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申请号 KR1020090053869 申请日 2009-06-17 公开(公告)号 KR1020090132516A 公开(公告)日 2009-12-30
申请人 주식회사 지지케이; 发明人 안근묵;
摘要 PURPOSE: A subsurface water upside protection pipe integrated with an equipment case is provided to prevent a connection part from being corroded due to moisture in the ground by exposing the connection part of a subsurface water facility pipe and a guide pipe. CONSTITUTION: A subsurface water upside protection pipe integrated with an equipment case comprises a subsurface water facility pipe(100), a guide pipe(130a), and an electric control panel(150). The subsurface water facility pipe is embedded by digging the ground. The guide pip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bsurface water facility pipe. The electric controls panel accepts a control device and an observation device. A subsurface water pipe well is formed to draw up subsurface water. An inlet(110a) is projected on one side of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subsurface water pipe well.
权利要求
  • 지하수 관정(well)과, 상기 지하수 관정 또는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 어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갖는 상부보호공과,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회동 또는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갖는 관측정보호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하수 시설관의 소정위치에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연락되게 설치되며, 외방(外方)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기조작판넬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안내로를 형성하는 안내관체; 및
    상기 안내관체를 상기 지하수 시설관 인입구의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체와 상기 지하수 시설관을 상호 연락되게 하여 탈착되게 결합하며, 내부에는 방수 부재가 설치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조작판넬은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여,상기 안내관체의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에 탈착되게 장착되고,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내부에는 상기 안내관체를 통해 인입되는 전선에 연결된 수중모터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장비 또는 지하수의 수질, 수위 또는 수량을 관측하는 관측장비를 물로부터 보호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체에는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의 인접부위로부터 상기 안내관체와 연락되게 분기되어 연장 설치되는 인입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입관의 내경부에는 수분유입을 막기 위한 방수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일측에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를 통해 제어장비 또는 수중모터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기계식타이머, 전자식타이머, 태양열감지센서 또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한 제어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태양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쏠라플레이트(solar plate)와,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내부 수용공간에 상기 쏠라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수납되어 태양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충전배터리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DC전기를 AC전기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장비, 상기 관측장비 또는 상기 수중모터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invert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조작판넬에는,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복사열을 방산(放散)시키는 방열팬과, 상기 방열팬의 측벽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조작판넬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되게 함과 아울러 관통형성되어 상기 방열팬에 의해 방산된 복사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다수개의 방열공을 갖는 방열판(放熱板)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 지하수 관정(well)과, 상기 지하수 관정 또는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되게 결합하는 덮개를 갖는 상부보호공과, 상기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회동 또는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갖는 관측정보호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하수 시설관의 소정위치에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연락되게 설치되며, 외방(外方)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기조작판넬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안내로를 형성하는 안내관체;
    상기 안내관체와 상기 지하수 시설관 인입구를 상호 연락되게 하면서 상기 안내관체를 상기 지하수 시설관에 탈착되게 결합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안내로와 상기 지하수 시설관을 연락하는 소경의 전선안내공만을 형성하여 상기 지하수 시설관으로부터 상기 전기조작판넬로 이동되는 수분유입을 방지하도록 된 수분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시설관의 인입구 및 상기 안내관체의 인입관의 하부 각각에는 보강용 지지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
  • 说明书全文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EQUIPMENT CASE UNDERGROUND WATER UPSIDE PROTECTION PIPE WHICH BECOMES ALL}

    본 발명은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 시설관의 인입구와 안내관체의 연결부위를 지표면 위에 노출되게 하여 전선을 편리하게 설치, 보수 및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 시설관(施設管)은 크게 지하수를 퍼올리기 위해 설치된 지하수 관정, 지하수 관정과 관측관정 상단에 연장설치되는 상부보호공 및 관측관정 상단에 연장설치되는 관측정보호공으로 구분된다.

    지하수 관정은 통상 100∼250㎜의 공경을 가지고 수십미터 내지 수백미터 깊이로 암반 굴착된다. 지하수 관정은 암반 굴착작업을 통해 지하 암반층을 관통하여 지하수가 유동하는 위치에 도달되도록 나공상태로 형성된다. 지하수 관정의 상부 외주연부에는 케이싱이 구비된다. 지하수 관정의 내부에는 지하수를 양수하여 토출하기 위한 양수관이 설치된다. 양수관의 소정위치에는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수중모터펌프가 구비된다. 수중모터펌프는 관통형성된 안내관체에 의해 안내되는 전 선에 의해 제어장비와 연결된다. 안내관체는 지하수 관정 또는 상부보호공의 일측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그 연결부위는 땅속에 매립된 상태를 이룬다. 제어장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전기조작판넬에 수납된다. 지하수 관정의 상단에는 상부보호공이 연장되게 결합되어 설치된다. 지하수 관정의 외부에는 압력계, 유량계, 출수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지하수 관련 시설물들이 별도의 공간에 설치된다.

    관측관정은 지하수의 수질, 수위 등을 관측하기 위해서 지반에 굴착되어 설치된다. 관측관정은 통상 100∼250㎜의 공경을 가지고 수십미터 내지 수백미터 깊이로 암반 굴착작업을 통해 지하 암반층을 관통하여 지하수가 유동하는 위치에 도달되도록 나공상태로 설치된다. 관측관정의 상측 외주연부에는 케이싱이 구비된다. 관측관정의 상단에는 관측정보호공이 연장설치되어 외부충격 및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관측관정의 내부에는 지하수의 수질, 수위 등을 관측하는 센서가 전선에 의해 관측장비와 연결되어 장입된다. 안내관체는 관측정보호공의 일측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그 연결부위는 땅속에 매립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지하수 시설관에 의하면, 지하수 시설관의 매설 시 지하수 시설관 및 안내관체의 연결부위가 땅속에 묻히게 된다. 이에 의해, 안내관체의 보수/보강 또는 전선 교체 등의 작업 시 땅을 파내어 작업을 수행해야만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 시설관의 인입구와 안내관체의 연결부위를 지표면 위에 노출되게 하여 전선을 편리하게 설치, 보수 및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지하수 관정(well)과, 상기 지하수 관정 또는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 어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갖는 상부보호공과,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회동 또는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갖는 관측정보호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하수 시설관의 소정위치에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연락되게 설치되며, 외방(外方)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기조작판넬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안내로를 형성하는 안내관체 및 상기 안내관체를 상기 지하수 시설관 인입구의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체와 상기 지하수 시설관을 상호 연락되게 하여 탈착되게 결합하며, 내부에는 방수 부재가 설치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조작판넬은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여,상기 안내관체의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에 탈착되게 장착되고,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내부에는 상기 안내관체를 통해 인입되는 전선에 연결된 수중모터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장비 또는 지하수의 수질, 수위 또는 수량을 관측하는 관측장비를 물로부터 보호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안내관체에는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의 인접부위로부터 상기 안내관체와 연락되게 분기되어 연장 설치되는 인입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입관의 내경부에는 수분유입을 막기 위한 방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일측에 설치되고, 태양에너지를 통해 제어장비 또는 수중모터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기계식타이머, 전자식타이머, 태양열감지센서 또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한 제어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태양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쏠라플레이트(solar plate)와,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내부 수용공간에 상기 쏠라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수납되어 태양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충전배터리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DC전기를 AC전기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장비, 상기 관측장비 또는 상기 수중모터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invert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조작판넬에는,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조작판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복사열을 방산(放散)시키는 방열팬과, 상기 방열팬의 측벽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조작판넬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되게 함과 아울러 관통형성되어 상기 방열팬에 의해 방산된 복사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다수개의 방열공을 갖는 방열판(放熱板)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지하수 관정(well)과, 상기 지하수 관정 또는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되게 결합하는 덮개를 갖는 상부보호공과, 상기 관측관정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회동 또는 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갖는 관측정보호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하수 시설관의 소정위치에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연락되게 설치되며, 외방(外方)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지하수 시설관과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기 조작판넬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안내로를 형성하는 안내관체와, 상기 안내관체와 상기 지하수 시설관 인입구를 상호 연락되게 하면서 상기 안내관체를 상기 지하수 시설관에 탈착되게 결합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안내로와 상기 지하수 시설관을 연락하는 소경의 전선안내공만을 형성하여 상기 지하수 시설관으로부터 상기 전기조작판넬로 이동되는 수분유입을 방지하도록 된 수분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하수 시설관의 인입구 및 상기 안내관체의 인입관의 하부 각각에는 보강용 지지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에 의하면, 지하수 시설관의 인입구와 안내관체의 연결부위를 지표면 위에 노출되게 하여 전선을 편리하게 설치, 보수 및 보강작업을 수행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지하수 시설관과 안내관체의 연결부위를 지표면위에 노출되게 하여 땅속의 수분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안내관체의 상단부에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토지의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전기조작판넬의 일측에 쏠라플레이트를 회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상용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오지에서도 지하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요용어들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지하수 시설관 : 지반을 굴착하여 삽입설치되는 지하수와 관련된 각종 시설관(施設管)으로, 지하수 관정, 상부보호공 및 관측정보호공으로 구분됨.

    지하수 관정( 管井 , well ) : 자유면 지하수 또는 피압면 지하수를 퍼올리기 위하여 땅속을 굴착한 우물.

    상부보호공 (=상부보호관) : 지하수 관정 또는 관측관정 상단에 연장되게 설치되어 외부충격 및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는 관.

    관측정보호공 (= 관측정보호관 ) : 관측관정 상단에 연장되게 설치되어 외부충격 및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관.

    전기조작판넬 : 지하수 관정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수중모터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장비 또는 센서에 의해 획득된 지하 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표시하게 되는 관측장비 등이 수납된 장비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지하수 관정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이 상부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관측정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관측정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Ⅳ-Ⅳ"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지하수 관정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Ⅴ-Ⅴ"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부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파넬이 상부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Ⅵ-Ⅵ"선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관측정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Ⅶ-Ⅶ"선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방열판이 전기조작판넬측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함이 일체화된 지하수 상부보호관은, 지반을 굴착하여 매설(埋設)되는 지하수와 관련하여 설치되는 지하수 시설관(100)과, 지하수 시설관(100)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관체(130a, 130b, 130c)와, 제어장비(154a) 및 관측장비(154b)를 수용하는 전기조작판넬(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시예)

    지하수 시설관(10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을 굴착하여 설치되어 자유면 지하수 또는 피압면 지하수를 퍼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 지하수 관정(well, 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수 관정(110)의 상단 개구부(開口部) 일측 소정위치에는 인입구(110a)가 돌출 형성되어 관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인입구(110a)는 지하수 관정(110)의 매설 시(時), 지표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지하수 관정(110)의 상부측 외주연부에는 기로(氣路)를 형성하는 중공구조의 단면을 갖는 케이싱(110b)이 구비된다(도 3 참조).

    안내관체(130a)는 지하수 관정(110)의 상단 개구부측과 인접된 위치에 관통되게 설치된 인입구(110a)의 일단부와 연결구(140)를 통하여 탈착되게 결합되면서 외방(外方)으로 연장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안내관체(130a)는 지하수 관정(110)과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기조작판넬(150)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안내로를 형성한다. 안내관체(130a)는 인입구(110a)측을 향해 대략 'L'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절곡된 부위의 일단부는 인입구(110a)측과 연결된다. 이에 의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인입된 전선(170)을 지하수 관정(110)의 내부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안내관체(130a)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텐레스강 등 다 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안내관체(130a)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인입구(110a)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연결구(140)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구(140)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74606호(발명의 명칭 : 지하 및 지하수배관용 연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3참조).

    지하수 관정(110)의 인입구(110a) 및 안내관체(130a)의 서로 대면하는 일단부에는 연결관체(141)가 결합된다. 연결관체(141)는 용접 등을 통하여 인입구(110a) 및 안내관체(130a)의 서로 대면하는 일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연결관체(141)에는 상호간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반원체(142a, 142b)들이 상호 대면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장착된 연결구(140)가 설치되어 있다. 반원체(142a, 142b)들로 이루어진 연결구(140)는 괘지홈(143)을 통한 괘지핀(144)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조여지거나 풀어져서 유동되지 않게 고정 또는 해체되고 이에 의해 인입구(110a)와 안내관체(130a)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거나 또한 안내관체(130a)를 관정(110)으로 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환형돌기를 인입구(110a) 및 안내관체(130a)의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하여 인입구(110a) 및 안내관체(130a)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구(14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부재(145)에 의해서는 관정(110)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후술하는 전기조작판넬로 가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조작판넬의 부식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전기조작판넬(150)은 안내관체(130a)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전기조작판넬(150)은 안내관체(130a)의 상단부에 용접등에 의해 일체화되게 설치될 수 있고,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회동하면서 안내관체(130a)의 상단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전기조작판넬(150)의 내부에는 지하수 시설관과 관련된 각종 장비를 수납하는 수용공간(152)을 마련할 수 있다.

    전기조작판넬(150)에는 전원공급수단(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16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조작판넬(1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쏠라플레이트(solar plate, 161)와, 수용공간(152)에 수납되는 충전배터리(162)와, 충전배터리(162)와 인접되게 설치된 인버터(inverter, 163)로 구성될 수 있다.

    쏠라플레이트(161)는, 전기조작판넬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의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쏠라플레이트(161)는 태양이 움직이는 회동반경(예를 들어, 대략 좌/우 각각 40°내지 50°정도의 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도 1 또는 도 3 참조). 이는, 태양이 떠 있는 시간에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반경에 따라 회동되게 한 것으로, 이에 의해, 태양으로부터의 에너지 흡수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쏠라플레이트(161)의 회동방식은, 별도의 제어신호없이 기계식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강제로 회동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기계식타이머 조작방법이나 또는 전자식타이머 조작방법, 열감지센서 및 온도 감지센서 등에 의한 제어방법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쏠라플레이트(161)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데 영향을 주지않는 보호망 또는 강화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호구(161a)에 의해 씌워져 외부의 충격(예를 들어, 어린이의 돌던짐 장난 등)으로부 터 보호될 수 있다.

    충전배터리(162)는 전기조작판넬(150)의 내부 수용공간(152)에 수납되어 쏠라플레이트(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배터리(162)는 쏠라플레이트(161)로부터 흡수된 태양에너지를 저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용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오지에서도 제어장비(154a)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인버터(163)는 전기조작판넬(150)의 수용공간(152)에서 충전배터리(162)와 인접되게 설치된다. 인버터(163)는 DC전기를 AC전기로 변환시켜 지하수 시설과 관련하여 설치되는 각종장비(예를 들어, 지하수 관정의 세정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제2실시예)

    지하수 시설관(100)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수 관정(11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탈착되면서 상단 개구부에 밀폐되게 결합되는 덮개(112)를 갖는 상부보호공(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하수 관정(110) 및 상부보호공(111)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수된 지하수의 이동유로를 형성하는 양수관(113)이 설치된다. 양수관(113)의 지하수를 채수하는 측의 일단부에는 필터(113a)를 구비하여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양수관(113)은 수중모터펌프(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게 된다. 수중모터펌프(115)는 전선(170)에 의해 전기조작판넬(150)의 수용공간(152)에 내재(內在)된 제어장비(15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지하수 관정(110)의 상부측 외주연부에는 기로(氣路)를 형성하는 중공구조의 단면을 갖는 케이 싱(110b)이 구비된다.

    상부보호공(111)의 상단 개구부 일측 소정위치에는 인입구(111a)가 돌출 형성되어 관통되게 구비된다. 인입구(111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보호공(111)의 매설 시, 지표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인입구(111a)의 일단부에는 안내관체(130b)가 연결된다. 이러한, 인입구(111a) 및 안내관체(130b)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인입구(111a)의 하측에는 양수관(113)을 통해 유동하는 지하수가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토출유도구(114)가 형성된다.

    안내관체(130b)에는 인입구(111a)를 향해 대략 'L'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부위에 대략 'ㅓ'자 형상으로 분기(分岐)되어 연장되는 구조를 이루는 인입관(130b-1)이 마련된다. 인입관(130b-1)의 내부는 안내관체(130b)의 내부와 상호 연락가능하게 관통형성된다. 인입관(130b-1)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170a)(예를 들어, 외부전원공급용 전선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안내하게 된다(도 5 참조). 인입관(130b-1)의 일단부는 지표면위에 위치되게 하고, 그 인입관(130b-1)의 내경부에는 방수부재(145)를 구비하여 지하수공으로부터 전기조작판넬로 가는 습기를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방수역할을 수행하게 함과 아울러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인입관(130b-1)의 일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170a)를 안내하는 전선관(130과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안내관체(130b)의 상단부에는 전기조작판넬(150)이 설치된다. 전기조작판넬(150) 및 안내관체(130b)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전기조작판넬(150)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152)이 마련되고, 수용공간(152)의 내부에는 수중모터펌프(115)를 제어하는 제어장비(154a)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장비(154a)는 인입관(130b-1)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17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지하수 시설관(100)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관정(12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어느 일측으로 회동하면서 상단 개구부와 밀폐되게 결합되는 덮개(122)를 갖는 관측정보호공(1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측정보호공(121)은 관측관정(120)의 상부측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구조로 관측관정(120)에 탈착되게 구비된다. 관측정보호공(121)은 관측관정(120)을 보호함과 아울러 각종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관측관정(120)의 상부측 외주연부에는 기로(氣路)를 형성하는 중공구조의 단면을 갖는 케이싱(120a)이 구비된다(도 6 또는 도 7 참조).

    관측관정(120) 및 관측정보호공(121)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수의 수질, 수량 또는 수위 등을 측정하는 센서(123)가 전선(170)과 연결되어 장입된다. 센서(123)는 전선(170)에 의해 관측장비(15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123)의 인양은 사용자의 인양작업에 의해 전선(170)을 관측관정(120)의 내부로부터 빼냄으로서 이루어진다. 전선(170)은 관측정보호공(121)의 내벽 소정위치에 구비된 안내홈(125a)을 갖는 전선안내부재(125)에 의해 지지된다. 전선(170)은 관측정보호공(121)의 일측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안내관체(130c)에 의해 안내되도록 배선되어 전기조작판넬(150)의 수용공간(152)에 내재된 관측장비(15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센서(123)에 의해 획득된 지하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관측정보호공(121)의 상단 개구부 일측 소정위치에는 인입구(121a)가 돌출 형성되어 관통되게 구비된다. 인입구(121a)은 관측관정의 매설 시, 지표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도 7 참조). 인입구(121a)의 일단부에는 안내관체(130c)가 연결된다. 안내관체(130c)는 인입구(121a)를 향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어 절곡되게 형성된다. 안내관체(130c)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인입된 센서(123)와 연결된 전선(170)을 관측관정(120)의 내부로 안내한다. 이러한, 인입구(121a) 및 안내관체(130c)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안내관체(130c)의 상단부에는 전기조작판넬(150)이 설치된다. 전기조작판넬(150)과 안내관체(130c)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전기조작판넬(150)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152)이 마련되고, 그 수용공간(152)에는 관측관정(120) 내의 수질, 수위 등을 감지하는 관측장비(154b)가 수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측장비(154b)는 쏠라플레이트(161) 등으로 구성된 전원공급수단(1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수단(16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4실시예)

    전기조작판넬(150)의 소정위치에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 사열을 방산(放散)시키는 방열팬(156)과, 전기조작판넬(150)의 측벽에 설치되어 전기조작판넬(150)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열판(放熱板, 15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방열팬(156)은 전기조작판넬(150)의 측벽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방열팬(156)은 관측장비(154b)가 수납된 전기조작판넬(150)의 내부에서 발생된 복사열을 방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열팬(156)은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수단으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방열판(158)은 방열팬(156)과 인접하는 위치에 고정설치될 수 있고, 전기조작판넬(150)의 전체면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방열판(158)은 직사광선으로부터 전기조작판넬(15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열판(158)에는 관통형성되어 방열팬(156)에 의해 방산된 복사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다수개의 방열공(158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방열판(158)은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5실시예)

    지하수 관정(110)의 상단 개구부 일측 소정위치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구(110a)가 관통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하수 관정(1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 유사하다. 인입구(110a)측에는 안내관체(130a)를 지하수 관정(110)과 연락되게 하면서 안내관체(130a)를 탈착되게 결합하는 연결구(140)가 구비된다. 연결구(140)는 인입구용 플랜지(140c)와 안내관체용 플랜지(140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입구용 플랜지(140c)와 안내관체용 플랜지(140d)는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140)의 내부에는 일정폭을 갖는 수분차단부재(140e)가 설치된다. 수분차단부재(140e)는 양단부가 인입구용 플랜지(140c)와 안내관체용 플랜지(140d)측에 고정되게 끼움결합된다(도 11 또는 도 12참조). 수분차단부재(140e)에는 관통형성되어 전선(170)을 안정감있게 끼워 안내하는 제1,2전선안내공(140e-1, 140e-2)이 마련된다. 제1,2전선안내공(140e-1, 140e-2)은 전선(170)의 종류 및 굵기 등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분차단부재(140e)는 지하수 관정(110)으로부터 전기조작판넬(150)측으로의 수분이동을 차단하여 전기조작판넬(150)에 구비된 지하수 관정(110)과 관련된 각종 장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110)의 인입구(110a) 측에는 지하수 관정(110) 및 인입구(110a) 사이에서의 보강력을 향상시킬수 있게 하는 판상(板狀)의 보강용 지지판(110a-1)이 덧대어져 설치될 수 있다.

    (제6실시예)

    지하수 관정(110)에는, 도 13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지하수 관정(110)의 상부측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상부보호공(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수 관정(110) 및 상부보호공(1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 유사하다. 상부보호공(111)에 설치된 인입구(111a)측에는 안내관체(130b)와 상부보호공(111)을 연락되게 하면서 안내관체(130b)를 탈착되게 결합하는 연결구(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구(14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구(140)의 내부에는 일정폭을 갖는 수분차단부재(140e)가 설치된다. 수분차단부재(140e)는 상부보호공(111)으로부터 전기조작판넬(150)측으로의 수분이동을 차단하여 전기조작판넬(150)에 구비된 지하수 관정(110)에 연장형성된 상부보호공(111)과 관련된 각종 장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상부보호공(111) 및 안내관체(130b)측에는 판상의 보강용 지지판(130d)이 덧대어져 설치될 수 있다.

    (제7실시예)

    관측관정(120)에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관측관정(120)의 상부측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관측정보호공(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관측관정(120) 및 관측정보호공(121)은,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 유사하다. 관측정부호공(121)에 구비된 인입구(121a)측에는 쏠라플레이트(161)가 구비된 전기조작판넬(150) 또는 방열팬(156)과 방열판(158)이 구비된 전기조작판넬(150)이 설치되는 안내관체(130c)를 탈착되게 결합하는 연결구(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구(14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살펴본바와 동일 유사하다.

    이러한 연결구(1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분차단부재(140e)는 관측정보호공(121)으로부터 전기조작판넬(150)측으로의 수분이동을 차단하여 전기조작판넬(150)에 구비된 관측관정(120) 및 관측정보호공(121)과 관련된 각종 장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관측정보호공(121) 및 안내관체(130c)측 에는 판상의 보강용 지지판(130d)이 덧대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지하수 관정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이 상부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관측정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Ⅲ-Ⅲ"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관측정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Ⅳ-Ⅳ"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지하수 관정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Ⅴ-Ⅴ"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B"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파넬이 상부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Ⅵ-Ⅵ"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기조작판넬 및 쏠라플레이트가 관측정보호공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Ⅶ-Ⅶ"선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방열판이 전기조작판넬측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하수 시설관, 110 : 지하수 관정,

    111 : 상부보호공, 112 : 덮개,

    113 : 양수관, 113a : 필터,

    114 : 토출유도구, 115 : 수중모터펌프,

    120 : 관측관정, 121 : 관측정보호공,

    122 : 덮개, 123 : 센서,

    125 : 전선안내부재, 125a : 안내홈,

    110a, 111a, 121a : 인입구, 110b, 120a : 케이싱,

    130a, 130b, 130c : 안내관체, 130b-1 : 인입관,

    140 : 연결구, 141 : 연결관체,

    142a, 142b : 반원체, 143 : 괘지홈,

    145 : 방수부재, 150 : 전기조작판넬,

    152 : 수용공간, 154a : 제어장비,

    154b : 관측장비, 156 : 방열팬,

    158 : 방열판, 158a : 방열공,

    160 : 전원공급수단, 161 : 쏠라플레이트,

    161a : 보호구, 162 : 충전배터리,

    170, 170a : 전선.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