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배수장치

申请号 KR1019910701038 申请日 1990-03-02 公开(公告)号 KR100141360B1 公开(公告)日 1999-02-18
申请人 호프세드,올라프; 发明人 호프세드,올라프;
摘要 PCT No. PCT/EP90/00349 Sec. 371 Date Nov. 4, 1991 Sec. 102(e) Date Nov. 4, 1991 PCT Filed Mar. 2, 1990 PCT Pub. No. WO90/10123 PCT Pub. Date Sep. 7, 1990.A vacuum drainage system for sanitary equipment such as toilets, urinals and sinks etc., comprising branching pipes connected to the sanitary equipment and ending in a collecting pipe (5), and a vacuum device (2)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ipe (5) producing vacuum in the pipes and transporting sewerage from the sanitary equipment to e.g. a collection tank (1) or purification plant. The vacuum device comprises one or optionally several screw pumps (2) with a mill or grinding device for grinding solid particles in the sewerage and being connected directly to the collecting pipe (5).
权利要求
  • 위생설비와 연결되고 집합관(5)에 개구되는 분지관과, 집합관(5)과 연결되고 관내에 진공을 공급하며 위행설비로부터 집합탱크(1) 또는 정화설비로 하수를 수송하도록 장치된 진공기구(2)를 포함하는 화장실, 소변기, 개수대등과 같은 위생설비용 진공배수장치에 있어서, 진공기구가 하나 또는 임의로 선택된 수개의 스크류펌프(2)를 포함하여, 스크류펌프(스크류펌프)에는 하수중의 고형물 분쇄용 분쇄기 또는 분쇄기구가 장치되며, 스크류펌프(스크류펌프들은) 집합관(5)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수장치.
  • 스크류펌프(2)가 베어링을 갖는 내부 펌프스크류(8,26) 및 펌프하우징(7,25)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진공배수장치에 있어서, 분쇄기(11,27)가 펌프이 입구 말단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집합관(5)이 분쇄기하우징(28)의 입구에 연결되어 하수가 먼저 분쇄기를 통과하고 계속해서 분쇄기하우징을 축방향으로 통과하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수장치.
  • 분쇄기가 정지 및 회전날을 포함하는 제2항에 따른 진공배수장치에 있어서, 정지날(13,30)이 분쇄기하우징 또는 펌프하우징의 입구말단에 장착되고, 회전날(14,29)이 스크류펌프의 축(16,3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수장치.
  • 제1항 및 제2항에 다른 진공배수장치에 있어서, 집합관(5)와 분쇄기하우징의 입구말단(15) 사이에 공기분리기(6)가 위치하고, 공기분리기(6)와 펌프하우징위에 있는 입구(7) 사이에 공기관(17)이 위치하여, 위생설비로부터의 하수는 분쇄기(11) 하우징으로 흘러 들어가고 위생설비로부터의 공기는 분쇄기를 지나 스크류펌프이 입구(7)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수장치.
  • 说明书全文

    [발명의 명칭]

    진공배수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화장실, 소변기 및 개수대등과 같은 위생설비용 진공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생설비와 연결되고 집합관에 개구되는 분지관과, 집합관과 연결되고 관내의 진공을 이루며 오물을 위생설비로 부터 집합탱크, 점화설비, 배수기구등으로 수송하도록 하는 진공기구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한 형태의 오물처리기구는 선박, 비행기 및 열차에서의 사용과 관련하여 오늘날 압도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비는 지상에서도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우선적으로 물사용량의 감소와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관의 탄력적 장치가 존재한다.

    스웨덴 공개번호 제389,882호로부터 순환펌프가 파이프 고리내에 장착되고 탱크내에서 내용물을 교반, 분리 및 통기시키도록 장치된 진공배수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분출펌프가 이 파이프고리에 또한 연결되고 배출장치내에 진공을 만든다. 따라서 이 분출펌프는 순환펌프에 의해 파이프고리내에서 순환되는 하수에 의해 가동된다. 그러나 이것은 탱크내로 들어오는 직물, 위생용품등에 의해 쉽게 막힌다는 것이 원심분리형 순한펌프의 주요한 결점이다. 이러한 폐색이 되면 펌프를 분리하여 세척하여야 하므로, 이는 작동의 중지와 작동비용의 증가를 의미한다. 게다가 이들은 대형이고 공간을 차지하는 집합 탱크를 포함하므로 편의시설, 특히 소형보우트 같이 공간이 협소한 곳에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것이 이러한 배수장치가 갖는 주된 결점이다.

    이 장치는 다른 점에서는 분출펌프와 원심분리펌프의 2개의 펌프와 함께 파이프고리 및 집합탱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설치하기에 비용이 많이 든다.

    이 탱크는 탱크내에 거품생성이 안될정도의 크기이어야 하고 항상 그 정도의 액체량(하수)을 함유할 수 있어야 한다. 액체의 거품형성은 분출기가 그 펌프효과를 소실하게 만드는데, 비록 탱크내의 순환액체량이 많도록 유지된다 하도라도 어떤 경우, 특히 비눗물이 탱크에 공급되는 화장실 청소와 관련하여 거품형성은 어차피 일어나게 된다.

    본 출원인 자신의 노르웨이 특허출원 제87.1539호에서는 2개의 방과 하나의 분리가동되는 분쇄기를 갖는 진공탱크가 사용되는 진공배수장치용 집합장치를 보여준다. 하수는 탱크의 첫 번째 방으로 공급되고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어 두 번째 방으로 이송된다. 진공펌프는, 그중에서도 특히 스크류 펌프는 탱크내에 진공을 만들고 상기 두 번째 방의 내용물을 탱크밖으로 펌프질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장치가 폐색과 작동중단 문제를 해결한다 하더라도, 이 장치는 설치에 비용이 비교적 많아 들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편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결점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다음과 같은 진공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구조가 보다 작고 간단하며 따라서 특히 공간이 협소한 소형보트 및 캠프용 차에 유용하고, 동시에

    -생산비용이 저렴하며,

    -작은 작동비용으로 안전하게 작동하고,

    -유효성이 크며,

    -집합탱크 또는 정화장치와의 연결이 간단하고,

    -거품과 관련된 문제 및 펌프효과의 소실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나타낸 양상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수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종속청구항 제2 내지 4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태양을 특정한다.

    본 발명은 이제 다음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개시될 것이다:

    [도면의 간간한 설명]

    제1도는 하나의 집합탱크와 하나의 스크류 펌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스크류 펌프의 확대된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다른 실시태양의 스크류펌프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도에는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배수장치의일부가 나타나 있는데, 하나의 집합탱크(1)와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2개의 진공펌프(2)를 포함한다. 이들 펌프는 연결관(4)를 통해 탱크에 연통되는 출구말단(3)에 위치하고, 화장실등(도시되지 않음)에서 오는 하수가 집합관(5)으로부터 공급된다. 각각의 펌프(2)는 입구에 하나의 공기분리기(6)(다음절 참조)와 도시되지 않은 하나의 체크밸브가 장치된다.

    제2도에는 제1도에 나타낸 펌프중 하나의 확대종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히 보듯이 이 펌프는 스크류형이고 베어링(9와 10)을 갖는 내부 펌프스크류(8)를 함유하는 스크류하우징(7)을 포함한다. 이 펌프의 내부 말단에는 정지날(13)과 회전날(14)을 갖는 분쇄기하우징(12)을 포함하는 분쇄기구 또는 분쇄기(11)가 위치한다. 분쇄기하우징(12)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공기분리기(6)가 형성되어 장착되는 플랜지를 갖는 입구(15)가 또한 장치된다. 실시예에서 회전날(14)은 스크류(8)와 동일한 축(16)에 장착되고 공통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동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태양에서 칼날은 분리된 축에 장착될 수 있고 분리된 모터에 의해 가동될 수도 있다.

    이 진공펌프는 다음의 방법으로 작동한다;

    진공스위치(누름상태)는 집합관(5) 내부에 장착되고, 관내압력이 일정수준을 넘었을때 펌프가 작동한다(한번에 단지 하나의 펌프만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집합관(5)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와 하부는 분리기(6)내에서 분리되는데, 여기에서 공기는 공기관(17)을 통하여 분쇄기를 지나 펌프하우스(18)의 입구로 직접 연결되고, 반면에 하수는 입구(15)를 통하여 분쇄기 하우징으로 들어간다. 하수는 입구(15)로부터 분쇄기하우징(12)를 통하여 흡인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조각, 직물등과 같은 하수중의 고형물은 하수흐름을 따라 앞에 있는 칼날(13,14)에 의해 분쇄되고 다시 펌프하우스의 입구방(19)에서 공기와 혼합된다. 여기에서 하수와 공기는 펌프하우징(7)을 통해 축방향으로 흡인되고 연결관(4)을 통해 탱크(1)가지 더욱 펌프질된다.

    탱크(10)에 관하여 말하면, 내용물 배출을 위한 하나의 분리된 펌프(20), 범람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플랜지를 갖는 하나의 파이프말단(21), 공기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플랜지를 갖는 또하나의 파이프말단(22), 및 검사용 뚜껑(23)이 장치되어 있다. 또한 탱크의 옆면으로는 하나의 퓨우즈/연결기통(24)이 장착된다. 비록 상기의 개시에서 펌프(2)가 탱크(1)에 연결되도록 특정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연결 때문에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이 펌프는 정화장치, 공중하수관망을 위한 집합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이 진공배수장치가 선박에 설치된다면 직접 선박밖의 파이프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진공펌프에 관해서 말하면, 공기분리기의 목적은 분쇄기내 유통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하수만이 분쇄기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하수중에 존재하는 고형물의 더 나은 분쇄와 펌프용량의 증진이 이루어진다. 분리기를 갖는 상기의 펌프는 큰 펌프용량이 요구되는 대형 진공배수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작은 펌프용량을 갖는 소형장치에 특히 적합한 펌프의 또다른 실시태양을 제3도에 나타내었다. 이 펌프에는 공기분리기가 장치되지 않은 사실을 제외하면, 그 구조가 주로 제2도에 나타낸 펌프와 동일하다. 이 펌프는 베어링을 갖는 하나의 내부펌프스크류(26)를 함유한 펌프하우징(25)과 펌프하우징의 말단에 연결된 하나의 분쇄기(27)를 포함한다. 분쇄기는 내부 정지날(30)과 회전날(29)을 갖는 분쇄기하우징(28)을 포함한다. 회전날(29)은 펌프스크류(26)와 동일한 축에 장착되고 따라서 이것과 함께, 도시되지 않는 전기모터에 의해 가동된다. 분쇄기하우징이 입구에는 펌프가 정지했을때(흡인관내 진공은 유지된다)공기와 하수가 흡인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31)가 위치한다. 이 펌프에는 공기분리기가 장치되지 않으므로, 공기와 하수 모두가 분쇄기 하우징으로 흘러 들어가서 펌프를 축방향으로 통과한다. 다른 면에서의 작동은 제2도에 나타낸 펌프와 동일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