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申请号 KR1020140079706 申请日 2014-06-27 公开(公告)号 KR1020150024245A 公开(公告)日 2015-03-06
申请人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문원; 发明人 문원;
摘要 본 발명은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본체, 한 쌍의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 한 쌍의 본체에 양 측이 삽입되며, 본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확장 스크류와 일체로 형성되는 키 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악에 식립되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안내하는 스크류 삽입홀을 구비하는 스크류 삽입부, 일단은 본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치아를 향해 뻗어있는 암 및 암과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한 쌍의 본체;
    한 쌍의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
    한 쌍의 본체에 양 측이 삽입되며, 본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확장 스크류와 일체로 형성되는 키 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악에 식립되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안내하는 스크류 삽입홀을 구비하는 스크류 삽입부;
    일단은 본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치아를 향해 뻗어있는 암; 및
    암과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스크류 삽입부의 높이는 1.5~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확장 스크류, 가이드 레일, 암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삽입홀과 스크류 홀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한 쌍의 본체;
    한 쌍의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
    한 쌍의 본체에 양 측이 삽입되며, 본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확장 스크류의 그루브를 관통하는 키 홀;
    확장 스크류의 회전 시에 키 홀 내에 삽입되어 확장 스크류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일단은 본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치아를 향해 뻗어있는 암; 및
    암과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한 쌍의 고리를 구비하여,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며,
    돌기는 한 쌍의 고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확장 스크류는, 플레이트의 일부가 삽입되는 그루브을 구비하며,
    플레이트는 그루브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삽입부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돌기는 삽입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돌기가 그루브 상에 위치될 때, 삽입부의 돌기 반대측 면과 그루브가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돌기가 그루브 상에 위치될 때, 삽입부의 돌기 반대측 면과 그루브가 서로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돌기는, 확장 스크류가 회전하여 돌기가 키 홀의 내주면과 맞닿을 때, 맞닿는 면이 키 홀의 축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 说明书全文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Maxillary Skeletal Expander}

    본 발명은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궁 확장 장치는, 상악이 하악에 비해 덜 발달한 환자의 치료에 이용되는 장치로, 상악을 확장시켜 치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얼굴의 뼈는 퍼즐처럼 되어있어 성장기 중에는 뼈를 움직이기가 쉬우며, 상악 역시 하나의 뼈로 구성되지 않으며 여러 개의 뼈가 맞물려 있다. 위턱이 영구치를 수용하기에 크기가 작은 경우 입천정 중앙에 있는 뼈 부위를 벌려줌으로써 악궁자체를 넓혀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악궁 확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악궁 확장 장치는, 상악궁(A)에 고정되는 장치로, 한 쌍의 본체(1), 본체(1)에 고정된 암(2), 한 쌍의 본체(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3), 본체(1)의 간격 조절 시 본체(1)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 확장 스크류(3)에 형성되며 회전용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확장 스크류(3)가 회전되게 하는 키 홀(5) 및 암(2)과 결합하며 환자의 치아(B)에 고정되는 고정부(6)를 포함한다. 키 홀(5)에 키를 꽂고, 확장 스크류(3)를 회전시켜줌으로써, 본체(1)가 양 측의 치아(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본체(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며, 악궁 확장 장치가 고정된 상악을 확장시켜준다. 그러나 종래의 악궁 확장 장치를 상악궁(A)에 고정하지 않고 고정부(5)가 치아(B)에 고정됨으로써 상악궁(A) 확장되지 않고 치아(B)만 벌어지게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악궁 확장 장치를 상악궁(A)에 스크류로 고정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종래의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역시 한 쌍의 본체(10), 본체(10)에 고정된 암(20), 한 쌍의 본체(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30), 본체(10)의 간격 조절 시 본체(10)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0), 확장 스크류(30)에 형성되며 회전용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확장 스크류(30)가 회전되게 하는 키 홀(50) 및 암(20)과 결합하며 환자의 치아(B)에 고정되는 고정부(60)를 포함한다. 또한 미니 스크류를 식립하여 본체(10)를 상악에 고정하는 훅(70)을 더 포함한다. 훅(70)은 미니 스크류를 식립할 때 본체(10)가 상악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나, 미니 스크류의 식립 방향을 본체(10)의 확장 방향에 수직하게 안내할 수 없어 미니 스크류가 비스듬히 식립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훅(70)에 미니 스크류를 식립할 경우, 미니 스크류가 식립과정에서 수직으로 식립되지 않아 확장시 힘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탈락되거나 훅(70)이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미니 스크류가 수직으로 식립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동시에, 확장 스크류의 확장 시 힘을 상악의 뼈에 제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스크류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본체, 한 쌍의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 한 쌍의 본체에 양 측이 삽입되며, 본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확장 스크류와 일체로 형성되는 키 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악에 식립되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안내하는 스크류 홀을 구비하는 스크류 삽입부, 일단은 본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치아를 향해 뻗어있는 암 및 암과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크류 삽입부의 높이는 1.5~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본체는 확장 스크류, 가이드 레일, 암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삽입홀과 스크류 홀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는, 본체에 본체를 상악궁에 고정시키기 위한 미니 스크류의 식립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스크류 안내부를 구비하여, 미니 스크류가 수직으로 식립되도록 함으로써 미니 스크류가 탈락되거나 미니 스크류에 의해서 힘을 받는 부분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니 스크류가 수직으로 식립됨으로써 본체 사이의 간격을 확장할 때, 힘을 상악의 뼈에 제대로 전달하여 상악궁 확장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악궁 확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가 환자의 상악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가 구비하는 플레이트와 확장 스크류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는, 한 쌍의 본체(100), 일단은 본체(100)에 고정되며, 타단은 치아(B)를 향해 뻗어있는 암(200), 한 쌍의 본체(100)에 양 측부가 삽입되어 한 쌍의 본체(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300), 한 쌍의 본체(100)에 양 측이 삽입되며, 본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00), 확장 스크류(300)와 일체로 형성되는 키 홀(500),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악에 식립되는 마이크로 스크류(S)를 안내하는 스크류 삽입홀(112)을 구비하는 스크류 삽입부(110) 및 암(200)과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 고정부(6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복수 개의 삽입홀(120, 130, 140)을 구비하는데, 중앙에 확장 스크류(300)가 삽입되는 확장 스크류 삽입홀(130)이 위치하며, 확장 스크류 삽입홀(130)의 양 측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삽입홀(140)이 위치하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삽입홀(140)의 외측에 한 쌍의 암 삽입홀(120)이 위치한다. 복수 개의 삽입홀(120, 130, 140)의 배열 방향과 암(200), 확장 스크류(300) 및 가이드 레일(400)의 연장 방향은 서로 직각이다.

    확장 스크류(300) 및 확장 스크류 삽입홀(130)은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을 구비하며, 확장 스크류(300)의 중앙부에 형성된 키 홀(500)에 키(미도시)를 삽입하고 키(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확장 스크류(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확장 스크류(30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본체(100) 사이의 간격이 넓혀질 수도 있고, 좁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장 스크류(300)를 회전시킬 때 본체(100)의 이동 방향, 즉 암(200), 확장 스크류(300) 및 가이드 레일(400)의 연장 방향을 좌, 우 방향으로 하고, 복수 개의 삽입홀(120, 130, 140)의 배열 방향을 전, 후 방향으로 한다.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는 구강 내에 적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뿐 아니라 각 부속의 크기가 매우 작다. 따라서 확장 스크류(300)의 직경도 매우 작다. 그렇기 때문에 키(미도시)를 통해 충분한 회전력을 전달받으면서 파절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크기의 키 홀(500)을 확장 스크류(300)에 형성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확장 스크류(300)의 중앙에 본체(100) 내로 삽입되는 스크류 부분의 지름보다 확장된 지름을 가지는 확장부(520)를 형성하고, 확장부(520) 상에 키 홀(5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 스크류(300)를 회전 시켜 본체(100) 사이의 간격을 넓힐 때, 본체(100)가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400)이 안내한다. 가이드 레일(400)은 확장 스크류(300)와 달리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매끈한 봉형이며, 확장 스크류(300)의 전, 후에 위치된다. 가이드 레일(400)에 의해 한 쌍의 본체(100) 사이의 간격이 본체(10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400)은 확장부(520)와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확장부 도피부(410)를 구비한다. 확장부 도피부(410)는 확장부(520)와 마찰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 홈이다.

    암(200)은 가이드 레일(400)의 외측, 즉,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40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400)의 후방에 위치하며, 후술할 치아 고정부(600: 도 5 참조)가 단부에 결합되어, 미니 스크류(S)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상악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해준다. 암(200)은 가이드 레일(400)과 달리 본체(100)와 고정되며, 하나의 본체(100)에 한 쌍의 암(200)이 결합되어 총 두 쌍, 네 개의 암(200)이 구비된다.

    한편, 본체(100)는 복수 개의 삽입홀(120, 130, 140)의 외측, 즉, 복수 개의 삽입홀(120, 130, 140)의 전방 및 후방에 스크류 삽입부(110)를 구비한다. 스크류 삽입부(110)에는 스크류 삽입홀(112)이 형성되며, 미니 스크류(S)를 이용해 본체(100)를 상악궁의 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미니 스크류(S)의 식립 방향은 복수 개의 삽입홀(120, 130, 140)의 배열 방향에 대해서 직각이며, 본체(100)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도 직각이다. 즉, 확장 스크류(300)를 회전시킬 때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좌, 우 방향으로 하고, 복수 개의 삽입홀(120, 130, 140)의 배열 방향을 전, 후 방향으로 한다면, 미니 스크류(S)의 식립 방향은 상, 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미니 스크류(S)가 본체(1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식립되도록 함으로써 미니 스크류(S)가 힘을 받는 과정에서 탈락되거나 스크류 삽입부(110)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니 스크류(S)가 수직으로 상악궁의 뼈에 식립됨으로써 본체(100) 사이의 간격을 확장할 때, 힘을 상악궁의 뼈에 제대로 전달하여 상악궁 확장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크류 삽입홀(112)의 높이, 즉 스크류 삽입부(110)의 두께는 1.5~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삽입홀(112)의 높이가 1.5mm보다 작은 경우, 즉, 스크류 삽입부(110)의 두께가 1.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크류 삽입부(110)가 힘을 받을 때 휘거나 파절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미니 스크류(S)의 식립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정확히 안내하기 어렵다. 또한, 스크류 삽입홀(112)의 높이가 3.0mm보다 큰 경우, 즉, 스크류 삽입부(110)의 두께가 3.0mm보다 큰 경우에는 구강 내에서 지나치게 돌출되어 환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가 환자의 상악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제 환자의 상악궁(A)에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를 적용할 때에는 암(200')을 환자의 상악에 맞게 변형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본체(100)에 한 쌍의 암(20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한 쌍의 암(200')이 하나의 치아 고정부(600)에 결합된다. 치아 고정부(600)는 환자의 치아(B)에 고정되며, 본체(100)를 미니 스크류(S)만으로 고정하기에 부족하므로, 본체(100)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부가해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의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가 구비하는 플레이트와 확장 스크류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본체(100), 일단은 본체(100)에 고정되며, 타단은 치아(B)를 향해 뻗어있는 암(200), 한 쌍의 본체(100)에 양 측부가 삽입되어 한 쌍의 본체(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300'), 한 쌍의 본체(100)에 양 측이 삽입되며, 본체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00'), 확장 스크류(300')와 일체로 형성되는 키 홀(310'),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악에 식립되는 마이크로 스크류(S)를 안내하는 스크류 삽입홀(112)을 구비하는 스크류 삽입부(110) 및 암(200)과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 고정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확장 스크류(300')는 중앙에 본체(100) 내로 삽입되는 스크류 부분의 지름보다 확장된 지름을 가지는 확장부(310')를 형성하고, 확장부(310') 상에 키 홀(3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확장 스크류(300')의 회정 방향을 일 방향으로만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역회전 방지 기능은, 플레이트(700)는 가이드 레일(400')에 고정되며, 확장 스크류(300')와 일부가 맞닿으며 확장 스크류(30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한다.

    플레이트(700)는 가이드 레일(4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고리(720)를 양 측에 구비하며, 양 측의 고정 고리(720) 사이에 확장 스크류(300')내로 삽입되어 맞닿는 삽입면(710)과, 확장 스크류(300')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돌기(730)를 구비한다. 돌기(730)는 삽입면(710)의 일 측단에 위치한다. 한편 확장 스크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부(310')와 확장부(310')를 관통하도록 키 홀(320')이 형성되는데, 복수 개의 키 홀(320')은 확장 스크류(300')의 축과 수직인 평면 상에 위치한다. 즉, 플레이트(700)와 확장 스크류(300')의 상대적인 위치는 확장 스크류(300')의 회전 시에 돌기(730)가 모든 키 홀(320')을 지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트(700)에 키 홀(320')로 삽입되어 확장 스크류(300')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돌기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플레이트(700)가 위치를 이탈하여 돌기(730)가 키 홀(320')로 삽입되지 않고 빗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구조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 스크류(300')의 축 방향에 대한 플레이트(7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확장 스크류(300')는 확장부(310')의 외주에 그루브(330')을 구비하며, 플레이트(700)의 일부는 그루브(330')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이다. 복수 개의 키 홀(320')은 그루브(330')상에 형성되며, 플레이트(700)가 그루브(330')에 삽입되기 때문에 돌기(730)는 그루브(330')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키 홀(320') 내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돌기(730)는 삽입부(710)의 일부로, 그루브(330') 내에 위치하며, 확장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키 홀(320') 내로 삽입과 후퇴를 반복한다.

    돌기(730)는 확장 스크류(300')가 회전하여 키 홀(320')내로 삽입되는 때에, 키 홀(320')의 외주에 닿을 수 있도록 키 홀(320')의 축 방향과 일치하거나 키 홀(320')의 축 방향과 10° 이내의 각도 차만을 가지는 걸림면(732)를 구비한다. 걸림면(732)은 삽입부(710)의 바깥 측 면이 된다. 또한 돌기(730)는 걸림면(732) 반대측에 미끄럼면(734)을 구비한다. 미끄럼면(734)은 확장 스크류(300')의 회전 시에 키 홀(320')로부터 돌기(730)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면으로, 확장 스크류(300')가 회전하여 돌기(730)의 미끄럼면(734)이 키 홀(320')의 외주에 접촉할 때, 미끄럼면(734)과 키 홀(320')의 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루브(330')의 접선 방향과 미끄럼면(734)는 30° 이내의 완만한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 회전 시에 그루브(330') 상에 처음 닿게 되는 면의 각도는 접선에 가까운 각도이며, 돌기(730)의 단부로 갈수록 접선과 이루는 각도가 점점 커진다. 돌기(730)의 걸림면(732)은 키 홀(320')의 내주면과만 접촉하며, 돌기(730)의 미끄럼면(734)는 그루브(330')와 접촉한다.

    한편, 돌기(730)가 키 홀(320') 내에 삽입됐을 때, 걸림면(732)을 통해 돌기가 미끄러져 키 홀(32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역방향 회전을 좀 더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삽입부(71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다. 삽입부(710)는 그루브(330') 내에 삽입되는 부분이 곡면이며, 이때 삽입부(710)는 그루브(330')와 정확히 일치하는 원형의 곡면이 아니라 위치에 따라 곡률 반경이 다른 곡면을 가진다. 돌기(730)가 키 홀(320') 내가 아닌 그루브(330') 상으로 올라오는 때에, 삽입부(710)의 돌기 반대편과 그루브(330')는 서로 맞닿으며, 삽입부(710)에 미세한 탄성 변형이 있을 정도로 상호간에 약간의 압력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기(730)가 그루브(330') 상에 위치할 때, 그루브(330')와 맞닿는 돌기의 단부와, 삽입부(710)의 돌기 반대면 단부를 이은 직선 거리는, 그루브(330')가 돌기(730)와 맞닿는 점과 삽입부(710)의 돌기 반대면 단부와 맞닿는 점을 이은 직선 거리보다 길다. 물론, 이는 조립 전 상태에서의 이야기이며, 조립 후에 플레이트(700)와 그루브(330')가 미세한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거리 차이는 의미가 없으며, 돌기(730)가 키 홀(310) 내로 삽입되면 미세한 변형이 되었던 플레이트(700)와 그루브(330')는 변형이 복원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가 구비하는 플레이트와 확장 스크류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 스크류(300')의 확장부(310')에는 그루브(330')가 형성되며, 그루브(330')와 동일한 평면 상에 복수 개의 키 홀(320')이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700)는 삽입부(710)가 그루브(330') 내로 삽입되며, 삽입부의 일 측단에는 돌기(730)가 형성되어 있다.

    키 홀(320')에 키(A)를 꽂고 키(A)를 이용하여 확장 스크류(300')를 (2)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키 홀(320')내에 삽입되어 있던 돌기(730)가 그루브(330') 상으로 올라온다. 돌기(730)의 미끄럼면(734)이 그루브(330')의 접선 방향과 완만한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돌기(730)는 쉽게 키 홀(320')로부터 빠져나와 그루브(33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돌기(730)가 키 홀(320')로부터 빠져나오면, 그루브(330')가 돌기(730)를 밀게 되며, 플레이트(700)는 (3)번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된다. 삽입부(710)의 돌기(730) 반대면이 그루브(330')와 맞닿게 되면, 더 이상 플레이트(700)는 (3)번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며, 플레이트(700)와 그루브(330')가 미세한 탄성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그루브(330') 상에 돌기(730)가 위치한 때에, 키 홀(320')에 키(A)를 꽂고 확장 스크류(300')를 (2)번 방향으로 더 회전시킬 경우, 키 홀(320')이 돌기(730) 쪽으로 이동하며 돌기(730)는 키 홀(320') 내로 삽입된다. 이때, 플레이트(700)와 그루브(330')에 일어났던 미세한 탄성 변형이 복원되면서 복원력에 의해 돌기(730)가 키 홀(320') 내로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돌기(730)가 키 홀(320') 내로 삽입될 때, 플레이트(700)는 다시 (4)번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돌기(730)가 키 홀(320') 내에 삽입된 때, 키 홀(320')에 삽입된 키(A)를 이용하여 확장 스크류(300')를 (1)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시도할 경우, 돌기(730)의 걸림면(732)과 키 홀(320')의 내주면이 맞닿아 회전이 저지된다. 그에 따라 환자 또는 의사가 확장 스크류(300')를 역회전시키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나 의사의 실수뿐만 아니라, 상악을 확장시킬 때, 상악의 뼈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 때문에 확장 스크류(300')가 역회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는 이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교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00: 본체 110: 스크류 삽입부
    112: 스크류 삽입홀 120: 암 삽입홀
    130: 확장 스크류 삽입홀 140: 가이드 레일 삽입홀
    200, 200': 암 300: 확장 스크류
    400: 가이드 레일 410: 확장부 도피부
    500: 키 홀 520: 확장부
    600: 치아 고정부 S: 미니 스크류
    A: 상악궁 B: 치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