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탈 스트립 바이트

申请号 KR1020140180038 申请日 2014-12-15 公开(公告)号 KR101519399B1 公开(公告)日 2015-05-13
申请人 최병기; 发明人 최병기;
摘要 교합안정장치를제작하기위해이용되는메탈스트립바이트가개시된다. 메탈스트립바이트는베이스를이루는제1왁스층; 상기제1왁스층상에서로이격되어형성되며복수의알루미늄메탈바이트를겹쳐쌓아올려서형성된제1 및제2 알루미늄메탈스트립; 및상기제1 및제2 알루미늄메탈스트립상에각각형성된제2 및제3왁스층; 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교합 안정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맞물림(bite, 바이트) 체득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를 이루는 제1왁스층;
    상기 제1왁스층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겹쳐 쌓아 올려서 형성된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 및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 상에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3왁스층;
    를 포함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들은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복수개 겹쳐 쌓아 올린 것으로서 총두께는 1.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
  • 제2항에 있어서, 0.4~0.5mm 두께의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3장 겹쳐 쌓아 올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의 타공 구멍 크기는 0.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왁스층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왁스층의 두께는 각각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
  • 삭제
  • 说明书全文

    메탈 스트립 바이트 {Metal strip bite}

    본 발명은 전신(全身)과 치아 교합 안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갈이나 연하 운동(嚥下 運動, 입속에 있는 침, 음식물 등을 삼키는 동작) 등으로 인한 교합(交合)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치아를 보호하고 전신적으로 환추(atlas)와 축추(aixs)에 견인력의 발현으로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에 작용하여 이명, 비염, 편두통 등 전신질환을 완화시키고 접형골의 안정화로 안면 비대칭과 호르몬의 밸런스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교합 안정 장치(occlusal splint)를 제작하기 위해 이용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Metal strip bite)에 관한 것이다.

    교합 안정 장치(occlusal splint)란 구치부에 1.5mm~2mm 두께의 장치를 부여하여 잠잘 때나 운동시에 끼워서 치아를 보호하고 전신적으로 환추(atlas)와 축추(aixs)에 견인력의 발현으로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에 작용하여 이명, 비염, 편두통 등을 완화시키고 접형골의 안정화로 안면 비대칭과 호르몬의 밸런스에 영향을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교합 안정 장치는

    1) 이갈이가 심한 경우

    2) 교모가 심하며, 수면중 1분에 1회씩 하는 연하 운동시 과도한 힘을 받는 경우

    3) 치주 질환이 심한 경우

    4) 교합이 불안정하여 교정이나 보철 치료가 필요하나 사정상 여의치 않을 때

    5) 제1,2경추의 아탈구와 턱관절의 비틀임으로 인한 전신 증상이 있을 경우

    6) 교합의 변화로 인한 안면 비대칭이 있을 경우

    7) 턱관절의 통증, 개구장애, 개구잡음등이 있을 경우

    등에 사용되고 있다.

    통상 구강 치료 과정 예를 들어, 충치 치료, 보철 치료, 잇몸 치료 등이 끝난 환자들 중에서 이상적인 교합형태( , , )가 되지 않는 환자는 T-이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이상적인 교합 접촉점 즉, 동시다점 접촉( )을 만들려고 노력한다.

    이상적으로 구 치부가 측방 운동시 즉각 이 개 되고, 교합분포가 안정적인 경우에는 주기적인 교합검사와 치주질환 치료만 하면 된다.

    도 1은 전방유도( )의 중요성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전방유도( )란 아래턱의 동시 운동( )시에 입천장 면과 절단 연에 의해 조잘되는 턱 운동( )이다. 전방그룹운동( )은 측방운동 시에 전 치부에 가해지는 함()가 만약 여러 개의 전치가 동시에 접촉이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유래 된다. 그래서 견 치와 측정치 심지어는 가운뎃니까지 아래턱의 측방운동시에 동시 접촉이 되면서 운동을 유도() 하게 된다.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에는 이상적인 교합 형태를 갖지 못하므로, 이상적인 교합 형태보다 7~8배의 인한 교합력이 치아에 작용하여 저작 근육의 왜곡과 이로 인한 턱관절의 좌우 부조화로 인한 제1, 2경 추의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에 작용하여 여러 원인 불명의 전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제2경추()의 틀어짐은 뇌(brain)와 척추 136개의 근육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교합이 불안정한 경우 교합 안정 장치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도 2는 T-scan III 장치를 이용한 교합 조정 과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T-Scan III(Tekscan사 모델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교합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비정상적인 치아 맞물림을 0.01mm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T-Scan III 장치는 치아 배열 이상, 충치가 많이 생기는 경우, 잇몸 질환이 있는 경우, 턱관절 이상, 입이 안 벌어 지는 경우, 턱이 미끄러지는 느낌이 나는 경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최좌측은 측정 대상을 보이고, 가운데 그림은 측정 결과를 보이며 최우측은 T-Scan III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측정 결과는 가운데 그림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영역별 압력의 분포로 표시된다.

    교합 안정 장치는 인상채득, 바이트의 채득, 인상 고정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인상 채득 과정에서는 상악과 하악의 인상을 채득한다.

    바이트(bite, 맞물림) 채득 과정에서는 혀를 입천장에 댄 상태로 침을 삼키는 연하 운동 운련을 3~4회 시킨다. 그 후 교합 체크 왁스(왁스 바이트, wax bite)를 물린다.

    도 3은 종래의 왁스 바이트(wax bite)를 이용하여 바이트를 채득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이트에 의해 교두 감합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교합 안정 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공간을 부여하기 힘들며, 환자가 무는 힘에 따라 위치가 변하므로 정확한 바이트를 체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이트 체득이 용이한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심위(하악와 내에 하악과두가 생리적으로 적정한 위치에 있고 하악이 무리 없이 순수한 접번회전을 할 수 있을 때의 환자 고유의 하악의 기본위)로 관절이 이상적인 관계에서 치아를 이상적인 교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적의 교합 안정 장치 제작에 필요한 1.5~2mm의 공간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정확한 악관절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톱퍼 역할을 함으로써, 환자 맞춤형의 교합 안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는

    베이스를 이루는 제1왁스층;

    상기 제1왁스층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겹쳐 쌓아 올려서 형성된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 및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 상에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3왁스층;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들은 복수의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겹쳐 쌓아 올린 것으로서 총두께는 1.5~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알루미늄 메탈 스트립은 0.4~0.5mm 두께의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3장 겹쳐 쌓아 올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의 타공 구멍 크기는 0.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왁스층 그리고 제2 및 제3왁스층의 두께는 각각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교합 안정 장치를 제작할 경우, 중심위(하악와 내에 하악과두가 생리적으로 적정한 위치에 있고 하악이 무리 없이 순수한 접번회전을 할 수 있을 때의 환자 고유의 하악의 기본위)로 관절이 이상적인 관계에서 치아를 이상적인 교합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즉, 구치부는 한 포인트씩 균등하게 접촉하게 하고, 전치부는 견치 유도(Dot in back line in front)를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는 0.4~0.5mm 두께의 0.7mm 타공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3장 겹쳐서 파라핀 왁스를 입혀 1.5~2mm 두께로 제작되며, 최적의 교합 안정 장치 제작에 필요한 1.5~2mm의 공간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정확한 악관절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톱퍼 역할을 함으로써, 환자 맞춤형의 교합 안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전방유도(anterior guidance)의 중요성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T-scan III 장치를 이용한 교합 조정 과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종래의 왁스 바이트(wax bite)를 이용하여 바이트를 채득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에서 사용하는 타공 구멍 알루미늄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의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의 외관 및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에 의해 바이트(맞물림)를 채득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5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의 메탈 스트립 바이트 즉, 바이트를 채득한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교합 안정 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 치과에서 교합을 체득하기 위하여 현재 치과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파라핀 왁스 바이트(paraffin wax bite)이다.

    파라핀 왁스 바이트는 상하악을 자연스럽게 맞물리게 함으로써 교두감합위(centric occlusion)을 확인할 수 있지만, 변형이 심하여 모델을 교합기에 장착(mounting)하는 과정에서 변형이 많고 많은 오차를 유발한다.

    한편, 교합 안정 장치는 통상 2mm이상 어떤 경우에는 7mm로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턱관절에 유해하다. 예를 들어, 사람이 상하악을 연하운동(침을 삼키는 운동)을 한 다음 편하게 있으면, 상악과 하악에는 자유 공극(freeway space)이라는 공간 즉, 전치부에서 보았을 때 2~4mm의 공간이 생기는 데, 교합 안정 장치가 이보다 두꺼우면, 근육이 과도한 인장력을 받아 장기적으로 턱관절에 과도한 긴장을 유발하여 유해작용을 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교합 안정 장치의 두께가 1.5mm보다 적은 경우에도 턱관절을 늘려주는 인장력이 적게 발휘되어 효과가 적고 장치의 파절(破節)이라는 위험도 있다.

    따라서, 교합 안정 장치의 두께는 1.5mm~2mm정도의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중요한 데 파라핀 왁스로는 오차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어렵다.

    또한, 바이트와 인상 모형을 결합할 때, 파라핀 왁스 바이트를 사이에 두고 힘을 주어 눌러서 인상 모형을 고정하게 되는 데, 파라픽 왁스 특성상 재질이 물러서 잘못된 방향으로 결합이 되더라고 치과기공상 확인이 불가능하다. 또한, 그만큼 실제 치과에서 환자 장착시 오차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중심위(하악와 내에 하악과두가 생리적으로 적정한 위치에 있고 하악이 무리 없이 순수한 접번회전을 할 수 있을 때의 환자 고유의 하악의 기본위)를 인가했다 하더라고 교합 안정 장치의 제작 과정에서 임상에서 원하는 적정한 두께 (1.5mm~1.6mm)를 확보할 수 없으며, 임의적으로 교합기 확보를 위해 바이트의 두께를 올리게 되면 구치부의 교합면 두께가 2mm에서 심하게는 7mm까지 편차가 발생하며, 상하좌우 오차가 매우 크다.

    도 4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에서 사용하는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의 평가를 위하여 두께 0.4~5mm, 구멍 크기 0.7mm와 1.5mm의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도 4는 1.5mm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 및 0.7 mm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도시한다.

    실험1

    1.5mm(타공 구멍 크기)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 한 장을 가운데 두고 왁스를 상하로 씌운 후 바이트(맞물림)를 채득했을 때, 기존의 왁스 바이트(wax bite), 알루왁스 바이트(aluwax bite) 보다는 변형이 현저히 감소하였지만, 이 역시도 원하는 1.5mm~2mm 두께의 교합 안정 장치를 얻기에는 부족하였다.

    실험2

    1.5mm(타공 구멍 크기)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 두 장을 가운데 두고 왁스를 상하로 씌워서 바이트를 채득했을 때, 한 장을 이용했을 때보다는 조금 덜하지만 틀어짐이 있었고, 이 역시도 원하는 1.5mm~2mm 두께의 교합 안정 장치를 얻기에는 부족하였다.

    실험3

    1.5mm(타공 구멍 크기)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 세 장을 가운데 두고 왁스를 상하로 씌워서 바이트를 채득했을 때, 두께는 원하는 대로 나왔으나 타공 구멍 크기가 커서 교합력이 큰 사람들은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가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원하는 1.5mm~2mm 두께의 교합 안정 장치를 얻기에는 부족하였다.

    실험4

    0.7mm(타공 구멍 크기)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 두장에 왁스를 상하로 씌워서 바이트를 채득했을 때, 교합력이 큰 환자들의 경우에는 변형이 있고, 얻어지는 교합 안정 장치의 두께도 1mm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이 역시도 원하는 1.5mm~2mm 두께의 교합 안정 장치를 얻기에는 부족하였다.

    실험5

    0.7mm(타공 구멍 크기)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 세 장에 왁스를 상하로 씌워서 바이트를 채득했을 때, 교합력이 강한 환자의 경우에도 교합압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고 바이트가 정확하게 인가되며 적정 두께의 교합 안정 장치가 확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들을 표로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타공 구멍 크기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의 장수
    결과 비고
    1.5mm 1장 왁스 바이트(wax bite), 알루왁스 바이트(aluwax bite) 보다는 변형이 현저히 감소 부적절
    2장 한 장을 이용했을 때보다는 조금 덜하지만 틀어짐이 있음 부적절
    3장 두께는 원하는 대로 나왔으나 타공 구멍 크기가 커서 교합력이 큰 사람들은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가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 부적절
    0.7mm 2장 교합력이 큰 환자들의 경우에는 변형 부적절
    3장 교합력이 강한 환자의 경우에도 교합압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고 바이트가 정확하게 인가되며 적정 두께의 교합 안정 장치가 확보됨 적절

    또한, 타공 구멍이 없는 평판 1.5mm 알루미늄 바이트로 실험하여 보았지만, 왁스가 밀려서 교합 인가가 제대로 되지 않으며, 외면을 감싸고 있는 왁스와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분리됨으로써 바이트 변형이 될 수 있어서 부적절함을 확인하였다.

    구치부 1.5~2mm가 적당한 이유는 환자가 편안한 상태에서는 구치부 1.5~2mm 정도의 free way space가 있다. 교합 안정 장치의 두께가 1.5mm~2mm를 넘어서 4~5mm가 된 경우에는 턱관절에 너무 많은 인장력이 작용하여 불편하고 턱관절의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다.

    한편, 교합 안정 장치의 두께가 1.5~2mm보다 적을 경우에는 장치가 손쉽게 파절되고 효과도 적게 된다.

    따라서, 1.5~2mm 두께의 교합 안정 장치가 적절하다. 또한, 바이트(맞물림)를 채득할 때, 0.7mm 타공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3장 겹치고, 왁스를 상하에 입히면 자연스럽게 상악과 하악의 위치가 가정 편안한 이상적인 줌심위의 관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바이트(맞물림)를 득하게 되므로, 이상적인 중심위의 관계를 가지는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의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400)는 베이스를 이루는 제1왁스층(402), 제1왁스층(402) 상에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겹쳐 쌓아 올려서 형성된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 상에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3왁스층(406a, 406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들은 0.4~0.5mm 두께의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겹쳐 쌓아 올린 것으로서 총두께는 1.5~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는 각각 3장의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3장 쌓아 올려놓는 것이며, 타공 구멍 크기는 0.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왁스층(402), 제2 및 제3왁스층(406a, 406b)의 두께는 각각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의 외관 및 타공 구멍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얻어진 바이트(맞물림)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메탈 스트립 바이트(400) 속에 들어 있는 제1 및 제2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의 두께는 1.5~2mm로서 교합 안정 장치 제작시 필요한 공간 1.5~2mm를 부여하는 한편, 정확한 악관절 관계가 위치할 수 있도록 스톱퍼(stopper) 역할을 수행한다.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은 양쪽 열의 치아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며, 두 개의 알루미늄 메탈 스트립(404a, 404b) 사이의 이격된 부분은 앞니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장치를 상악과 하악 사이에 삽입하고 상악과 하악을 맞물리게 하여 바이트(맞물림)을 측정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에 의해 바이트(맞물림)를 채득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바이트를 채득할 경우 중심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교합 안정 장치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공간을 쉽게 확보 가능하며, 환자 다루기가 쉽고 구강 내의 고경 차이를 그대로 교합기 상에 재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의 메탈 스트립 바이트 즉, 바이트를 채득한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교합 안정 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바이트를 채득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기의 안궁 천이(face bow transfer)를 시행하여 상악 모델을 장착한다.

    구강내의 악관절 각도를 안궁(face bow)를 이용하여 교합기에 트랜스퍼(transfer)하여 악관절의 각도를 그대로 재현한다. 이는 보다 정밀한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합기에 하악 모델을 장착한다. 여기서는,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하악 모델을 장착(mounting)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것은 치과 기공용 서베이어(surveyor)이다.

    이어서, 도 11에 도시되는 서베이어를 사용하여 교합 안정 장치를 장착할 환자의 치아 모형에 대한 서베이(survey) 작업을 수행한다.

    치과기공용 서베이어를 이용하여 교합 안정 장치를 장착할 환자의 치아 모형과 장치물에 대한 적정한 삽입로(넣고 뺄수 있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치아 모형을 치과기공용 서베이어 테이블에 두고 위에서 봤을 때 치아 언더컷 왁스(undercut wax),fh 채워 완성된 장치가 원활하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는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서베이 작업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서베이를 하지 않고 그냥 작업했을 경우, 구강내 장착시 장치가 잘 들어가지 않아 장착에 어려움을 격을 수 있다.

    2) 구강내에 장치를 장착했다 하더라도 특정 위치와 특정 치아 부위에 과도한 압이 형성되어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수 있다.

    3) 교합 안정 장치 내면이 치아의 특정 부위를 계속 압박하고 있으면, 그 위로부터 교정력이 발휘되어 치아가 돌아가고 환자는 통증을 호소한다.

    4) 당장은 통증을 호소하지 않더라도, 수면시간 동안(약 8시간 동안) 계속된 치아에 대한 압력으로 아침에 일어나면 치아에 대한 통증을 호소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치아모형 스플린트 내면에 대한 서베이 작업을 하여 가장 이상적인 구강내 장착을 유도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통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서베이 작업을 도식적으로 보인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찰 대상이 되는 치아의 함몰 부위 즉, 치아와 잇몸 사이의 언더컷(undercut) 부위를 서베이어 가이드 핀(surveyor guide pin)을 이용하여 관찰한다.

    관찰 결과, 교합 안정 장치의 구강내 삽입과 철거 및 보철물의 유지력 조절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지 및 중합기를 이용하여 교합 안정 장치를 제작한다. 도 13의 오른쪽 그림에서 치아 모형 및 교합 안정 장치가 도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교합 안정 장치를 다듬고 바이트를 체크하는 것이 도시된다.

    바이트 체크시에는 모든 치아가 한 포인트(point)가 닿도록 체크하고, 측방 운동시 견치유도(canine guidance)를 확인한다.

    교합 확인시에는, 양측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교합지를 선택한다. 80과 40 마이크론 두께의 교합지를 선택하여 확인 작업한다. 편측 교합 체크시에는 환자가 정확한 교두감합위(편안한 상하악 맞물림 상태)의 위치를 물지 못하지 때문에 가급적 양측을 한번에 체크한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마제를 이용하여 마무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를 이용하여 교합 안정 장치를 제작할 경우, 중심위로 관절이 이상적인 관계에서 치아를 이상적인 교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구치부는 한 포인트씩 균등하게 접촉하게 하고, 전치부는 견치 유도(Dot in back line in front)를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스트립 바이트는 0.4~0.5mm 두께의 0.7mm 타공 알루미늄 메탈 바이트를 3작 겹쳐서 파라핀 왁스를 입혀 1.5~2mm 두께로 제작되며, 최적의 교합 안정 장치 제작에 필요한 1.5~2mm의 공간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정확한 악관절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톱퍼 역할을 함으로써, 환자 맞춤형의 교합 안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교합 안정 장치는 교합의 변화 즉, 교합 간섭으로 야기되는 치주질환, 교모, 치아 파절, 치경부 마모증 등 교? 질환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교합 안정 장치는 교합의 변화로 나타나는 좌우 특관절의 비대칭과 제1,2경추의 아탈구로 인한 편두통, 이면, 비염, 고혈압, 디스크 등 원인불명의 전신질환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교합 안정 장치는 마모와 교합 간섭으로 인하여 외측익돌근과 내측익돌근의 틀어짐으로 인한 22개로 구성된 두개골의 제일 중심부에 위치하는 접형골의 비틀림으로 야기되는 안면 비대칭과 호르몬의 밸런스를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교합 안정 장치의 착용과 더불어 척추의 바른 자세와 바른 걷기와 올바른 복식 호흡, 올바를 식생활, 긍정적인 마음이 인체의 면역에 중요하다.

    누구나 하루에도 400개에서 1만개 정도의 암세포가 매일 매일 생기나 면역에 의해 이겨내게 된다. 면역에서 제일 중요한 자율신경의 조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척추와 호르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두개골을 교합 안정 장치로 회복시켜 줌으로써 면역력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400...메탈 스트립 바이트
    402...제1왁스층
    404a,404b...알루미늄 메탈 스트립
    406a...제2왁스층 406b...제3왁스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