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위생 용품

申请号 KR1020147020011 申请日 2012-12-21 公开(公告)号 KR1020140115318A 公开(公告)日 2014-09-30
申请人 어스킨 프로덕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发明人 얼스킨-스미스,크레이그매튜;
摘要 치간 칫솔(10) 및 치실 물품(30)과 같은 치과 위생 용품. 용품들(10 및 30)은 핸들(50)과 함께 사용되어 상기 용품을 조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각각의 용품들은 핸들(50) 내부로 수용되는 제2 단부(40)와 같은 제2 단부를 갖는다.
权利要求
  • 종방향 축을 가지며, 서로 종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1 단부에, 사용자의 이 또는 혀에 작용하도록 구비된 구강 작용부(mouth enga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한 세트의 제1 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그립하고 상기 몸체에 힘들을 인가하는 것을 도와주고, 상기 제2 단부는 말단(end extremity)을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말단을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위생 용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표면들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위생 용품.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표면들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위생 용품.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들은 짝을 지어 배열되고, 각각의 짝들은 정점을 향하여 상기 축에 대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위생 용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들은 세트들로 배열되고, 상기 세트들은 상기 축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배열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열들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위생 용품.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한 세트의 제2 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위생 용품.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 위생 용품 및 핸들의 조합이고,
    상기 핸들은
    사용자에 의해 작용되어 사용자가 힘들 및/또는 토크를 상기 핸들로 인가할 수 있는 그립부; 및
    상기 용품들이 상기 핸들로 다시 연결될 때 상기 제2 단부가 수용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핸들 내부로 점점 가늘어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말단을 가지며 반경을 갖는 표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 说明书全文

    치과 위생 용품{A DENTAL HYGIENE ITEM}

    본 발명은 치과 위생 용품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칫솔들(tooth brushes), 치실 물품들(floss items) 및 치간 칫솔들(interdental brushes)을 포함하는 브러시들과 같은 치과 위생 용품들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구강 위생 용품들(oral hygiene appliances)은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핸들의 사용을 요구한다. 이러한 핸들은 수동, 비전기식 종류(manual, non electric variety)로 더 정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근력을 제공하여 상기 장치의 작업 단부(working end)로 전달되는 스크러빙 동작(scrubbing action)을 발생한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핸들은 전기적으로 작동되고 상기 장치에서 아음파(sub-sonic), 음파 또는 초음파 진동들을 발생시키도록 제작되거나, 작은 전기 모터들, 구동샤프트들 및 적당한 기어링에 의해 상기 장치에서 기계화된 스크러빙 동작(mechanised scrubbing a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거시 기계적(macro mechanical) 또는 미세 기계적(micro mechanical) 스크러빙 동작을 제공하는 모든 핸들들은, 구동샤프트들과 기어박스들을 이용하든지, 음파 유도식 진동들 또는 단순 기계적 발생 진동들, 또는 음파 또는 초음파 또는 아음파 진동들 또는 회전하는 전기 모터 상의 편심 하중에 의해 유도된 이동들을 이용하든지, 이하에서는 전기식 핸들들(electric handles)이라 하기로 한다.

    플라스틱을 절약하고 사용자에게 더 큰 경제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부 제조업자들은 수동식 칫솔들을 위한 교체 가능한 헤드들(replaceable heads)을 개발해왔고 브러시 헤드가 닳아서 못 쓰게 될 때 전체 핸들이 버려지지 않도록 하였다. 비슷한 맥락에서, 다른 제조업자들은 상기 교체 가능한 브러시 헤드 개념과 유사한 교체 가능한 치실 장치들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장치들은 플라스틱 포크(plastic fork)가 치실의 일부 상에 오버몰딩되고(overmoulded), 이러한 플라스틱 장치는 수동식 또는 전기식으로 작동하는 핸들 상에 결합되어 치실질을 더욱 쉽게 한다. 교체 가능한 헤드를 갖는 수동식 브러시를 보는 것은 흔치 않지만, 거의 모든 전기식 브러시 핸들은 교체 가능한 헤드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브러시가 닳아서 못 쓰게 될 때 전체 전기 장치를 버리는 것이 경제적으로 환경적으로 지속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많은 제조업자들은 치간 칫솔들 위한 확장 핸들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브러시들은 세 개의 타입들로 분류된다. -1) 사용 가능한 소형 또는 작은 핸들들이 뒤틀린 와이어에 일반적으로 오버몰딩되거나 접착되거나 용접된 브러시들, 2) 더 큰 핸들에서 대응하는 용기에 부착되는 작은 플라스틱 보유 장치들을 갖는 브러시들, 또는 3) 어떠한 내재된 소형 핸들 또는 보유 장치가 없는 단순한 뒤틀린 와이어 브러시를 갖는 브러시들, 여기서 이러한 와이어는 보통의 치간 칫솔의 뒤틀린 와이어 헤드들을 수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핸들과 같은 큰 칫솔을 직접 둘러싸거나 부착되어, 새로운 핸들을 오버몰딩하는 가격을 절약하거나, 치간 칫솔이 사용될 때마다 상기 플라스틱 핸들의 폐기물을 감소시킨다.

    많은 제조업자들은 착색 제거 장치들(stain removal devices)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장치들은 자신의 고유한 핸들을 가지며, 장치 헤드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장치 헤드만이 닳아서 못 쓰게 될 때 상기 장치 헤드와 함께 버려진다. 이것은 상기 플라스틱 핸들의 낭비이며, 일반적으로 오일로부터 파생된 플라스틱, 제한된 미래 이용 가능성 및 거의 실질적으로 미래 비용 상승 모두를 가지며 가능하다면 마땅히 보존되어야 하는 자원의 낭비이다. 유사하게, 많은 제조업자들은 의치 브러시들(denture brushes)을 개발하였고, 이들은 자신의 고유한(크기가 큰) 핸들을 가지며 장치 헤드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장치 헤드와 함께 버려진다. 유사하게, 많은 제조업자들은 이른바 싱글 터프트 브러시 헤드들(single tuft brush heads)을 개발하였고, 이들은 흔히 첨단(tip)으로 집중된 일련의 작은 터프트들(tufts)로 구성되어 특정한 영역들로 더 높은 세정력을 제공하고 영구적으로 부착된 핸들을 갖는다. 유사하게, 많은 제조업자들은 일체적으로 부착된 핸들들을 갖는 설태 제거기들(tongue scrapers)을 개발하였다.

    구강 인터페이스(oral interface)에서 사용되는 다른 장치들은 그들의 방향(orientation), 고정 요구조건들(fixation requirements), 단면 강도 및 커넥터를 통해 상기 핸들에 인가되는 힘들의 측면에서 매우 다른 요구조건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치실 기구들 및 치간 칫솔들은 낮은 힘 요구조건들을 가지고 이에 따라 단순한 소형 핸들 스템(handle stem)이면 충분하고, 단순한 소형 핸들 스템을 이용하여 칫솔 크기의 연장 핸들 없이 상기 장치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인 핸들을 가져야 하는 칫솔과 같은 장치들에 대조적으로, 이러한 칫솔, 또는 싱글 터프트 브러시, 의치 브러시, 또는 가능하다면 착색 제거기(stain remover)를 사용할 때 요구되는 힘들을 전달하는 데 충분히 강하고, 편안하고 내구성이 있다.

    전술한 사항 이외에도, 임의의 제안된 브러시 핸들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장치들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 상에 실질적인 회전력들을 제공할 것이고, 이를 견디어 내서 제품이 긴 축 또는 회전 미끄러짐 없이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는, 치실이 핸들과 평행하게 연장하지만 오프셋된, 오버몰딩된 치실 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치실 상의 힘은 상기 핸들 상에 비틀림 동작(torqueing action)을 제공한다. 이러한 힘은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핸들로 진행하고, 상기 연결 지점에서 지탱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전기 브러시 핸들들은 부착 장치로서 그리고 제거 가능한 헤드들이 위치되도록 허용하는 구동 샤프트로서 수(male) 돌출부들을 가지지만, 이러한 돌출부들과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핸들 몸체 내부로 들어갈 때 형성하는 표면은 체결된 브러시 없이 전체 장치가 입안에서 사용하기가 완전히 부적합하게 만든다. 이에 대한 원인은 전체 표면 불규칙(gross surface irregularities)을 다듬질(smooth)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핸들과 브러시 헤드 사이의 연속적인 매끄러운 윤곽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핸들들이 적당한 위치에 부착된 상기 브러시 헤드만을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이다. 상기 수 돌출부가 상기 핸들의 몸체 내부로 들어오는 큰 크기의 레지(ledge)에 의해 형성된 프로파일은 상기 핸들 상에 브러시 헤드 없이 입술을 가로질러 문지르는 데 완전히 부적합하다.

    상기 핸들들은 구동 샤프트/부착 장치 상에 위치하는 브러시 헤드(또는 플로서(flosser)와 같은 유사한 외부 헤드 장치) 없이 구강 내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부드러운 표면들 및 윤곽화된 전이 각도들(contoured transitional angles)을 갖도록 설계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핸들들은 브러시 헤드와 함께 그리고 브러시 헤드 없는 범용적인 사용을 위해 설계되지 않는다. 상기 핸들들은 또한 동작상의 스냅(snap on action)으로 상기 브러시 헤드와 결합하고 보유하는 언더컷들 또는 보유 장치들(retentive devices)로서 설계된 크기가 큰 외부의 거슬리는 돌출부들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입에서 사용되거나 문질러진다면 입술에 자극 또는 외상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단점들의 적어도 하나를 실질적으로 극복하거나 개선하는 데 있다.

    여기서 치과 위생 용품이 개시되며, 상기 용품은

    종방향 축을 가지며, 서로 종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1 단부에, 사용자의 이 또는 혀에 작용하도록 구비된 구강 작용부(mouth engag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한 세트의 제1 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그립하고 상기 몸체에 힘들을 인가하는 것을 도와주고, 상기 제2 단부는 말단을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말단을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는(테이퍼지는)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표면들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표면들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표면들은 짝을 지어 배열되고, 각각의 짝들은 정점을 향하여 상기 축에 대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수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점들은 세트들로 배열되고, 상기 세트들은 상기 축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배열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열들로 배열된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한 세트의 제2 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상술한 용품과 핸들의 조합이 개시되고, 상기 핸들은

    사용자에 의해 작용되어 사용자가 힘들 및/또는 토크를 상기 핸들로 인가할 수 있는 그립부; 및

    상기 용품들이 상기 핸들로 다시 연결될 때 상기 제2 단부가 수용되는 소켓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은 상기 핸들 내부로 점점 가늘어진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은 말단을 가지며 반경을 갖는 표면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들이 예시적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치간 칫솔 및 핸들의 일부를 나타내는 등각 투영도이다.
    도 2는 치실 물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들에 적용되는 도 2의 치실 물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치간 칫솔의 단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3의 핸들의 단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부를 8-8 라인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치실 물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10은 도 6, 도 7 및 도 8의 핸들의 단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치과 위생 용품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 위생 용품은 치간 칫솔(interdental brush)(10)이다. 칫솔(10)은 가늘고 긴 몸체(11)를 포함하고, 몸체(11)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성형되고 제1 단부(12) 및 마주하는 제2 단부(13)를 갖는다.

    몸체(11)는 종방향 축(14)을 갖는다.

    브러시(15)는 제1 단부(12)에 결합된다. 브러시(15)는 뒤틀리거나 그렇지 않게 형성된 와이어 베이스(16)를 포함하고 일련의 다수개의 강모들(bristles)(17)이 베이스(16)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1 단부(12)는 다수개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18) 및 다수개의 환상의(환상으로 연장하는) 슬롯들(19)을 포함한다. 슬롯들(19)은 축(14)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격하는 위치들에(longitudinally space locations) 배치되는 반면, 슬롯들(18)은 축(14)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격하는 위치들에(angularly spaced locations) 배치된다.

    슬롯들(18)은 축(14)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로지르는(반경방향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14)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반경방향으로(가로지르도록) 향하는 표면들(20)을 제공한다. 표면들(20)은 짝을 지어 배열되고 각각의 짝은 정점(21)을 향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수렴한다.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19)은 축(14)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격하는 위치들에 배치되는 표면들(22)을 제공한다. 표면들(22)은 축(14)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종방향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14)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향하고 축(14)에 대하여 일부가 외측 반경방향으로 향한다.

    제2 단부(13)는 도 4에 있어서, 말단(end extremity)(23)을 가지며, 제2 단부(13)는 축(14)을 향하여, 즉, 말단(23)을 향하여 내부로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몸체(11)의 제2 단부(13)를 그립하고, 표면들(20, 22)에 축(14)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힘들을 인가하고, 축(1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힘들을 인가할 뿐만 아니라 도 6의 대응하는 테이퍼진 소켓(53) 내부로 테이퍼진 제2 단부(13)에 종방향으로 로킹하고(lock), 도 8의 대응하는 융기부들(ridges)(56)과 결함함으로써 회전방지(anti-rotation)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 위생 용품은 치실 기구(floss item)(30)이다. 기구(30)는 종방향 축(32)을 제공하는 몸체(31)를 갖는다. 몸체(31)는 베이스(33)를 갖고, 한 쌍의 일반적으로 평행한 암들(34)이 베이스(33)로부터 연장한다. 암들(34)의 말단들 사이에는 치실용 테이프(flossing tape)(35)가 인장될 수 있다.

    몸체(31)는 또한 제1 그립부(36)를 가지고, 제1 그립부(36)는 다수개의 돌출부들 및 융기부들(37, 38)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구(30)를 그립하는 것을 도와준다. 상기 돌출부들에는 힘이 축(32)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작용하고/또는, 축(3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작용하고/또는 축(32)에 대하여 토크가 작용될 수 있다.

    베이스(33)는 암들(34)을 제공하는 제1 단부(39) 및 도 1 및 도 4의 실시예의 제2 단부(13)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제2 단부(40)를 갖는다. 제2 단부(40)는 축(32)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며 종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다수개의 슬롯들(41)뿐만 아니라 축(32)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격하는 위치들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환상의(환상으로 연장하는) 슬롯들(42)을 포함한다. 이러한 슬롯들(41, 42)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들(20, 22)을 제공한다. 제2 단부(40)는 또한 축(32)뿐만 아니라 말단(23)에 대하여 점점 가늘어진 형상을 갖는다. 제2 단부(40)는 도 6 및 도 8의 소켓(53) 내에 수용되고 도 6, 도 7 및 도 8의 핸들(5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치과 위생 용품들(10, 30)은 핸들(5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핸들(50)은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어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강 기구들에 힘들과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핸들(50)은 사용자의 손바닥에 그립되고 사용자의 손가락들에 의해 연동될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53)을 제공하는 단부(52)는 상기 그립부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부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소켓(53)은 말단(55)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54)를 포함한다. 다수개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융기부들(56)이 통로(54)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융기부들(56)은 핸들(50)의 종방향 축(57)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배치되고 제2 단부들(13, 40)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18) 상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통로(54)는 말단(55)으로부터 내부로 점점 가늘어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단부들(13, 40)은 소켓(53) 내부에 기능적으로 결합하여 핸들(50)과 기구(10, 30)와 같은 치과 위생 용품 사이에서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고, 또한 단부(52)의 외측을 통해 외부 기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견고한 연결을 통해, 상기 연결의 회전 미끄러짐(rotational slippage)으로 인해 축(14, 32, 57) 둘레에 축방향으로 힘들이 작용하거나 상기 장치의 풀림 및 분리없이, 힘들이 축(14, 32, 57)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말단(55)은 곡면(58)을 제공하여 편안한 경구 내 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치실 기구(30)는 오직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들(19)을 가져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정점들(21)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오직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횡방향으로 마주하는 표면들(20)이 제공된다.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단부(52)는 단부(52)가 다른 치과 위생 용품들과 결합할 수 있는 리세스들(60)을 포함한다. 도 6,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리세스들(60)은 주로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세스들(60)은 또한 축(57)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헤드 사이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 종방향 운동은 소켓(53) 내에 단부(40)를 맞물리게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