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를 운반하는, 특히 배기 가스 클리닝 첨가제를 운반하는 펌프

申请号 KR1020167024653 申请日 2015-03-18 公开(公告)号 KR1020160135188A 公开(公告)日 2016-11-25
申请人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发明人 호드슨,얀; 매건,조지; 코프,이브;
摘要 유체를운반하는펌프(1)는, 적어도하나의입구(3)와적어도하나의출구(4)를구비하고회전대칭내부외주방향표면(13)과기하학적축(23)을구비하는적어도하나의펌프하우징(2)을포함하되, 편심부(5)가상기펌프하우징(2) 내에배열되고, 상기기하학적축(23) 주위로상기펌프하우징(2)에대해회전가능하며, 변형가능한부재(7)는상기펌프하우징(2)의상기내부외주방향표면(13)과상기편심부(5)의외부표면(6) 사이의펌프갭(11)에배열되고, 운반채널(8)은상기펌프하우징(2)의상기내부외주방향표면(13)과상기변형가능한부재(7)에의해상기적어도하나의입구(3)로부터상기적어도하나의출구(4)로형성되며, 추가로, 상기변형가능한부재(7)는상기운반채널(8)의적어도하나의변위가능한밀봉부(9)와적어도하나의폐쇄된펌프볼륨(10)이상기운반채널(8)에형성되는방식으로상기편심부(5)의상기외부표면(6)에의해상기펌프하우징(2)으로부분적으로프레스되고, 상기변위가능한밀봉부는상기편심부(5)의회전에의해변위가능하며, 상기입구(3)로부터상기출구(4)로가는상기운반채널(8)을따라유체를운반하고, 상기변형가능한부재(7)는상기기하학적축(23)의방향으로하나의측면또는두 개의측면에돌출부(20)를구비하며, 상기돌출부는상기변형가능한부재(7)와접촉하는상기편심부(5)의상기외부표면(6)에걸쳐연장되고, 적어도하나의돌출부(20) 내측에센터링링(16)이있다.
权利要求
  • 액체를 전달하는 펌프(1)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3)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4)를 구비하고, 회전 대칭 내부 외주면(13)과 기하학적 축(23)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하우징(2)을 포함하되, 편심부(5)가 상기 펌프 하우징(2) 내에 배열되고, 상기 편심부(5)는 상기 기하학적 축(23) 주위로 상기 펌프 하우징(2)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변형가능한 부재(7)가 상기 펌프 하우징(2)의 상기 내부 외주면(13)과 상기 편심부(5)의 외부면(6) 사이의 펌프 갭(11)에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3)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4)로 가는 전달 채널(8)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와 상기 펌프 하우징(2)의 상기 내부 외주면(13)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는, 상기 전달 채널(8)의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밀봉부(9)와 상기 전달 채널(8) 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펌프 볼륨(10)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편심부(5)의 상기 외부면(6)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2)으로 프레스되고, 상기 변위가능한 밀봉부는, 액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편심부(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구(3)로부터 상기 출구(4)로 상기 전달 채널(8)을 따라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와 접촉하는 상기 편심부(5)의 외부면(6)을 넘어 상기 기하학적 축(23) 방향으로 하나의 측면 또는 두 개의 측면에 돌출부(20)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에서 내측에 센터링 링(16)을 구비하는, 펌프(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16)은 L-형상의 횡단면 영역(17)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에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펌프(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16)은 직사각형 횡단면 영역(17)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 내에 배열된, 펌프(1).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16)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 내에 매립된, 펌프(1).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 돌출부(20)는 상기 펌프 하우징(2)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16) 사이에 방사 방향(28)으로 브레이싱(braced)된, 펌프(1).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16)은 상기 기하학적 축(23)의 방향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2)의 접촉면(32)을 지지하는, 펌프(1).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16)은 방사 방향(28)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 펌프(1).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는 상기 펌프 하우징(2)의 접촉면(32)을 측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펌프(1).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2)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의 상기 외부면(6)이 지지하는 내부 외주면(13)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는 상기 펌프 하우징(2)의 상기 내부 외주면(13)에 적어도 하나의 환형 밀봉 접촉부(12)를 형성하는, 펌프(1).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는 상기 외부면(6)에 적어도 하나의 외주방향 두꺼워진 부분(19)을 구비하는, 펌프(1).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16)은 일체로 접합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7)에 고정된, 펌프(1).
  • 기하학적 축(23)의 방향으로 외측에 배열되고, 특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펌프(1)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에 센터링 링(16)을 구비하는 변형가능한 부재(7).
  • 내연 엔진(37), 상기 내연 엔진(37)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38),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펌프(1)를 구비하는 자동차(36)로서, 상기 펌프(1)는 탱크(21)로부터 인젝터(34)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액체 첨가제를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젝터는 상기 액체 첨가제를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38)에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36).
  • 说明书全文

    유체를 운반하는, 특히 배기 가스 클리닝 첨가제를 운반하는 펌프{PUMP FOR CONVEYING A FLUID, IN PARTICULAR FOR CONVEYING AN EXHAUST GAS CLEANING ADDITIVE}

    본 발명은 특히 배기 가스 정화 첨가제(요소/물 용액(urea/water solution))를 내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전달하기에 적절한 액체를 전달하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데 액체 첨가제를 사용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산화질소 화합물이 또한 배기 가스로부터 제거된다. 이런 유형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서 소위 SCR 방법(SCR =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 수행된다. SCR 방법에서, 배기 가스에 있는 산화질소 화합물은 환원제(통상적으로 암모니아)에 의해 환원된다. 암모니아는 종종 자동차에 직접 저장되지 않고, 액체 (배기 가스) 첨가제 형태로 저장되고 이 액체 첨가제는 배기 가스 외측에서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제공된 외부 리액터에서) 변환되어 암모니아를 형성하거나 및/또는 배기 가스 내측에서(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서) 변환되어 암모니아를 형성한다. 이 상황에서 바람직하게는 요소/물 용액이 액체 첨가제로 사용된다. 32.5%의 요소 함량을 가지는 요소/물 용액이 상업명 AdBlue(등록상표) 하에서 이용가능하다.

    액체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에서 탱크에 저장되고, 전달 모듈에 의해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추가된다. 전달 모듈은, 특히, 펌프를 포함한다. 나아가, 전달 모듈에는 또한 다음의 부품, 특히: 필터, 센서, 밸브 및/또는 계량 유닛(metering unit)이 할당될 수 있다.

    액체 첨가제를 위한 전달 모듈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상기 첨가제는 낮은 온도에서 동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32.5%의 요소/물 용액은, 예를 들어, -11℃에서 동결된다. 이런 유형의 낮은 온도는 자동차 분야에서 특히 겨울철에 긴 주차 상태 동안 일어날 수 있다. 첨가제가 동결되면, 볼륨이 증가하여 전달 모듈의 라인, 채널 및/또는 부품을 손상시키거나 심지어 파괴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펌프가 또한 주목된다. 예를 들어, 비활성화 시에 전달 모듈을 비워서, 정지 상태 동안 전달 모듈에 남아 있는 액체 첨가제가 없는 것에 의해 펌프가 파괴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펌프를 보호하는 다른 절차는 액체 첨가제가 동결될 때 액체 첨가제의 볼륨 팽창으로 인해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부품을 (유연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펌프는 액체 첨가제와 집중적으로 접촉하여야 하기 때문에 특히 펌프 내에서 동결 보호 조치를 보장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나아가, 펌프를 완전히 비우는 것은 동작 정지 후 전달을 재시작하는 것이 상당히 더 곤란해지기 때문에 종종 문제시된다. 나아가, 액체 첨가제를 전달하는 펌프는 저렴하고 내구성이 커야 한다. 이것은, 특히, 높은 신뢰성과 낮은 고장 확률과 낮은 노화를 포함하는데, 이 노화는, 특히, 마모의 결과 펌프의 동작 거동이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정확한 전달량을 공급하는 능력이 가능하게는 또한 펌프에서 중요하다. 이것과 "계량의 정확성"이라는 표현은 여기서, 특히, 펌프에 의해 실제로 전달된 액체의 양이 명확히 결정가능한 입력 변수에 의해 정확히 미리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고, "입력 변수"라는 용어는 여기서, 특히, 펌프를 구동하는 펌프의 구동부의 전기적 작동(펌프를 구동하는 전압 프로파일 및/또는 전류 프로파일, 펌프를 구동하는 전류 펄스의 주파수 등)을 기술한다. 특히, 입력 변수에 대한 전달량의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영향(cross-influence)의 수 및/또는 관련성은 낮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유형의 상호-영향은, 예를 들어, 펌프의 온도, 펌프 내 압력 등일 수 있다. 상당한 상호-영향이 회피될 수 없다면, 전달량에 대한 상기 상호-영향의 효과가 가능한 한 정확히 계산되거나 및/또는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펌프의 계량의 정확성은, 예를 들어, 예상되는 원하는 전달량과 실제로 전달된 전달량 사이에 통계적 편차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는 상기 편차가 평균적으로 10% 미만인 경우 높은 계량의 정확성을 구비한다. 계량의 정확성은, 예를 들어, 상기 편차가 평균적으로 20%를 초과하는 경우 (SCR 방법에서 요소/물 용액 전달량에 대해) 낮은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퍼센트 값은 각 경우에 단지 일례인 것으로 이해된다.

    문서 US 2,544,628, US 3,408,947, DE 285 39 16 A1 및 DE 381 52 52 A1은 궤도 펌프(orbital pump)라고도 언급되는 펌프 유형을 개시한다. 상기 펌프 유형은 첫째 동결시 액체의 볼륨 팽창에 비교적 저항하고; 둘째, 상기 펌프 유형은 또한 역전된 전달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고, 그 결과 전달 모듈을 비우는 것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펌프 유형을 (예를 들어, 펌프 다이어프램에 상당한 응력 상태가 인가되는 것으로 인해) 특히 계량의 정확성 및/또는 노화 거동 면에서 SCR 방법의 상황에서의 요구조건에 적응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를 전달하는 특히 유리한 펌프로서, 상기 펌프는 상기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고, 특히,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액체 첨가제(요소/물 용액과 같은)를 전달하기에 적절한, 상기 펌프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른 펌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펌프의 추가적인 유리한 개선은 종속 특허 청구항에 제시된다. 개별 특허 청구항에 제시된 특징들은 임의의 원하는 기술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세한 설명에 있는 설명 사항으로 보충되어, 펌프의 추가적인 설계 변형이 제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액체를 전달하는 펌프가 제안되고, 상기 펌프는 기하학적 축을 갖는 회전 대칭 내부 외주면(inner circumferential face)과, 적어도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는 편심부(eccentric)가 배열되고, 상기 편심부는 상기 기하학적 축 주위로 상기 펌프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환형) 변형가능한 부재(deformable element)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기 내부 외주면과 상기 편심부의 외부면 사이의 펌프 갭(gap)에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로 가는 전달 채널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기 내부 외주면에 의해 구성되고, 나아가, 상기 전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밀봉부와 상기 전달 채널 내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펌� �� 볼륨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편심부의 외부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으로 프레스되고, 상기 변위가능한 밀봉부는, 액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편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상기 전달 채널을 따라 변위될 수 있고,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편심부의 외부면을 넘어 상기 기하학적 축의 방향으로 하나의 측면 또는 두 개의 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서 내측에 센터링 링(centering ring)을 구비한다.

    상기 구조를 구비하는 펌프는 궤도 펌프라고도 언급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편심부가 주위로 회전될 수 있는 (중심) 기하학적 축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구동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축을 따라 이어지고, 상기 구동 샤프트는 상기 편심부를 (전기적으로 동작가능한) 구동부에 연결한다. 상기 구동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위 및/또는 아래에 축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펌프와 그 부품들을 공간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본문에서, 상기 펌프의 상기 기하학적 축에 수직으로 놓이고, 상기 펌프의 상기 기하학적 축으로부터 시작하여 방사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사 방향이 가정된다. 외주방향은 상기 기하학적 축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 외주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방사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정의된다. 상기 전달 채널은 상기 펌프 하우징을 통해 상기 외주방향을 따라 또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기 내부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펌프의 입구로부터 출구로 이어진다. 상기 펌프의 추가적인 설명을 위하여, 상기 펌프의 중심 평면(center plane)이 또한 정의된다. 상기 중심 평면은 상기 기하학적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기 펌프 하우징, 상기 편심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및 상기 전달 채널은 상기 중심 평면에 놓인다.

    상기 펌프의 상기 펌프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링 또는 원통형 챔버의 방식으로 구성되고, 이 챔버 내에 상기 편심부가 내측에 배열된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또한 상기 펌프의 (외부) 고정자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상기 편심부는 (내부) 회전자로 언급된다. 운동학적으로 역전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갖는 상기 펌프 하우징이 내측에 놓이고 상기 편심부가 외측에서 순환(circulate)하고, 상기 펌프 갭은 상기 내부 펌프 하우징의 상기 외부 외주면과 상기 편심부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에서 외측에 위치되는 유형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펌프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편심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고정자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편심부는 외부 회전자를 형성한다.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상기 펌프 하우징에 배열되고, 이에 의해 액체가 상기 펌프 하우징 안으로/밖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전달 채널 안으로/밖으로 흐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보강 구조가 상기 펌프 하우징에 통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설계 변형에서, 상기 펌프 하우징을 강화(stiffen)하는 환형 금속 삽입물(insert)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펌프 하우징에 통합된다.

    여기서, "편심부"라는 용어는, 특히, 상기 기하학적 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중심에서 벗어나게) 배열되고 상기 기하학적 축 주위로 회전 시에 편심 움직임(eccentric movement)을 수행하는 원형 구조물을 의미한다. 환형 또는 외주방향의 펌프 갭이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편심부 사이에 형성되고, 이 펌프 갭에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가 배열된다. 상기 전달 채널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와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갭 내에) 배열되고,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의해 획정된다(delimited). 상기 펌프 갭은 상기 편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펌프 하우징을 따라 그리고/또는 상기 전달 채널을 따라 변위된 적어도 하나의 수축부(constriction)를 구비한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수축부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프레스되고, 그 결과 상기 변위가능한 밀봉부가 거기에 형성된다.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편심부 사이의 상기 펌프 갭에 복수의 수축부를 형성하는 "다기능의(polyvalent)" 편심부로 알려진 것이 또한 여기서 포함된다. 이런 유형의 "다기능의" 편심부는, 예를 들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내측에서 롤링하고 상기 수축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표면은 상기 편심부의 외부면을 형성한다. 상기 전달 채널은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에 액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 단면은, 예를 들어, (펌프의 사이즈에 따라) 최대 점에서 1 mm 2 [제곱 밀리미터] 내지 50 mm 2 일 수 있다.

    상기 전달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 주위로 환형 또는 외주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바람직하게는 (중심 평면에서 측정했을 때) 서로에 대해 270°를 초과하는 각도 간격으로 상기 펌프의 전달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달 방향과는 반대쪽으로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서로에 대해 90° 미만의 각도 간격을 구비한다.

    상기 편심부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편심부는 바람직하게는 편심 회전 움직임을 수행하는 내부 구역을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내부 구역을 둘러싸는 외부 베어링 링(outer bearing ring)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구역과 상기 외부 베어링 링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베어링은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일 수 있다. 동작 동안, 상기 편심부의 상기 내부 편심 구역은 상기 축 주위로 회전 움직임을 수행한다. 상기 편심부의 편심 배열과 가능하게는 또한 외부 형상으로 인해 상기 편심부의 표면이 편심 움직임을 수행한다. 상기 편심 움직임은 상기 외부 베어링 링으로 전달된다. 상기 내부 구역의 편심 회전 움직임은, 상기 내부 구역의 움직임 중 회전 움직임 성분은 전달함이 없이, 상기 내부 구역과 베어링 링 사이의 베어링에 의해 상기 베어링 링의 편심 텀블링 움직임(eccentric tumbling movement)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링의 움직임이 회전 움직임 성분을 가지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서 전단 응력과 상기 펌프의 내부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편심부의 움직임에 의해 텀블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심부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접촉면에는 단지 압축력만이 작용하고 실질적으로 마찰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편심부가 (내부) 펌프 하우징 주위로 배열된 외부 회전자인 경우 상기 편심부를 내부 편심 구역과 베어링 링으로 대응하여 분할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 베어링 링이 없고, 상기 베어링의 롤러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서 직접 롤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심부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를 구역에서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 외주면으로 프레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밀봉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편심부와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밀봉부에서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 외주면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에 (선형 또는 전체 면적(full-area)의) 접촉부가 존재하여, 이 접촉부에서 액체가 흘러갈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펌프 하우징을 완전히 지지(bear)하여, 그 결과 상기 채널 단면은 상기 변위가능한 밀봉부의 구역에서 횡단면 영역(cross-sectional area)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달 채널은 상기 변위가능한 밀봉부의 구역에서 중단(interrupted)된다. 그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펌프 볼륨이 또한 상기 전달 채널 내에 형성된다. 폐쇄된 펌프 볼륨은, 상기 전달 채널의 구획이 존재하고 상기 구획은 적어도 일측에서 (전달 채널을 따라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서) 폐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변위가능한 밀봉부의 변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된 펌프 볼륨이 또한 변위되고, 그 결과 상기 폐쇄된 펌프 볼륨에 위치된 액체가 전달된다. 상기 펌프의 동작 동안, 복수의 폐쇄된 펌프 볼륨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의 입구로부터 상기 펌프의 출구로 변위되어, 액체가 전달된다. 그리하여, 폐쇄된 펌프 볼륨은 상기 입구 부근에서 형성되고 (한정된 방식으로 적어도 일측에서 폐쇄되고) 이후 상기 출구에서 분배된다(다시 한정된 방식으로 적어도 일측에서 개방된다). 상기 입구에서, 폐쇄된 펌프 볼륨은 변위가능한 밀봉부에 의해 다운스트림에서 일측에서(만) 폐쇄되고 상기 입구의 업스트림에 연결되어, 그 결과 액체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폐쇄된 펌프 볼륨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출구에서, 상기 폐쇄된 펌프 볼륨은 일측에서(만) 폐쇄되지만, 밀봉부에 의해 업스트림에서 폐쇄되고, 상기 출구의 다운스트림에 연결되어, 액체가 상기 폐쇄된 펌프 볼륨으로부터 출구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가는 폐쇄된 펌프 볼륨의 경로에서 중간에, 상기 폐쇄된 펌프 볼륨이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밀봉부에 의해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에서 폐쇄되는 상태가 존재한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변형가능한 다이어프램이라고도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어프램"이라는 용어는 변형가능한 부재가 전체 면적의 크기를 가지는지 여부에 대한 의무적인 언급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다이어프램"이라는 용어는 변형가능한 부재가 액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엘라스토머 물질(예를 들어, 고무 또는 라텍스)이 바람직하게는 변형가능한 부재 또는 변형가능한 다이어프램을 위한 물질로 사용된다. 내구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유연성을 생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변형가능한 부재의 물질은 추가적인 물질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방사 방향으로, 및 외주방향으로) 유연하다. 그러나, 변형가능한 부재는 부분적으로 방향에 따라 유연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변형가능한 부재는 외주방향과 축방향으로보다 방사 방향으로 더 높은 유연성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부재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또한 다른 방향으로 변형을 요구한다. 변형가능한 부재는 방사 방향으로 압축될 때 예를 들어, 축방향 및/또는 외주방향으로 팽창한다.

    고정 밀봉부(stationary seal)가 바람직하게는 또한 펌프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 밀봉부는 (전달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입구로 액체의 원치 않는 리턴 흐름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 밀봉부는 상기 펌프 하우징과 고정되게 제공되고 상기 출구와 상기 입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에 장기간 유체-기밀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밀봉부의 구역에서, 상기 펌프 하우징에 클램핑되거나 또는 접착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밀봉부는 상기 편심부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유체-기밀이다.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가는 전달 방향으로 액체를 전달하는 것도 바람직하게는 가능하다. 상기 편심부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전달 방향을 역전시키는 것도 (입구로부터 출구로 가는 것이 아니라, 출구로부터 다시 입구로 가는 역방향으로 가는 것도)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가 환형이거나 또는 원통형이다. 상기 기하학적 축의 방향으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두 측면에서 각 경우에 하나의 환형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들에서, 각 경우에 하나의 강성(rigid)의 센터링 링이 배열된다. 상기 강성의 센터링 링들을 갖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가 상기 펌프 하우징에 배열된 경우 상기 (강성의) 센터링 링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약간) 이동가능하다. 상기 강성의 센터링 링은 상기 펌프 하우징 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의해 센터링된다. 상기 강성의 센터링 링은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 외주면과 상기 센터링 링 사이에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들을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외주방향으로) 클램핑한다. 그 결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들에서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에 밀봉 접촉부들이 보장된다. 상기 밀봉 접촉부들은 (두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에 상기 전달 채널을 밀봉한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펌프의 기하학적 축의 방향으로 두 측면에서 각 경우에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에지 구역을 형성한다.

    2개의 강성의 센터링 링들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존재하고, 상기 센터링 링들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외주방향 돌출부에 두 측면에서 배열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언급된 경우, 이것은 또한 특히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들에서 두 측면에 배열된 정확하게 2개의 센터링 링들을 구비하는 설계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대응하는 어구(wording)는 센터링 링과 함께 설명되는 추가적인 부재들(밀봉 접촉부, 두꺼워진 부분, 리셉터클(receptacle), 카운터홀더(counterholder), 접촉면, 돌출부 등)에 대해서도 적용되고, 그 결과 이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종종 또한 여기서 언급된다. 그러나, 상기 부재들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두 측면에서 구성되고, 그 결과 정확하게 2개의 밀봉 접촉부, 두꺼워진 부분, 수용 공간, 카운터홀더, 정지면, 돌출부 등이 개시된다. 이런 유형의 어구는 또한, 설명된 부재들과, 특히, 설명된 센터링 링이 상기 펌프의 중심 평면의 일측에서만 구성되고, 상기 펌프의 다른 (상이한) 구조는 상기 중심 평면의 타측에서 실현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펌프는 상기 중심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구성되고, 그 결과 상기 펌프의 일측에 존재하는 모든 부재들(센터링 링, 카운터홀더, 밀봉 접촉부, 두꺼워진 부분, 수용 공간, 접촉면, 돌출부 등)이 또한 상기 중심 평면의 타측에 (미러-대칭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설명된 부재들(센터링 링, 카운터홀더, 밀봉 접촉부, 두꺼워진 부분, 리셉터클, 접촉면, 돌출부 등)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환형 형태이다. 이것은 상기 부재들이 상기 펌프의 기하학적 축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대칭이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특히 고정 밀봉부의 구역에서, 상기 부재들은 회전 대칭 형상으로부터 규칙적으로 벗어난다. 상기 부재들은 예를 들어 거기서 중단된다. 여기서, 상기 부재들은 회전 대칭 형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편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형"이라고 언급된다. 그리하여, 여기서, "환형"이라는 표현은 또한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환형", "주로 환형", 및/또는 "부분적으로 환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내부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그리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과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핀치(pinched)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지지한다. 상기 전달 채널 내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 또는 거기에 위치된 에지 구역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보다 많은 물질이 (축방향으로) 상기 외측 쪽으로 프레스되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과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보다 명확히 핀치된다. 그 결과, 프레스 힘이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의 밀봉 접촉부에서 증가된다. 그리하여 압력이 증가될 때 상기 밀봉 접촉부의 밀봉력이 증가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홀더를 형성한다. 각 경우에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각 카운터홀더 또는 각 센터링 링을 위한) 하나의 수용 공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홀더와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바람직하게는 강성이다. 특히, 상기 센터링 링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비해 강성이고, 그 결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센터링 링을 실질적으로 변형시킴이 없이 상기 센터링 링과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핀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접촉부에 작용하는 프레스 힘은 축방향으로 작용하고 그리하여 상기 변위가능한 밀봉부(및 가능하게는 또한 고정 밀봉부)에 작용하는 프레스 힘과 평행하다. 그리하여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 다중-축 응력 상태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펌프를 설명된 바와 같이 설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달 채널 내 상이한 압력에서 상기 펌프를 특히 매우 높이 밀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펌프 내 액체가 동결될 때 펌프가 파괴되지 않게 펌프를 매우 높이 보호하는 것이 또한 보장된다. 센터링 링들에 의해 전달 채널을 측방향(축방향)으로 밀봉하는 밀봉 접촉부를 구성하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에 동시에 특히 균일한 응력 분배를 통해 펌프를 매우 높이 밀봉하는 것이 보장된다. 특히,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밀봉 접촉부에, 변위가능한 밀봉부에,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고정 밀봉부에) 작용하는 모든 밀봉 힘은 방사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작용한다. 그 결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서 다중-축 응력 상태가 감소되거나 또는 회피된다. 상기 균일한 응력 분배 및, 특히, 또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에서 다중-축 응력 상태가 회피되어 상기 펌프의 노화를 늦추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낮은 힘으로 센터링 링을 자가-센터링하는 특성이 달성될 수 있는 것에 의해, 밀봉 접촉부에 프레스 힘이 자동적으로 등화되기 때문에,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 전체 응력 레벨이 또한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펌프의 내구성과 노화 특성을 더 개선시킨다.

    상기 펌프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L-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경우 바람직하다. 두 측면에서 (돌출부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맞물리는 L-형상의 횡단면 영역을 갖는 2개의 대응하는 센터링 링이 바람직하게는 존재한다.

    전술한 본문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또는 원통형 형상이다. 각 돌출부에서, 상기 센터링 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맞물린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의 L-형상의 횡단면 영역의 하나의 레그(leg)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내부 구역으로 연장된다. 상기 L-형상의 횡단면 영역의 추가적인 레그는 축방향으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를 폐쇄한다. 이런 유형의 변형가능한 부재는 상기 센터링 링에 의해 에워싸인다. 상기 센터링 링의 이런 유형의 설계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가 특히 만족스럽게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직사각형 횡단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를 지지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에 두 측면에서 (에지 구역에서) 배열된 직사각형 횡단면 영역을 갖는 2개의 대응하는 센터링 링이 바람직하게는 존재한다.

    이런 유형의 (직사각형 횡단면 영역을 갖는) 센터링 링은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특히 작은 양의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요구한다. 특히, 이런 유형의 센터링 링을 구비하는 변형가능한 부재는 또한 상기 펌프의 펌프 하우징으로 삽입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 센터링 링은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거의 요구하지 않거나 심지어 전혀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센터링 링을 구비하는 변형가능한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에 매립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2개의 센터링 링은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두 측면에서 (돌출부에서) 매립된다.

    상기 센터링 링은, 예를 들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변형가능한 물질의 리세스(recess)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특히 견고하고 내구성 있게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물질에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자체 내에 폐쇄된 하나의 컴팩트한 부품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펌프는, 나아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환형 돌출부가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 사이의 방사 방향으로 브레이싱(braced)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축방향으로 외측에 놓여 있는) 두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상기 펌프 하우징과 센터링 링 사이에 방사 방향으로 브레이싱된다.

    상기 펌프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상기 펌프 하우징의 접촉면을 측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측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각 경우에 접촉면을 지지하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센터링 링이 존재한다.

    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와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의 전달 채널 내에서 추가적인 압력에 의해 변위되지 않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대한 측방향 정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터링 링은 이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의 접촉면을 지지한다. 이런 유형의 설계는, 특히,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축방향 종단을 형성하는 L-형상의 센터링 링과 함께 유리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에 배열된 직사각형 횡단면 영역을 갖는 센터링 링의 경우에, 상기 펌프 하우징에 대해 상기 센터링 링이 축방향으로 "조금" 움직이는 것이 통상적으로 허용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펌프 하우징을 폐쇄하거나 종료하는 펌프 하우징의 주 부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펌프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방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경우 유리하다. 방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 2개의 센터링 링이 바람직하게는 존재한다.

    특히, 상기 센터링 링들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펌프 하우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대해 상기 센터링 링이 자가-센터링되는 특성을 제공한다. 그 결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 응력이 감소되고, 특히,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의 밀봉 접촉부에서 밀봉 액션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내에 특히 낮은 응력으로 실현된다.

    상기 펌프는, 나아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펌프 하우징의 접촉면을 측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두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접촉면을 측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두 측면에서) 지지한다.

    상기 펌프는 또한, 상기 펌프 하우징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외부면이 지지하는 내부 외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축방향 돌출부가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 외주면에 환형 밀봉 접촉부를 형성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내부 외주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주면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전달 채널보다 축방향으로 더 넓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전달 채널의 폭은 상기 축방향으로 2개의 (환형) 밀봉 접촉부들 사이의 간격이다. 그 결과, 상기 밀봉 접촉부들이 측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에도 상기 밀봉 접촉부들이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을 항상 지지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접촉부들이 이런 유형으로 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기 전달 채널 내 압력이 상승한 결과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나아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부가 상기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외주방향의 두꺼워진 부분을 구비하는 경우 유리하다. 각 경우에 하나의 외주방향 두꺼워진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돌출부에서 두 측면에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돌출부에 외주방향의 두꺼워진 부분이 있는 결과, 추가적인 물질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에 존재하고, 이 추가적인 물질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와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밀봉 접촉부들이 형성된다. 상기 두꺼워진 부분들은 두 측면에서 상기 전달 채널을 밀봉하는 O-링 밀봉부와 같이 작용한다. O-링 밀봉부는 밀봉 액션이 알려진 특히 효과적인 밀봉부 개념이다. 특히, 상기 전달 채널 내 압력의 함수로서 밀봉 접촉부의 압력에-의존하는 밀봉 액션을 계산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두꺼워진 부분과 상기 리셉터클의 치수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펌프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이 일체로 접합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고정되는 경우 유리하다. 2개의 센터링 링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접합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특히, 접착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에 주조되고/되거나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링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로 캡슐화될 수 있다. 그 결과, 단일의 컴팩트한 부품이 상기 센터링 링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은 상기 펌프를 생산하는 동안 문제 없이 상기 펌프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황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단일 물질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설명된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복합 구조도 또한 고려가능하고, 여기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특정 구역은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다른 구역과는 상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추가적인 삽입물, 보강재 등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구역에 타깃화하여 물질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각 경우에 구역에 정확히 (국부적으로) 필요한 특성에 적응될 수 있다. 특히 변형가능한 변형 구역이 특히 타깃화된 방식으로 변형가능한 부재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유형의 변형 구역은, 예를 들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탄성 삽입물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펌프에 의해 액체를 전달하는 동안 가장 명확한 변형이 상기 구역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변형 구역은, 특히, (돌출부와 변형가능한 부재의 중심 구역 사이) 돌출부 부근에 배열된다. 이 상황에서, "중심" 구역은 펌프의 중심 평면에 놓이는 구역을 언급한다.

    환형 변형가능한 부재가 또한 본 발명의 상황 내에서 설명되고, 여기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축방향으로 외측에 놓이고, 특히, 설명된 펌프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강성의 센터링 링을 구 한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하나의 강성의 센터링 링에 의해 두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제공되거나 획정된다.

    상기 펌프와 함께 전술한 센터링 링을 구비하는 변형가능한 부재의 특정 특성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와 함께 이하의 본문에서 특정 특성과 특징은 또한 상기 펌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센터링 링은 강성이다. 이것은 상기 센터링 링이 실질적으로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물질에 대해 증가된 스티프니스(stiffness) 또는 강도(strength)를 구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증가된 스티프니스 또는 강도는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의 물질을 상기 센터링 링과 상기 펌프 하우징 사이에 핀치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센터링 링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반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는 고무 물질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 센터링 링은 플라스틱 물질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센터링 링이 상기 변형가능한 부재에 대해 (상당히) 증가된 스티프니스 또는 강도를 구비하고,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절한(센터링 액션, 밀봉 접촉부 형태 등) 것은 단지 전제 조건이다.

    또한 여기서, 자동차는, 내연 엔진, 상기 내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및 펌프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상기 펌프는, 탱크로부터 인젝터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액체 첨가제를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젝터는 상기 액체 첨가제를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기술적 환경은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의 본문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과, 특히, 도면에 도시된 비율은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면은 설명된 펌프의 개별 특징을 예시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에 도시된 상이한 설계 변형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모든 특징은 각 경우에 하나의 유닛으로 고려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펌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프의 단면도;
    도 3은 설명된 펌프의 제1 설계 변형에 따른 도 2에 표시된 부분 단면 BB의 단면도;
    도 4는 설명된 펌프의 제2 설계 변형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부분 단면 BB의 단면도;
    도 5는 설명된 펌프의 제3 설계 변형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부분 단면 BB의 단면도;
    도 6은 설명된 펌프를 위한 변형가능한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은 설명된 펌프를 구비하는 자동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설명된 펌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개선된 배향을 위하여, 도 1은 하나의 기하학적 축(23), 상기 축(23)을 따라 연장되는 축방향, 및 방사 방향(28), 및 외주방향(27)으로 구성된 좌표 시스템을 한정한다. 펌프(1)는 입구(3)와 출구(4)를 갖는 펌프 하우징(2)을 구비한다. 변형가능한 부재(7)와 편심부(5)(모두 이 도면에서는 미도시)는 펌프 하우징(2) 내에 위치된다. 구동부(24)는 여기서 펌프 하우징(2) 위에 도시되고, 이 구동부(24)에 의해 편심부(5)는 구동 샤프트(26)를 통해 펌프 하우징(2)에서 구동될 수 있다. 펌프의 개선된 설명을 위하여, 중심 평면(43)이 또한 도입되고, 이 중심 평면에 펌프 하우징(2), 편심부(5), 변형가능한 부재(7), 및 펌프의 전달 채널(8)이 놓여 있고, 바람직하게는 편심부(5), 변형가능한 부재(7) 등에 대한 대칭 평면을 형성한다.

    도 2는 펌프(1)의 펌프 하우징(2)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펌프 하우징(2)이 입구(3)와 출구(4)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배향을 위해, 방사 방향(28)과 외주방향(27)이 또한 여기에 도시된다. 편심부(5)는 펌프 하우징(2) 내에 배열되고, 이 편심부(5)는 내부 편심부 구역(29), 외부 베어링 링(30), 및 이들 사이에 배열된 베어링(31)으로 분할된다. 변형가능한 부재(7)와, 입구(3)와 출구(4)를 연결하는 전달 채널(8)은 편심부(5)의 외부면(6)과 펌프 하우징(2)의 내부 외주면(13) 사이 펌프 갭(11)에 위치된다. 나아가, 전달 채널(8)은 변형가능한 부재(7)와 펌프 하우징(2)의 내부 외주면(13) 사이에 배열된다. 전달 채널(8)은 변위가능한 밀봉부(9)를 구비하고, 이 변위가능한 밀봉부(9)는, 변형가능한 부재(7)가 편심부(5)의 외부면(6)에 의해 구역에서 펌프 하우징(2)으로 프레스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변위가능한 밀봉부(9)는 편심부(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변위된다. 그 결과, 변위가능한 펌프 볼륨(10)이 전달 채널(8)에서 변위되고, 입구(3)로부터 출구(4)로 가는 전달 방향(44)으로 액체의 전달이 일어난다. 고정 밀봉부(25)는 출구(4)와 입구(3) 사이에 구성되고, 이 고정 밀봉부(25)에 의해 출구(4)로부터 입구(3)로 액체의 리턴 흐름이 방지된다. 고정 밀봉부는, 편심부(5)의 위치와는 독립적으로, 고정 밀봉부(25)의 구역에서 변형가능한 부재(7)를 펌프 하우징(2)으로 프레스하는 핀(22)에 의해 조절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고정 밀봉부(25)의 추가적인 설계 변형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가능한 부재(7)가 또한 펌프 하우징(2)에 접착제로 접합될 수 있다. 액체의 리턴 흐름이 고정 밀봉부(25)에서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 단지 중요하다.

    도 3 내지 도 5는 각 경우에 펌프의 여러 설계 변형에 따른 부분 단면 BB(도 2에 도시)를 도시한다. 배향을 위해, 축방향(23), 방사 방향(28), 및 중심 평면(43)이 여기서 각 경우에 한정된다. 각 경우에 펌프 하우징(2), 변형가능한 부재(7), 및 편심부(5)를 구비한 펌프(1)를 볼 수 있다. 편심부(5)는 각 경우에 편심부 구역(29), 베어링 링(30) 및 베어링(31)으로 분할된다. 전달 채널(8)은 펌프 하우징(2)과 변형가능한 부재(7) 사이에 존재하고, 펌프 하우징(2)의 내부 외주면(13)과 변형가능한 부재(7)의 채널 표면(33)에 의해 획정된다. 채널 표면(33)과 내부 외주면(13)은 각 경우에 선형, 환형 밀봉 접촉부(12)에서 접촉하고, 그 결과 펌프 볼륨(10)을 갖는 유체-기밀 전달 채널(8)이 구성된다. 변형가능한 부재(7)는 두 측면에 강성의 센터링 링(16)들을 구비한다. 각 경우에 수용 공간(42)등이 센터링 링(16)들과 펌프 하우징(2) 사이에 구성되고, 이 수용 공간(42)들에 변형가능한 부재(7)의 돌출부(20)들이 수용된다. 변형가능한 부재의 돌출부(20)들은 각 경우에 두꺼워진 부분(19)들을 구비하여, 밀봉 접촉부(12)가 보다 안정적이고 개선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게 한다. 센터링 링(16)들은 각 경우에 펌프 하우징(2)에 대해 카운터홀더(15)들을 형성하고, 이 카운터홀더(15)들 사이에 변형가능한 부재 또는 이 변형가능한 부재(7)의 돌출부(20)들을 위한 수용 공간(42)들이 형성된다.

    도 3에 따른 설계 변형에서, 센터링 링(16)들은 각 경우에 L-형상의 횡단면 영역을 구비하고, 펌프 하우징(2)의 접촉면(32)들을 지지하고, 그 결과 전달 채널(8) 내 압력이 증가할 때 센터링 링들이 기하학적 축(23)을 따라 축방향으로 외측 쪽으로 변위될 수 없다. 그 결과, 변형가능한 부재(7)에 대한 축방향 경계가 또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32)은 볼트(14)에 의해 펌프 하우징(2)의 주 부분에 고정된 하우징 플랜지(40)에 의해 형성된다.

    나아가, 도 3은 변형가능한 부재가 상이한 구역, 특히 중심 구역(18)과 변형 구역(41)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예로서 도시한다. 액체를 전달하는 동안 변형가능한 부재(7)는 변형 구역(41)의 경우보다 중심 구역(18)에서 실질적으로 더 적게 변형된다. 그리하여 변형가능한 부재를 상이한 물질 특성을 갖는 상이한 구역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가능한 부재(7)는 중심 구역(18)에서 증가된 스티프니스를 구비하고 변형 구역(41)에서 증가된 유연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변형 구역(41)에 탄성 삽입물에 의해 실현되거나 또는 중심 구역(18)에 강성의 삽입물 또는 보강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설계 변형에서, 센터링 링(16)들은 각 경우에 직사각형 횡단면 영역을 구비하고 변형가능한 부재(7) 내에 배열된다. 센터링 링들은 각 경우에 펌프 하우징(2)과 편심부(5)로부터 중심 평면(43)에 의해 이격되어 있어, 센터링 링(16)들이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가능한 부재는 기하학적 축(23)을 따라 축방향으로 펌프 하우징(2)의 접촉면(32)을 직접 외측에서 지지한다. 펌프 하우징(2)의 접촉면(32)은, 예를 들어, 볼트(14)에 의해 펌프 하우징(2)의 주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 플랜지(40)에 의해 형성된다.

    도 5에서 설계 변형은 도 4에 도시된 펌프의 설계 변형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여기서, 카운터홀더(15)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횡단면 영역(17)을 갖는 센터링 링(16)들이 변형가능한 부재(7) 내에 매립된다.

    도 6은 센터링 링(16)들을 갖는 변형가능한 부재(7)의 특히 간단한 설계 변형을 예로서 3차원으로 도시한다. 변형가능한 부재(7)의 절반만을 도 6에 도시하여, 센터링 링(16)들을 갖는 변형가능한 부재(7)의 내부측을 볼 수 있다. 도 5에 있는 펌프의 설계 변형의 변형가능한 부재(7)가 여기에 도시된다. 배향을 위하여, 각 경우에 기하학적 축(23), 방사 방향(28), 및 외주방향(27)이 도시된다. 2개의 센터링 링(16)들은 각 경우에 돌출부(20) 구역에서 변형가능한 부재(7) 내에 매립된다. 변형가능한 부재(7)의 돌출부 구역에서 변형가능한 부재(7)의 두꺼워진 부분(19)들을 또한 볼 수 있고, 이 두꺼워진 부분들에, 각 경우에 펌프 하우징(여기서는 미도시)과 함께 구성되는 변형가능한 부재(7)의 (대시 방식으로 지시된) 밀봉 접촉부(12)들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7은 내연 엔진(37)과, 이 내연 엔진(37)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38)를 구비하는 자동차(36)를 도시한다. 배기 가스 처리 장치(38)는 내연 엔진(37)의 배기 가스를 선택적 촉매 환원 방법을 사용하여 정화할 수 있는 SCR 촉매 컨버터(39)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배기 가스 처리 장치(38)에는 인젝터(34)에 의해 액체 첨가제가 공급될 수 있고, 이 액체 첨가제는 탱크(21)로부터 라인(35)을 따라 펌프(1)에 의해 계량된 방식으로 제공된다.

    1: 펌프 2: 펌프 하우징
    3: 입구 4: 출구
    5: 편심부 6: 외부면
    7: 변형가능한 부재 8: 전달 채널
    9: 변위가능한 밀봉부 10: 펌프 볼륨
    11: 펌프 갭 12: 밀봉 접촉부
    13: 내부 외주면 14: 볼트
    15: 카운터홀더 16: 센터링 링
    17: 횡단면 영역 18: 중심 구역
    19: 두꺼워진 부분 20: 돌출부
    21: 탱크 22: 핀
    23: 기하학적 축 24: 구동부
    25: 고정 밀봉부 26: 구동 샤프트
    27: 외주방향 28: 방사 방향
    29: 편심부 구역 30: 베어링 링
    31: 베어링 32: 접촉면
    33: 채널 표면 34: 인젝터
    35: 라인 36: 자동차
    37: 내연 엔진 38: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9: SCR 촉매 컨버터 40: 하우징 플랜지
    41: 변형 구역 42: 수용 공간
    43: 중심 평면 44: 전달 방향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