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치 어태치먼트

申请号 KR1020010079190 申请日 2001-12-14 公开(公告)号 KR1020020075199A 公开(公告)日 2002-10-04
申请人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혼쿠라요시노브; 아라이카즈오;
摘要 PURPOSE: To provide a denture attachment enabling a denture to moderately rock and turn without a gap between a magnet structure and a keeper in occlu sion, and having superior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CONSTITUTION: This denture attachment is formed by the keeper 5 made of magnetic material and a denture 1 having a magnet structure 4 attracted to the keeper 5 by magnetic attractive force. The magnet structure 4 has a magnet body 41 having N-pole and S-pole on both faces disposed back to back in the direction of tooth height, a first yoke 42 having a recessed part for storing the magnet body 41, and a second yoke 43 facing to the keeper. An attractive face 40 facing to the keeper 5 has a recessed spherical shape symmetrical with an attracted surface 53 of the keeper.
权利要求
  • 턱뼈에 매립되는 고정식 지대치(abutment)와,
    상기 고정식 지대치에 의해 지지되며 돔-형상 견인면을 갖는 자기 재료로 이루어진 키퍼(keeper)와,
    자기 인력에 의해 상기 키퍼를 끌어당기는 자기 조립체를 구비하며 내부에 인조 치아가 위치되는 의치 기부를 갖는 의치(denture)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조립체는,
    치아 길이방향에 대해서 상부 및 하부에 또는 그 반대로 배열되는 N극 및 S극을 갖는 자석과,
    상기 자석이 위치되는 볼록부를 갖는 제 1 요크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요크 플레이트 내의 개구에 상기 자석을 밀봉하며 상기 키퍼에 면하는 제 2 요크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요크 플레이트와 제 2 요크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비자기 재료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퍼에 면하는 상기 자기 조립체의 접촉면은 상기 키퍼의 보조면에 맞물리는 볼록한 돔-형상 표면인 의치 어태치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치근 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치근 마개인 의치 어태치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치근 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의치 어태치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턱뼈 내에 고정되는 인조 치근인 의치 어태치먼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 치근은,
    키퍼 지지부, 상기 의치를 향하는 볼록부, 및 상기 키퍼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나사 구멍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볼록부에 맞물리는 비자기 재료로 이루어진 링을 구비하고,
    상기 키퍼를 상기 인조 치근 내에 삽입할 때, 먼저 상기 링은 상기 키퍼 지지부의 볼록부상에 설치되고, 다음에 상기 키퍼의 수나사부는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키퍼와 상기 키퍼 지지부 사이에 상기 링이 개재되는 의치 어태치먼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조립체의 견인면은 내마모성을 강화하도록 표면처리되는 의치 어태치먼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크 플레이트의 개구의 측부는볼록 또는 오목부를 갖는 의치 어태치먼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크 플레이트의 주위면에는 의치 기부에 대한 접착을 강화하기 위해 프라이머 코트(primer coat)가 제공되는 의치 어태치먼트.
  • 说明书全文

    의치 어태치먼트{Dental magnetic attachment}

    본 발명은 고정용 지대치(abutment)의 키퍼에 의치(denture)를 고정하기 위해 자기 인력(magnetic attractive force)을 사용하고, 키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는 의치 어태치먼트(dental attachment)에 관한 것이다.

    자기 인력을 사용하는 다양한 의치 어태치먼트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제7-136190호 및 미국특허 제4,508,507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치의 분리 및 고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의치 어태치먼트에 사용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본특허공개공보 제7-136190호에 도시된 어태치먼트는 의치 기부(82)에 매립된 자기 조립체(61)와 턱뼈(11)에 매립되는 인조 치근(19)에 고정된 키퍼(62)로 구성된다. 자기 조립체(61)의 견인면(611; attractive surface)과 키퍼(62)의 견인면(621)은 자기 인력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의치 어태치먼트는 상기 자기 조립체(61)의 견인면(611)과 키퍼(62)의 견인면(621)이 편평하기 때문에, 맞물리는 중에 의치의 요동 또는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기 조립체(71)의 접촉면(713)과 키퍼(72)의 견인면(723)은 도 9에 도시된 미국특허 제4,508,507호의 어태치먼트에서는 만곡된 표면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조차, 맞물리는 동안의 의치의 움직임은 자기 조립체(71)가 키퍼(72)로부터 미끄러지도록 하여, 자기 조립체(71)와 키퍼(72) 사이에 틈새(gap)를 만든다. 따라서, 볼록부(73)는 틈새(gap)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키퍼(72)의 상부상에 형성된다. 키퍼 상부의 볼록부(73)와, 상기 볼록부(73)가 삽입되는 자기 조립체의 오목부(711)의 형성 공정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키퍼의 볼록부(73)상에서의 미끄럼 운동을 허용하는 자기 조립체(71)의 하부면의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상기 의치 어태치먼트 내에 자석을 밀봉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자석은 밀봉되지 않으며, 그 자석의 표면은 구강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자석(710)은 구강 내의 타액과 항상 접촉하게 되고, 자석이 용이하게 부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가 포함되는 자기 조립체(71)는 한쌍의 요크(715) 사이에 자석(710)이 개재되는 샌드위치형 구조를 가지므로, 자기 조립체(71) 자체의 높이가 높다. 그러므로, 치아(81)와 자기 조립체(71) 사이의 거리는 짧다. 따라서, 의치 기부의 두께는 얇아져야만 하므로, 의치의 강도를 약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자기 조립체(71)와 키퍼(72)의 접촉면들, 즉 자기 조립체(71)의 자석(710)과 상기 볼록부(73)는 용이하게 마모된다.

    이러한 결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적당히 요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고 자기 조립체와 키퍼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우수한 방식 특성을 갖는 견고한 의치 어태치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턱뼈에 매립되는 고정식 지대치(abutment)와, 만곡된 견인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식 지대치에 의해 지지되고 자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키퍼(keeper)와, 자기 인력에 의해 상기 키퍼를 끌어당기는 자기 조립체 및 내부에 인조 치아가 위치되는 의치 기부를 갖는 의치(denture)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 조립체는, 치아 길이에 대해서 상부 및 하부에 또는 그 반대로 배열되는 N극 및 S극을 갖는 자석과, 상기 자석을 장착하는 오목부를 갖는 제 1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 내의 개구에 상기 자석을 밀봉하며 상기 키퍼에 면하는 제 2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 및 제 2 요크 사이에 위치되는 비자기 재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요크, 제 2 요크, 및 비자기 재료부를 포함하는 상기 자기 조립체는 상기 키퍼에 맞물리도록 만곡된 견인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식 지대치는 턱뼈에 박혀 있는 자연 치근 또는 턱뼈에 박혀 있는 인조 치근 내에 매립된 치근 마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치 어태치먼트는 의치를 키퍼상에 고정하기 위해 자기 인력을 사용하므로, 의치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즉, 종래의 어태치먼트과의 차이점은 의치를 구강 내의 정확한 위치에 밀어넣는 것이 용이해지고 의치를 간단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자기 조립체는 키퍼의 볼록하게 만곡된 견인면에 대칭하는 형상을 갖는 오목하게 만곡된 견인면을 갖는다. 그러므로, 자기 조립체는 키퍼를 양호하게 끌어당기며 또한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의치는 맞물림 중에 자기 조립체와 키퍼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키퍼에 대해 요동 및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조립체는 제 1 요크와 제 2 요크가 자석을 둘러싸는 모자-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제 2 요크, 자석, 및 의치 기부가 맞물림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놓여 있는 편평한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는 자기 조립체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샌드위치형 자기 조립체(상기 미국특허 참조)에 비해, 보다 두꺼운 의치 기부가 보장되고 그 의치 기부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자석 자체는 구강 내에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부식될 수 있지만, 요크가 자석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상기 자석은 우수한 방식 특성을 갖는다. 비자기 재료부가 제 1 요크와 제 2 요크 사이에 배열되기 때문에, 제 1 요크와 제 2 요크는 자기적으로 절연된다. 그러므로 모든 자기력선은 키퍼에 대해 발생하고, 제 1 요크와 제 2 요크 사이에서는 자기적인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다 강한 자기 인력이 자기 조립체와 키퍼를 끌어당길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맞물림 중에 자기 조립체와 키퍼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요동 또는 회전할 수 있으며, 강도가 우수하고 구강 내에 맞물리도록 조절이 용이하며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는 의치 어태치먼트를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치근 내에 매립된 치근 마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치근 마개가 턱뼈 내에 자연스럽게 박혀 있는 자연 치근 내에 매립되기 때문에, 고정식 지대치는 구강 내에서 키퍼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는 의치 어태치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치근 부분에 키퍼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분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치근 부분에 매립하기 위한 상기 고정식 지대치로서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식 지대치는 자연 치근 내에 매립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키퍼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의치 어태치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아크릴 수지와 같은 수지가 상기 수지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인조 치근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자연 치근이 파손될 때, 턱뼈 내에 인조 치근이 견고하게 박혀서 지대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조 치근은 통상적으로 삽입물(implant)로 불린다.

    다음으로,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인조 치근은, 몸체를 갖는 키퍼 지지부와, 상기 의치를 향하는 쪽에서 상기 몸체에 위치되는 볼록부와, 상기 키퍼의 수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과,상기 만곡된 볼록부에 맞물리도록 비자기 재료로 이루어진 링을 구비한다.

    상기 키퍼를 상기 인조 치근에 고정하는 경우에, 먼저 상기 키퍼 지지부의 볼록부상에 상기 링을 설치하고, 다음에 상기 키퍼의 수나사를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 상기 키퍼와 상기 키퍼 지지부 사이에 상기 링이 개재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나사를 구비한 키퍼를 사용함으로써, 고정식 지대치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키퍼와 지대치 사이에 상기 링을 위치시킴으로써, 식사 중에 맞물림력이 링에 분산되어, 키퍼의 수나사에 맞물림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키퍼의 측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직선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키퍼가 고정식 지대치상에 맞물리도록 렌치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렌치는 키퍼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식 지대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키퍼의 외경이 링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므로 키퍼상에서 렌치를 사용할 때 링은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또한, 키퍼 지지부의 몸체상에 설치된 오목부에 맞물리는 볼록부를 상기 링이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목부는 키퍼 지지부의 볼록부 외측을 둘러싼다. 상기 링이 키퍼 하측의 주위에 맞물리는 오목부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들 부분들의 상호 맞물림은 키퍼 지지부상에서의 키퍼 측부의 미끄럼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링은 비자기 재료로 제조되고 SUS316L, 순수 Ti, Ti 합금 등의 생체 친화성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상기 자기 조립체의 견인면에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키퍼의 견인면에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은 고정, 분리 또는 맞물림의 반복에 의해 야기되는 자기 조립체의 견인면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의치 어태치먼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한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TiN, 다이아몬드, N, Cr, 세라믹 등의 코팅, 또는 질소 처리, 크롬 처리 등의 표면 처리와 같이 다양하다.

    다음으로, 특허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요크의 개구부의 측부의 일부분은 볼록 또는 오목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의치 기부에 자기 조립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자기 조립체가 합성 수지 등으로 제조된 의치 기부에 접착제에 의해 매립되더라도, 상기 의치 기부로부터의 분리는 장시간 사용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제조함으로써, 자기 조립체는 상기 볼록부가 의치 기부 내로 돌출한 상태 또는 의치 기부가 상기 오목부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래서, 자기 조립체의 분리는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의치 기부와의 결합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 1 요크의 외부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프라이머 코트를 제공하게 되면, 자기 조립체와 수지 재료(합성 수지) 등과의 사이의 결합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갖는 의치 기부 내에 자기 조립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접착형 아크릴 수지 등이 프라이머 코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후술되는 의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의치 어태치먼트는 치근 부분에 매립되는 고정식 지대치와, 고정식 지대치에 의해 지지되는 키퍼와, 키퍼의 견인면을 끌어당기는 자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치근 부분 또는 인조 치근에 매립되는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키퍼를 지지한다. 고정식 지대치는 비자기 재료로 제조되고, 특히 티타늄 함금과 같은 생체친화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키퍼는 고정식 지대치의 (자기 조립체를 향하는 측부상에서) 상부에 고정되고, 자기 조립체로 자기 영역을 구성하여 의치를 고정식 지대치상으로 고정한다. 키퍼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자기 인력을 사용하는 의치 어태치먼트의 키퍼에서 이미 사용되었던 다양한 내부식성 치과용 자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1.3T 이상의 포화 자속 밀도(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와 3000 이상의 도자율(magnetic permeability ratio)을 갖는 자기 재료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자기 재료는 철, 크롬, 몰리브덴 합금, 및 19Cr-2Mo-0.2Ti 스틸, 17Cr-2Mo-0.2Ti스틸 등과 같은 연자성(soft-magnetic) 재료이다.

    상기 키퍼의 견인면은 돔-형상 표면을 가지고, 상기 키퍼의 견인면에 맞물리도록 자기 조립체의 견인면도 오목한 돔-형상 표면을 갖는다. 키퍼의 형상은 견인면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8각형, 12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이나 둥근 형상 등이 가능하다. 또한, 8각형, 12각형, 또는 다각형 구멍을 중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구를 사용하여 키퍼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자기 조립체는 자기 영역을 형성하고 의치를 고정식 지대치상에 고정한다.

    자석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 인력을 사용하는 의치 어태치먼트의 자석으로서 이미 사용되었던 다양한 자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높은 에너지적(high energy product)을 갖는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수치를 제공하기 위해, 2388kJ/m 이상의 에너지적을 갖는 자기 재료를 사용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기 재료는 Nd-Fe-B 형 또는 Sm-Co 형 희토류 자석 등이다.

    자기 조립체의 제 1 요크는 오목부에 자석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요크는 키퍼 면에 대향되는 제 1 요크 내에 상기 자석을 밀봉한다. 제 1 요크 및 제 2 요크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자기 인력을 사용하는 의치 어태치먼트의 요크로서 이미 사용되었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연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자석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부식성 연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가지 구체적인 예로서는 철, 크롬, 몰리브덴 합금,19Cr-2Mo-0.2Ti 스틸, 17Cr-2Mo-0.2Ti 스틸, 및 순철(pure iron)이 있다.

    제 1 요크 내의 개구 즉, 키퍼에 대면하는 개구 주위에는, 키퍼에 면하는 제 2 요크와 제 1 및 제 2 요크 사이에 위치되는 비자기부가 오목한 돔-형상 견인면을 형성하여 상기 키퍼의 돔-형상 견인면에 맞물리고,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치 어태치먼트는 회전 기능을 가지며 맞물림 중에 의치의 요동 운동을 극복할 수 있다.

    비자기부는 제 1 요크와 제 2 요크 사이에 위치되므로, 제 1 요크와 제 2 요크는 자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비자기부는 제 1 요크와 제 2 요크 사이에 Ni 등을 첨가하고, 그것을 레이저, 전기 빔 등을 사용하여 비자기 재료로 변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확대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자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기 조립체에 프라이머 코트(primer coat)가 제공된 제 2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단면도.

    도 7a는 제 3 실시예의 인조 치근과 키퍼의 단면도.

    도 7b는 제 3 실시예의 키퍼의 평면도.

    도 8은 의치 어태치먼트의 종래예의 측단면도.

    도 9는 의치 어태치먼트의 다른 종래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치 어태치먼트11 : 턱뼈

    13 : 치근2 : 인조 치근

    21 : 키퍼 지지부22 : 링

    3 : 키퍼31 : 견인면

    4 : 자기 조립체41 : 자석

    42 : 제 1 요크43 : 제 2 요크

    44 : 비자기 재료부47 : 프라이머 코트

    5 : 키퍼55 : 치근 마개

    81 : 치아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의치 어태치먼트는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치 어태치먼트는 턱뼈(11)에 매립되는 고정식 지대치로서의 치근 마개(55)와, 상기 고정식 지대치에 의해 지지되는 돔-형상 견인면(53)을 갖는 자기 재료로 제조된 키퍼(5)와, 자기 인력에 의해 상기 키퍼(5)를 끌어당기는 자기 조립체(4)와, 치아부(81)가 의치 기부(82)에 매립되는 의치(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기 조립체(4)는 치아 길이 방향에 대해서 상부 및 하부에 또는그 반대로 배열되는 N극 및 S극을 갖는 자석(41)과, 상기 자석(41)을 고정하는 오목부(49)를 갖는 제 1 요크(42)와, 상기 자석(41)을 밀봉하며 상기 키퍼(5)에 면하는 제 2 요크(43)와, 상기 제 1 요크(42) 및 제 2 요크(43) 사이에 위치되는 비자기 재료부(44)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 조립체(4)는 상기 제 1 요크(42), 제 2 요크(43) 및 비자기 재료부(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키퍼(5)에 면하는 견인면(40)은 상기 키퍼(5)의 견인면(53)에 맞물리는 오목한 돔-형상 표면을 갖는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지대치는 치근(13) 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합성 수지(55)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자기 조립체(4)의 견인면(40)에는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 표면 처리로서 Al 2 O 3 로 이루어진 코팅부(460)가 주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요크(42)의 개구부(421)의 측면의 일부는 볼록부(45)를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55)로 제조된 고정식 지대치는 턱뼈(11) 내의 자연 치근(13)에 깊은 구멍(130)을 천공하여 합성 수지를 붓고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합성 수지를 부을 때, 키퍼(5)의 기저부(51)는 상기 깊은 구멍(130) 내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키퍼(5)는 기저부(51)와 합성 수지에 의해 치근(13)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키퍼(5)는 위에서부터 의치(1)에 의해 덮이고, 의치(1) 내에 설치된 자기 조립체(4)의 오목한 돔-형상 견인면(40)은 키퍼(5)의 볼록한 돔-형상 견인면(53)을 자기 인력에 의해 강하게 끌어당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치(1)는 턱뼈(11)상의 잇몸(12)을 덮는 의치 기부(82)와, 상기 의치 기부(82)의 내측에 고정되는 자기 조립체(4)와, 상기 의치 기부(82)의 상부에 고정되는 치아(81)를 포함한다.

    자기 조립체의 구체적인 예 및 다른 부분들은 하기와 같이 도시된다.

    상기 자기 조립체(4)는 4.4mm의 외경과, 1.5mm의 높이를 가지고, 그 견인면(40)은 4mm의 직경을 갖는다. 자기 조립체(4)는 Nd형 희토류 자석으로 제조된다. 제 1 요크(42)와 제 2 요크(43)는 19Cr-2Mo-0.2Ti 자기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의치 어태치먼트는 8N의 자기 인력을 갖는다.

    키퍼(5)는 4.0mm의 직경과 0.8mm의 두께를 가지며, 19Cr-2Mo-0.2Ti 재료로 제조된다. 견인면(53)의 외측 형상은 12면체이다. 키퍼(5)의 기저부(51)는 1.2mm의 최대 직경과 7mm의 전체 길이를 가지며, 치근 마개(55)와의 결합을 개선하기 위해 외측 표면의 중간까지 오목부를 갖는다. SUS316L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 기저부(51)는 6m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 의치(1)는 자기 인력을 이용하여 키퍼(5)에 고정되기 때문에, 의치 어태치먼트는 의치(1)에 고정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상기 종래의 어태치먼트과의 차이점은 구강 내에 위치시키는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는 것과 약간의 힘으로 착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 조립체(4)의 견인면(40)은 키퍼(5)의 돔-형상 견인면(53)에 맞물리도록 오목한 돔-형상이고, 자기 조립체(4)는 키퍼(5)를 매우 양호하게 끌어당기며 회전기능을 갖는다.

    그래서, 의치(1)는 자기 조립체와 키퍼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고 키퍼에 대해 요동 또는 회전하고, 맞물림 중에 요동 또는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조립체(4)는 제 1 요크(42) 및 제 2 요크(43)가 자석(41)을 덮는 모자-형상 구조를 갖는다. 이는 먼저 제 2 요크(43), 다음으로 자석(41), 마지막으로 의치 기부(82)가 맞물림 방향으로 적층되는 편평한 층 구조로 되어, 자기 조립체(4)의 높이를 이룬다.

    그러므로, 종래의 자기 조립체의 샌드위치형 구조(예를 들어, 상기 미국 특허)에 비해, 박형의 의치 기부가 보장되고 의치 기부의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자기 조립체(4)는 요크(42, 43)들로 완전히 덮이기 때문에, 자석(41)은 부식되기 어려우며 우수한 방식 특성을 갖는다. 비자기 재료부(44)가 제 1 요크(42)와 제 2 요크(43)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 1 요크(42)와 제 2 요크(43)는 자기적으로 절연되어, 자기적으로 단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기 조립체(4)와 키퍼(5)는 자기력에 의해 보다 강하게 끌어당겨질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55)는 키퍼와 치근부(13)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자기 조립체(4)의 견인면(40)은 내마모성을 개선하도록 표면 처리되기 때문에, 삽입, 취출 또는 맞물림의 반복에 의해 야기되는 자기 조립체(4)의 견인면(40)의 마모는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어, 의치 어태치먼트의 수명을 보다 길게 연장시킨다.

    상기 제 1 요크(42)의 상기 개구의 측면은 볼록부(45)를 가지기 때문에, 자기 조립체(4)는 의치 기부(82)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자기 조립체(4)는 볼록부(45)가 의치 기부(82)의 수지 재료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자기 조립체(4)의 분리는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매우 견고한 방식성 의치 어태치먼트는 맞물림 중에 자기 조립체(4)와 키퍼(5)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기 않고, 의치(1)에 적절한 요동 또는 회전 운동을 제공하고, 구강 내에서의 맞물림이 용이하게 균형을 이룬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턱뼈(11) 내에 고정된 인조 치근(2)이 고정식 지대치로서 사용되는 삽입형 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인조 치근(2)은, 몸체(20), 의치에 대향되는 상기 몸체(20) 정면상의 볼록부(215), 및 키퍼(3)의 수나사부(32)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볼록부 내에 설치된 나사 구멍(212)을 갖는 키퍼 지지부(21)와, 상기 나사 구멍(212)에 맞물리는 비자기 재료로 이루어진 링(2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인조 치근(2) 내로 상기 키퍼(3)를 설치할 때, 먼저, 상기 링(22)은 상기 키퍼 지지부(21)의 볼록부(215)에 설치되고, 다음으로, 키퍼(3)의 수나사부(32)가 상기 나사 구멍(21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링(22)은 상기 키퍼(3)와 상기 키퍼 지지부(21)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세는 하기에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퍼 지지부(21)는 몸체(20) 상부상의 볼록부(215)와, 상기 몸체(20) 상부상의 볼록부(215)의 외측을 둘러싸는 오목부(211)를 구비한다. 그리고, 볼록부(215)는 키퍼 지지부(21)의 축선 방향으로 나사 구멍(212)을 구비한다.

    링(22)은 키퍼 지지부(21) 상부상의 오목부(211)에 맞물리는 볼록부(222)와, 키퍼(3) 내로 맞물리는, 볼록부(222)의 대향 측부상의 오목부(221)를 구비한다.

    본 예에 있어서, 키퍼 지지부(21)의 오목부(211)의 중심에 볼록부(215)가 위치되므로, 키퍼(3)는 키퍼 지지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키퍼(3)는 키퍼 지지부(21)의 나사 구멍(212)에 나사결합되는 견인면(31)에 대향하는 측부상의 수나사부(32)를 구비한다.

    즉, 키퍼(3)는 수나사부(32)에 의해 키퍼 지지부(21)상에 고정된다. 키퍼(3)와 키퍼 지지부(21) 사이에 링(22)이 위치되기 때문에, 수나사부(32)상의 맞물림 강도의 집중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키퍼(3) 내로 맞물리는 볼록부(222)와 키퍼 지지부(21) 내로 맞물리는 오목부(221)를 링(22)이 구비하기 때문에, 키퍼 지지부(21)로부터의 키퍼(3)의 측면 미끄럼이동은 방지될 수 있다.

    자기 조립체(4)는 치아 길이 방향에 대해서 상부 및 하부에 또는 그 반대로 배열되는 N극 및 S극을 갖는 자석(41)과, 상기 자석(41)을 고정하는 오목부(49)와,상자와 같은 기능을 하며 견인면(40)의 외부 에지를 형성하는 제 1 요크(42)와, 키퍼(3)에 대향된 상기 자기 조립체(4)의 표면을 밀봉함으로써 견인면(40)을 형성하는 제 2 요크(43)와, 상기 제 1 요크(42) 및 제 2 요크(43) 사이에 위치되는 비자기 재료부(44)를 포함한다.

    자기 조립체(4)는 키퍼(3)로부터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의치의 고정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처리된다. 부착된 상태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견인면(40)은 키퍼(3)의 견인면(31)에 맞물리도록 오목한 돔-형상 표면을 갖는다. 그러므로, 의치 어태치먼트(1)는 회전 기능을 가지며 맞물림 중에 의치의 요동 운동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조립체(4)는 의치 기부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요크(42)의 외측면상에 볼록부(45)를 가지고, 견인면(40)은 TiN 막(46)으로 표면처리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재료 및 크기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된다.

    키퍼 지지부(21)는 Ti로 제조되고, 4.5mm의 직경 및 13mm의 높이를 갖는다. 오목부(211)의 중공부는 3.4mm의 직경과 0.3mm의 깊이를 갖는다. 볼록부(215)는 직경이 2.4mm인 6각형을 갖는다.

    링(22)은 SUS316L로 제조되고 4.5mm의 직경과 1.0mm의 높이를 갖는다. 볼록부(222) 및 오목부(221)의 높이는 0.3mm이고, 볼록부(222) 및 오목부(221)의 상부의 중공부의 직경은 3.4mm이다.

    키퍼(3)는 19Cr-2Mo-0.2Ti로 제조되고, 견인면(31)의 외부 형상은 12면체이며 최대 직경은 5.0mm, 두께는 1.0mm, 곡률 반경은 8mm이다. 수나사(32)의 직경은 1.4mm이고, 그 피치는 0.3mm이며, 링(22)에 맞물리는 볼록부(215)의 높이는 0.7mm이다.

    자기 조립체(4)의 외경은 4.4mm이며 높이는 1.3mm이다.

    자기 조립체(4)를 구성하는 자석(41)은 Nd형 희토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요크(42)와 제 2 요크(43)는 19Cr-2Mo-0.2Ti로 제조된다. 자기 인력은 7N이다.

    본 실시예는 자연 치근이 손상될 때, 인조 치근(2)을 턱뼈(11) 내에 삽입하는 실시예이다. 본 예에 따르면, 인조 치근(2)은 고정식 지대치로서 턱뼈(11) 내에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인조 치근은 통상적으로 삽입물로 불린다.

    또한, 본 예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키퍼(3)가 나사형 키퍼이기 때문에, 고정식 지대치로서 작용하는 인조 치근(2)과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키퍼(3)와 키퍼 지지부(21) 사이에 링(22)이 위치되기 때문에, 맞물림 강도는 링에 대해 분산되어 키퍼(3)의 수나사부(32)상에 맞물림 강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요크(42)의 외측면에는 상기 의치 기부(82)와의 결합을 개선하는 접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된 프라이머 코트(47)가 제공된다. 따라서, 자기 조립체(4)는 의치 기부(8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키퍼(3)의 측면이 적어도 두개의 직선부를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적어도 두개의 직선부를 가짐으로써, 렌치는 키퍼 지지부에 키퍼(3)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키퍼(3)를 손상시키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키퍼(3) 주변부의 직경을 링(22)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키퍼상에서 렌치를 사용할 때, 링은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다른 부분에서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설명된 의치 어태치먼트의 구조, 재료, 및 크기의 구체적인 예는 도 7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설명된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인조 치근(2)을 사용하는 의치 어태치먼트의 구성이 개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성은 키퍼(3)의 구조와 자기 조립체(4)의 견인면의 표면 처리에 Ti 대신에 다이아몬드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키퍼 지지부(21)는 3.5mm의 직경과 10mm의 높이를 갖는 Ti로 제조된다. 오목부(211)의 직경은 2.4mm이고, 그 깊이는 0.2mm이다.

    링(22)은 Ti로 제조되고 3.5mm의 직경 및 1.0mm의 높이를 갖는다. 볼록부(222)와 오목부(221)는 0.2mm의 높이 및 2.4mm의 직경을 갖는다.

    키퍼(3)는 3.5mm의 최대 직경과 0.8mm의 두게를 갖는 17Cr-2Mo-0.2Ti로 제조된다. 견인면(31)의 곡률 반경은 10mm이다.

    키퍼(3) 상부의 중심부에는 6각형 구멍(35)이 형성된다. 상기 6각형 구멍(35)의 직경은 1.0mm이고 그 깊이는 0.9mm이다. 수나사(32)의 직경은 1.4mm이고, 그 피치는 0.3mm이며, 링(22)에 맞물리는 볼록부의 높이는 0.2mm이다.

    상기 자기 조립체(4)의 외경은 3.4mm이고 높이는 1.0mm이다. 자기 조립체(4)의 자석(41)은 Sm-Co형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요크(42)와 제 2 요크(43)는 17Cr-2Mo-0.2Ti로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자기 인력은 5N이다.

    본 예에 있어서, 고정 또는 분리는 상기 6각형 구멍에 6각 렌치를 끼우고 키퍼(3)를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본 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4

    고정 또는 분리의 용이성과 내구성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각각의 의치 어태치먼트에 대해 평가되었다.

    먼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고정 또는 분리의 용이성이 설명된다. 자기 조립체(4)는 상술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설정 및 과도한 압력은 불필요하고, 의치는 약간의 힘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치는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서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치 어태치먼트의 제거 및 맞물림의 반복 후에 내구성이 힘에 의해 평가되었다. 의치 어태치먼트가 3년 동안 매일 5회 제거되는 경우에, 즉, 제거를 5000번 반복할 때, 우수한 내구성으로서 인정되는 조건은 자기 인력의 1% 미만의 악화이다.

    또한, 3년 동안 매일 연속으로 1000번 맞물리는 중에 즉, 맞물림을 약 백만번 반복할 때, 의치가 3도 회전하는 경우에, 우수한 내구성으로서 인정되는 조건은 키퍼에 면하는 자기 조립체의 견인면의 마모 손실량이 1㎛ 미만일 때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견인면은 1㎛ 두께의 Al 2 O 3 , TiN 또는 다이아몬드로 표면처리되므로, 키퍼의 바탕색은 노출되지 않는다. 맞물림으로 인한 견인면의 마모 손실이 1㎛보다 클 때, 견인면의 바탕색이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내용이 입증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의치 어태치먼트의 상기 평가에 있어서, 자기 인력의 악화는 10000번의 제거 후에도 1% 미만이고, 키퍼에 면하는 자기 조립체의 견인면의 마모 손실량은 2백만번의 맞물림의 반복 후에도 1㎛ 미만이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의치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20000번의 제거 후에도, 자기 인력의 악화는 1% 미만이고, 3백만번의 맞물림의 반복 후에도, 키퍼에 면하는 자기 조립체의 견인면의 마모 손실량은 1㎛ 미만이다. 그러므로, 상기 어태치먼트가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수명이 길다는 것이 입증된다. 또한, 실시예 3에서의 어태치먼트는 견인면상에 다이아몬드로 표면처리되기 때문에, 내구성은 실시예 2의 어태치먼트의 내구성보다 매우 우수하다.

    상기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 및 방식 특성이 우수한 의치 어태치먼트가 제공될수 있고, 의치는 맞물림 중에 자기 조립체와 키퍼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요동 또는 회전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