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申请号 KR1020150073956 申请日 2015-05-27 公开(公告)号 KR1020160139316A 公开(公告)日 2016-12-07
申请人 김진성; 이선영; 发明人 김진성; 이선영;
摘要 본발명은내부용기로공급되는펠릿연료를신속하게점화시켜발화될수 있도록한 펠릿연료를이용한점화장치에관한것으로서, 펠릿연료가떨어지면서수용되는내부용기가구비되고내부용기외측에상부가일체로설치되는외부용기가구비된용기부와, 상기용기부의하부에설치되어전기에너지에의해발열되면서펠릿연료를점화시킬수 있도록하는히터바와, 상기내부용기의내부바닥에히터바를덮으면서설치되는덮개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있어서,
    펠릿연료가 떨어지면서 수용되는 내부용기가 구비되고 내부용기 외측에 상부가 일체로 설치되는 외부용기가 구비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명되면서 펠릿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히터바; 및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히터바를 덮으면서 설치되는 덮개;
    를 포함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 바닥면에는 히터바가 끼워지면서 열원이 펠릿연료로 공급되는 열공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 상부에는 덮개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덮개가 수평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열공급부의 양쪽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일측면에는 히터바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히터바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면은 히터바의 열원에 의해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불꽃이 넓게 펴져서 발산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바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용기에 수용되는 펠릿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용기의 열공급부 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바는 내부용기의 양쪽으로 열원이 골고루 전달되며 열공급 효율을높일 수 있도록 막대기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내부용기의 받침대 외측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내면에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받침대 외측에 장착되되 내부용기의 바닥면과 덮개의 하부면이 떨어져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 说明书全文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IGNITION DEVICE USING PELLET FUEL}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용기로 공급되는 펠릿연료를 신속하게 점화시켜 발화될 수 있도록 한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및 어류를 포함한 육류 등과 같은 음식재료를 굽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스, 연탄 또는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주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연소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석연료를 사용한 연소시스템은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문제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어 최근에는 화석연료 대신에 자연 친화적인 연료원을 사용한 연소시스템으로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펠릿연료 버닝장치(pellet fuel burning device)에 관한 "미국등록특허 US6,223,737호에서는 모터(78) 및 기어(79)에 의해 회전하는 오거장치(70)에 호퍼(68)를 통해 옥수수 낱알(1)이 투입되면, 오거장치(70)가 파이어 박스(30) 내에 장치된 펠릿버너장치(50)로 옥수수 낱알(1)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압력박스(82)를 통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펠릿버너장치(5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옥수수 낱알(1)을 발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펠릿연료 버너장치는 톱밥, 종이 및 목재조각 등을 파이어 박스(30)의 하부에 쌓은 뒤 거기에 사용자가 불을 붙이는 등 수작업에 의해 옥수수 낱알(1)의 초기발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서 당해 초기발화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펠릿버너장치(50)가 커짐에 따라 공급된 펠릿연료가 한곳에만 쌓이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열 전달시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열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2585호(2010.05.20.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펠릿연료가 수용되는 내부용기의 하부에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바와 내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히터바를 감싸면서 덮개가 설치되되 내부용기의 바닥면과 덮개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히터바에 의해 펠릿연료가 점화되고 공간부에 의해 열원의 원활한 공급으로 단시간에 펠릿연료에 점화가 이루어져 조리시간의 단축 및 점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있어서, 펠릿연료가 떨어지면서 수용되는 내부용기가 구비되고 내부용기 외측에 상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면서 펠릿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히터바와,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히터바를 덮으면서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는, 내부 바닥면에 히터바가 끼워지면서 열원이 펠릿연료로 공급되는 열공급부가 형성되며, 바닥면 상부에 덮개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덮개가 수평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열공급부의 양쪽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의 후면에는 히터바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히터바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면은 히터바의 열원에 의해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불꽃이 넓게 펴져서 발산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바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용기에 수용되는 펠릿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용기의 열공급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바는 내부용기의 양쪽으로 열원이 골고루 전달되며 열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막대기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는, 내부용기의 받침대 외측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내면에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받침대 외측에 장착되되 내부용기의 바닥면과 덮개의 하부면이 떨어져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따르면, 펠릿연료가 수용되는 내부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히터바가 노출되는 열공급부가 형성되고, 히터바를 덮으면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덮개가 설치되어 내부용기로 수용된 펠릿연료를 점화시키게 됨으로써 펠릿연료의 점화를 단시간에 이룰 수 있으며 열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의 열공급부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800)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은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연소챔버(200)와, 상기 연소챔버(200) 내에 설치되며 옥수수 낱알과 같은 펠릿연료(pellet fuel,800)의 발화가 이루어지는 용기부(310)와, 상기 용기부(310)에 펠릿연료(800)를 공급하기 위한 펠릿공급부(400)와, 상기 용기부(310)에 공급된 펠릿연료(800)의 발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송풍부(500)와, 상기 공기송풍부(5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펠릿연료(800)가 발화하기에 적합한 상태에서 불씨를 제공함에 따라 초기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점화장치(300)와, 상기 연소챔버(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을 전달받아 육류 등 음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구이부(600) 및 열 전달에 의한 조리시 � ��류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을 수집함은 물론 연료원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름수거통(700)을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800)를 이용한 점화장치(300)는, 용기부(310)와, 히터바(320)와, 덮개(33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310)는, 공기송풍부(500)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외부용기(311)와, 상기 외부용기(31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펠릿공급부(400)로부터 펠릿연료(800)가 공급되어 점화되는 내부용기(312)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용기부(310)는 내측 즉 외부용기(311)와 내부용기(312) 사이에 공기순환공간(311a)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외부용기(311)의 측면에는 공기송풍부(500)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 및 하우징(100)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순환공간(311a)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구(311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송풍구(311b)는 공기송풍부(500)에 의한 외부공기가 공기순환공간(311a) 내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송풍부(500)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311)의 후면에는 히터바(320)가 공기순환공간(311a)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히터바삽입부(311c)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312)는 외부용기(311) 내측에 설치되되 상단부가 외부용기(311)의 상부와 일체로 설치되며, 외주면과 하단면에 공기송풍부(500)에 의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펠릿연료(800)의 원활한 점화를 위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통공(312a)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연소챔버(200)에 용기부(310)가 설치되되 공기송풍부(500)에 송풍구(311b)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공기송풍부(500)의 작동으로 외부공기가 송풍구(311b)를 통해 공기순환공간(311a)으로 유입되고 통공(312a)을 통해 순환되어 내부용기(312)로 수용되는 펠릿연료(800)의 점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312)의 내부 바닥면에는 펠릿연료(800)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용기(312) 내로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부(312b)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312)의 바닥면 상부 즉 열공급부(312b)의 상부에 받침대(313)가 설치되되 열공급부(312b)의 양쪽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312)의 내부면은 열원에 의한 펠릿연료(800)가 발화되면서 펠릿연료(800)의 불꽃이 넓게 펴져 육류 등의 음식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상광하협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내부용기(312)의 하부에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면서 펠릿연료(800)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히터바(32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히터바(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용기(312)에 수용되는 펠릿연료(800)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히터바삽입부(311c)를 통해 내부용기(312)의 열공급부(312b)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히터바(320)는 열원이 내부용기(312)의 양쪽으로 골고루 전달되고 열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막대기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히터바(320)를 막대기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히터바(320)의 높은 열원이 내부용기(312)의 양쪽으로 공급되는 펠릿연료(800)에 빠르게 전달되어 펠릿연료(800)를 최단시간에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내부용기(312)의 내부 바닥에는 히터바(320)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33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덮개(330)는 열공급부(312b)의 상부에 설치되되 받침대(313)에 안착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330)의 내면에는 받침대(313)에 덮개(330)가 안착되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안착부(331)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30)는 양쪽면이 내부용기(312)의 바닥면에 복수로 설치된 받침대(313)에 설치되어 내부용기(312) 바닥면에 덮개(33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330)는 받침대(313)에 설치되되 내부용기(312)의 바닥면과 덮개(330)의 하부면이 떨어지게 설치되어 공간부(3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대(313)의 높이 보다 덮개(330)의 높이가 짧게 형성되어 내부용기(312)와 덮개(330) 사이에 공간부(33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332)는 덮개(330)의 양쪽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하우징(100)의 연소챔버(200) 내에 점화장치(300)를 설치하여 펠릿공급부(400)를 통해 용기부(310)의 내부용기(312)로 공급되는 펠릿연료(800)가 점화장치(300)에 의해 점화되면서 발화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펠릿공급부(400)에 수용된 펠릿연료(800)가 내부용기(312) 내로 공급되며, 상기 히터바(320)가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면서 내부용기(312)에 수용된 펠릿연료(800)에 열이 전달되어 펠릿연료(800)가 점화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바(320)의 발열에 따라 펠릿연료(800)가 점화되어질 때 상기 공기송풍부(500)에서 발생된 바람이 송풍구(311b)를 통해 공기순환공간(311a)으로 공급되며 덮개(330)에 전달되는 열원에 의해 펠릿연료(800)의 점화가 최단시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313)에 덮개(330)가 설치될 때 상기 내부용기(312)와 덮개(330) 사이에 공간부(332)가 형성되면서 열공급부(312b)와 공간부(332)가 연통되어져 히터바(320)에서 발생된 열원이 펠릿연료(800)로 원활하게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펠릿공급부(400)에서 펠릿연료(800)가 내부용기(312)로 떨어질 때 상기 덮개(330)에 의해 펠릿연료(800)가 내부용기(312)의 열공급부(312b)를 통해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내부용기(312)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내부용기(312)의 바닥면에 열공급부(312b)가 형성되면서 열공급부(312b)로 막대기 형태의 히터바(320)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312)의 받침대(313)에 덮개(330)가 설치되면서 히터바(320)와 열공급부(312b)를 덮을 때 덮개(330)와 내부용기(312) 바닥면 사이에 공간부(332)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히터바(320)에 의한 열원과 덮개(330) 및 공간부(332)에 의해 내부용기(312)로 수용되는 펠릿연료(800)가 단시간에 점화되고 발화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하우징 200 : 연소챔버
    300 : 점화장치 310 : 용기부
    311 : 외부용기 311a : 공기순환공간
    311b : 송풍구 311c : 히터바삽입부
    312 : 내부용기 312a : 통공
    312b : 열공급부 313 : 받침대
    320 : 히터바 330 : 덮개
    331 : 안착부 332 : 공간부
    400 : 펠릿공급부 500 : 공기통풍부
    600 : 구이부 700 : 기름수거통
    800 : 펠릿연료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