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교합 안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130109938 申请日 2013-09-12 公开(公告)号 KR101439978B1 公开(公告)日 2014-09-12
申请人 이상재; 发明人 이상재;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tabiliz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occlusion for stabiliz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by moving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o a comfortable position if a user has a temporomandibular joint disability or illness, especially, which is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can be used without side effects of a position of a denture becoming altered by making an occlusion surface formed in shapes of an upper and lower jaw denture of the user. To this end, the apparatus for stabiliz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occlusion includes: a lip cover and a tongue cover provided at front and rear parts of an occlusion surface and having a round shape suitable for upper and lower jaw denture; an upper jaw denture inserting part provided higher than the occlusion surface; a lower jaw denture inserting part provided lower than the occlusion surface; a storing space, in which a filler including a thermoplastic resin is filled, provided at an inner part of the occlusion surface; and a hard central incisor masticatory piece provided at the occlusion surface at which the central incisor is positioned, to separate the storage space at an inner part of the occlusion surface to the left and right. The apparatus for stabiliz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occlusion is inserted into a mouth and heated, and then the central incisor masticatory piece is bitten by a central incisor to obtain the apparatus for stabiliz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occlusion in an optimal state.
权利要求
  • 중앙격판(20) 전후면에 순측커버(30)와 설측커버(40)를 구성하여, 그 사이에 상부교합면(50)이 형성된 상악치열삽입부(60)와, 하부교합면(50')이 형성된 하악치열삽입부(60')가 형성되게 한 턱관절 교합안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격판(20)에 구성된 상하부교합면(50)(50') 중앙에 경질의 중절치저작편(53)을 구성하고, 상기 중절치저작편(53)을 제외한 나머지 양측 중앙격판(20) 내면에는 수장실(54)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54)에 열가소성 수지로 된 충진물(55)이 채워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합안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중앙격판(20) 전면에 구성된 순측커버(30)에 관통공(56)을 구성하되, 상기 관통공(56)은 중절치 저작편(53) 직상부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관통공(56)에 높이조정핀(57)이 끼워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합안정장치.
  • 중앙격판(20) 전후면에 순측커버(30)와 설측커버(40)를 구성하여, 그 사이에 상부교합면(50)이 형성된 상악치열삽입부(60)와, 하부교합면(50')이 형성된 하악치열삽입부(60')가 형성되게 한 턱관절 교합안정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앙격판(20)에 구성된 상하부교합면(50)(50') 중앙에 경질의 중절치저작편(53)을 구성하고, 상기 중절치저작편(53)을 제외한 나머지 양측 중앙격판(20) 내면에는 수장실(54)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54)에 열가소성 수지로 된 충진물(55)이 채워지게 하여 턱관절 교합안정장치(10)를 구성하고, 상기 교합안정장치(10)를 뜨거운 물(수장실에 채워진 충진물이 가소성상태가 되는 온도)에 담궈 수장실(54)에 채워진 충진물(55)이 가소성 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교합안정장치(10)를 입안에 넣은 다음 중절치(80)로 중절치저작편(53)을 물어 상하악어 금니(90)들이 중앙격판(20) 내면, 수장실(54)에 채워진 충진물(55)을 가압하여 상하부교합면(50)(50')에 상하부수정교합면(50-1)(50'-1)이 인기되게 한 다음 냉각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합안정장치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턱관절 교합 안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TEMPOROMANDIBULAR JOINT STABILIZATION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턱관절 교합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턱관절에 장애 혹은 질환이 있는 경우 턱관절을 편안한 위치로 이동되게 하여 안정시켜 주되, 특히 턱관절 교합 안정장치의 제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상하악치열이 그대로 인기된 상태의 교합면이 만들어지게 하여 치열의 위치가 변화되는 부작용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턱관절은 얼굴뼈의 상악과 하악이 만나는 부분의 관절로서, 입을 벌리고 닫을때 움직이는 축을 이루며, 많은 뇌신경이 지나가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턱관절의 교합불균형은 신체에 여러형태의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턱관절의 교합불균형 원인은 저작습관이나 외상 등 여러 요인이 있으나, 주로 편측 저작습관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며, 턱관절의 교합불균형을 치유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수단들이 제공된바 있다.

    턱관절의 교합안정장치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414615호 "뇌척추 교정용 음양균형장치"(특허문헌 1)와, 특허등록 제10-883168호 "턱관절 보호기구"(특허문헌 2)와, 실용신안등록 제20-463108호 "2단가드형 턱관절 균형장치"(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뇌척추를 이루는 상악과 하악 사이로 정해진 두께를 갖는 교합측정지를 물게하여 소요된 교합측정지의 양으로 측정된 하악의 상하와 수평의 위치변수에 따란 불균형의 정도를 알아내고, 그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뇌척추 교정용 음양균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은 치아가 안착되도록 U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할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고, 혀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혀를 중앙에 안착시키는 혀 움직임수단을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특허문헌 3의 구성을 검토하여 보면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제1내측가드,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 내측을 지지하는 제2내측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내측가드 및 외측가드는 치아의 견치가 안착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자리의 높이가 중앙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2단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가드는 상기 제2내측가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내측가드의 높이보다 높거나 동일하게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상하악의 중절치와 측절치 및 견치에 면접하는 요면이 형성된 제1균형장치를 형성하고, 다시 상하악의 소구치 및 대구치에 면접하는 요면이 형성된 한쌍의 제2균형장치를 형성한 다음 제1균형장치 양측 단부에 제2균형장치를 조립한 구조로서 음양균형장치의 제작과정이 다소 복잡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경우 턱관절의 교합을 안정시키기 위한 균형장치가 제작시부터 형상이 고정된 것이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턱관절 상태에 최적의 조건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초기에는 턱관절의 교합을 띄워주기 때문에 압력이 감소하면서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시켜 줄 수는 있겠으나, 안정된 위치의 이동이 아니므로 계속 사용시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키게 될 뿐 아니라 치열의 변형이 동반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414615호 "뇌척추 교정용 음양균형장치"

    특허등록 제10-883168호 "턱관절 보호기구"

    실용신안등록 제20-463108호 "2단가드형 턱관절 균형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시정하고자 턱관절 안정교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작이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특히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열교합면이 그대로 인기되게 하여 치열의 변형없이 턱관절이 편안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여 턱관절 교합 불안정으로 인한 신체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턱관절 교합 안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교합면 전후방 순측커버와 설측커버를 상하악 치열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구성하여, 교합면을 기준으로 상부에 상악치열 삽입부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하악치열 삽입부를 구성하되, 교합면 내측에는 수장실을 구성하여, 열가소성 수지로 된 충진물을 충진하고, 중절치가 위치하는 교합면에는 경질의 중절치 저작편을 구성하여 교합면 내측에 구성된 수장실이 좌우격리되게 하고, 상기한 구성의 교합안정장치를 가열한 다음 입안에 넣고 중절치로 중절치 저작편을 편안하게 물면 사용자에게 최적한 상태의 교합안정장치가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턱관절 교합안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교합면 내측에 수장실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에 열가소성 수지로 된 충진물을 채운 다음 뜨거운 물에 담구어 충진물이 가소성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교합안정장치를 입안에 넣고 가볍게 물어 사용자의 상하치열형태가 교합면에 인기되게 하고, 상기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하여 턱관절의 안정적인 교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교합안정장치의 제작이 신속간편할 뿐 아니라 치열의 변형없이 턱관절이 편안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여 턱관절 교합 불안정으로 인한 신체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저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횡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종단면구성도
    도 6 : 도 5의 상태에서 중절치로 저작편을 문 상태도
    도 7 : 본 발명의 교합안정장치의 어금니 교합면 부분의 단면구성도
    도 8 : 도 7의 상태에서 어금니를 위치시킨 상태도
    도 9 : 도 8의 상태에서 어금니로 문 상태도
    도 10 : 도 9의 상태에서 어금니를 분리시킨 상태도
    도 11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턱관절 교합안정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교합안정장치(10)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중앙격판(20)을 중심으로 전후면에 순측커버(30)와 설측커버(40)를 원호형으로 구성하여, 중앙격판(20) 상부에 상부교합면(50)이 형성된 상악치열 삽입부(60)를 구성하고, 하부에 하부교합면(50')이 형성된 하악치열 삽입부(60')를 구성한다.

    상기에서 상하부교합면(50)(50')은 치열의 형상으로 원호형으로 구성하되,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상하악의 크기에 따라 선택사용할 수 있게 하며, 순측커버(30)는 대체로 수직으로 반듯하게 구성하고, 설측커버(40)는 곡선형으로 구성한다.

    중앙격판(20)에 구성되는 상하부교합면(50)(50') 중앙부에는 상부중절치교합면(51)과 하부중철치교합면(51')을 구성하고, 양측부에는 상부어금니교합면(52)과 하부어금니교합면(52')을 구성한다.

    또한 상하부중절치교합면(51)(51') 중앙에는 경질로 구성된 중절치저작편(53)을 구성하고, 중절치저작편(53)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수장실(54)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54)에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수지 충진물(55)을 충진한다.

    충진물(55)이 채워지는 수장실(54)은 중절치저작편(53)을 제외한 나머지 상하부교합면(50)(50')에 위치되게 한다.

    필요한 경우 중절치저작편(53) 직상부에 위치하는 순측커버(30)에 관통공(56)을 뚫고, 상기 관통공(56)에 높이조정핀(57)을 끼워 중절치저작편(53)의 기능을 높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교합안정장치(10)를 사용자의 턱관절에 맞게 상하악치열의 인상을 뜨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합안정장치(10)를 뜨거운 물(수장실에 채워진 충진물의 물성이 변하여 가소성이 되는 정도의 온도)에 담궈 수장실(54)에 채워진 충진물(55)의 물성을 변화시켜 가소성화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의 교합안정장치(10)를 입안에 넣은 다음 상하악치열들이 상하악치열삽입부(60)(60') 상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하악에 위치하는 중절치(80)로 중절치저작편(53)을 편안하게 물면 나머지 상하악의 어금니(90)들은 상하부어금니교합면(52)(52')을 물게 된다.

    상하부어금니(90)들이 상하부어금니교합면(52)(52')을 물게 되면, 수장실(54)에 채워진 충진물(55)이 상하부치열의 형상으로 가압되면서 상하부치열의 형상이 상하부교합면(50)(50')에 인기된 상하부수정교합면(50-1)(50'-1)이 형성된다.

    상기한 상태로 교합안정장치(10)를 그대로 물고 있으며, 수장실(54)에 채워진 충진물(55)이 냉각되면서 경화되어, 상하악치열의 형상이 상하부교합면(50)(50')에 인기된 상태의 교합안정장치(10)가 얻어지게 된다.

    이때 수장실(54)에 채워진 충진물(55)은 고열에 의해 매우 유연한 가소성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하부치열의 어금니(90) 부분이 상하부교합면(50)을 물때 저작력에 저항을 주지 않아 턱관절이 편안한 상태로 위치되게 한다.

    상기에서 상하부치열로 상하부교합면(50)(50')을 무는 과정에서 수장실(54)에 채워진 충진물(55)에 저항이 유발되면 턱관절근육의 수축이 일어나게 되어 턱관절이 편위되므로 반드시 저항이 없는 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하악중절치(80)로 상하부교합면(50)(50') 중앙에 위치하는 중절치저작편(53)을 편안하게 물게 하면 양쪽의 턱근육은 동시에 작용하게 되어 어느 한쪽으로 편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하악중절치(80)로 중절치저작편(53)을 무는 과정에서 사람마다 물리는 두께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순측커버(30)에 뚫린 관통공(56)에 높이조정핀(57)을 끼워 중절치저작편(53)을 무는 두께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높이조정핀(57)의 직경은 다양하게 준비하였다가 적합한 것을 선택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교합안정장치(10)는 제작과정에서 사용자가 상하악중절치(80)로 중절치저작편(53)을 편안한 상태로 물면 턱근육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어 어느 한쪽으로 편위되는 현상이 없을 뿐 아니라, 상하부교합면(50)(50')에 구성된 상하부중절치교합면(51)(51') 및 상하부어금니교합면(52)(52')에 상하악의 치열의 형상이 그대로 인기된 상태이므로 사용중 치열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턱관절 교합안정장치는 별어려움없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턱관절 안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교합안정장치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턱관절에 장애 혹은 질환이 있는 경우 교합안정장치(10)를 물고 있으면 턱관절을 편안한 위치로 이동되게 하여 안정시켜 주게 되므로 턱관절 교합 불안정으로 인한 신체의 불안정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0)--교합안정장치 (20)--중앙격판
    (30)--순측커버 (40)--설측커버
    (50)--상부교합면 (50')--하부교합면
    (50-1)--상부수정교합면 (50'-1)--하부수정교합면
    (51)--상부중절치교합면 (51')--하부중절치교합면
    (52)--상부어금니교합면 (52')--하부어금니교합면
    (53)--중절치저작편 (54)--수장실
    (55)--충진물 (56)--관통공
    (57)--높이조정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