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교정장치

申请号 KR1020080090231 申请日 2008-09-12 公开(公告)号 KR1020100031238A 公开(公告)日 2010-03-22
申请人 홍성권; 发明人 홍성권;
摘要 PURPOSE: A tooth correction device is provided to correct teeth of a user by changing the location of a revision pin and a pressure rat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eeth or the projected rate. CONSTITUTION: A tooth correction device comprises the following: a vibration generation member(10); a pin fixing bracket(20) formed with plural through holes; a mouth piece(30) with a groove to put teeth of a user in; a revision pin(40) transferr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on member to the teeth in which the correction is necessary; an elastic band(50) fixing the mouth piece to the face of the user; and a supporting stand(60) selectively fixing the end of the elastic band.
权利要求
  • 진동발생수단;
    상기 진동발생수단과 연결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핀 고정브래킷;
    상기 핀 고정브래킷의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치아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홈 내에 삽입된 치아 중에서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진동이 전달되도록 일측은 상기 통공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마우스피스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교정핀;
    상기 핀 고정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교정핀에 의해 상기 진동발생수단 및 핀 고정브래킷과 연결된 마우스피스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탄성밴드; 및
    상기 탄성밴드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핀의 사용자의 입술이 걸리지 않도록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핀 고정브래킷의 통공에 관통된 후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마우스피스에 관통된 후 볼트에 의해 고 정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트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치아교정장치가 탄성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용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 상에는 상기 탄성밴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재가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걸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 说明书全文

    치아교정장치{STRIPPING TOOL FOR COAXIAL CABLES}

    본 발명은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된 치아에 진동발생수단을 이용한 미세진동과 탄성밴드를 이용한 압력을 가해 바른 치열을 갖도록 교정할 수 있으며, 치아의 모양 또는 돌출된 정도에 따라서 교정장치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교정핀의 위치 및 압박정도를 변경해 교정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며, 치아에 부착하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누운자세에서 교정이 진행되어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받지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교정을 받을 수 있는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식 치아교정장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모서리부가 각진 직육면체 형태의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그 장치에 강선 고정부 내부로 교정용 강선(와이어)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고정식 치아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되어 치아교정용 강선(와이어)에 연결되어 치아 이동력을 치아에 인가하여 치아의 위치가 교정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식 치아교정장치는 치아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되어 삽입요홈이 형성되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의 삽입요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강선과, 이 강선을 각 브래킷에 지지시키는 고정밴드 또는 고정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식 치아교정장치의 경우 강선과 교정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부가적인 고정밴드 또는 고정강선이 필요하며, 이물감이 클 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경우 미관상 좋지 않고, 음식물이 쉽게 끼어 식사 후 일일이 제거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된 치아에 진동발생수단을 이용한 미세진동과 탄성밴드를 이용한 압력을 가해 바른 치열을 갖도록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의 모양 또는 돌출된 정도에 따라서 교정장치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교정핀의 위치 및 압박정도를 변경해 교정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한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에 부착하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누운자세에서 교정이 진행되어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받지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교정을 받을 수 있는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진동발생수단과 연결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핀 고정브래킷과, 상기 핀 고정브래킷의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치아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홈 내에 삽입된 치아 중에서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진동이 전달되도록 일단은 상기 통공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마우스피스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교정핀과, 상기 핀 고정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교정핀에 의해 상기 진동발생수단 및 핀 고정브래킷과 연결된 마우스피스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탄성밴 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교정핀의 사용자의 입술이 걸리지 않도록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핀 고정브래킷의 통공에 관통된 후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마우스피스에 관통된 후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트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탄성밴드는 상기 치아교정장치가 탄성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용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 상에는 상기 탄성밴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재가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걸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첫째, 돌출된 치아에 진동발생수단을 이용한 미세진동과 탄성밴드를 이용한 압력을 가해 바른 치열을 갖도록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치아의 모양 또는 돌출된 정도에 따라서 교정장치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교정핀의 위치 및 압박정도를 변경해 교정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셋째, 치아에 부착하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누운자세에서 교정 이 진행되어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받지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교정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1)는 진동발생수단(10)과, 진동발생수단(10)과 연결되며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는 핀 고정브래킷(20)과, 핀 고정브래킷(20)의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치아(80)가 삽입되도록 홈(31)이 형성되는 마우스피스(30)와, 홈(31) 내에 삽입된 치아(80) 중에서 교정이 필요한 치아(80)에 진동발생수단(10)의 진동이 전달되도록 일단은 통공(2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마우스피스(3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교정핀(40)과, 핀 고정브래킷(20)에 연결되며, 교정핀(40)에 의해 진동발생수단(10) 및 핀 고정브래킷(20)과 연결된 마우스피스(3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탄성밴드(50)와, 탄성밴드(50)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발생수단(10)은 추후에 설명될 교정핀(40)에 전달될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측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소 형 전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또한 진동발생수단(10)의 일측에는 전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가 구비되며, 이 컨트롤러(11)를 통해 전동모터의 온(on)/오프(off)는 물론 진동의 세기나 진동의 패턴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측에 전술한 전동모터가 구비되는 진동발생수단(10)의 타측에는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일회용 배터리가 교체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는데, 배터리 외에 외부전원에 직접 삽입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코드 삽입단자(도시되지 않음)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발생수단(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동발생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진동발생수단(10)의 하측에는 핀 고정브래킷(20)이 연결되는데, 이 핀고정브래킷은 진동발생수단(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교정핀(40)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핀 고정브래킷(20) 상에는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며, 이 통공(21)에는 교정할 치아(8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교정핀(40)의 일단이 고정되게 된다.

    또한 핀 고정브래킷(20)은 전술한 진동발생수단(10)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추후에 설명될 교정핀(40)으로 소멸 없이 전달하기 위해서 진동발생수단(10)과 연결부재(22)에 의해서 연결된다.

    전술한 연결부재(22)는 핀 고정브래킷(20)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 어 진동발생수단(10)에 연결되는데, 진동발생수단(10)과의 연결방법은 접착, 용접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진동발생수단(10)이 수용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가 핀 고정브래킷(20) 및 연결부재(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부재(22)가 연결되는 핀 고정브래킷(20)의 양측 하부에는 추후에 설명될 탄성밴드(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재가 마련된다.

    한편, 전술한 핀 고정브래킷(20)의 하측에는 마우스피스(30)가 위치되는데, 이 마우스피스(30)는 사용자가 치아(80)의 교정을 위해 치아(80)가 삽입되도록 구강 내에 물려짐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교정핀(40)의 타단이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우스피스(30)는 사용자의 치아(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31)이 형성되며, 필요한 위치에 교정핀(40)을 용이하게 관통시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물었을 때 치아(80)가 손상되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실리콘으로 형성되되, 교정이 필요한 치아(8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우스피스(30)를 불특정 다수가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구강구조에 맞도록 별도로 제작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추후에 설명될 교정핀(40)의 타단이 고정될 마우스피스(30)의 홈(31) 내측에는 교정핀(40)을 마우스피스(30) 상에 고정하기 위해 삽입되는 볼트(44)가 사용자의 치아(80)에 직접 닿지 않고 내측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홈(32)이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핀 고정브래킷(20)과 마우스피스(30)는 교정핀(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이 교정핀(40)은 교정이 필요한 치아(80)에 진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우스피스(30)의 홈(31) 내에 삽입된 치아(80) 중에서 교정이 필요한 치아(80)에 진동발생수단(10)의 진동이 전달되도록 일측은 핀 고정브래킷(20)의 통공(2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마우스피스(30)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교정핀(40)은 사용자의 입술이 걸리지 않도록 입술의 반대쪽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되, 일단은 핀 고정브래킷(20)의 통공(21)에 관통된 후,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양측의 너트(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나사산(41)이 형성되고, 타단은 마우스피스(30)에 관통된 후 볼트(4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트홈(4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교정핀(40)은 교정이 필요한 치아(80)에 직, 간접적으로 미세한 진동을 전달하는 것으로, 그 길이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세기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소 긴 길이와 두꺼운 두께를 갖는 교정핀(40)의 경우 치아(80)에 가깝게 위치되게 되어, 보다 강한 진동을 전달할 수 있고, 다소 짧은 길이와 얇은 두께를 갖는 교정핀(40)의 경우 치아(80)에 약한 진동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의 세기 또는 패턴의 조절을 통해서 치아상태에 맞는 교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끼움부재에는 탄성밴드(50)가 연결되는데, 이 탄성밴드(50)는 교정핀(40)에 의해 진동발생수단(10) 및 핀 고정브래킷(20)과 연결된 마우스피스(3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탄성밴드(50)의 밀착력을 통해 돌출된 치아(8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교정의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밴드(50)는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길이를 조절하여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길이조절용 클립(51)이 구비되며, 단부에는 추후에 설명될 지지대(60)에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부재(52)가 구비된다.

    한편, 전술한 걸림부재(52)는 지지대(60) 상에 고정되는데, 이 지지대(60)는 탄성밴드(50)의 걸림부재(52)가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려져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대(60)는 전체적으로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는 베개(70)가 놓여지고 사용자 머리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따라서 걸림부재(52)가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걸이홈(61)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마우스피스(30)를 홈(31) 내에 윗니가 삽입되도록 문 다음, 이 상태에서 치과의사 또는 치위생사가 교정할 치아(80)의 위 치를 확인하여 표시한다.

    그런 다음, 물고 있던 마우스피스(30)를 뱉어내고, 교정될 치아(80)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교정핀(40)의 볼트홈(42) 내에 볼트(44)를 결합해 고정시키는데, 이때 결합되는 볼트(44)는 마우스피스(30)의 삽입홈(32) 내에 밀착되도록 해 차후 진동이 전달될 때 치아(8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 다음, 교정핀(40)의 일단을 핀 고정브래킷(20)의 통공(21) 내에 관통시킨 다음, 너트(43)를 이용해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지지대(60) 내에 놓여진 베개(70)에 머리를 두고 누운 다음 교정핀(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마우스피스(30)를 다시 홈(31) 내에 윗니가 삽입되도록 문다.

    그런 다음, 탄성밴드(50)의 걸림부재(52)를 지지대(60)의 걸이홈(61)에 끼운 후에 클립(51)을 이용해 탄성밴드(50)가 사용자의 안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길이를 조절해 준다.

    그런 다음, 진동발생수단(10)에 구비된 컨트롤러(11)를 조작해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발생된 진동은 진동발생수단(10)→연결부재(22)→핀 고정브래킷(20)→교정핀(40)→교정이 필요한 치아(80)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올바르지 않은 위치로 자라난 치아(80)가 제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정핀(40)의 종류 및 위치를 변경하고 컨트롤러(11)를 통해서 진동의 세기기 및 패턴을 변경해 사용자의 상태에 맞는 효과적인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탄성밴드(50)가 안면 측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그 압력에 의해 돌출되어 있는 치아(80)가 교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교정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아교정장치 10 : 진동발생수단

    11 : 컨트롤러 20 : 핀 고정브래킷

    21 : 통공 22 : 연결부재

    30 : 마우스피스 31 : 홈

    32 : 삽입홈 40 : 교정핀

    41 : 나사산 42 : 볼트홈

    43 : 너트 44 : 볼트

    50 : 탄성밴드 51 : 클립

    52 : 걸림부재 60 : 지지대

    61 : 걸이홈 70 : 베개

    80 : 치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