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申请号 KR1020160112524 申请日 2016-09-01 公开(公告)号 KR1020160149174A 公开(公告)日 2016-12-27
申请人 최성숙; 发明人 최성숙; 김인재;
摘要 본발명은치과진료를위한진료유닛의구동이자동으로제어될수 있는자동스위칭치과진료장치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따른자동스위칭치과진료장치는치과진료를위한가동툴과, 상기가동툴이결합되는핸드피스를포함하는진료유닛과, 구강내부에삽입되는석션팁과상기석션팁이연결되는석션배관을포함하는석션유닛과, 상기가동툴과상기석션팁사이의패러미터의차이또는상기가동툴과석션팁각각의패러미터의변화를감지하고, 상기진료유닛의구동을제어하는제어부를포함하고, 상기석션유닛은상기패러미터의차이또는패러미터의변화에따라상기진료유닛이구동되는것을차단하거나허용하기위한스위칭부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치과 진료를 위한 가동툴과, 상기 가동툴이 결합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유닛과;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석션팁과 상기 석션팁이 연결되는 석션배관을 포함하는 석션유닛과;
    상기 가동툴과 상기 석션팁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상기 가동툴과 석션팁 각각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진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패러미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진료유닛이 구동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하는 패러미터는 상기 가동툴과 상기 석션팁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임피던스 중 어느 하나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석션팁으로부터 상기 석션배관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석션배관의 굽힘 변형시 변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도성이 있는 형상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유지부재를 통해 상기 석션팁이 구강내의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패러미터의 변화 또는 차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구리, 알루미늄, 구리합금 및 알루미늄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석션배관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형상유지부재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재의 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석션배관의 하부에 위치하며, 석션배관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착탈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재가 상기 석션배관에 결합될 때 상기 석션배관의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유지부재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단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연결부는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석션팁과 가동툴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석션배관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핀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결합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결합단자가 핀홀에 끼워지면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상기 결합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단자가 핀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결합단자와 상기 형상유지부재의 연결을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 说明书全文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AUTOMATIC OPERATION DENTAL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를 위한 진료유닛의 구동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이 날로 발전하면서 구강 특히 치아의 건강은 인체의 어느 장기 못지않게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더욱이 치아의 건강을 쉽게 헤치는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량이 늘어나면서 치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치아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치과에서 치아 검진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정기적인 치아 검진을 위해 보통 주기적으로 스케일링을 하는 것이 권장하며, 충치 등이 발생하는 경우 치과 진료 기구를 이용해 치료를 실시한다.

    스케일러나 치과진료 기구들은 대부분 핸드피스에 장착해 사용하며, 시술자가 풋스위치를 통해 구동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풋스위치는 오랫동안 사용하다보면 발목이나 종이리에 큰 부담이 가게 될 수 있으며, 작동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 실수로 풋스위치를 밟아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9565호 : 치아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299호 : 자동 동작 초음파 스케일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풋스위치 없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동작 제어가 용이한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는 치과 진료를 위한 가동툴과, 상기 가동툴이 결합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유닛과,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석션팁과 상기 석션팁이 연결되는 석션배관을 포함하는 석션유닛과, 상기 가동툴과 상기 석션팁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상기 가동툴과 석션팁 각각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진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패러미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진료유닛이 구동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하는 패러미터는 상기 가동툴과 상기 석션팁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임피던스 중 어느 하나의 차이일 수 있다.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석션팁으로부터 상기 석션배관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석션배관의 굽힘 변형시 변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도성이 있는 형상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유지부재를 통해 상기 석션팁이 구강내의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패러미터의 변화 또는 차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구리, 알루미늄, 구리합금 및 알루미늄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석션배관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형상유지부재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재의 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석션배관의 하부에 위치하며, 석션배관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착탈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재가 상기 석션배관에 결합될 때 상기 석션배관의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유지부재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단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연결부는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석션팁과 가동툴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석션배관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핀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결합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결합단자가 핀홀에 끼워지면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상기 결합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단자가 핀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결합단자와 상기 형상유지부재의 연결을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는 풋스위치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진료기구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진료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석션유닛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석션유닛의 스위칭부의 단면도,
    도 4는 스위칭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스위칭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스위칭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스위칭부의 단면도,
    도 8은 스위칭부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스위칭부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10)는 진료유닛과, 석션을 위한 석션유닛(200)과, 진료유닛과 석션유닛(200)의 패러미터의 차이를 감지하여 진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진료유닛은 치아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구로서, 스케일러, 드릴핸드피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를 인가하여 치석을 제거하는 초음파 스케일러를 예로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진료유닛의 일 예로 스케일링유닛을 기재한다. 물론 상기 진료유닛은 스케일링유닛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릴을 비롯해 각종 치과용 가동툴을 핸드피스에 결합해 사용하는 모든 진료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다.

    스케일링유닛(100)은 스케일러팁(110)과 스케일러팁(110)이 연결되는 핸드피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일러팁(110)은 치아 및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 제거를 위한 것이며, 상기 핸드피스(1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스케일러팁(110)은 소모성 부품으로 스케일링의 진행으로 팁의 단부가 마모되면 교환한다.

    상기 스케일러팁(110)은 후술하는 제어부(300)에서 석션유닛(200)과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아울러 핸드피스(120)는 시술자가 스케일링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을 위한 스위치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케일러팁(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신호전달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석션유닛(200)은 스케일링 과정에서 시술받는 사람의 체액이나 스케일링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흡입하는 것으로, 석션팁(210)과, 상기 석션팁(210)에 결합되는 석션배관(220)을 포함한다.

    석션팁(210)은 단부가 개구되어 있어서 체액 및 세척수를 흡입할 수 있으며, 석션팁(210)에 연결된 석션배관(220)을 통해 흡입된 체액 또는 세척수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석션배관(220)은 구부릴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석션배관(220)에는 형상유지를 위한 형상유지부재(230)가 관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재(230)는 석션유닛(200)을 시술받는 사람의 구강부에 걸어두거나 구강 내 구석진 부분에서의 체액 또는 세척수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구부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형상유지부재(230)는 석션배관(220)을 구부렸을 때, 구부러진 형상대로 유지됨으로써 석션배관(220)의 굽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형상유지부재(230)는 손으로도 절곡이 가능한 연질의 재질이면서도 석션유닛(200)과 스케일링유닛(100)의 패러미터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상기 형상유지부재(230)는 구리나 알루미늄 또는 구립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소정 직경의 형상유지부재(230)는 상기 일단이 상기 석션팁(210)에 근접하여 상기 석션팁(210)이 구강 내에 접촉해 있는 상태일 때, 체액 또는 세척수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이며, 석션배관(220)의 내벽에 결합되어 석션배관(220)을 따라 석션배관(220)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형상유지부재(230)는 석션배관(220)의 내벽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도 있고, 석션배관(220)의 내벽에 형상유지부재(230)가 끼워질 수 있는 별도의 결합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석션유닛(200)과 스케일링유닛(100)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스케일링유닛(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패러미터 차이는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임피던스 중 어느 하나의 차이일 수 있다. 이 때, 기준 범위는 스케일러팁(110)이 치아에 접촉되고, 석션팁(210)이 구강 내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임피던스 중 어느 하나의 차이에 대한 범위일 수 있다.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 등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 간의 임피던스 차이는 무한대일 수 있다. 반면 석션팁(210)이 구강 내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 등에 접촉되는 경우,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가 무한대보다 작아지게 된다. 제어부(300)는 이와 같이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 등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촉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또는 이와 반대로 변화하는 경우의 임피던스 차이의 변화를 읽을 수 있다.

    기준 범위는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제어부(300)가 감지하는 패러미터의 종류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가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감지하는 경우, 기준 범위는 임피던스 차이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팁(210)이 구강 내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 등에 접촉되는 경우,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 사이에 형성되는 임피던스 차이가 2M Ohm 이하이면, 이를 기준 범위로 할 수 있다.

    임피던스는 저항, 인덕턴스 및 정전 용량의 합성효과로 나타나는 것이므로, 제어부(300)가 감지하는 패러미터 차이의 종류가 저항, 인덕턴스 및 정전 용량인 경우에도 전술한 임피던스의 구현예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가 감지하는 패러미터 차이가 저항 차이라면,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 등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 간의 저항 차이는 무한대일 수 있고, 석션팁(210)이 구강 내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 등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스케일러팁(110)과 석션팁(210) 사이의 저항 차이가 무한대보다 작아질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석션팁(210)과 스케일러팁(110)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를 통해 석션팁(210)과 스케일러팁(110)이 모두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초음파발생부(310)를 가동하여 스케일러팁(110)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며, 이와 동시에 스케일링이 진행되는 동안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물분사구동부(320)를 구동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석션유닛(200)은 스위칭부(2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부(240)는 제어부(300)에서 석션팁(210)과 스케일러팁(110)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변화를 감지할 수 없도록 하여 스케일링유닛(100)의 구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칭부(240)는 석션배관(2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스위칭부(240)는 상기 석션배관(2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241)와, 상기 본체(2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42)과, 상기 회전축(242)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형상유지부재(230)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연결부재(243)와, 상기 본체(241)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242)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243)가 상기 형상유지부재(230)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회전축(242)을 회전시키는 조작레버(245)를 포함한다.

    본체(241)는 석션배관(2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석션배관(220)을 통해 유입된 체액 및 세척수가 배수라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수라인과 연결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41)에는 회전축(2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축(242)은 본체(241)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양 단부가 본체(241)에 지지되어 있다.

    조작레버(245)는 상기 회전축(242)과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레버(245)를 상하로 이동시켜 회전축(24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242)에는 연결부재(243)가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부재(243)는 회전축(24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석션배관(220)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유지부재(230)와 접촉하거나 형상유지부재(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43)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호전달라인(246)을 통해 상기 제어부(300)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43)가 형상유지부재(230)와 접촉한 경우에는 제어부(300)에서 석션팁(210)이 구강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하는 경우 패러미터의 차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에서 감지하는 패러미터의 차이가 저항 차이인 경우 연결부재(243)가 형상유지부재(230)와 접촉하고, 석션유닛(200)의 석션팁(210)이 구강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항이 무한대이지만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저항이 낮아지면서 제어부(300)가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300)는 초음파발생부(310)를 통해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고 세척수를 공급한다.

    반대로 조작레버(245)를 통해 회전축(242)을 돌려 상기 연결부재(243)가 형상유지부재(230)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항이 무한대가 된 상태로 스케일러유닛의 구동이 제한된다. 이 경우 스케일러팁(110)을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시키더라도 상기 형상유지부재(230)와 연결부재(243)가 분리되어 있어 제어부(300)에서 감지하는 저항 차이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스케일러유닛이 구동하지 않는다.

    이렇게 스위칭부(240)를 통해 스케일러팁(110)이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하더라도 스케일러유닛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부(240)는 스케일링 시술 중 치아나 구강 내부 상태의 확인을 위해 초음파 진동 없이 스케일러 팁으로 치아에 접촉시켜야 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43)와 형상유지부재(230)의 결합상태 유지를 위해 형상유지부재(230)에 걸림홈(231)이 형성되고 연결부재(243)에는 걸림고리(244)가 형성될 수 있다.

    스케일링 시술 과정에서 석션유닛(200)의 위치를 옮겨야 하거나 시술자의 손에 의해 접촉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시술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연결부재(243)와 형상유지부재(230)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도록 연결부재(243)와 형상유지부재(230)를 걸림홈(231)과 걸림고리(244)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10)는 풋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케일러팁(110)을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초음파 진동이 인가되고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스케일링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스케일러 팁을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시킬 때 초음파 진동 및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경우 석션유닛(200)에 설치된 스위칭부(240)를 통해 간단히 스케일링유닛(100)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어 효과적인 치아 진료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스위칭부(25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칭부(250)는 석션배관(22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재(251)와, 착탈부재(251)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연결부(252)를 포함한다.

    착탈부재(251)는 석션배관(220)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상측에 상기 단자연결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연결부(252)는 착탈부재(251)가 석션배관(220)과 결합될 때, 석션배관(2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유지부재(23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착탈부재(251)가 석션배관(220)에 결합되어 형상유지부재(230)가 단자연결부(252)에 체결되면, 형상유지부재(230)가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석션팁(210)과 스케일러팁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칭부(250)는 착탈부재(251)를 석션배관(220)으로부터 분리하면 형상유지부재(230)와 단자연결부(252)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스케일러팁을 치아나 잇몸에 접촉하더라도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도 6 및 도 7에는 스위칭부(26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칭부(260)는 석션배관(2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261)와, 본체(261)에 결합되는 결합단자(263)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체(261)의 내부에는 형상유지부재(230)와 연결되는 커넥터(264)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261)의 일측에는 결합단자(263)의 핀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핀홀(2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홀(262)을 관통해 진입한 결합단자(263)의 핀이 연결되는 핀연결부(2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단자(263)는 연결라인(266)을 통해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결합단자(263)를 핀홀(262)에 꽂으면 형상유지부재(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제어부(300)에서 스케일러팁과 석션팁(210)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위칭부(260)는 상기 결합단자(263)를 핀홀(262)에 끼우거나 뺌으로써 자동제어가 온/오프 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스위칭부(260)는 버튼스위치(267)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결합단자(263)는 본체(261)에 끼워둔 상태에서 버튼스위치(267)의 조작을 통해 상기 형상유지부재와 결합단자(26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제어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다.

    도 9에는 첫 번째 실시예의 스위칭부(240)에 결합단자(263)를 체결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조작레버(245)에 의해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은 동일하며 형상유지부재와 제어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결합단자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제어부와 석션유닛의 전기적 연결이 쉽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동 스위칭 치과 진료 장치
    100: 스케일링유닛 110: 스케일러팁
    120: 핸드피스 200: 석션유닛
    210: 석션팁 220: 석션배관
    230: 형상유지부재 231: 걸림홈
    240: 스위칭부 241: 본체
    242: 회전축 243: 연결부재
    244: 걸림고리 245: 조작레버
    246: 신호전달라인 250: 스위칭부
    251: 착탈부재 252: 단자연결부
    260: 스위칭부 261: 본체
    262: 핀홀 263: 결합단자
    264: 커넥터 265: 핀연결부
    266: 연결라인 267: 버튼스위치
    300: 제어부 310: 초음파발생부
    320: 물분사구동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