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

申请号 KR1020140060189 申请日 2014-05-20 公开(公告)号 KR101427074B1 公开(公告)日 2014-08-05
申请人 이석규; 发明人 이석규;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ing abutment cap for impression taking of novel configuration that is capable of impression taking even without separating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healing abutment cap for impression taking including a body (100) that has a cylindrical shape; an insertion groove (110) that is formed to be open downward in the body (100) so that a head portion of a healing abutment (20), which is fastened to a fixture (10) coupled with an alveolar bone of a patient, is inserted; an upper surface through-hole (120) that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 (110); a horizontal groove (130) that sinks inside to have a ring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and multiple separately-formed vertical grooves (140) that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and have lower end portion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groove (130).
权利要求
  • 임프란트 시술시 환자의 인상채득을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치조골에 결합된 픽스쳐(10)에 체결된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끼움홈(110);
    상기 바디(100)의 상면에서 상기 끼움홈(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면관통공(120);
    상기 바디(100) 외주면 상단부에서 바디(100)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을 갖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수평홈(130); 및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단부가 상기 수평홈(130)에 연결되도록 다수개 이격형성되는 수직홈(14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바디(100)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취약부(104)가 상하로 나란하도록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0)의 내측면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평면부(112)와,
    원호형상으로 되어 상기 평면부(112) 사이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원호부(114)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면부(112) 사이의 거리(a)는 상기 원호부(114)의 직경(b)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를 상기 끼움홈(110)에 끼우면,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상기 평면부(112)에 가압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의 하단부에는 평면부(112)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홈(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
  • 삭제
  • 说明书全文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Healing abutment cap for impression}

    본 발명은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힐링어버트먼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인상채득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치근을 대신할 픽스쳐를 매식하고,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픽스쳐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픽스쳐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잇몸을 봉합하고, 3~6개월 정도 후에 픽스쳐의 주위에 뼈가 융합되면, 잇몸을 절개하여 힐링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결합시켜서, 잇몸이 힐링어버트먼트 주위를 감싸면서 형성되어 치유되도록 한다.

    환자의 잇몸이 완전히 치유되면, 인공치아를 제작하기 위한 인상을 채득하는데, 인상을 채득하기 위해 픽스쳐에 결합된 힐링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픽스쳐에 임프레션 코핑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환자의 치열에 인상재를 도포하여 인상을 채득한다. 그리고 픽스쳐에 다시 힐링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킨다.

    환자에게 정확히 맞는 인공치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환경이 왜곡되지 않고 그대로 재현되도록 인상채득을 하여야 하므로 인상채득은 상당히 중요한 과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인상채득을 위해 픽스쳐에서 힐링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임프레션 코핑을 결합하여 인상을 채득한 다음, 픽스쳐에서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하고 다시 힐링어버트먼트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라 시술시간도 길어진다.

    뿐만 아니라 힐링어버트먼트와 임프레션 코핑을 체결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잇몸이나 치유가 진행 중인 뼈조직에 자극을 주어 치유를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며,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0974호(2007. 08. 1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힐링어버트먼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인상채득이 가능하므로 힐링어버트먼트를 분리하고 다시 체결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환자의 치유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인상을 채득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원통형상의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치조골에 결합된 픽스쳐(10)에 체결된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끼움홈(110); 상기 바디(100)의 상면에서 상기 끼움홈(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면관통공(120); 상기 바디(100) 외주면 상단부에서 바디(100)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을 갖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수평홈(130); 및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단부가 상기 수평홈(130)에 연결되도록 다수개 이격형성되는 수직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끼움홈(110)의 내측면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평면부(112)와, 원호형상으로 되어 상기 평면부(112) 사이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원호부(114)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면부(112) 사이의 거리(a)는 상기 원호부(114)의 직경(b)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00)의 하단부에는 평면부(112)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홈(10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바디(100)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취약부(104)가 상하로 나란하도록 다수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힐링어버트먼트를 분리하지 않고 인상채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픽스쳐에서 힐링어버트먼트를 분리하고 임프레션 코핑을 결합하여 인상채득을 한 후, 임프레션 코핑을 분리하고 다시 힐링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시술시간도 단축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 힐링어버트먼트의 반복적인 체결 및 분리과정에서 환자의 잇몸이나 뼈조직에 가해지는 자극이 없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환자의 치유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100)가 인상재에 매립된 상태로 인상재와 함께 환자의 치열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정확한 인상채득이 가능한데, 더욱이, 바디(100) 내부로 인상재가 유입됨과 더불어 바디(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평홈(130) 및 수직홈(140)에 의해 바디(100)와 인상재의 일체성이 우수하고, 수직홈(140)에 의해 바디(100)가 인상재에 대해 회동되는 것도 방지되기 때문에, 한층 더 정확한 인상채득이 가능하다.

    또, 힐링어버머트먼트(20)의 헤드부가 끼움홈(110)의 평면부(112)에 부분적으로 가압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특정 크기의 힐링어버트먼트에만 적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임의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힐링어버트먼트(20)에 범용성 있게 적용이 가능한 장점도 가진다.

    또, 바디(100)에 취약부(104)가 형성되어, 상기 취약부(104)를 이용하여 바디(1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A선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저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측단면도와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임프란트 시술시 환자의 인상채득을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바디(10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끼움홈(110)과, 바디(100)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관통공(120)과, 바디(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평홈(130) 및 수직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0)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디(100)는 다소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상기 끼움홈(110)은 바디(10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데, 이 끼움홈(110)은 바디(100)를 환자의 치조골에 결합된 픽스쳐(10)에 나사결합된 힐링어버트먼트(2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힐링어버트먼트(20)의 원형을 이루는 헤드부가 끼움홈(110)에 삽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110)의 내측면은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평면부(112)와, 원호형상으로 되어 상기 평면부(112)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호부(11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평면부(112) 사이의 거리(a)는 상기 원호부(114)의 직경(b)보다 좁게 형성된다.

    한편,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끼움홈(110)에 삽입되면,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상기 평면부(112)에 가압밀착되어 바디(100)가 힐링어버트먼트(20)에 고정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가 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평면부(112)에 가압되면 평면부(112)는 다소 변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평면부(112)가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에 가압되어 다소 변형되고, 더욱이,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끼움홈(110)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가압밀착되지 않고 상기 평면부(112)에 부분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임의의 범위 내에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힐링어버트먼트(2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특정한 크기의 힐링어버트먼트(20)에만 적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임의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힐링어버트먼트(20)에 범용성 있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10)의 하단부는 상기 평면부(112)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102)이 형성된다. 이 개방홈(102)은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쳐(10)의 방향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면관통공(120)은 바디(100)의 상면에서 상기 끼움홈(11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 상면관통공(1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상재와 바디(1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바디(100)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링형상을 갖는 수평홈(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100)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수평홈(130)과 연결되는 수직홈(140)이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수평홈(130)과 수직홈(140) 역시 인상재와 바디(1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인데, 수직홈(140)은 인상재가 수평홈(130)에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하면서 아울러, 바디(100)가 인상재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쳐(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가 상기 끼움홈(110)에 삽입되도록 바디(100)를 힐링어버트먼트(20)에 끼움결합한다.

    그리고 환자의 치열에 인상재를 도포하고 인상을 채득한다. 인상재는 상기 상면관통공(120)을 통해 바디(100) 내부로 유입되고, 또한, 수평홈(130)과 수직홈(140) 내부로 유입되는데, 수직홈(140)의 하단부가 수평홈(1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직홈(140)을 통해 인상재가 수평홈(130)으로 좀 더 원활하게 유입된다.

    인상재가 굳으면 인상재를 환자의 치열에서 분리하는데, 바디(100)는 인상재에 매립된 상태로 인상재와 함께 치열에서 분리된다. 상기 수평홈(130)과 수직홈(140)으로 인상재가 유입되고, 특히, 상면관통공(120)을 통해 바디(100) 내부로 유입되어 굳어지기 때문에, 바디(100)와 인상재가 상당히 견고히 결합되며, 상기 수직홈(140)에 의해 바디(100)가 인상재에 대해 회동되는 것도 방지되므로 정확한 인상채득이 이루어진다.

    힐링어버트먼트(20)는 픽스쳐(10)에 나사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바디(100)는 힐링어버트먼트(20)의 헤드부에 억지끼움된 상태이며,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가 인상재에 견고히 결합되기 때문에, 바디(100)가 인상재와 함께 힐링어버트먼트(20)에서 쉽게 이탈된다.

    이어서 채득된 인상체에 매립된 바디(100)에 랩 아날로그를 결합하고 석고를 부여서 인공치아를 제작하는데, 채득된 인상체를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공지된 방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취약부(104)가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 취약부(104)는 바디(100)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이루어진다.

    환자의 구강환경에 따라 바디(100)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 바디(10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취약부(104)는 바디(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바디(100)의 하단부를 커터로 절단하여 높이를 조절하는데, 절단시 바디(100)의 하단부를 수평으로 반듯하게 자르기가 쉽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또한, 바디(100)의 두께 때문에 바디(100)를 자르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취약부(104)가 형성되면, 사용자가 취약부(104)를 따라 바디(100)를 절취함으로써, 바디(100)의 하단부를 수평으로 쉽게 자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픽스쳐 20. 힐링어버트먼트
    100. 바디 102. 개방홈
    104. 취약부 110. 끼움홈
    112. 평면부 114. 원호부
    120. 상면관통공 130. 수평홈
    140. 수직홈 a. 평면부 사이의 거리
    b. 원호부의 직경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