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申请号 KR1020137024476 申请日 2012-02-07 公开(公告)号 KR1020130124387A 公开(公告)日 2013-11-13
申请人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나카무라요시히로; 마에다슌스케; 와타나베다다시; 마츠이마사요시;
摘要 Disclosed is the structure of a glow plug with a combustion pressure sensor which includes a heater unit which is reduced in diameter stepwise. In the structure, the area of a member connecting the heater unit to a housing is made sufficiently large, so that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pressure sensor is improved. The structure can further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pressure sensor. The glow plug 100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housing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a rod-shaped heater unit that has a front end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 connecting member that connects the heater unit to the housing within the housing and allows the heater unit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pressure received by the heater unit. The heater unit has a large-diameter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and a small-diameter portion formed frontward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s the small-diameter portion of the heater unit to the housing within the housing.
权利要求
  •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후단부가 배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봉 형상의 히터부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히터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히터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히터부의 이동량에 따라서 연소압의 검출을 실시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히터부는, 후단측에 태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태경부보다도 선단측에 상기 태경부보다도 직경이 작은 세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히터부의 상기 세경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히터부보다도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태경부와 상기 압력센서에 고정되어 상기 태경부에서 상기 압력센서로 상기 히터부의 이동량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세경부 중, 상기 태경부 근처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히터부를 발열시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봉 형상의 중심축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태경부 내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상기 중심축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하우징보다도 선단측의 상기 세경부에 발열의 주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의 직경이 9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 说明书全文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GLOW PLUG WITH COMBUSTION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글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 압력센서 장착의 글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젤엔진 등의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글로 플러그로서, 내연기관 내의 연소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글로 플러그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글로 플러그는, 대부분의 경우, 하우징과,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히터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선단측이 가는 직경{이하, 「세경(細徑)」이라고도 한다}으로 형성되고, 후단측이 굵은 직경{이하, 「태경(太徑)」이라고도 한다}으로 형성된 다단(多段)의 히터부{핑거(finger)}를 구비하는 글로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글로 플러그의 히터부는, 히터부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막 형상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하우징(보디)에 연결되어 있다. 글로 플러그 내에 배치된 센서는 상기 히터부의 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연소 압력을 검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글로 플러그는, 히터부의 태경부의 위치에 연결부재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의 면적이 제한되어 있다. 그로 인해, 히터부의 축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연소 압력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표2008-536085호 공보

    상기의 문제를 고려해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다단의 직경을 가지는 히터부를 구비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에 있어서, 히터부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부재의 면적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 압력센서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압력센서의 검지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글로 플러그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 중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후단부가 배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봉 형상의 히터부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히터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히터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히터부의 이동량에 따라서 연소압의 검출을 실시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히터부는, 후단측에 태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태경부보다도 선단측에 상기 태경부보다도 직경이 작은 세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히터부의 상기 세경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적용예 2]

    적용예 1에 기재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히터부보다도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태경부와 상기 압력센서에 고정되어 상기 태경부에서 상기 압력센서로 상기 히터부의 이동량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세경부 중, 상기 태경부 근처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적용예 3]

    적용예 1 또는 적용예 2에 기재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히터부를 발열시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봉 형상의 중심축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태경부 내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상기 중심축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적용예 4]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하우징보다도 선단측의 상기 세경부에 발열의 주부(主部)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적용예 5]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의 직경이 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본 발명은 상기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의 구성 외에,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의 제조 방법이나,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를 구비하는 내연기관 등으로서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과 같은 구성이라면, 하우징과 히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가 히터부의 세경부에 접속된다. 그로 인해, 축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히터부의 세경부와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의 거리를, 히터부의 태경부와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넓게 할 수 있어 연결부재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부의 축선 방향을 따른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센서의 S/N비가 향상되어 압력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연결부재의 면적이 넓어지면, 연결부재의 스프링 정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연결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태경부를 하우징 내에 구비하면서도 하우징 내에서 연결부재가 접속되는 부위는 세경부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결부재에 의해서 허용된 히터부의 변위를 압력센서에 전달할 때에, 강성이 높은 태경부에 하중이 걸리게 되어 편하중(偏荷重)이 발생되기 어렵게 된다. 그로 인해, 히터부의 변위를 적확하게 압력센서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어 연소압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적용예 2와 같은 구성이라면, 연결부재가 히터부의 세경부의 태경부 근처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히터부의 변위가 히터부의 태경부와 전달 부재에 효율 좋게 전달되게 된다. 이 결과, 압력센서의 응답성이나 압력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적용예 3과 같은 구성이라면, 히터부의 태경부는 자신의 내부에 히터부를 발열시키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봉 형상의 중심축을 수용하게 된다. 중심축은 전력을 공급하므로 금속제이며 또한 봉 형상인 것으로부터 높은 강성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상기의 적용예 1의 태경부에 있어서의 강성의 향상을 더욱 한층 높일 수 있고, 게다가 압력센서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적용예 4와 같은 구성이라면, 하우징보다도 선단측의 세경부가 주로 발열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연소실을 가열할 수 있다.

    적용예 5와 같이, 나사부의 직경이 9㎜ 이하가 되는 작은 직경의 글로 플러그라면, 연결부재의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각 적용예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글로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연결부재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글로 플러그(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의 (a)는 글로 플러그(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도 1의 (b)는 부분적인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는 후술하는 연결부재(180)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2에 있어서의 글로 플러그(100)의 축선(O)의 하측을 글로 플러그(100)의 선단측으로 하고, 상측을 후단측으로서 설명한다. 또, 글로 플러그(100)의 축선(O)을 따른 하향 방향을 축선 방향(OD)으로 한다. 도 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로 플러그(100)는 금속 쉘(110)과 캡 부재(120)를 가지는 하우징(130)과, 히터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쉘(110)은 탄소강이나 스테인리스강에 의해서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금속 부재이다. 금속 쉘(110)의 후단부에는, 글로 플러그(100)를 내연기관에 장착하기 위한 공구가 걸어 맞추는 공구 걸어맞춤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공구 걸어맞춤부(112)보다도 선단측에는 글로 플러그(100)를 실린더 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홈(도시생략)이 형성된 나사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부(114)의 직경(SD)은 호칭 직경으로 M9(직경 9㎜)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M8 또는 M9이다. 공구 걸어맞춤부(112)에 공구를 걸어 맞추고, 나사부(114)를 내연기관의 플러그장착구멍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글로 플러그(100)를 내연기관에 고정할 수 있다. 공구 걸어맞춤부(112)의 후단부에는 하우징(130) 내의 집적회로{(166)(후술)}나 중심축{(170)(후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116)이 삽입되어 있다.

    금속 쉘(110)의 선단측에는 캡 부재(120)가 배치되어 있다. 캡 부재(120)는 탄소강이나 스테인리스강에 의해서 형성된 환 형상의 금속 부재이다. 캡 부재(120)의 후단측에는 외경이 축선(O)을 따라서 거의 일정한 원통부(122)가 형성되고, 선단측에는 선단으로 향해서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글로 플러그(100)를 내연기관에 장착했을 때에는, 테이퍼부(124)의 테이퍼면이 내연기관의 플러그장착구멍의 소정의 시트면에 밀접해서 연소실 내로부터의 기밀이 확보된다.

    히터부(150)는 시스관{(sheath tube)(152)}과 발열 코일(154)과 절연 분말(155)을 구비하고 있다. 시스관(152)은 내열ㆍ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폐색하고, 후단이 금속 쉘(110)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발열 코일(154)은 권선형 저항이며, 시스관(152)의 선단측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부(150)에는 금속제의 봉 형상 부재인 중심축(170)이 삽입되고, 발열 코일(154)의 후단은 상기 중심축(170)의 선단에 고정된다. 발열 코일(154)에는 배선(116) 및 중심축(170)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시스관(152) 내에는, 발열 코일(154)과의 틈새에 내열성을 가지는 산화 마그네슘 등의 절연 분말(155)이 충전되어 있다. 시스관(152)의 개구된 후단과 중심축(170)의 사이에는 절연 분말(155)을 시스관(152) 내에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156)가 삽입되어 있다. 시스관(152)에는 스웨징(swaging) 가공이 시행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절연 분말(155)의 치밀성이 높아져서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히터부(150)는 후단측이 금속 쉘(110) 내에 배치되고, 선단측이 캡 부재(120)의 개구부(126)에서 축선 방향(OD)으로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스관(152)으로의 스웨징 가공에 의해서 히터부(150)에는, 태경부(157)와 단차부(158)와 세경부(159)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태경부(157)는 히터부(150)의 후단측에 형성되고, 그 직경(D1)은 예를 들면, 4.0㎜ 정도이다. 세경부(159)는 히터부(150)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그 직경(D2)은 예를 들면, 3.5㎜ 정도이다. 단차부(158)는 태경부(157)와 세경부(159)의 사이에 배치되고, 선단으로 향해서 테이퍼 형상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하우징(130)의 선단에서부터는, 이들 태경부(157), 단차부(158), 세경부(159) 중, 세경부(159)가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경부(157)와 단차부(158)는, 하우징 (130) 내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경부(157) 내에는 축선 방향(OD)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중심축(170)이 배치되어 있고, 중심축(170)의 선단은 하우징(130)보다도 선단측의 세경부(159) 내에 위치하고 있다. 중심축(170)의 선단에는 발열 코일(154)이 접속되고, 상기 발열 코일(154)은 시스관(152)의 선단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히터부(150)는 하우징(130)보다도 선단측에서 주로 발열하게 된다. 또한, 중심축(170)의 선단을 태경부(157) 내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30) 내에는 히터부(150)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환 형상의 압력센서{(160)(도 1 참조)}와, 압력센서(160)를 하우징(130) 내에 고정하기 위한 센서고정부재(132)와,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를 압력센서(16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슬리브(134)와, 히터부(150)의 외주를 하우징(130)의 내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고정부재(132)는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센서고정부재(132)는 금속 쉘(110)의 내주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차양 형상의 플랜지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33)는 금속 쉘(110)의 선단면에 용접되어 있다. 또, 센서고정부재(132)의 후단에는 압력센서(160)의 외주부가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센서고정부재(132)에 의해서 압력센서(160)가 하우징(130) 내의 중앙부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전달 슬리브(134)는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전달 슬리브(134)는 센서고정부재(132)와 히터부(1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달 슬리브(134)의 선단부는 히터부(150)의 태경부(157)의 선단부에 용접되어 있고, 전달 슬리브(134)의 후단은 환 형상의 압력센서(160)의 내주부에 용접되어 있다.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는 상기 전달 슬리브(134)에 의해서 압력센서(160)의 내주부에 전달된다.

    연결부재(180)는 스테인리스강이나 니켈 합금 등에 의해서 형성된 탄성을 가지는 환 형상의 부재이다. 연결부재(180)는 후단측에 형성된 차양 형상의 플랜지부(182)와, 선단측에 형성된 박막 형상의 평면부(183)와, 플랜지부(182)와 평면부(183)를 접속하는 원통부(184)를 가진다. 플랜지부(182)는 그 상면(후단측의 면)이 센서고정부재(132)의 플랜지부(133)에 용접되고, 그 하면(선단측의 면)이 캡 부재(120)의 후단면에 용접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부(183)는 그 내주 부분에 선단측으로 향해서 되접어 꺾여진 되접어꺾음부(185)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재(180)는 상기 되접어꺾음부(185)에 있어서, 히터부(150)의 세경부(159)의 후단 근방에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터부(150)의 세경부(159)의 후단(환언하면, 단차부(158)의 선단)의 축선(O) 상의 위치는, 연결부재[(180){플랜지부(182), 원통부(184), 평면부(183) 및 되접어꺾음부(185)}]가 축선(O) 상에 차지하는 범위(R) 안에 위치하고 있다. 히터부(150)는 상기 연결부재(180)에 의해서 하우징(130)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해서 축선(O)을 따른 변위가 허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80)는 히터부(150)와 하우징(130)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연소실로부터 금속 쉘(110) 내로의 기밀을 확보하는 역할도 완수한다.

    압력센서{(160)(도 1 참조)}는 중심축(170)이 통과하는 개구부(161)가 중앙에 설치된 환 형상의 금속 다이어프램(162)과, 금속 다이어프램(162)의 상면(후단측의 면)에 접합된 피에조 저항소자(164)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다이어프램(162)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피에조 저항소자(164)에는 하우징(130) 내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집적회로(16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 다이어프램(162)의 내주에는 히터부(150)에 접속된 전달 슬리브(134)의 후단이 접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소압의 수압(受壓)에 의해서 히터부(150)가 축선(O)을 따라서 변위하면, 전달 슬리브(134)에 의해서 그 변위량이 금속 다이어프램(162)에 전달되어 금속 다이어프램(162)을 휘어지게 한다. 집적회로(166)는 상기 금속 다이어프램(162)의 변형을 피에조 저항소자(164)를 이용해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 내연기관의 연소압을 검출한다. 집적회로(166)는 이렇게 해서 검출된 연소압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금속 쉘(110)의 후단에 삽입된 배선(116)을 통해서 외부의 ECU 등에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30)과 히터부(15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80)는 하우징(130) 내에 있어서, 히터부(150)의 세경부(159)에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결부재(180)를 태경부(157)에 접속한 경우보다도 두께가 얇은 형상의 평면부(183)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나사부(114)의 호칭 직경이 M9 이하라고 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인 글로 플러그(100)라도,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압력센서(160)의 S/N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연소 압력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면부(183)의 면적이 커지면, 연결부재(180)의 스프링 정수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180)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터부(150)의 태경부(157)를 하우징(130) 내에 구비하면서도, 하우징 내에서 연결부재(180)가 접속되는 부위는 세경부(159)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결부재(180)에 의해서 허용된 히터부(150)의 변위를 압력센서(160)에 전달할 때에, 강성이 높은 태경부(157)에 하중이 걸리게 되어 편하중이 발생되기 어렵게 된다. 그로 인해, 히터부(150)의 변위를 적확하게 압력센서(16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연소압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재(180)가 히터부(150)의 세경부(159)의 후단 근방에 접합되어 있고, 전달 슬리브(134)의 선단이 세경부(159)의 후단에 가까운 태경부(157)의 선단 근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결부재(180)가 히터부(150)의 세경부(159)에 연결되어 있어도, 연결부재(180) 부근에 있어서의 히터부(150)의 변위가 세경부(159)보다도 태경으로 축선(O)을 따른 강성이 높은 전달 슬리브(134)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결과,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에 대한 압력센서(160)의 응답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전달 로스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경부(157) 내에는 축선 방향(OD)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중심축(170)이 배치되어 있다. 중심축(170)은 금속제 또한 봉 형상인 것으로부터 높은 강성을 가진다. 그로 인해, 이와 같은 중심축(170)을 수용하는 히터부(150)의 태경부(157)는 더욱 한층 그 강성이 향상되게 되어 압력센서의 검지 정밀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축(170)의 선단이 하우징(130)보다도 선단측의 세경부(159)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중심축(170)의 선단에는 발열 코일(154)이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히터부(150)는 하우징(130)보다도 선단측에서 주로 발열하게 된다. 디젤엔진 등의 내연기관의 연소에 의해 하우징(130)의 선단의 개구부(126)에는 캡 부재(120)와 히터부(150)의 사이에 그을음이 퇴적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그을음의 퇴적이 진행되는 것에 의해서 개구부(126)가 그을음에 의해 가교되면, 히터부(150)에 있어서의 발열이 내연기관의 연소실의 가열에 이용되는 일없이 당해 가교된 그을음을 경유해서 하우징(130), 나아가서는 실린더 헤드로 방열(열 누출)되는 비율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열의 주부가 하우징(130)보다도 선단측, 즉, 연소실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히터부(150)의 선단에서부터 후단에 걸쳐서 하우징의 선단부를 넘어서 발열의 주부가 구성된 다른 글로 플러그와 비교하여 실린더 헤드로 방열되는 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글로 플러그(100)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연소실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글로 플러그로서의 가열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나사부(114)의 호칭 직경을 M9 이하로 했지만, M10 이상의 호칭 직경이라도 좋다. 그 밖에,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히터부(150)는 시스관(152) 내에 발열 코일(154)을 매설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절연성 세라믹의 내부에 도전성 세라믹을 매설한 세라믹 히터로서 히터부(150)를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히터부(150)에는 태경부와 세경부의 2단계의 직경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3단계 이상의 직경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연결부재(180)가 접속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 보다도 가는 직경이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센서(160)는 환 형상의 금속 다이어프램(162)과 피에조 저항소자(164)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압력센서(16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소 압력센서 장착의 글로 플러그로 채용되고 있는 주지의 압력센서를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박막 형상의 평면부(183)를 가지는 연결부재(180)에 의해서 하우징(130)과 히터부(150)를 연결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대해서, 예를 들면, 벨로스(주름상자) 형상의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130)과 히터부(150)를 연결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히터부(150)와 압력센서(160)가 전달 슬리브(134)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으로 했지만, 히터부(150)의 후단부가 직접적으로 압력센서(160)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축(170)을 통해서 히터부(15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했지만, 중심축(170)을 생략하고, 배선(116)으로부터 히터부(150)에 직접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00 - 글로 플러그 110 - 금속 쉘
    112 - 공구 걸어맞춤부 114 - 나사부
    116 - 배선 120 - 캡 부재
    122 - 원통부 124 - 테이퍼부
    126 - 개구부 130 - 하우징
    132 - 센서고정부재 133 - 플랜지부
    134 - 전달 슬리브 150 - 히터부
    152 - 시스관 154 - 발열 코일
    155 - 절연 분말 156 - 밀봉 부재
    157 - 태경부 158 - 단차부
    159 - 세경부 160 - 압력센서
    161 - 개구부 162 - 금속 다이어프램
    164 - 피에조 저항소자 166 - 집적회로
    170 - 중심축 180 - 연결부재
    182 - 플랜지부 183 - 평면부
    184 - 원통부 185 - 되접어꺾음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