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폐식 관정장옥

申请号 KR1020110053867 申请日 2011-06-03 公开(公告)号 KR101073631B1 公开(公告)日 2011-10-14
申请人 장인성; 发明人 장인성;
摘要 본 발명은 관정과 관정시설물이 내공간에 들어오도록 설치되는 관정장옥을 분할하여 형성하고 분할된 관정장옥의 일측을 타측의 관정장옥으로 이동 삽입시켜 중첩되어지게 함으로서 별도의 관정장옥의 이동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관정과 관정시설물을 관정장옥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관정 세척 등을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관정장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관정장옥의 규격에 대응하는 형틀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레일의 안쪽으로 분할된 일측의 관정장옥을 설치한 후 이동레일 위로 분할된 타측의 관정장옥을 설치하여 이동레일을 따라 타측의 관정장옥이 슬라이드 되면서 일측의 관정장옥과 겹쳐지게 함으로서 관정 및 관정시설물을 관정장옥 밖으로 노출시켜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权利要求
  •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판(12)(12a)과 상기 지지판(12)(12a)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이동레일(14)로 이루어진 기초형틀(10)과 바닥면이 상기 일측의 지지판(12)과 상기 일측의 지지판(12)에서 연결된 이동레일(14)의 내측 지지면(14a)을 따라 길이 방향의 일부를 점하도록 세워지고 타측 지지판(12)을 향한 일면이 개방된 함체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1관정장옥(20) 및 바닥면이 상기 타측의 지지판(12a)과 상기 타측의 지지판(12a)에서 연결된 이동레일(14)의 길이 방향의 일부를 점하도록 세워지고 바닥 면에 마련된 활차(32)가 이동레일(14)로 안착되며 일측 지지판(12)을 향한 일면이 개방되어 제1관정장옥(20)의 외면에 내접하는 규격을 갖는 함체상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2관정장옥(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관정장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14a)의 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방풍턱(1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관정장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14)과 지지면(14a)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이탈방지턱(14c)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관정장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32)와 제2관정장옥의 바닥면 사이에는 활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3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관정장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의 인접 단부에는 기밀재(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관정장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의 중첩되는 인접 단부에는 대향면을 향해 경사진 기밀턱(5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관정장옥.
  • 说明书全文

    개폐식 관정장옥 {A sliding type ground water house}

    본 발명은 지하수를 채수하는 관정과 관정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시공되는 관정장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관정과 관정시설물이 내공간에 들어오도록 설치되는 관정장옥을 분할하여 형성하고 분할된 관정장옥의 일측을 타측의 관정장옥으로 이동 삽입시켜 중첩되어지게 함으로서 별도의 관정장옥의 이동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관정과 관정시설물을 관정장옥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관정 세척 등을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반에 관정을 뚫고, 관정에 깊은 우물용의 수중모터펌프를 양수관과 연결하여 설치한 뒤 지하수를 양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관정 주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기초를 마련하고 장옥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이 관정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관정을 보호하고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해 설치한 수량계와 각종 밸브 및 수중모터펌프 자동 운전함 등의 관정시설물을 비나 바람 등의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통상 지하수는 일정한 시일이 경과하면 관정내부에 이물질 등의 유입이 일어나 지하수량을 감소시키거나 수질의 저하를 유발하며 수중모터펌프의 고장을 일으키는 것으로 주기적인 관정 청소와 펌프의 수리를 요하는 것이었다.

    관정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공기 압축기에 연결된 세척파이프를 관정 내부로 투입하여 관정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관정 밖으로 토출시키는 에어써징 방법을 이용하고 수중모터펌프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양수관을 들어 올려 반복적으로 해체하면서 꺼낸 후 다시 반복적으로 조립하면서 수중모터펌프를 수리 또는 교체토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관정장옥의 지붕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세척파이프의 투입 및 양수관의 해체 조립을 행할 경우 관정장옥의 벽체에 의해 가려져 있어 관정장옥의 내부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크레인의 작동이 일어나 안전사고의 발생이 우려되고 작업이 지체되어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관정 및 관정시설물의 유지 보수와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관정장옥을 인접한 비보호구역으로 임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관정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셔틀식 관정장옥(등록특허제10-0943411호)이 제안되었다.

    상기 관정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셔틀식 관정장옥은 이동레일에 안착 설치된 관정장옥을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이동토록 함으로서 관정의 유지보수시 상기 관정장옥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인접된 비보호구역으로 임시 이동시켜 관정 및 관정시설물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관정의 세척작업 등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관정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셔틀식 관정장옥은 관정장옥이 임시로 이동되어지는 비보호구역을 확보하여야 함으로서 설치 면적을 많이 확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확보한 비보호구역에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이동레일을 연장시켜 형성하여야 함으로서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장시간 관정장옥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는 이동레일 사이로 낙엽이나 돌 및 자갈 등이 유입되기 쉬워 관정장옥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셔틀식 관정장옥은 평상시에는 관정과 관정시설물을 보호하고 유지 보수를 할 때는 관정과 관정시설물을 외부로 노출시켜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시설이지만 정작 셔틀식 관정장옥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관정장옥 내부에 설치해야 할 전기시설 등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에 전기시설물을 설치하거나 셔틀식 관정장옥 내부의 콘크리트 바닥에 전기시설물을 설치하고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안전장치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여과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관정장옥의 일부를 개폐하여 관정이나 관정시설물이 노출된 상태에서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개폐식 관정장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관정장옥의 개폐시 이동레일 사이로 낙엽이나 자갈 및 돌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지 않도록 한 관정장옥과 이동레일사이로 밀폐수단이 구비된 개폐식 관정장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폐식 관정장옥은 관정장옥의 규격에 대응하는 형틀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레일의 안쪽으로 분할된 일측의 관정장옥을 설치한 후 이동레일 위로 분할된 타측의 관정장옥을 설치하여 이동레일을 따라 타측의 관정장옥이 슬라이드 되면서 일측의 관정장옥과 겹쳐지게 함으로서 관정 및 관정시설물을 관정장옥 밖으로 노출시켜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식 관정장옥에 따르면 분할된 일측의 관정장옥을 이동시켜 타측의 관정장옥에 겹쳐지게 함으로서 관정 및 관정시설물을 관정장옥 밖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관정장옥의 이동을 위한 초과부지와 초과부지에 대한 기초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부지와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사시도로서 관정장옥이 폐쇄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사시도로서 관정장옥이 개방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레일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기초형틀에 관정장옥이 안착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관정장옥의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관정장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보이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관정장옥에 형성된 이동레일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관정장옥이 이동레일에 안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개폐식 관정장옥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판(12)(12a)과 상기 지지판(12)(12a)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이동레일(14)로 이루어진 기초형틀(10)과 바닥면이 상기 일측의 지지판(12)과 상기 일측의 지지판(12)에서 연결된 이동레일(14)의 내측 지지면(14a)을 따라 길이 방향의 일부를 점하도록 세워지고 타측 지지판(12)을 향한 일면이 개방된 함체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1관정장옥(20) 및 바닥면이 상기 타측의 지지판(12a)과 상기 타측의 지지판(12a)에서 연결된 이동레일(14)의 길이 방향의 일부를 점하도록 세워지고 바닥 면에 마련된 활차(32)가 이동레일(14)로 안착되며 일측 지지판(12)을 향한 일면이 개방되어 제1관정장옥(20)의 외면에 내접하는 규격을 갖는 함체상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2관정장옥(3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기초형틀(10)은 기본적으로 강재를 이용하여 사각틀의 형태로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판(12)(12a) 상기 지지판(12)(12a)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이동레일(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레일(14)의 상면 내측에는 제1관정장옥(20)의 바닥면이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면(14a)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면(14a)의 내측 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방풍턱(14b)이 형성되어 완성된 개폐식 관정장옥 내부로 빗물이나 바람 또는 벌레 등의 유입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풍턱(14b)은 강재로 제작되는 이동레일(14)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레일(14)과 지지면(14a) 사이로도 일정한 높이의 이탈방지턱(14c)을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하여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의 벽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2관정장옥(30)이 용이하게 슬라이드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레일(14)과 접하게 되는 제2관정장옥(30)의 바닥면에는 이동레일(14)에 안착되는 복수의 활차(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활차(32)와 제2관정장옥(30)의 바닥면 사이에는 활차(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3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34)은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관정과 관정시설물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 제2관정장옥(30)을 개방시켜 제1관정장옥(20)과 중첩시켰다가 관정과 관정시설물의 수리나 교체가 완료된 후 제2관정장옥(30)을 닫을 때 벽체가 지지판(12a)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방풍턱에 닿아 간섭을 받지 않도록 높이조절수단(34)을 돌출시켜 줌으로서 제2관정장옥(30)의 바닥면을 상승시키는 것이고 상승된 상태에서 방풍턱을 지난 후 높이조절수단(34)을 조아주어 제2관정장옥(30)의 바닥면이 지지판(12a)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개폐식 관정장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관정과 관정시설물이 설치된 장소의 터를 평탄하게 고른 후 기초형틀(10)을 놓아 자리를 잡고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된다.

    이때, 놓인 기초형틀(10)은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을 설치하기 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는 것으로 현장 여건이나 작업 공정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비가 오거나 추워서 콘크리트의 양생이 곤란한 경우에는 기초형틀(10)을 설치한 후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을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관정장옥의 내부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토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일기에 따라 공사기간이 지체되는 일이 없이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분할 형성된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의 인접하는 단부에는 고무 패킹 등의 기밀재(40)를 추가로 형성하여 빗물이나 벌레 또는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안쪽으로 삽입되는 제1관정장옥(20)의 외면으로 형성할 경우 비가 오거나 쌓인 눈이 녹을 때 관정장옥의 내부로 빗물이나 녹은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의 중첩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면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시킨 기밀턱(50)을 형성하면 기밀재(40)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제2관정장옥(30)의 내면과 제1관정장옥(20)의 외면 사이에 간격을 확보할 수 있어 개폐시 마찰 등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관정장옥(20)과 제2관정장옥(30)의 벽체 등에는 설치된 관정이나 관정시설물 들에 의해 슬라이드시 일어나는 간섭을 막기 위한 통로와 사람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10: 기초형틀 12, 12a: 지지판
    14: 이동레일 14a: 지지면
    14b: 방풍턱 14c: 이탈방지턱
    20: 제1관정장옥 30: 제2관정장옥
    32: 활차 34: 높이조절수단
    40: 기밀재 50: 기밀턱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