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 완화용구

申请号 KR1020050073510 申请日 2005-08-10 公开(公告)号 KR1020070018643A 公开(公告)日 2007-02-14
申请人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发明人 김기석;
摘要 본 발명은 상하 안착부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착용으로 인한 고통을 줄여 주기 위한 코골이 완화용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코골이 완화용구에 있어서 착용시 윗니안착부와 아랫니 안착부를 제한된 유격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에 따르는 거부감 및 고통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랫니를 안착하는 아랫니 안착부와, 윗니를 안착하는 윗니 안착부와, 혀의 앞부분을 수용하는 혀 안착실을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 안착부와 윗니 안착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이동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U'자형으로 연장된 이동홈을 형성한 이동홈부와, 지지간을 형성하고 이의 선단에 구(球) 형상의 이동간이 형성된 이동구를 설치하여서 된 코골이 완화용구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이동홈부 내에 이동구가 이동홈의 길이만큼 유동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턱뼈를 움직일 수 있어 착용에 따르는 고통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 착용에 따르는 거부감 등을 줄일 수 있고, 아랫니 안착부와 윗니 안착부를 분리시켜 깨끗이 세정하여 보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윗니 안착부, 아랫니 안착부, 이동구, 이동홈부, 이동간
权利要求
  • 아랫니를 안착하는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를 안착하는 윗니 안착부(20)와, 혀의 앞부분을 수용하는 혀 안착실(21)을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에 선택적으로 이동구(25)가 삽입되는 삽입홈(16)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U'자형으로 연장된 이동홈(17)을 형성한 이동홈부(15)와,
    상기 윗니 안착부(20)에 하방으로 지지간(26)을 형성하고 이의 선단에 구(球) 형상의 이동간(27)이 형성된 이동구(25)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완화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에 선택적으로 형성 고정되는 이동홈부(15)와 이동구(25)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완화용구.
  • 说明书全文

    코골이 완화용구{Device for Preventing from Snoring}

    도1은 종래의 코골이 완화용구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코골이 완화용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요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아랫니 안착부 11: 아랫니 돌기부

    15: 이동홈부 16: 삽입홈

    17: 이동홈 20: 윗니 안착부

    21: 혀 안착실 25: 이동구

    26: 지지간 27: 이동간

    본 발명은 코골이 완화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혀를 앞으로 내 밀 수 있는 구조로 공기 이동 통로를 확보하여 코골이를 완화시키는 코골이 완화용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코골이는 코에서 나는 소리라기 보다는 목젖을 포함한 연구개나 주위 점막이 호흡하는 과정에서 공기 이동 통로를 좁혀주어 이들 기관이 이동 기류에 의하여 떨리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특히, 비만한 성인 남자나, 아래턱이 작고 뒤로 처지거나, 목이 짧고 굵은 경우에 코를 심하게 골게 되는 경향이 높으며, 이는 목젖 주위가 좁고, 기도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코골이가 심한 경우에는 요란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뿐만이 아니라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수면무호흡증은 한동안 숨이 막혀 호흡 곤란을 겪다가 어느 한계점이 지나면 숨을 내몰아 쉬는 것인데, 특히, 취중인 경우에는 자율반사 신경 반응이 무뎌져서 기도가 막히는 시간이 장기화되어 질식사를 당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은 요란한 코골음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충분한 수면 시간에도 불구하고 심한 졸음, 만성 피로감을 수반 할 뿐만 아니라 뇌의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기억력 및 집중력의 감퇴 등의 증상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하게 되면 심폐 계통의 합병증으로 고혈압, 부정맥, 심지어는 돌연사를 초래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사용하거나, 코에 끼워 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코걸이 기구를 사용하거나, 수면 중의 호흡을 구강으로 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 호흡을 유도하는 구강폐 쇄기구 등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에 사용된 방법들 중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면 중 움직임에 의하여 베개를 잘못 베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효성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걸이 또는 구강폐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로 호흡이 유도되어 코골이를 방지하는 장점은 있으나, 코감기나 코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8625호(발명의 명칭: 코골이 완화용구, 이하 '인용발명'이라 한다)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도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를 안착시키는 윗니안착부(101)와, 아랫니를 안착시키는 아랫니 안착부(102)가 결합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윗니안착부(101)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아랫니 안착부(102)와, 상기 윗니안착부(101)와 아랫니 안착부(102) 사이에 결합되며 혀 앞부분을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혀안착실(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혀안착실(103) 양측에 위치하며 혀 양측 후방으로 설치되어 공기가 기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파이프(10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인용발명은 구강 내 기도로 통하는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코골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윗니안착부(101), 아랫니 안착부(102), 혀안착실(103)이 일체로 이루어져 턱관절을 움직일 수 없으므로 착용 후 얼마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통증을 느끼게 되므로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윗니안착부와 아랫니 안착부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간격을 형성시켜 착용에 따르는 거부감 및 고통을 최소화시키는 코골이 완화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랫니를 안착하는 아랫니 안착부와, 윗니를 안착하는 윗니 안착부와, 혀의 앞부분을 수용하는 혀 안착실을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 안착부와 윗니 안착부에 각각 이동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U'자형으로 연장된 이동홈을 형성한 이동홈부와, 상기 윗니 안착부에 하방으로 지지간을 형성하고 이의 선단에 구(球) 형상의 이동간이 형성된 이동구를 설치하여서 된 코골이 완화용구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아랫니 안착부의 이동홈부 내에 윗니 안착부의 이동구가 이동홈의 길이만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턱뼈를 움직일 수 있어 착용에 따르는 고통을 최소화하게 되며, 아랫니 안착부와 윗니 안착부를 분리시켜 깨끗이 세정하여 보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랫니를 안착하는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를 안착시키는 윗니 안착부(20)와, 상기 윗니 안착부(20)의 전면에 혀 앞부분을 수용하는 혀 안착실(21)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아랫니 안착부(10)는 그 상면으로 돌출되는 아랫니 돌기부(11)를 형성하고, 이에 윗니 안착부(20)의 이동구(25)가 삽입 이동되도록 이동홈부(15)를 'U'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홈부(15)는 이동구(25)의 이동간(27)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이동간(27)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큰 직경의 삽입홈(16)을 형성하고, 삽입홈(16)으로부터 연장되는 이동홈(17)을 형성하며, 이동홈(17)은 이동구(25)의 지지간(26)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동일한 직경이나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한다.

    또한, 윗니 안착부(20)는 그 저면으로 돌출되는 윗니 돌기부(22)를 형성하고, 하부로 돌출되는 이동구(25)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구(25)는 이동홈(17)의 깊이만큼 연장된 지지간(26)을 형성하고, 이의 선단에 구(球) 형상의 이동간(27)을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한다.

    아울러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는 착용시 이물감이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이나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하고, 상기 이동홈부(15)와 이동구(25)는 장기간 사용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홈부(15) 및 이동구(25)는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동홈부(15)와 이동구(25)를 미리 제작하여 준비하고, 착용자의 치아 및 구강 구조에 적합하도록 윗니 안착부(10)와 아랫니 안착부(20)를 성형한다. 이어서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에는 이동홈부(15)와 이동구(25)를 접착하거나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랫니 안착부(10)와 이동구(25), 그리고 윗니 안착부(20)와 이동홈부(15)를 각각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성형된 코골이 완화용구를 착용하기 위하여 도2 내지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이동구(25)의 이동간(27)을 이동홈부(15)의 삽입홈(16)에 일치시킨다. 이어서 윗니 안착부(2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이동간(27)이 삽입홈(16)에 끼워지게 되고, 지지간(26)과 이동간(27)이 모두 삽입되면 'U'자 형상의 이동홈(17)을 따라 이동시켜 윗니 안착부(20)와 아랫니 안착부(1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도5에서와 같이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코골이 완화용구를 각각 윗니와 아랫니에 맞추어 착용하면 아랫니와 윗니는 각각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에 끼워지게 되고, 혀의 앞부분을 혀 안착실(21)에 밀어 넣음으로써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고, 착용자는 수면 도중에 목젖을 포함한 연구개의 공기 이동 통로를 충분히 확보하여 줌으로써 호흡에 따른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수면 도중에 착용자는 윗턱과 아래턱을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윗니 안착부(20)와 아랫니 안착부(10)가 움직이게 되고, 각각에 고정된 이동구(25)가 이동홈부(15)에서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지지간(26)이 이동홈(17) 내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직선상의 이동홈(17)의 구간만큼 윗턱과 아래턱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수면 도중에 턱을 제한된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착용 상태에서 수면 중 턱이 움직일 수 없도록 강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느끼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착용 후 기상하여 구강에 착용된 코골이 완화용구를 빼내게 되고,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를 잡고서 이동홈(17)을 따라 삽입홈(16)으로 이동시켜 삽입홈(16)으로부터 아랫니 안착부(10)와 윗니 안착부(20)를 분리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완화용구를 깨끗한 물이나 세정액 등으로 세척하여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 내에 이물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청결하게 보관하고, 수면시에 이를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결한 상태로 유지,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아랫니 안착부의 이동홈부 내에 윗니 안착부의 이동구가 이동홈의 길이만큼 유동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턱뼈를 움직일 수 있어 위, 아래턱을 강고한 상태로 고정시켜 착용함에 따르는 고통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 아랫니 안착부와 윗니 안착부를 분리시켜 깨끗이 세정하여 보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