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申请号 KR1020090088611 申请日 2009-09-18 公开(公告)号 KR1020110030934A 公开(公告)日 2011-03-24
申请人 (주) 케이제이 메디텍; 发明人 박숙규;
摘要 PURPOSE: A bite fork used for an orthognathic surgery is provided to improve objectivity and accuracy of an orthognathic surgery. CONSTITUTION: A bite fork used for an orthognathic surgery comprises: an incisal pin(A) coupling the gap between a dental articulator and a bite fork; and a bundle part(B) which is fixed to and coupled with the incisal pin, is fixed to and coupled with the dental articulator by the incisal pin and controls the height, slope, and location of front and rear teeth. The incisal pin includes a reference groove and first and second planes.
权利要求
  • 교합기에 탈/부착되어 상악골의 전치부 및 구치부를 악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Bite Fork)로서,
    상기 교합기와 바이트 포크 간을 체결하는 전치핀(Incisal Pin); 및
    상기 전치핀과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전치핀에 의해 교합기와 체결되며 상기 전치부 및 구치부의 높이, 기울기 및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뭉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핀은, 상기 바이트 포크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핀은, 상기 바이트 포크와 상기 교합기 간을 정확하게 탈 부착시키기 위한 기준 홈과, 상기 기준 홈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뭉치부 및 상기 교합기와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면은 서로 대향하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뭉치부는,
    중앙부에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를 가지며, 일 측 가장자리 부분에 수평계를 갖는 상부 몸체;
    상기 수평계과 대향하는 상부 몸체 타 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전치부 높이 조절부;
    상기 수평계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된 구치부 조절부;
    상기 상부 몸체 하측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수평 및 수직 홀을 갖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수평 홀을 통해 관통하도록 구비된 전치부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는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부 높이 조절부는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치부 조절부는,
    구치부 조절부 몸체; 및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체에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된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체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양 끝에서 각각 연장된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체는 "C"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는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체의 각 직선부의 동일 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부를 고정시키는 전치부 위치 조절부용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기 수직 홀을 관통하는 전치핀을 고정시키는 전치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기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바이트 포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이트 포크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부는,
    상기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 상측 부분에 배치되는 전치부 위치 조절바; 및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바에 체결되어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바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하부 몸체의 수평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치부 위치 조절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说明书全文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BITE FORK USED FOR ORTHOGNATHIC SURGERY}

    본 발명은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악골에 대한 악 교정시, 교합기에 부착하여 상기 상악골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조절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은 턱관절운동에 따라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치열이 바르지 않아 상하의 치아 교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부정교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부정교합은 어느 경우이든 심미적 문제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발음상의 문제와 저작기능의 저하 이외에 충치와 잇몸질환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교합을 정상교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악 교정이라는 수술을 수행한다.

    악 교정 수술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와 얼굴 부분의 골격적인 이상을 바로잡아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얼굴을 만드는 것으로 아래 위 치아의 맞물림의 이상이 심할 경우 음식물을 씹거나 깨물기 어려우며, 발음에도 이상이 생기고, 얼굴이 비대칭으로 생기며, 심한 주걱턱이나 무턱의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 기 때문에 개선을 위하여 시행하는 수술이다.

    상기와 같은 악 교정 수술은 먼저 환자의 상부 턱과 하부 턱의 치아 배열을 본뜬 상부 모형물과 하부 모형물을 제작하고, 각각의 모형물을 교합한 상태에서 치아의 배열에 따라 모형물의 내부에서 스프린트와 같은 교정 장치를 제작하여 환자에게 수술한다.

    이때, 환자에게 맞는 스프린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부 모형물과 하부 모형물을 교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각 모형물을 고정시키는 모형물 고정장치, 즉, 교합기에서 각 모형물을 환자의 치아 상태 및 수술 계획에 따라 이동 및 조절하여 교정 장치를 제작한다.

    그러나, 자세하게 도시하고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스트린트를 제작하기 위한 악 교정 수술은 상악골의 절제 범위와 절제 부위 및 절제량 등을 결정할 때 적절한 계측 장치가 없고, 또한, 모형물을 교합기에 교합 상태로 맞춰놓고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상악골의 절제 부위를 톱과 같은 수 작업을 통해 절단하여 스프린트를 제작하기 때문에, 악 교정 수술 수행이 어려우며, 객관적이고 정확한 측정에 의한 악 교정 수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교합기를 이용한 악 교정 수술은 교합기에 모형물을 마운팅 한 후, 교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모형물을 빈번히 탈 부착시킴에 따라서, 교합 상태의 판단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모형물을 탈 부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악 교정 수술이 용이하며, 악 교정 수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를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악 교정 수술 수행시 번거로움 및 어려움을 해소하여 악 교정 수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 교정 수술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합기에 탈/부착되어 상악골의 전치부 및 구치부를 악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Bite Fork)로서, 상기 교합기와 바이트 포크 간을 체결하는 전치핀(Incisal Pin); 및 상기 전치핀과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전치핀에 의해 교합기와 체결되며 상기 전치부 및 구치부의 높이, 기울기 및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뭉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치핀은, 상기 바이트 포크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치핀은, 상기 바이트 포크와 상기 교합기 간을 정확하게 탈 부착시키기 위한 기준 홈과, 상기 기준 홈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뭉치부 및 상기 교합기와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면은 서로 대향하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뭉치부는, 중앙부에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를 가지며, 일 측 가장자리 부분에 수평계를 갖는 상부 몸체; 상기 수평계과 대향하는 상부 몸체 타 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전치부 높이 조절부; 상기 수평계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된 구치부 조절부; 상기 상부 몸체 하측에 부착되며, 다수 개의 수평 및 수직 홀을 갖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수평 홀을 통해 관통하도록 구비된 전치부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는 타원 형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치부 높이 조절부는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치부 조절부는, 구치부 조절부 몸체; 및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체에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된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체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양 끝에서 각각 연장된 직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체는 "C"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는 상기 구치부 조절부 몸 체의 각 직선부의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부를 고정시키는 전치부 위치 조절부용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기 수직 홀을 관통하는 전치핀을 고정시키는 전치핀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기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바이트 포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이트 포크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부는, 상기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 상측 부분에 배치되는 전치부 위치 조절바; 및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바에 체결되어 상기 전치부 위치 조절바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하부 몸체의 수평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치부 위치 조절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크는 모형물이 교합된 교합기에 직접 부착하여 상악골에 대한 악 교정 수술을 수행함으로써, 악 교정 수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는 전치핀 및 뭉치부의 구성을 통해 상악골의 전치부 및 구치부의 높이, 기울기 및 위치를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악 교정 수술시 객관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는, 교합기에 탈/부착되어 상악골의 전치부 및 구치부를 악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Bite Fork : 100)로서, 전치핀(Incisal Pin : A) 및 뭉치부(B)를 포함한다.

    전치핀(A)은 뭉치부(B)와 체결되어, 교합기(101)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포크(100) 간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치핀(A)은 예를 들면 핀(Pin) 또는 얇은 폭의 직사각형 바(Bar)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전치핀(A)은 교합기(101)와 바이트 포크(100) 간을 체결시, 바이트 포크(10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치핀(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홈(104)과 제1 및 제2면(106, 108)을 포함한다.

    기준 홈(104)은 바이트 포크(100)와 교합기(101) 간을 정확하게 탈 부착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는 홈(104)으로서, 교합기(101) 내에 바이트 포크(100)를 탈착 또는 부착시 정확한 위치를 재현하기 위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치핀(A)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다.

    제1 및 제2면(106, 108)은 각각 이러한 중앙 부분에 구비된 기준 홈(104)과 이격되고, 이러한 기준 홈(104)을 기준으로 서로 상호 간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전치핀(A)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이러한 제1 및 제2면(106, 108)은 예를 들면 평면을 포함하되, 전치핀(A)의 동일면이 아닌 서로 대응하는 방향의 각 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 및 제2면(106, 108)은 각각 교합기(101) 및 바이트 포크(100)의 체결시, 교합기(101)에 체결된 바이트 포크(101)가 소망하지 않는 위치로의 이탈,이동 및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뭉치부(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치핀(A)에 의해 교합기(101)와 체결되어, 상악골의 전치부 및 구치부의 높이, 기울기 및 위치를 각각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뭉치부(B)는 상부 몸체(110), 전치부 높이 조절부(116), 구치부 조절 부(122), 하부 몸체(130) 및 전치부 위치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110)는 이러한 바이트 포크(100)의 전체 몸체를 이루며, 예를 들면 넓적한 직사각형 형상의 바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110)는 중앙부에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112)를 가지며, 일 측 가장자리 부분에 바이트 포크(100)의 수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수평계(114)가 구비된다.

    이때,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112)는 바이크 포크(100) 전체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며, 예를 들면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치부 높이 조절부(116)는 상부 몸체(110)의 수평계(114)와 대향하는 상부 몸체(110)의 타 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전치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118)를 포함한다.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118)는 예를 들면 약 18㎜의 지름을 갖는 원 형상을 포함하며, 약 1㎜ 간격의 눈금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수직, 즉,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약 10㎜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이러한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118)는 전치부 이동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격 및 유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전치부 높이 조절 와셔(118)를 포함하는 전치부 높이 조절부(116)는 상악골의 치아 크기, 상태 및 배열 분포를 고려하여 상부 몸체(110)의 수평 면 높이보다 하부로 약 5㎜ 가량 낮은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구치부 조절부(122)는 일 측 가장자리 부분에 바이트 포크(100)의 수평을 정 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 수평계(114)와 대향하는 상부 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된다.

    이러한 구치부 조절부(122)는 구치부 조절부 몸체(125) 및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124)를 포함한다.

    구치부 조절부 몸체(125)는 곡선부(128) 및 곡선부(128)의 양 끝에서 각각 연장된 직선부(126)를 포함하며, 이러한 곡선부(128) 및 곡선부(128)의 양 끝에서 각각 연장된 직선부(126)를 포함하는 구치부 조절부 몸체(125)는 예를 들면 일 측면이 개방된 "C"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124)는 전술한 구치부 조절부 몸체(125)의 각 직선부(126)의 동일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구치부 좌/우의 높이를 상호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124)는 예를 들면 약 8㎜의 지름을 갖는 원 형상을 포함하며, 약 1㎜ 간격의 눈금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수직, 즉,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약 20㎜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이러한 구치부 높이 조절 와셔(124)는 구치부 이동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격 및 유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구치부 조절부(122)와 상술한 전치부 높이 조절부(116) 간은 상악골의 크기 및 상태에 따라 약 32㎜ 정도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하부 몸체(130)는 상술한 상부 몸체(110)의 하측에 부착되며, 내부에 다수 개의 수평 및 수직 홀(132)이 구비된다.

    전치부 위치 조절부(140)는 이러한 하부 몸체(130)의 수평 홀(13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하부 몸체(130) 및 상부 몸체(110)와 연결된다.

    이때, 이러한 전치부 위치 조절부(140)는 전치부 위치 조절바(136) 및 전치부 위치 조절핀(138)을 포함한다.

    전치부 위치 조절바(136)는 전치부의 높이 조절 와셔(118) 상측 부분에 배치되어, 전치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치부 위치 조절핀(138)은 하부 몸체(130)의 수평 홀(13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일 측 단부가 이러한 전치부 위치 조절바(136)에 체결되어 전치부 위치 조절바(136)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100)는 하부 몸체(130)의 수평 홀(132)을 관통하는 전치부 위치 조절부(140)의 전치부 위치 조절핀(138)을 고정시키는 전치부 위치 조절부용 고정부(142)와, 하부 몸체(130)의 수직 홀을 관통하는 전치핀(A)을 고정시키는 전치핀 고정부(144) 및 하부 몸체(130)의 바이트 포크 위치 조절용 개구(112)를 관통하여, 바이트 포크(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이트 포크 위치 고정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전치부 위치 조절부용 고정부(142), 전치핀 고정부(144) 및 바이트 포크 위치 고정부(146)는 예를 들면 각각 볼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바이트 포크를 직접 모형물이 교합된 교합기에 부착하여 상악골에 대한 악 교정 수술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통해 모형물을 빈번히 탈 부착시키지 않고도 악 교정 수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 및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어, 악 교정 수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치핀 및 뭉치부의 구성을 통해 상악골의 전치부 및 구치부의 높이, 기울기 및 위치를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악 교정 수술시 객관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바이트 포크 101 : 교합기

    A : 전치부 B : 뭉치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