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실 장치

申请号 KR1020177016211 申请日 2015-08-26 公开(公告)号 KR1020170086563A 公开(公告)日 2017-07-26
申请人 아이디 인피니티 리미티드; 发明人 와이콩고든,램; 펑링,위엔;
摘要 본발명은치실장치에관한것으로, 상기치실장치는치실홀더와치실을팽팽하게하는메커니즘을포함한다. 치실홀더는헤드(11)와, 4개의암(111A, 111B, 112A, 112B)을가지는핸들(14)을포함한다. 치실의팽팽한정도는제2 기어를지닌홀더(14)에대한제1 기어(13)를지닌헤드(11)를회전시킴으로써, 또는홀더(14)에제공된제3 기어와협력하는라인포스트(190)를회전시킴으로써, 또는홀더(14)에제공된슬롯(200)에서라인포스트(190)를움직임으로써조절될수 있다. 본발명의치실장치는치실을붙들어매고, 치아슬릿과잇몸을깨끗하게할 수있다.
权利要求
  • 치실 장치로서,
    치실 홀더와 치실 텐셔너(tensioner)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홀더는 치실을 붙잡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치실 홀더와 연결되고 상기 치실 홀더에 의해 붙들려 있는 치실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치실 홀더는 헤드 부분과 홀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홀딩 부분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홀딩 부분에는 상기 치실을 붙들고 고정하기 위한 치실을 감는 기둥이 제공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제1 암 부분, 제2 암 부분, 제3 암 부분, 및 제4 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암 부분, 상기 제2 암 부분, 상기 제3 암 부분, 및 상기 제4 암 부분 각각의 끝 부분은 상기 치실을 붙잡고 있기 위한 클램핑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암 부분과 제2 암 부분 사이의 각도는 70°와 85°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1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고, 상기 제2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4 암 부분과 � ��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제4 암 부분은 23°와 38°사이의 각도만큼 뒤로 구부러지며, 상기 치실 장치는 상기 헤드 부분에서 상기 치실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너(position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함으로써,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에 대한 상기 헤드 부분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치실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헤드 부분에는 제1 기어가 제공되며, 상기 홀딩 부분에는 제2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헤드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는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치실 장치로서,
    치실 홀더와 치실 텐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홀더는 치실을 붙잡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치실 홀더와 연결되고 상기 치실 홀더에 의해 붙들려 있는 치실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치실 홀더는 헤드 부분과 홀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홀딩 부분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홀딩 부분에는 상기 치실을 붙들고 고정하기 위한 치실을 감는 기둥이 제공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제1 암 부분, 제2 암 부분, 제3 암 부분, 및 제4 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암 부분, 상기 제2 암 부분, 상기 제3 암 부분, 및 상기 제4 암 부분 각각의 끝 부분은 상기 치실을 붙잡고 있기 위한 클램핑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암 부분과 제2 암 부분 사이의 각도는 70°와 85°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1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고, 상기 제2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4 암 부분과 � ��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제4 암 부분은 23°내지 38°만큼 뒤로 구부러지며, 상기 치실 장치는 상기 헤드 부분에서 상기 치실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딩 부분에는 제3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은 상기 제3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치실의 장력이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의 회전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치실 장치로서,
    치실 홀더와 치실 텐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홀더는 치실을 붙잡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치실 홀더와 연결되고 상기 치실 홀더에 의해 붙들려 있는 치실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치실 홀더는 헤드 부분과 홀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홀딩 부분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홀딩 부분에는 상기 치실을 붙들고 고정하기 위한 치실을 감는 기둥이 제공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제1 암 부분, 제2 암 부분, 제3 암 부분, 및 제4 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암 부분, 상기 제2 암 부분, 상기 제3 암 부분, 및 상기 제4 암 부분 각각의 끝 부분은 상기 치실을 붙잡고 있기 위한 클램핑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암 부분과 제2 암 부분 사이의 각도는 70°와 85°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1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고, 상기 제2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4 암 부분과 � ��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제4 암 부분은 23°내지 38°만큼 뒤로 구부러지며, 상기 치실 장치는 상기 헤드 부분에서 상기 치실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에 대해 움직일 수 있어 상기 치실의 장력이 상기 치실 텐셔너의 움직임을 통해 조절되고, 상기 홀딩 부분에는 홈통(trough)이 제공되며,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이 상기 홈통 안에서 움직일 수 있음으로 인해 상기 치실의 장력이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의 움직임을 통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치실 장치로서,
    치실 홀더와 치실 텐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홀더는 치실을 붙잡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치실 홀더에 연결되고 상기 치실 홀더에 의해 붙들려 있는 상기 치실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홀더는 헤드 부분과 홀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홀딩 부분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분에는 상기 치실을 붙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치실을 감는 기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분은 제1 암 부분, 제2 암 부분, 제3 암 부분, 및 제4 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 부분, 상기 제2 암 부분, 상기 제3 암 부분, 및 상기 제4 암 부분 각각의 끝 부분은 상기 치실을 붙잡기 위한 클램핑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부분과 상기 제2 암 부분 사이의 각도는 70°내지 85°이고, 상기 제1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내지 140°이며, 상기 제2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내지 140°이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내지 95°이며, 상기 제4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내지 95°이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제4 암 부분은 뒤쪽으로 23°와 38°사이의 각도로 굽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분에서 상기 치실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포지셔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4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함으로 인해,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에 대한 상기 헤드 부분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치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4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상기 치실의 장력이 상기 치실 텐셔너의 회전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 상에 위치하고,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홀딩 부분에 대해 움직일 수 있음으로 인해, 상기 치실의 장력이 상기 치실 텐셔너의 움직임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분에는 제1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홀딩 부분에는 제2 기어가 제공되며, 상기 헤드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분에는 제3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은 상기 제3 기어와 결합되는 것으로 인해, 상기 치실의 장력이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의 회전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분에는 홈통이 제공되고,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은 상기 홈통 내에서 움직일 수 있음으로 인해, 상기 치실의 장력이 상기 치실을 감는 기둥의 움직임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치실 장치로서,
    치실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홀더는 헤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부분은 제1 암 부분, 제2 암 부분, 제3 암 부분, 및 제4 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암 부분, 상기 제2 암 부분, 상기 제3 암 부분, 및 상기 제4 암 부분 각각의 끝 부분은 상기 치실을 붙잡기 위한 클램핑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암 부분과 상기 제2 암 부분 사이의 각도는 70°내지 85°이고, 상기 제1 암 부분과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내지 140°이며, 상기 제2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내지 140°이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내지 95°이며, 상기 제4 암 부분과 상기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내지 95°이고, 상기 제3 암 부분과 상기 제4 암 부분은 뒤쪽으로 23°와 38°사이의 각도로 굽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치실 텐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실 텐셔너는 상기 치실 홀더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치실 홀더에 의해 붙들려 있는 상기 치실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장치.
  • 说明书全文

    치실 장치{DENTAL FLOSS DEVICE}

    본 특허 출원은 구강 청소 도구, 특히 치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치아를 청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치실 사용자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즉, 쓰기가 어렵고, 손의 고통, 불편함, 눈에 보이지 않고 비위생적인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현재 시중에서 구입되는 치실은 1회용이다. 이러한 1회용 치실의 사용은 낭비, 환경오염 등을 유발한다. 현재의 치간 칫솔(dental flosser)은 오직 1개의 치실로 되어 있다. 그래서 치아들의 위치와 치열이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는 맞지 않는다. 현재의 치간 칫솔은 쉽게 늘어나서 치아와 잇몸에 있는 찌꺼기를 만족스럽게 청소하지 못한다. 더욱이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다.

    본 출원으로 해결되는 기술적 문제는 종래 기술의 결점을 보완하는 치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으로 채용된 기술적 계획은 치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치실 장치는 치실 홀더(holder)와 치실 텐셔너(tensioner)를 포함하고, 이 경우 치실 홀더는 치실을 붙잡기 위해 사용되며, 치실 텐셔너는 치실 홀더에 의해 붙들린 치실을 팽팽하게 하는데 이용된다.

    치실 홀더는 헤드 부분과 홀딩(holding)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헤드 부분은 홀딩 부분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한다.

    홀딩 부분에는 치실을 붙잡고 고정하기 위한 치실을 감는 기둥(winding post)이 제공될 수 있다.

    헤드 부분은 제1 암(arm), 제2 암, 제3 암, 및 제4 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암, 제2 암, 제3 암, 및 제4 암 각각의 끝 부분은 치실을 붙잡는 클램핑 홈으로 되어 있다.

    제1 암 부분과 제2 암 부분 사이의 각도는 70°내지 85°이고, 제1 암 부분과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내지 140°이며, 제2 암 부분과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125°내지 140°이고, 제3 암 부분과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내지 95°이며, 제4 암 부분과 홀딩 부분 사이의 각도는 80°내지 95°이며, 제3 암 부분과 제4 암 부분은 뒤쪽으로 23°와 38°사이의 각도로 굽어져 있다.

    치실 장치는 치실이 헤드 부분 상의 위치에 치실이 자리 잡도록 하는 포지셔너(positio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부분과 홀딩 부분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함으로 인해, 홀딩 부분에 대한 헤드 부분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치실 텐셔너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한다.

    치실 텐셔너는 홀딩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홀딩 부분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서 치실 텐셔너의 회전을 통하여 치실의 장력이 조절된다.

    치실 텐셔너는 홀딩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홀딩 부분에 대해 움직일 수 있어서 치실 텐셔너의 움직임을 통하여 치실의 장력이 조절된다.

    헤드 부분에는 제1 기어가 제공될 수 있고 홀딩 부분에는 제2 기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맞물려서 헤드 부분과 홀딩 부분이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홀딩 부분에는 제3 기어가 제공될 수 있고, 치실을 감는 기둥이 제3 기어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치실의 장력이 치실을 감는 기둥의 회전을 통하여 조절된다.

    홀딩 부분에는 홈통(trough)이 제공될 수 있고, 치실을 감는 기둥이 홈통 안에서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치실의 장력이 치실을 감는 기둥의 움직임을 통해서 조절된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치실 장치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출원의 치실 장치는 치실 텐셔너를 이용하여 치실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쉽게 조절한다. 이는 치아뿐만 아니라, 잇몸 사이의 틈새에 대한 청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치실 장치의 4개의 암은 정해진 일정한 각도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각도들은 치실 사용시 치아를 다루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최상의 3차원 공간 형성을 보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치실 장치는 입의 구강 내에서 여러 각도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치아의 위치와 치열이 다른 사람들에게 알맞다. 치실 장치는 사용자들이 치아를 쉽게 닦게 하고, 상이한 위치에 있는 치아를 편안하게 닦게 한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각도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치아와 접촉하는 치실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 구조의 개략도.
    도 7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8a 내지 8c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9a 내지 9c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제 본 출원의 기술적 특징들, 목적 및 효과의 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9c에 도시된 것처럼, 치실 장치는 치실 홀더와 치실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치실 홀더는 치실을 붙잡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치실 텐셔너는 치실 홀더와 연결될 수 있고, 치실 홀더에 의해 붙들려 있는 치실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치실 장치는 치실을 효과적으로 쉽게 팽팽하게 당길 수 있다. 치실 장치는 단순히 맨손으로 당김으로써 얻을 수 없는 장력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치아와 잇몸을 닦아내는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치실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바람직한 각도 설정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치아와 접촉하는 치실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치실 홀더는 헤드 부분(11)과 홀딩 부분(14)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부분(11)은 홀딩 부분(14)의 한쪽 끝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부분(11)은 홀딩 부분(14)으로부터 위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헤드 부분(11)의 구부러지는 모양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끼게 하는 인체공학적 설계에 따른다. 본 출원의 치실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그/그녀의 손가락을 구강에 넣을 필요가 없게 되어 더 위생적이 되게 한다. 본 출원의 치실 장치는 사용하기가 쉽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 부분(11)은 제1 암 부분(111A), 제2 암 부분(111B), 제3 암 부분(112A), 및 제4 암 부분(112B)을 가질 수 있다. 제1 암 부분(111A), 제2 암 부분(111B), 제3 암 부분(112A), 및 제4 암 부분(112B) 각각의 끝 부분은 치실을 붙잡기 위한 클램핑 홈(180)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헤드 부분(11)의 제4 암 부분(112B)과 제2 암 부분(111B)은 치실의 제1 세그먼트(segment)를 팽팽하게 하기 위한 제1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암 부분(111B)과 제1 암 부분(111A)은 치실의 제2 세그먼트를 팽팽하게 하기 위한 제2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암 부분(111A)과 제3 암 부분(112A)은 치실의 제3 세그먼트를 팽팽하게 하기 위한 제3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치실 세그먼트의 3차원 조립체(assembly)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암 부분(111A)과 제2 암 부분(111B) 사이의 각도는 70°와 85°사이에 있을 수 있고, 제1 암 부분(111A)과 홀딩 부분(14)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을 수 있으며, 제2 암 부분(111B)과 홀딩 부분(14) 사이의 각도는 125°와 140°사이에 있을 수 있고, 제3 암 부분(112A)과 홀딩 부분(14)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을 수 있으며, 제4 암 부분(112B)과 홀딩 부분(14) 사이의 각도는 80°와 95°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암 부분(112A)과 제4 암 부분(112B)은 23°내지 38°의 각도만큼 뒤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들 각도는 치실이 작동하는 동안 치아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최상의 3차원 공간의 형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치실 장치는 구강 내에서 여러 각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위치 및 배열을 갖는 치아를 가지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치실 장치는 사용자가 치아를 쉽게 청소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이한 위치에 위치한 치아를 기분 좋게 청소하는 것을 허용한다.

    헤드 부분(11)과 홀딩 부분(14)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치실 텐셔너는 홀딩 부분(14)에 대한 헤드 부분(11)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 부분(11)의 하부 절반부는 포지셔닝 갭(positioning gap)(113)을 형성하는, 2개의 돌출부에 의해 만들어진 포지셔너(positioner)(36)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홀딩 부분(14)이 회전하면, 돌출부(36)가 헤드 부분(11)의 중간에서 치실을 효과적으로 붙잡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실이 사용 중일 때 치실을 팽팽하게 하는 것을 돕고 흔들림을 감소시킨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치실 텐셔너는 헤드 부분(11)과 홀딩 부분 안쪽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헤드 부분(11)의 바닥 부분에는 홀딩 부분(14)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원통(cylinder)(114)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어(13)를 붙잡기 위해 연결 원통(114)에 다각형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어(13)의 상부 부분은 연결 원통(114)의 다각형의 오목한 공간에서 맞물리는 다각형 기둥(131)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어(13)의 바닥 부분은 한 방향으로 톱니가 나 있는 휠(wheel)(132)일 수 있다.

    홀딩 부분(14)에는 치실을 감는 기둥(190)이 제공될 수 있다. 홀딩 부분(14)은 제2 기어(141)가 안에 위치하는 원통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2 기어(141)는 제1 기어(13)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기어(141) 또한 한 방향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 원통(114) 내에 마련된 공간에는 탄력성 있는 고리(12)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탄력성 있는 고리(12)는 제1 기어(13)와 제2 기어(141)의 회전을 위해 요구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쉴 때에 브레이크를 거는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 원통(114)의 상부 부분에는, 조립하는 동안 나사(16)와의 결합을 위한 너트(nut)(115)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어(13)의 가운데에는 원형의 구멍이 제공될 수 있고, 탄력성 있는 고리(12)와 제2 기어(141)를 나사(16)가 지나갈 수 있다. 홀딩 부분에서의 나사(16)는 원형 고리(15), 제2 기어(141), 제1 기어(13), 탄력성 있는 고리(12)를 지나갈 수 있고, 헤드 부분(11)과 홀딩 부분(14)이 고정될 수 있도록 너트(115)에 조여질 수 있다. 회전이 더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홀딩 부분(14)이 회전할 때 원형 고리(15)가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홀딩 부분(14)의 바닥 부분에는 또한 외관과 위생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홀딩 부분(14)의 가운데 속이 빈 부분을 덮기 위한 바닥 커버(17)가 제공될 수 있다. 바닥 커버(17)에는 치실 장치를 청소하는 동안 쌓인 오물(dirt)이 씻겨나갈 수 있는 물 출구(outlet)(17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것처럼, 본 출원의 치실을 사용할 때에는, 치실의 약 30㎝가 추출된다. 추출된 치실의 한쪽 끝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이 붙잡는 부분에 맞닿아 눌러지고, 다른 손이 치실을 감는 행위로 치실을 다룬다. 치실은 먼저 홀딩 부분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 2개의 돌출하는 치실을 감는 기둥 사이의 틈을 통과한 다음, 아라비아 숫자 "8"의 모양으로 2개의 치실을 감는 기둥 둘레에서 치실을 감음으로써 2개의 루프(loop)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치실은 헤드 부분의 가운데에서 2개의 위치 돌출부 사이의 빈틈을 통과한다. 그런 다음 치실은 헤드 부분의 제1 암 부분(111A), 제2 암 부분(111B), 제3 암 부분(112A), 및 제4 암 부분(112B)의 클램핑 홈(180)에 놓인다. 그런 다음, 치실은 위치 틈새로 다시 당겨지고, 그런 다음 홀딩 부분의 치실을 감는 기둥(190)으로 아래로 당겨진다.

    그런 다음, 2개의 루프가 아라비아 숫자 "8"의 모양으로 치실을 감는 기둥 둘레에서 치실을 감음으로써 다시 형성된다. 남아 있는 치실은 치실을 감는 기둥에 묶인다.

    헤드 부분(11)과 홀딩 부분(14)은 각각 2개의 손에 의해 붙들리고, 홀딩 부분은 헤드 부분(11)에서의 치실이 충분한 장력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으로 회전된다. 홀딩 부분(14)이 단방향(one-way) 기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홀딩 부분(14)은 그것이 회전할 때 후퇴하지 않고, 치실의 장력은 유지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 부분(11)은 구강 안에 놓인다.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치실 세그먼트가 치아, 잇몸, 및 치석 사이의 틈새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람마다 치아 배열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된 치실 세그먼트가 각 개개인의 편안함의 수준에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앞니와 송곳니와 같은 앞쪽의 치아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좌측 및 우측 치실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것이 권고되고, 구강 안쪽의 어금니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헤드 부분(11)의 상부에서 치실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것이 권고된다.

    치아와 잇몸의 청소가 완료된 후, 치실 장치는 꺼내지고, 치실은 치실 장치로부터 풀려서 버려진다. 그런 다음 치실 장치는 적절히 청소되고, 소독되며, 보관을 위해 시원한 환경에 놓인다.

    본 출원의 치실 장치는 치아 청소시마다 매번 약 30㎝의 치실만을 소비한다. 이는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8c에 도시된 것처럼, 치실 텐셔너는 홀딩 부분(14)에 위치할 수 있다. 치실 텐셔너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홀딩 부분(14)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홀딩 부분(14)의 안쪽은 제3 기어가 놓일 수 있게 속이 비어 있다. 치실을 감는 기둥(190)의 바닥 부분은 제3 기어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것처럼, 치실의 장력은 치실을 감는 기둥(190)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것처럼, 치실 텐셔너는 홀딩 부분(14)에 위치할 수 있다. 치실 텐셔너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홀딩 부분(14)에 대해 움직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통(200)이 홀딩 부분(14)에 제공될 수 있다. 치실을 감는 기둥(190)은 홈통(200) 내에서 움직여질 수 있다. 치실을 더 팽팽하게 하는 것은 홈통(200)을 따라 상부에서부터 바닥까지 치실을 감는 기둥(190)을 움직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위의 3가지 실시예는 오직 예로서만 치실 텐셔너를 예시하는 것이다. 치실의 장력 조절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치실 텐셔너의 많은 다른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출원은 위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 특정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위 개시물을 읽음으로써,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들 모두는 본 출원의 보호된 범주에 속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