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악골 전진 장치

申请号 KR1020117001032 申请日 2009-07-16 公开(公告)号 KR1020110033840A 公开(公告)日 2011-03-31
申请人 데 칼로스 빌라프란카, 펠릭스; 페르난데즈-뻬냐 아르티메, 앙헬; 알바레즈 아바드, 코바도냐; 로페즈 이글레시아스, 리비아; 페르난데즈 몬드라곤, 마리아 필라; 세노시에인 오로키에타, 아란사수; 가르시아 수아레즈, 안젤라; 코보 플라나, 후안 엠.; 알바레즈 수아레즈, 알베르토; 파르도 로페즈, 베르타; 디아즈 에스냘, 벨렌; 마시아스 에스카라다, 에밀리오; 코보 디아즈, 테레사; 가르시아 페르난데즈, 후안 호세; 发明人 데칼로스빌라프란카,펠릭스; 페르난데즈-뻬냐아르티메,앙헬; 알바레즈아바드,코바도냐; 로페즈이글레시아스,리비아; 페르난데즈몬드라곤,마리아필라; 세노시에인오로키에타,아란사수; 가르시아수아레즈,안젤라; 코보플라나,후안엠.; 알바레즈수아레즈,알베르토; 파르도로페즈,베르타; 디아즈에스냘,벨렌; 마시아스에스카라다,에밀리오; 코보디아즈,테레사; 가르시아페르난데즈,후안호세;
摘要 본 발명은 상측 기도를 받는 문제점의 구강 처리에 사용되는 하악골 전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충분한 전진 및 개방으로 상호연결 유지되며 기도를 막지않게 하도록 윗니와 아랫니에 끼워진다. 하악골과 치아와 상악골 사이의 전전 거리는 점진적으로 변경됨으로써, 교합 스플린트 내에 주조된 상호연결된 부품 세트읠 사용을 통해 제한된 이동성을 보장하여, 중간 지대에 상이한 전진 측정을 갖는 상호교환가능한 연결부의 단순한 내장으로 2개의 대향하는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부품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안정성을 위해 리세스 내에 교대로 삽입되는 2개의 상측 및 하측 플랜지를 포함한다.
权利要求
  • 상측 기도를 폐색하는 문제점에 대한 구강내 치료에 사용되는 유형의 개선된 하악골 전진 장치(improved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에 있어서,
    윗니와 아랫니에 맞춰질 수 있는 한 세트의 상호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영역(13) 내에서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는 하나의 상호교환가능한 부재(1)와, 스크류와의 부착을 위해 박스(3)의 내부(4)에 교대로 삽입되는 2개의 개구(2)를 상부와 하부에 갖는 부재의 단순한 치환으로 위턱과 아래턱 사이의 위치를 조절가능하며, 상기 스크류(8)는 사용을 위해 상기 윗니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하부에 최종으로 부착되는 교합장치(occlusal splints)(6)와 함께 유닛을 형성하도록 교대로 융합되어, 전체적으로 (BB) - (CC) - (DD)으로 상기 턱을 이동하고 그리고 다른 조합된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전진 장치.
  • 说明书全文

    하악골 전진 장치{IMPROVED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상측 기도(upper airway)(UA)" 폐쇄 장애에 대한 치료에서 구강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개념의 것은 아니다. 1902년에, 피어 로빈은 기능성의 하악골의 전진을 얻기 위해 유사한 특징(모노블록)의 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전진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안했다. 이는 혀를 추가적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성취되었고, 혀를 후방 쪽으로 낙하하는 것, 즉 하악형성 부전증을 가진 어린이가 누운 자세에서 나타나는 설하수증(glossoptosis)이 방지되었다. "수면 무호흡증(Sleep Apnoea Hypopnoea Syndrome)(SAHS)"에 관한 구강내 장치에 대한 첫 번째의 공개문헌은 상측 기도 상의 연속적인 부압 뿐만 아니라 수술 절차에 대한 변형 치료를 추구하는 시도로서 1980년대에 이루어졌다.

    50개 이상의 효과적인 타입의 장치가 코골이 치료를 위해 판매되어 왔지만, 2가지 형태(고정된 전진 및 조절가능한 전진)에 있는 하악골 전진 장치는 폐쇄 상측 기도 문제에 대한 관리에서 실제로 효과적이다.

    하악골 전진 장치는 인두부(pharyngeal section)를 증대시키도록 상측 기도 해부학적 변경을 발생시키는 턱의 전후방 운동을 형성한다. 이러한 운동은 턱(jaw)과 설골(hyoid bone)을 안정시켜 고정함으로써, 누운 자세로 있는 동안에 이러한 골격의 후방 회전을 방지하므로, 기도 폐쇄를 회피한다.

    수면 무호흡증(SAHS)에서, 환자의 입을 5 mm 이상 벌린 상태에서 환자가 수면 중에 있는 총 시간 퍼센트(69.3%)는 건강한 사람(11.1%)보다 상당히 높아지므로, 수면 동안에 턱의 회전 및 고정 운동은 하악골 전진 장치에 의한 치료에서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 때의 가장 큰 효과가 구개범인두 부위(velopharyngeal area)에 나타나지만, 모든 인두 부위에 대한 충격이 있다. 초기에는, 인두(pharynx)의 전측 및 후측 근주(pillars) 사이의 공간에서의 확장뿐만 아니라 경직도가 증가한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한 후에 혀[특히 이설근(genioglossus)]의 근긴장도(lingual muscle tone)가 어떻게 증가하는지 그리고 장치를 제거한 후에 어떻게 다시 낮춰지는지 근전도로써 입증되어 왔다. 혀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위치를 차지하므로, 수면 동안에 물러나게 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장치는 수면내시경 및 CPR 동안에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측 기도의 투과성을 보유 및 보존하여 임의의 외부 물체로부터 자유롭게 한 후에, 위턱과 아래턱의 견인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하악골 전진은 설골 위치를 보다 전방 위치로 변경하게 유도하도록 기능한다. 설골 근육계에서는 새로운 균형 상황이 나타나므로, 상측 기도의 용적 및 투과성을 증대시키는데 바람직하다.

    하악골 전진 장치의 사용에 대한 반응이 모든 환자에게 동일하지는 않지만, 도즈 의존적 효과가 있다고 많은 전문가가 인정하는데, 그 이유는 하악골 전진의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환자의 임상 상태를 개선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돌출이 증가함에 따라, 포화도의 정도뿐만 아니라 수에서 개선이 나타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저체지방 지수, 감소된 목 둘레, 어린 환자, 기저 하에서의 수면무호흡 지수(apnoea-hypopnoea index)(AHI), 및 누운 자세에 관한 무호흡 사실이 있는 환자에게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보다 양호한 반응이 있다.

    처음에는, 사용되는 장치의 설계가 그 효율과 관련되게 보이지 않았더라도, 조절가능한 전진으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프로토콜이 보다 공격적일수록, 성공률이 보다 높다고 최근에 보고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코골이를 50% 제거하는 것으로 치료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개선된 수면의 질뿐만 아니라 환자 중 90/100%의 상당한 코골이를 감소시킨다.

    장치의 제조는 제 1 단계의 처리만을 수반한다. 사용자의 효율 및 편리성에서,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도록 프로토콜에 따라 수용해야 한다.

    일단 장치가 제조되어 조절되어 있으면, 환자는 삽입 및 유지보수에 대한 주의를 위해 교육받는다. 환자가 장치를 사용한 후에는, 코골이 및/또는 수면무호흡을 완화하는 편안하고 적절한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점진적으로 진전(통상적으로 조절하기에 몇 주 또는 몇 달이 요구됨)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한 치료는 합리적인 변형인데, 그 이유는 (수술에 흔한 일이지만) 환자에 대해 임의의 영구적인 변화를 암시하지 않고, 언제라도 폐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험/이점 평가의 견지에서의 환자에 대한 적절한 연구는 각각의 경우에 대한 최선의 요법을 성취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드러나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장치를 개선함으로써, 덜 복잡하게 하고, 보다 실용적이게 하고, 사용하기 용이하게 하고, 보다 편리하게 하며, 경제적이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윗니와 아랫니에 적합하게 조절됨으로써, 상악골에 대해 하측 턱의 전진을 강제하고 제한된 모든 방향으로 거의 자연적인 이동성을 허용하면서, 원활하고 편안한 호흡을 하기게 충분한 공간으로 연결 유지하게 하는 하악골 전진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하악골 전진 장치는 입에 도입되어, 코골이 및/또는 수면 무호흡증(SAHS)에 대한 치료를 위한 턱, 혀 및 다른 상측 기도(UA) 지지 골격의 위치를 변경하는데, 이는 치과 의학, 구강 의학 및 치과 교정술의 의학 분야에 사용되는 장치이며, 이러한 장치의 주요 목적은 기도를 충분히 투과성으로 유지하거나 폐색으로부터 충분한 정도로 자유롭도록 상측 턱에 대해 하측 턱을 돌출 또는 전진시킴으로써, 우연적이거나 또는 무의식 중의 폐쇄가 회피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치열궁(dental arches)에 끼워질 때 턱을 전진시킴으로써, 상악골을 서로 분리시키고,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제한된 많은 운동을 허용하는 장치의 특정 형상 및 설계에 있다. 관련 처방에 따라 상이한 양의 유사한 부재로 규칙적으로 교체되는 상호교환적인 부재를 내장함으로써, 필요한 전진을 성취하고 치료의 최종 목적에 도달한다.

    상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정신적 외상이 작고 편안한 턱 운동을 점진적으로 성취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동일한 목적을 갖는 현재의 달리 공지된 장치와는 달리 양호한 하악골 이동성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로 치과 교정술의 의학 분야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장치는 매우 단순하며 치아에 쉽게 적용가능하다.

    사용되는 부재의 수가 아주 적으며 제조하기가 쉽다.

    장치의 고정이 강하고 안정적이며, 제한 없이 모든 필요한 운동을 실제로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쉽게 사용하게 된다.

    치료 동안의 장치의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다.

    제조 및 설치에 비용이 적게 들고 쉽다.

    하기의 설명을 보완하고 특징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도면이 첨부되어 있으며, 이는 단지 예시로서 제한의 용도의 것이 아니다.
    도 1은 사람의 두부 중앙에서의 부분적인 측면 섹션으로서, 기관(17)으로부터 비강(20) 및 구강(10)으로 기도를 강조한 도면이다. 위턱(12)과 아래턱(11)을 명확하게 나타내며, 그 사이에 혀(14)가 있다. 또한, 후두 영역(x)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운동방향 "A"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사람의 두부 중앙에서의 부분적인 측면 섹션으로서, 기관(17)으로부터 비강(20) 및 구강(10)으로 인두(16)의 높이에서 연통하는 화살표로 기도를 강조한 도면이다. 위턱(12)과 아래턱(11)을 명확하게 나타내며, 그 사이에 혀(14)가 있다. 또한, 아래턱(11)으로부터 후두 영역(z)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운동방향 "A"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운동은 기술한 하악골 전진 장치의 사용으로 성취된다. 본 도면은 장치를 내장하는 도 3에서 확대된 세부사항의 원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영역의 세부적인 확대도로서, 하악골 전진 장치는 환자의 구강(10)의 치아(9) 상에 내장된다.
    도 4는 장치의 중앙에 의해 형성된 부분적인 측부 섹션으로서, 장착 방법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된 몇 개의 교합 스플린트(6)를 가지며, 장치의 전진을 발생시키는 중간 영역(13)에 내장하며 부재를 삽입하는 내측 개구를 통해 서로 면하며 상이한 사이즈를 가지고 스크류(8)와 함께 박스(3)에 부착되는 부재(1)를 배치하여 바디(1)의 개구(2)를 통과함으로써 상호교환가능한 몇 개의 박스(3)를 도시한다.
    도 5는 부재(1)와 연결되기 전에 장치를 얻기 위해 서로 면해야 하는 2개의 스플린트(6)의 내측 기부 상의 2개의 개략도이다. 각각은 윗니와 아랫니에 정확하게 적합하다. 종래의 방식으로 환자의 치아의 몰드를 취함으로써 제조되며, 스플린트를 위한 부재를 주조할 때, 박스(3)는 정면으로 내장되어 스플린트의 플라스틱에 의해 정확하게 덮인다.
    도 6은 장치의 정면 개략도로서 내장된 박스(3)와 스플린트(6)를 정면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부재(1)는 도 8에서 정면 중앙으로 도시되며 스크류(8)는 박스(3)에 부착된다.
    도 7은 8자형으로 상호교환가능한 바디(1)의 2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스크류(8)에 의해 박스(3)를 부착하는 2개의 개구(2)를 내장한다. 또한, 가변 사이즈의 중앙 영역(13)을 도시하며, 장치의 점진적인 전진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형의 각종 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영역(13) 내의 사이즈 또는 전진에 따라 상이한 사이즈를 가지며 처리에 따라 교체될 수 있는 의 바디(1)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9는 개구(2)와 전진 영역(13)을 갖는 바디(1)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스플린트(6) 전방에 위치되며 함께 융합되는 박스의 2가지 개략도로서, 부재(1)의 삽입을 위한 내부(4)와, 스크류(8) 배치를 위한 구멍(15)을 도시한다.
    도 11은 부착을 위한 스크류(8)를 배치하기 전에 박스(3) 내에 부재(1)를 끼워 맞추는 방법에서의 내측 기부에 대한 부분 절결도이다.
    도 12는 사용을 위해 장치를 설정하는 스크류(8)를 배치한 후에 박스(3) 내에 부재(1)를 배치하는 방법에서의 내측 기부에 대한 부분 절결도이다.
    도 13은 휴지 시의 장치의 정면도로서, 환자의 치아 상에 내장된 경우 장치의 사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한 운동, 수직방향 운동(BB) 및 수평방향 운동(CC)을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6은 그 운동을 나타낸다.
    도 14는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의 수직방향 운동(BB)을 나타내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박스(3)가 내측으로 운동을 제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는 최대의 개방 위치에서의 수직방향 운동(BB)을 나타내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박스(3) 내에 위치된 스크류(8)가 개방 운동을 제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은 측방향 변위의 위치에서 수평방향 운동(CC)을 나타내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박스(3) 내에 위치된 스크류(8)는 이러한 운동으로 작용을 중지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은 스크류(8)에 의해 제어되는 부재(1)와 박스(3) 사이의 배치로 인해, 장치가 측방향의 균형되지 않은 로킹(DD)을 이루게 하는지를 알 수 있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개선된 하악골 전진 장치는, 기본적으로, 위턱에 대한 아래턱의 전진을 허용하는 관련된 치아 상에서 조절되며 구강 내에 배치되지만, 점진적인 방식으로 의학 치료에 따라 그 전진을 변경하는 주요 링크 부재(1)를 규칙적으로 교체하는 한 세트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아래턱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상측 기도를 자유롭게 한다.

    치아에 부착되는 장치는, 주로, 5개의 부재, 상측 플라스틱 스플린트(6) 및 몇몇의 금속 박스(3)를 내부에 전방으로 내장하는 하측 플라스틱 스플린트로 이루어지며, 상이한 전방의 조치로 상호교환가능하며 스크류(8)에 의해 박스(3)에 부착되는 전진 부재(1)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부재(1)의 쉽고 규칙적인 변화를 허용하고, 보다 큰 전진 사이즈를 영역(13)에 점진적으로 배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환자에게 점진적인 하악골 전진을 단순하고 적절하게 치료함으로써, 턱의 정확한 전진을 성취하여, 소정의 치료 목적을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부품에 대한 설명

    1 - 장치의 본체는 성취되는 전진을 표시하는 상호교환적인 부재(또는 전진 부재)이다. 이러한 부재는 평탄할수 있거나, 또는 정확한 치수의 래더링(13)을 구비한다. 도 9는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전진을 표시하는 상이한 치수를 갖는 몇 개 부재의 래더링을 도시한다. 상기 본체는 스크류(8)에 의해 박스(3) 내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2개의 개구(2)를 갖는다.

    2 - 개구는 스크류(8)에 의해 박스(3) 내에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3 - 본체(1)의 단부 각각에 배치된 박스(3)는 스크류(8)에 의해 유지된다.

    4 - 본체의 단부를 삽입하는 박스(3)의 내부 공간

    5 - 박스(3)를 봉입하여 교합 스플린트(occlusal splint)(6)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층

    6 - 윗니와 아랫니(9)로 조절되는 상측 및 하측의 주문 제작된 플라스틱 교합 스플린트. 이러한 스플린트는 함께 주조 및 가소화되는 박스(3)를 정면에서 내장한다.

    7 - 환자의 치아를 보유하는 스플린트(6)의 내부

    8 - 박스(3) 내에서의 바디(1)로의 고정 스크류

    9 - 스플린트(6)에 삽입되는 환자의 치아.

    10 - 장치를 삽입하는 환자의 구강

    11 - 위턱(12)에 대해 (A)를 따라 이동하도록 의도되는 아래턱

    12 - 위턱

    13 -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이한 사이즈의 부재를 이용하여 부재를 상호교환하는 장치의 점진적인 전진을 형성하는 바디(1)의 중간 영역

    14 - 환자의 혀

    15 - 스크류(8)의 삽입 및 클램핑을 위한 박스(3)의 나사 구멍

    16 - 비강과 구강 사이의 연통 지점으로서, 자유롭게 유지하려는 환자의 인두

    17 - 환자의 기관(기도)

    18 - 환자의 식도

    19 - 혀(14)의 후방에 위치되어 기관(17)을 위한 밸브 또는 덮개로서 기능하며 후두 영역(x) 내의 기도를 폐쇄할 수 있는, 환자의 후두개

    20 - 구강과 기관(17)과 연통하는 환자의 비강

    x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결 또는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의도된 후두 영역

    z -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롭거나 투과성의 후두 영역

    본 설명은, 당해기술에서의 전문가가 본 발명의 범위와 그 이점뿐만 아니라 재생산에서의 절차를 이해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갖는다는 점에서 더욱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본질 내의 본 발명은 청구된 보호범위에 도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에서 지시된 것보다 세밀하게 상이한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보다 적절한 재료에 의해 임의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모두는 청구범위의 사상 내에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용어는 비제한적인 광범위한 관점에서 이해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