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교정장치

申请号 KR1020130136611 申请日 2013-11-12 公开(公告)号 KR101485555B1 公开(公告)日 2015-01-23
申请人 이성완; 发明人 이성완;
摘要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장치에 있어서, 앞니에 대응하는 전방아치부와, 상기 전방아치부로부터 상호 대향하여 연장되며 어금니 영역에 대응하는 한 쌍의 후방레그부를 각각 갖는 상부치아지지체 및 하부치아지지체와; 상기 상부치아지지체 및 상기 하부치아지지체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 및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피봇 및 하부피봇과;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을 간격 조절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상하 치아지지체의 상대 수평 이동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턱관절 교정장치에 있어서,
    앞니에 대응하는 전방아치부와, 상기 전방아치부로부터 상호 대향하여 연장되며 어금니 영역에 대응하는 한 쌍의 후방레그부를 각각 갖는 상부치아지지체 및 하부치아지지체와;
    상기 상부치아지지체 및 상기 하부치아지지체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 및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피봇 및 하부피봇과;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을 간격 조절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단부 영역에 조절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피봇과 상기 하부피봇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절나사부에 대응하는 물림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은 상기 후방레그부에 상호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은 구형표면을 가지며, 상기 각 치아지지체에는 상기 피봇들의 구형표면에 대응하는 구형표면을 가지고 상기 피봇들이 회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피봇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 영역에 상호 반대 방향의 나선을 갖는 숫나사로 형성되며, 상기 물림나사부는 상기 상부피봇과 상기 하부피봇 각각에 상기 조절나사부에 대응하여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암나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조작을 위한 드라이버홈을 가지며, 상기 물림나사부는 드라이버 삽입을 위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물림나사부의 축선에 대한 회전 멈춤을 위한 멈춤돌기를 가지며, 상기 후방레그부에는 상기 멈춤돌기와 맞물려 상기 물림나사부의 축선에 대한 회전 멈춤을 가능하게 하는 멈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영역에 회전조작을 위한 회전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 说明书全文

    턱관절 교정장치 {ADJUSTABLE ORTHOPEDIC DENTAL APPLIANCES FOR TEMPOROMANDIBULAR JION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정교합은 상부치아와 하부치아 간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 심미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은 주로 턱관절의 교합이 어긋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바로잡기 위한 조절이 필요하다.

    이러한 턱관절의 교합을 조절하기 위해 종래에는 개별적으로 치아지지체를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점진적인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제안된 발명도 존재한다. 그러나 미세 조절가능한 치아지지체 기구는 상하 치아지지체 간의 상대적 수평 이동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치아지지체의 상대 수평 이동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턱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턱관절 교정장치에 있어서, 앞니에 대응하는 전방아치부와, 상기 전방아치부로부터 상호 대향하여 연장되며 어금니 영역에 대응하는 한 쌍의 후방레그부를 각각 갖는 상부치아지지체 및 하부치아지지체와; 상기 상부치아지지체 및 상기 하부치아지지체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 및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피봇 및 하부피봇과;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을 간격 조절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은 상기 후방레그부에 상호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은 구형표면을 가지며, 상기 각 치아지지체에는 상기 피봇들의 구형표면에 대응하는 구형표면을 가지고 상기 피봇들이 회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피봇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단부 영역에 조절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피봇과 상기 하부피봇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절나사부에 대응하는 물림나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부 영역에 상호 반대 방향의 나선을 갖는 숫나사 조절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피봇과 상기 하부피봇은 각각 상기 조절나사부에 대응하여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암나사 물림나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조작을 위한 드라이버홈을 가지며, 상기 물림나사부는 드라이버 삽입을 위해 관통형성되며, 상기 상부피봇 및 상기 하부피봇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물림나사부의 축선에 대한 회전 멈춤을 위한 멈춤돌기를 가지며, 상기 후방레그부에는 상기 멈춤돌기와 맞물려 상기 물림나사부의 축선에 대한 회전 멈춤을 가능하게 하는 멈춤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영역에 회전조작을 위한 회전노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하 치아지지체의 상대 수평 이동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피봇과 연결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치아지지체의 상대 수평 이동에 따른 피봇과 연결부재의 상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과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과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관절 교정장치는 상부치아지지체(100) 및 하부치아지지체(200)와, 이들에 결합된 상부피봇(300a) 및 하부피봇(400a)과,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00a)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치아지지체(100)에는 앞니에 대응하는 전방아치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아치부(110)는 상방 및 후방으로 플랜지가 연장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의해 앞니를 지지한다. 전방아치부(110)와 결합된 한 쌍의 후방레그부(120)는 전방아치부(110)로부터 상호 대향하여 연장되며 어금니 영역에 대응된다.

    상부치아지지체(100)와 대면하는 하부치아지지체(200)는 상부치아지지체(100)와 마찬가지로 전방아치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아치부(210)는 하방 및 후방으로 플랜지가 연장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앞니를 지지하며, 전방아치부(210)로부터 상호 대향하여 연장되며 어금니 영역에 대응하는 한 쌍의 후방레그부(220)가 연결되어 있다.

    후방레그부(120, 220)에는 각각 상부피봇(300a) 및 하부피봇(400a)이 결합되어 있다.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은 전후 및 좌우 모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은 전후로만 회동하거나 좌우로만 회동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부치아지지체(100) 및 하부치아지지체(200)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치아지지체(100, 200)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중사출 될 수 있다. 치아지지체(100, 200)에 연질의 재료를 둘러쌀 경우 치아지지체(100, 200)가 치아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질의 재료는 치아지지체(100, 200) 전체를 둘러싸거나 혹은 일부만 둘러싸도록 사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치아지지체(100) 및 하부치아지지체(200)는 와이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조될 경우 와이어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앞니를 고정하며, 후방에는 후방레그부(120, 220)와 마찬가지로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이 결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은 구형의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후방레그부(120)는 각 피봇(300a, 400a)에 대응하는 구형표면을 가지며, 후방레그부(120, 220)에는 각 피봇(300a, 400a)에 대응하는 구형표현을 가진 각각의 피봇수용부(121, 221)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하며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500a)가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500a)는 나사산이 형성된 숫나사형태의 조절나사부(510a, 520a)를 가지며,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에는 각각 조절나사부(510a, 520a)에 대응하는 암나사형태의 물림나사부(310a, 410a)를 갖는다. 조절나사부(510a, 520a)는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이 결합되는 부분의 나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물림나사부(310a, 410a)는 이에 맞춰 형성되어 있다. 조절나사부(510a, 520a)의 나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연결부재(500a)를 회전시키면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이 서로 근접해지거나 서로 이격된다. 즉 연결부재(500a)를 회전시켜 상부피봇(300a)이 연결부재(500a)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나선이 반대방향인 연결부재(500a)와 결합된 하부피봇(400a)은 연결부재(500a)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은 근접해지며 연결부재(500a)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부피봇(300a)은 상부로, 하부피봇(400a)은 하부로 이동하여 서로 멀어지도록 이격된다.

    연결부재(500a)를 회전하기 위해 조절나사부(510a)의 상단부에는 드라이버홈(530a)이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버홈(530a)에 드라이버를 끼운 후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면 연결부재(500a)가 축선에 대해 회전하여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드라이버홈(530a)은 하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에 모두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홈을 선택하여 연결부재(50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절나사부(510a)는 드라이버홈(530a)으로 드라이버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피봇(300a) 및 하부피봇(40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500a)를 회전하기 위해 연결부재(500a)의 중앙영역에는 회전노브(540a)를 가진다. 회전노브(540a)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드라이버 없이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노브(540a)를 돌려 연결부재(50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에는 조절나사부(510a, 520a)가 축선에 대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제 위치를 멈춤 유지하기 위해 멈춤돌기(320a, 420a)를 가진다. 또한 후방레그부(120, 220)에는 멈춤돌기(320a, 420a)와 맞물려 조절나사부(510a, 520a)의 축선에 대한 회전 멈춤을 가능하게 하는 멈춤부(122, 222)가 형성되어 있다. 멈춤돌기(320a, 420a)는 멈춤부(122, 222)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연결부재(500a)가 아닌 피봇(300a, 400a)을 회전시켜 상부치아지지체(100)와 하부치아지지체(200)의 간격을 조절할 경우에는 멈춤돌기(320a, 420a)와 멈춤부(122, 222)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의 조절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상부치아지지체(100)가 하부치아지지체(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턱이 상부턱에 비해 후방으로 후퇴된 부정교합 환자의 초기 조절을 위한 셋팅에 해당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부피봇(300a) 및 하부피봇(400a)과 결합된 연결부재(500a)의 경사와 높이 조절이 필요하면 상부치아지지체(100)와 하부치아지지체(200)는 피봇결합이 되어있기 때문에 연결부재(500a)의 각도를 조절하여 치아지지체(100, 200)의 수평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b는 좌우 턱관절의 높이가 상이한 부정교합 환자의 초기 조절을 위한 셋팅에 해당한 것으로 연결부재(500a)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하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500a)의 회전노브(540a)를 이용하여 왼쪽과 같이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을 이격시키거나, 오른쪽과 같이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을 근접하도록 조절하여 부정교합 환자의 턱에 맞도록 셋팅한다.

    도 3a 혹은 도 3b와 같은 셋팅을 위해 상하부 치아지지체(100, 200)의 다른 영역에 그러한 셋팅의 안정된 유지 혹은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유지기구나 조절기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유지기구는 블록이나 클립 등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조절기구는 나사나 캠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기구나 조절기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본 발명과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부피봇(300a)과 하부피봇(400a) 및 연결부재(500a)로 이루어진 조절메커니즘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하 치아지지체(100, 200)의 후방레그부(120, 220)에 설치되어 있지만, 동일한 조절 메커니즘이 치아지지체(100, 200)의 다른 영역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이 조절메커니즘이 전방아치부(110, 210)의 중앙영역에 설치되면, 상하부 치아지지체(100, 200)의 상대적인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하부 치아지지체(100, 200) 간의 간격을 벌리거나 오므림으로써 턱의 벌림 운동 교정이나 수평 부조화를 교정할 수 있다.

    턱관절 교정장치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상부피봇(300b)은 구 형태로, 하부피봇(400b)은 원통형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이들은 조절나사부(510b)와 회전노브(520b)를 포함하는 연결부재(500b)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부피봇(300b)은 구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후 또는 좌우 방향 모두 회동 가능하다. 하부피봇(400b)은 전방의 스프링(410b)과 후방의 볼트(420b)에 의해 나사를 조절하여 전후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며 좌우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다. 볼트의 단부에는 볼트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손잡이(421b)가 구비되어 있다.

    도 4b와 같이 상부피봇(300c)과 하부피봇(400c)이 모두 원통형을 가지며 치아지지체(100, 200)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후방레그부(120, 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피봇(300c)과 하부피봇(400c)이 조절나사부(510c)와 회전노브(520c)를 포함하는 연결부재(500c)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부피봇(300c) 및 하부피봇(400c)은 축방향에 대해 회전하기 때문에 전후방향으로는 조절이 불가능하고 오직 좌우방향으로만 회동된다.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상하 치아지지체(100, 200)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방향으로는 고정되고, 좌우방향으로만 치아지지체(100, 200)를 조절해야하는 환자들에게 필요하다.

    도 4c는 도 4b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의 상부피봇(300d)과 하부피봇(400d)이 후방레그부(120, 220)의 길이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조절나사부(510d)와 회전노브(520d)를 포함하는 연결부재(500d)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는 좌우방향은 고정되어 있고, 전후방향으로만 치아지지체(100, 200)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환자의 경우에 사용된다.

    상부피봇(300a) 및 하부피봇(400a)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피봇(300e)에는 암나사 형태의 물림나사부(310e)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림나사부(310e)에 대응하는 연결부재(500e)의 영역에는 조절나사부(510e)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500e)는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하부피봇(400e)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절나사부(510e)의 상단부에는 드라이버홈(520e)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드라이버홈(410e)은 하부피봇(400e)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500e)의 상단부의 드라이버홈(520e)에 드라이버를 끼워 축방향 회전을 시키거나 하부피봇(400e)의 드라이버홈을 이용하여 축방향 회전을 시켜 상부피봇(300e)과 하부피봇(400e)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b는 상부피봇(300f)과 하부피봇(400f)으로부터 조절나사부(510f, 520f)를 갖는 연결부재(500f)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부피봇(300f)과 하부피봇(400f)의 단부에는 드라이버홈(310f, 410f)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절나사부(510f, 520f)는 반대방향의 나선을 가진다. 상부피봇(300f)의 드라이버홈(310f)을 통해 상부피봇(300f)을 축방향 회전시킬 경우 상부피봇(300f)만 위치변동이 생기며 상부피봇(300f)과 연결되지 않은 하부피봇(400f)은 위치변동이 없다. 하부피봇(400f)을 회전시킬 경우 마찬가지로 하부피봇(400f)만 움직이게 된다. 각 연결부재(500f)는 물림나사부(530f)를 갖는 회전노브(540f)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노브(540f)를 회전시키게 되면 다른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조절나사부(510f, 520f)에 의해 상부피봇(300f)과 하부피봇(400f)이 함께 회전하게 되어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되게 된다.

    도 5c는 상부피봇(300g) 및 하부피봇(400g)으로부터 일체로 물림나사부(310g, 410g)가 연장되며, 각 물림나사부(310g, 410g)는 연결부재(500g)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재(500g)의 상부는 상부피봇(300g)에 대응하도록 조절나사부(510g)를 가지며, 연결부재(500g)의 하부는 하부피봇(400g)에 대응하며 상부피봇(300g)의 조절나사부(510g)와 반대 나선 형태의 조절나사부(520g)를 가진다. 상부피봇(300g)과 하부피봇(400g)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부피봇(300g) 및 하부피봇(400g)에 형성된 드라이버홈(320g, 420g)을 이용하여 각 피봇(300g, 400g)을 회전시키거나, 연결부재(500g) 중앙영역에 회전조작을 위한 회전노브(530g)를 조절하여 연결부재(500g)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도 5d는 도 5b와 같이 상부피봇(300h)과 하부피봇(400h)으로부터 조절나사부(510h, 520h)를 갖는 연결부재(500h)가 연장형성 되어있으며, 각 조절나사부(510h, 520h)의 단부에는 베벨기어 형식의 조절단부(511h, 521h)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조절단부(511h, 521h)와 맞물려 조절나사부(510h, 520h)가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하기 위한 조절부재(530h)가 있으며, 사용자가 조절부재(530h)를 돌려 조절나사부(510h, 520h)의 간격을 조절한다. 조절부재(530h)를 안쪽으로 밀면서 회전시키면 조절나사부(510h, 520h)가 서로 이격되고, 조절부재(530h)를 바깥으로 빼면서 회전시키면 조절나사부(510h, 520h)가 서로 근접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조절부재(530h)를 이용하지 않고 상부피봇(300h)과 하부피봇(400h)의 단부에 존재하는 드라이버홈(310h, 410h)을 이용하여 조절나사부(510h, 520h)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진 턱관절 교정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치아 위치에 맞춰 상부치아지지체(100)와 하부치아지지체(200) 간의 상대 수평 이동 및 높이를 조절하여 턱관절을 교정 가능하다.

    100: 상부치아지지체
    110, 210: 전방아치부
    120, 220: 후방레그부
    121, 221: 피봇수용부
    122, 222: 멈춤부
    200: 하부치아지지체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상부피봇
    310a, 310e, 310g, 410a, 410g, 530f: 물림나사부
    320a, 420a : 멈춤돌기
    310f, 310h, 320g, 410e, 410f, 410h, 420g, 520e, 530a: 드라이버홈
    400a, 400b, 400c, 400d, 400e, 400f, 400g, 400h: 하부피봇
    410b: 스프링
    420b: 볼트
    421b: 손잡이
    500a, 500b, 500c, 500d, 500e, 500f, 500g, 500h: 연결부재
    510a, 510b, 510c, 510d, 510e, 510h, 520f, 520a, 520f, 520h: 조절나사부
    511h, 521h: 조절단부
    520b, 520c, 520d, 530g, 540a, 540f: 회전노브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