심캠(40)의 외주면에 면접한 상태이기에 편심캠(40)의 편심 크기에 따라 밀리고 당겨진다. 이때 "ㄱ"자연동판(33)의 중심은 회동힌지(34)이기에 타측단도 같이 연동하게 된다. 타측단인 클램핑포인트(36)는 클램핑바(37)와 회동하게 연결되고 클램핑바(37)에는 상기 클램핑판(31)이 회동되게 체결되어 있다. 결국 편심캠(40)의 편심량만큼 클램핑판(31)을 당기고 미는 것이다. 당길 때는 회동클램프(30)는 그 아구를 풀어 활짝열린 상태가 되고, 밀 때는 아무런 작동이 없을 때에는 비틀림스프링(45)의 작용에 의해서 아구를 물어주게 된다.

    1단계와 4단계에서는 아구를 풀 것이고, 2, 3, 5단계에서는 아구를 물어 주게 된다. 1단계에서는 회동클램프(30)는 그 클램프판(31)을 활짝 열고 묘순(2)을 받게 되고, 4단계에서도 회동클램프(30)의 클램프판(31)을 활짝열고 묘순(2)을 배토부에 심게 된다. 2, 3단계에서는 회동클램프(30)의 클램핑 작용을 유지하여 묘순(2)을 위치된 상태로 이동시키며, 5단계에서는 회동클램프(30)의 클램핑 작용을 유지하여 묘순(2)을 받기 위해서 상부로 상승한다. 이러한 모든 작용이 일련의 과정 속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실시된 또 하나의 요부인 회전판(20)에 힌지(38)로 회동되게 고정된 회동클램프(30)를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부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처럼, 회전판(2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3)에 끼워져 배토가이드판(12)에 고정 연장된 연결판(12B)에 고정되는 회동캠(42)이 있고, 회동클램프(30)의 회동밀개(99)에 형성된 연동바(43)의 끝단에 연동포인트(43A)가 회동캠(42)의 외곽부에 면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상기 연동포인트(43A)가 회동캠(43)의 외곽부를 타고 회전하면서, 연동바(43)를 당기고 밀어 회동클램프(30)를 상하 회동시키는 것이다.

    이 회동부의 경우도 회동클램프(30)를 수평된 상태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회동캠(42)이 회동클램프(30)의 아구를 풀어 활짝 벌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인 1단계와 4단계에서 연동바(43)의 연동포인트(43A)를 통해 회동클램프(30)의 타측을 밀어 회동힌지(38)를 축으로 회동하여 지면과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회전판(20)이 회전하면서 회동클램프(30)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판(20)으로 내려온 연동바(43)의 끝단인 연동포인트(43A)가 연동을 한다. 연동포인트는 회동캠(42)의 외곽부와 면접하고 있기에 연동포인트(43A)의 연동이 연동바(43)를 연동시키고 이 작용에 따라서 회동클램프(30)가 상승하고 하강한다. 상승할 때에는 1단계와 4단계로 지면과 수평의 상태를 유지한다. 1단계에서는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여 묘순(2)을 넘겨받기 유리한 형태로 위치한다. 4단계에서는 묘순(2)을 정확하게 배토부에 심을 수 있도록 위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회동클램프(30)의 내측에 사람이 직접 묘순(2)을 넣어 투입시킬 수도 있지만, 자동으로 묘순(2)을 공급할 수 있다. 묘순(2)은 밭으로 들고나갈 때, 엉켜진 상태이어서, 회동클램프(30)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하나하나 사람의 손으로 풀어서 공급해야 한다. 이때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묘순공급부(6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순공급부(60)는, 도시된 도 7과 8에서처럼, 회전판(20)의 상부로는 성형가이더(10)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올라선 묘순이송밸트(61)가 있고, 묘순이송밸트(61)의 상부 끝단의 묘순이 떨어지는 위치에, 하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설치되는 가이드패널(65)이 있다. 따라서 묘순이송밸트(61)가 묘순(2)을 이송시켜 가이드패널(65)로 떨어트리면, 가이드패널(65)은 묘순(2)을 테이퍼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하단에서 회전하여 올라온 회동클램프(30)에 정확하게 투입한다.

    성형가이더(10)의 상부에 묘순이송밸트(61)가 수평 상태로 장착된다. 작업자가 앉은 좌석(1)에서 손을 뻗으면 되는 위치에 수평으로 장착한다. 상기 묘순이송밸트(61)는 모터를 통해서 일정한 속도로 연동을 한다. 수평으로 이송된 묘순이 묘순이송밸트(61)의 끝단에서 떨어지게 되는데, 떨어진 묘순(2)은 가이드패널(65) 위로 떨어져 슬라이딩된다. 가이드패널(65)도 테이퍼진 상태로 결합되어 중력을 타고 떨어지는 묘순(2)을 인도하여 회동클램프(30)의 상부로 떨어트린다.

    바로 1단계에 위치하는 회동클램프(30)의 상단으로 묘순(2)을 떨어트리는 것이다. 모든 구성요소들이 바로 이 회동클램프(30)가 1단계에 위치할 순간에 묘순(2)을 떨어트리도록 위치 결합시킨다.

    이 묘순공급부(60)의 기능적인 효과의 상승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묘순이송밸트(61)는, 외부면에 회동클램프(30)에 대응되게 5개의 간격으로 구분된 밸트의 회전을 위한 타이밍롤(63)을 형성하고, 밸트의 양단에는 타이밍롤(63)의 타이밍돌기(64)에 대응하는 타이밍공(62)을 형성하여 보다 정확하게 묘순(2)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동클램프(30)는 5개가 회전판(20)에 결합된 상태이다. 회동클램프(30)는 5개가 회전하면서 1단계에서 항상 묘순(2)을 전달받아야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묘순가이브밸트(61)는 이 1단계에 위치하는 모든 회동클램프(30)에 묘순(2)을 공급해야 하기에 5개의 거리로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형태로 10개가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단지 작업자가 손쉽게 5개의 위치로 구획된 묘순이송밸트(61)의 상단에 5개의 묘순(2)을 항상 일률적으로 올려놓으면 상기 묘순이송밸트(61)가 연동하면서 묘순(2)을 이동시키고, 이 묘순(2)을 회동하여 올라오는 회동클램프(30)에 떨어트린다. 연동가이드밸트(61)의 연동속도와 회전판(20)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으로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더욱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밸트를 연동시키는 롤로서 타이밍롤(63)을 사용하고, 이 타이밍롤(63)에서 돌출된 타이밍돌기(64)를 묘순이송밸트(61)의 타이밍공(62)에 끼워 넣는다. 서로 동일한 거리로 떨어진 상태이기에 회전하면서 속도가 변하지 않고 회전판(20)의 속도와 묘순이송밸트(61)의 이송 속도가 일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성형가이더(10)에 형성된 회전판(20)의 끝단 회동클램프(30)가 회전하여 지면으로 하향하는 방향에서 서로 만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가이더(10)에 상하로 세운 브러쉬(BH)를 좌우측에 설치하여, 하향하는 묘순(2)의 머리를 이동되면서도 들어줄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11에서처럼, 본 발명의 묘순(2)은 1단계에서 묘순(2)을 넘겨받고, 회전하여 2단계로 올 때 회동클램프(30)의 아구를 물어 묘순(2)을 잡은 상태로 회전한다. 2단계 이후에는 묘순(2)이 직립하는 위치에 있기에 무거운 머리가 쳐질 소지가 있다. 배토부에 묻게 될 묘순(2)은 머리가 항상 지면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머리가 처지게 되면 배토부 내측으로 묻혀 생존이 어려울 소지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2단계에서 3단계로 내려가는 과정에서 머리부를 세울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브러쉬(BH)를 결합시킨 것이다. 회동하여 묘순(2)이 이동될 때에 머리를 살짜기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묘순심기를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묘순이 심어지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통해서 마감을 한다. 즉, 회전판(20)이 설치된 성형가이더(10)의 후방에는, 스크류(52), 가이드판(51) 및 다짐롤(53)을 더 설치한다. 이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출원에도 실시된 바 있다.

    성형가이더(10)의 후방에 스크류(52), 가이드판(51) 및 다짐롤(53)을 설치하고, 묘순심기의 마무리 작업을 하는 것이다. 성형가이더(10)에 의해서 배토부가 성형되고, 회전판(20)과 회동클램프(30)를 통해서 묘순(2)이 배토부에 떨어지고 나서는, 스크류(52)에 의해서 주변의 흑이 배토부로 몰리게 되고 묘순(2)의 머리를 가이드판(51)이 일측으로 지그시 가압하여 젖혀주게 된다. 가이드판(51) 대신에 회전하는 회전판을 형성하여 일측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누를 수도 있다. 일측으로 젖혀진 묘순(2)의 머리와 흙을 도시된 다짐롤(53)이 다짐작용을 하여 고구마 묘순심기 작업을 완성한다.

    2; 고구마 묘순 10; 성형가이더
    20; 회전판 11; 배토성형부
    12; 가이드패널부 30; 회동클램프
    31; 클램핑판 32; 탄성스프링
    34; 회동힌지 35; 면접포인트
    36; 클램핑포인트 37; 클램핑바
    40; 편심캠 43; 연동바
    43A;연동포인트 44; 힌지
    51; 가이드판 52; 스크류
    53; 다짐롤 60; 묘순공급부
    61; 묘순이송밸트 62; 타이밍공
    63; 타이밍롤 64; 타이밍돌기
    65; 가이드패널 99; 회동밀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