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ground water well cover with locking device for flowmeter attach and remove easy

申请号 KR20090110598 申请日 2009-11-17 公开(公告)号 KR100981985B1 公开(公告)日 2010-09-13
申请人 MYUNG JIN MACHINERY CO LTD; 发明人 KANG SONG HEON; BYEON GWON SIK;
摘要 PURPOSE: A subsurface water top sealing device in which flow meter attaching/detaching facilitates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veniently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to reduce cost for maintenance and repair. CONSTITUTION: A subsurface water top sealing device comprises a manhole portion(10), a flow meter(20), a influent and effluent water case(30) and a pressurization device. The manhole portion is composed of a manhole box and a manhole cover. The flow meter is composed of a water meter, an influent water connection pipe(22), an effluent water connection pipe(23). The influent and effluent water case is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flow meter. The influent and effluent water case induces so that the subsurface water passes through the flow meter. The pressurization device pressurizes the sidewall of the influent and effluent water case.
权利要求
  • 지하수 양수관을 통해 수중펌프를 장입하는 관정용 케이싱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중공원통형의 케이싱연결관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지하수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 및 상기 수중펌프 전선이 인출되기 위한 전선인출구가 각각 구비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박스와, 상기 맨홀박스의 상부에서 플랜지 결합되어 상기 맨홀박스 상부를 밀폐하는 맨홀덮개로 구성되는 맨홀부가 구비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체크밸브가 부설된 수도미터기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다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각각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미터기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입수연결관 및 출수연결관이 구비된 유량계와,
    내부에 격벽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입수공간부 및 출수공간부로 양분되되, 상기 입수공간부 저부에는 중공원통형으로 돌출 개방되어 상기 지하수 양수관에 연결되는 지하수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출수공간부 일측에는 상기 맨홀박스의 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지하수토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입수공간부 및 상기 출수공간부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기 입수연결관 및 상기 출수연결관 각각에 연통되기 위한 입수연결구 및 출수연결구가 구비되며, 그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호 수밀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이 구비된 입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및 상기 지하수토출공은 서로 연결되는 말단부 각각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하수토출공이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형태로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고, 상기 맨홀박스의 상기 토출구가 구비된 타측의 내측벽 부분에는 상기 지하수토출공이 상기 토출구에 수밀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입출수케이스 측벽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토출구가 구비된 타측 방향의 맨홀박스 내부 측벽 단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탭 및 상기 나사탭에 잠김 또는 풀림되면서 상기 입출수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덮개 일단부에는 공기유통공이 구비되되, 상기 공기유통공에는 지하수층 내부로 지표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연결관의 일단부에는 압력계 및 개폐밸브가 부설된 호스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박스에는 상기 입출수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맨홀박스 내부 양측벽에서 서로 대향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입출수케이스에는 상기 입출수케이스 양단부에서 힌지 연결된 손잡이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 说明书全文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UNDERGROUND WATER WELL COVER WITH LOCKING DEVICE FOR FLOWMETER ATTACH AND REMOVE EASY}

    본 발명은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량계 또는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부설된 각종 파이프 등을 보호하기 위한 밀폐장치인 것으로, 지하수 관정의 단면을 크게 확대할 필요없이 가정 등에서 소형의 맨홀형태로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하에 매설된 지하수 양수관에 연결되어 지하수를 지상으로 원활하게 양수할 수 있도록 견고하고 수밀된 구조로 설치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한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취수 시설은 지표의 암반을 굴착기로 지하수의 수맥을 관통하기까지 굴착한 후 내부에 수중펌프를 설치하고 수중펌프에 연결된 송수관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이송하여 물탱크로 저장한다. 종래에는 지하수의 관정 주변을 지면보다 높게 하여 상부보호시설을 설치하고,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덮개 장치를 설치하여 지하수 심정 내부로 오염된 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즉, 종래의 지하수 상부 보호 밀폐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관정용 케이싱에 유량계 및 그에 부설되는 다수의 배관을 연결 및 해체하기 위해서 횡단면이 크게 형성된 관정 및 그 입구를 마련하여야 하고, 마련된 관정 내부에서 설치 작업들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수의 인력이 소요됐으며 수밀성을 위해 겹겹이 혹은 다수의 자재들이 동원되어 꼼꼼히 작업되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양수된 물을 공급하는 수도전에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수도 미터기가 연결되어지고, 수도전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깊이 이상 터파기를 한 후 땅속에 묻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도미터기도 땅속에 묻혀야 하나 외부에서 쉽게 검침하기 위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땅에 묻은 후 상기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에 수도미터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수도미터기는 검침의 편리함을 위하여 땅속에 묻힌 수도전의 깊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수도미터기와 수도전을 연결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필요하고,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을 감싸는 연결배관을 구비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 하부에 결합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수도 미터기의 입수관과 급수관 사이에서 앵글관에 의해 결합되어짐으로써 배관 연결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보호통의 하부에는 배관보온재가 내부에 취부되어진 밑판이 연장 형성되어 입수관과 급수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가운데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도미터기 보호통 구조에서는 수도미터기와 보호통 내부 배관의 연결은 미터기와 배관에 형성한 나사에 의해 연결되는데 보온상의 목 적으로 미터기의 위치가 보호통 바닥부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좁고 깊은 위치에서 파이프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이음부 연결작업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설치 시공에 따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도미터기 등의 유량계 및 그에 연결되는 배관이 일체화되어 단순화되는 결합구조를 갖게 되어 미터기의 교체와 설치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입출수구 관통부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새로이 제시하여 지하수 침투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가 유입되기 위한 입출수구의 위치를 기매설된 관정 케이싱에 쉽게 맞출 수 있는 구성으로 수도관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미터기 및 보호통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지하수 양수관을 통해 수중펌프를 장입하는 관정용 케이싱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중공원통형의 케이싱연결관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지하수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 및 상기 수중펌프 전선이 인출되기 위한 전선인출구가 각각 구비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박스와, 상기 맨홀박스의 상부에서 플랜지 결합되어 상기 맨홀박스 상부를 밀폐하는 맨홀덮개로 구성되는 맨홀부가 구비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체크밸브가 부설된 수도미터기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다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각각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미터기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입수연결관 및 출수연결관이 구비된 유량계와, 내부에 격벽 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입수공간부 및 출수공간부로 양분되되, 상기 입수공간부 저부에는 중공원통형으로 돌출 개방되어 상기 지하수 양수관에 연결되는 지하수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출수공간부 일측에는 상기 맨홀박스의 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지하수토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입수공간부 및 상기 출수공간부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기 입수연결관 및 상기 출수연결관 각각에 연통되기 위한 입수연결구 및 출수연결구가 구비되며, 그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호 수밀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이 구비된 입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상기 토출구 및 상기 지하수토출공은 서로 연결되는 말단부 각각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하수토출공이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형태로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고, 상기 맨홀박스의 상기 토출구가 구비된 타측의 내측벽 부분에는 상기 지하수토출공이 상기 토출구에 수밀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입출수케이스 측벽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토출구가 구비된 타측 방향의 맨홀박스 내부 측벽 단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탭 및 상기 나사탭에 잠김 또는 풀림되면서 상기 입출수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상기 맨홀덮개 일단부에는 공기유통공이 구비되되, 상기 공기유통공에는 지하수층 내부로 지표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상기 출수연결관의 일단부에는 압력계 및 개폐밸브가 부설된 호스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상기 맨홀박스에는 상기 입출수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맨홀박스 내부 양측벽에서 서로 대향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입출수케이스에는 상기 입출수케이스 양단부에서 힌지 연결된 손잡이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수도미터기 등의 유량계 및 그에 연결되는 배관이 일체화되어 단순화되는 결합구조를 갖게 되어 미터기의 교체와 설치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입출수구 관통부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새로이 제시하여 지하수 침투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가 유입되기 위한 입출수구의 위치를 기매설된 관정 케이싱에 쉽게 맞출 수 있는 구성으로 수도관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미터기 및 보호통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가 지하수 관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의 유량계 및 입출수케이스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맨홀부(10)와, 유량계(20)와, 입출수케이스(30), 가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맨홀부(10)는, 지하수층과 연락되게 매설되는 관정용케이싱(10')의 상단에 체결하여 일체화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유량계(20)의 동파 방지 및 지하수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상기 맨홀부(10)는 지하수 관정에 매설되는 맨홀박스(11) 및 상기 맨홀박스(12)의 상부를 덮는 맨홀덮개(12)로 구성된다. 상기 맨홀박스(11)의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11a)이 형성된 하부플랜지(111)가 구비되고, 상기 맨홀덮개(12)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하부플랜지(111)의 체결공(111a)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21a)이 형성된 상부플랜지(121)가 구비되어 상기 맨홀박스(11) 및 상기 맨홀덮개(12)는 상호 플랜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맨홀박스(11)는 저부에 상기 관정용케이싱(10')의 상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중공원통형의 케이싱연결관(112)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연결관(112)은 상기 관정용케이싱(1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 고정밴드(10a')가 감싸지고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맨홀박스(11) 일측면에는 지하수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13) 및 지하수 양수관(100)을 통해 장입된 수중펌프(WP)의 전선이 인출되기 위한 전선인출구(114)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구(113)는 말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맨홀박스(11)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토출구(113)는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하여 지상으로 연장된 지하수양수호스(113')와 서로 나사조임되고, 그 사이에는 패킹부재(P)가 삽입되어 수밀되게 연결된다.

    상기 맨홀덮개(12)는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량계(20) 및 각종 입출수구 관통부의 연결관이 혹한기의 동파에 의해 누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치로폴폼과 같은 보온재(122)가 상기 맨홀덮개(12) 저부에서 소정 깊이를 갖도록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맨홀덮개(12)는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의 수도미터기(21) 눈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유량계검침구(123)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계검침구(123)는 상기 맨홀덮개(12)의 중앙부분에서 상하 관통된 중앙관통공(123a)과, 상기 중앙관통공(123a) 상부를 밀폐하는 검침구뚜껑(123b)으로 구성되되, 이때 상기 중앙관통공(123a)은 상기 맨홀덮개(12) 저부에 구비된 상기 보온재(122)의 중앙 부분까지 관통하여 미터기의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관통공(123a)은 상기 맨홀덮개(12)의 상부로 소정 돌출된 돌출턱(123a')이 형성되어 상기 검침구뚜껑(123b)이 상기 돌출턱(123a')에 걸림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검침구뚜껑(123b)의 양측단에는 고정편(123b')이 구비되고, 상기 맨홀덮개(12)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편(123b')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123b")에 상기 고정편(123b')이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맨홀덮개(12)는 검침구뚜껑(123b)을 간편하게 개폐하여 상기 맨홀박스(11)의 내부점검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미터기 점검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스치로폴폼 등으로 이루어진 내부 보온재(12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파손의 위험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맨홀덮개(12) 일단부에는 공기유통공(12a)이 구비되되, 상기 공기유통공(12a)에는 지하수층 내부로 지표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릴리프밸브(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지하수관정 안에는 수중펌프(WP)를 넣어 지하수를 끌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지하수관정 내부, 즉 지하수 수면 상부로는 공기층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공기층은 지하수관정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관정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맨홀덮개(12)의 일단부에서 상기 보온재(122)의 하단부까지 이어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기유통공(12a)이 구비되어 상기 지하수층 내부에서 상기 맨홀덮개(12)의 외부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유통공(12a)은 개방된 상태로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빗물 또는 지표수 등이 범람하여 지하수 관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릴리프밸브(12')가 설치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릴리프밸브(12')는 상기 공기유통공(12a)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가 관통된 중공볼트(12")에 의해 상기 맨홀덮개(12)와 상호 연결되는 통기케이스(12'a) 및 상기 통기케이스(12'a)의 상부를 밀폐하는 케이스덮개(12'b)가 결합되어 진다. 또한, 상기 통기케이스(12'a)에는 측면방향을 향하여 관통된 통기공(12'a1)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통기케이스(12'a)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통공(12a)에서 상기 통기공(12'a1)까지 이어지는 통기로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2'a1)이 구비된 하부측에는 상기 통기케이스(12'a) 내부의 통기로와 연통된 유체출입구(12'a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유체출입구(12'a2)와 통기로가 연통되는 입구 부분에는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부력체(12'c)가 설치되게 된다. 이에, 상기 부력체(12'c)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서 통기로의 하부에서 상기 통기공(12'a1)이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유체출입구(12'a2) 내부로 지표수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유입되게 되면, 상기 부력체(12'c)는 부력에 의해 통기로를 따라 상부로 부상하게 되고, 통기로의 상부 부분에서 상기 부력체(12'c)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경사턱(12'a3)에 걸림되어 통기로를 밀폐함으로써 지표수가 통기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유량계(20)는 일측에 체크밸브(21a)가 부설된 수도미터기(21)와, 하단부에 다수개의 체결공(221a,231a)을 갖는 각각의 고정브라켓(221,231)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미터기(21)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입수연결관(22) 및 출수연결관(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도미터기(21)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수도검침을 위해서 설치된 것으로, 중앙 부분에는 미터기가 설치되고 그 양단부에 파이프관 형태의 입출수구가 형성되며, 출수구 방향의 내부에는 내장된 차단판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21a)가 설치되어 지수시 순간적인 물의 역류현상 차단으로 정확한 계 량이 가능하고, 지하수가 역방향으로 들어오지 않으므로 동절기에 동파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입수연결관(22)은 상기 수도미터기(21)의 입수구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출수연결관(23)은 상기 수도미터기(21)의 출수구방향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입수연결관(22) 및 상기 출수연결관(23)은 이하에서 상기 입출수케이스(30)의 구성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수중펌프(WP)에 의해 상기 양수관(100)으로 양수하는 지하수의 유량을 상기 수도미터기(21)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지하수가 상기 유량계(20)를 통과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상기 유량계(2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내부에 격벽(301)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입수공간부(31) 및 출수공간부(32)로 양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수공간부(31)의 저부에는 중공원통형으로 돌출 개방되어 상기 지하수 양수관(100)에 연결되는 지하수유입관(302)이 구비된다. 상기 지하수유입관(302)은 상기 지하수 양수관(100) 사이에 고무패킹(도면미도시) 등을 개재하여 수밀되게 연결되어 상기 입수공간부(31) 내부로 양수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수공간부(32) 일측에는 상기 맨홀박스(11)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토출구(113)와 연결되는 지하수토출공(303)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출구(113) 및 상기 지하수토출공(303)은 서로 연결되는 말단부 각각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하수토출공(303)이 상기 토출구(113)에 삽입되는 형태로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하수토출공(303)은 상기 입출수케이스(30)의 상기 출수공간부(32)가 마련된 부분의 몸체가 상기 토출구(113)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협소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그 끝단부에는 고무패킹(303a)이 개재되어 상기 토출구(113)에 삽입되는 형태로 수밀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13)는 상기 지하수토출공(303)과 서로 밀착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맨홀박스(11)의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수공간부(31) 상단부에는 상기 입수연결관(22)에 연통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입수연결구(304)가 구비된다. 그와 동일하게, 상기 출수공간부(32) 상단부에는 상기 입수공간부(31)로 유도된 지하수가 상기 유량계(20)를 통과하여 상기 출수공간부(32)로 유입되도록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출수연결구(30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입수연결구(304) 및 상기 출수연결구(305)의 상단에는 상기 입수연결관(22) 및 상기 출수연결관(23)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브라켓(221,2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브라켓(304a,305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04a,305a)은 상기 고정브라켓(221,231)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221a)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장홈(304a',305a')이 형성된다. 상기 장홈(304a',305a')은 상기 수도미터기(21)와 그 양측에 연결된 상기 입수연결관(22) 및 출수연결관(23)의 배관 연결시 발생되는 유격에 따라 알맞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인 것으로, 상기 고정브라켓(221,231)과 상기 지지브라켓(304a,305a)이 상호 수밀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수연결관(23)의 일단부에는 압력계(23a') 및 개폐밸브(23b')가 부설된 호스연결구(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연결구(23')는 지하수 오염도 및 수질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수도검침 등을 위해서 양수되는 지하수를 중간에서 채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호스연결구(23')의 일단에는 수도검침 중 내압 기밀시험이 가능하도록 압력계(23a')가 설치되고, 별도의 호스를 상기 호스연결구(23') 출구에 연결하여 상기 개폐밸브(23b')를 개폐 조절함으로써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수연결관(22)의 일단부에는 감압밸브(22')가 설치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감압밸브(22')는 보일러용 사용시 압력조절이 용이하여 수도미터압력 조정시 유수음 및 수격감소에 유리하여 계량기 보호 및 수압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서 양수되는 지하수는 하층부로 내려갈수록 적정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되며 높은 수압은 배관내의 급수량을 증대시키고, 많은 유량이 흐르므로 배관의 변형 부분에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유수음과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본 발명 유량계(20)의 연결라인에는 상기 감압밸브(22')를 사용하여 유수음과 진동발생을 막고 유량 불균형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상기 유량계(20)에 지하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입수공간부(31)로 유도된 지하수가 상기 입수연결구(304)를 통하여 상기 유량계(20)를 통과하게 되고, 그 지하수는 상기 출수연결구(305)를 통해 상기 출수공간부(32)로 유도되어 상기 지하수토출공(303)을 통하여 상기 맨홀박스(11)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량계(20) 및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서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양수관(100)에 연결되도록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맨홀박스(11)에는 상기 입출수케이스(3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맨홀박스(11) 내부 양측벽에서 서로 대향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상기 입출수케이스(30)의 외측 양단부에서 힌지 연결된 손잡이고리(30')가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재(11') 및 상기 손잡이고리(30')의 구성은 종래의 보호통과 같은 내부 깊숙한 위치에서 미터기 교체작업시 야기되는 공구사용의 곤란성과 시야확보의 곤란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량계(20) 및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각종 배관이 연결 설치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에서 지하수 관정의 상부로 노출된 양수관(100)에 상기 지하수유입관(302)이 연결되도록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1')는 상기 맨홀박스(11) 측벽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입출수케이스(30)의 상기 지하수토출공(303) 부분과 그 타측 측벽부분이 가이드되어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의 바닥부분에 구비된 완충부재(S) 상부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출수케이스(30)의 외측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고리(30')는 상기 입출수케이스(30)를 상기 맨홀박스(11)의 내부 깊은 위치에서 설치 및 인양할 때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맨홀박스(11)의 상기 토출구(113)가 구비된 타측의 내측벽 부분에는 상기 지하수토출공(303)이 상기 토출구(113)에 수밀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입 출수케이스(30) 측벽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40)이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40)은 나사탭(41) 및 상기 나사탭(41)에 잠김 또는 풀림되는 가압볼트(42)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수단(40)은, 상기 유량계(20)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입출수케이스(30)를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우선, 상기 양수관(100)에 상기 지하수유입관(302)이 연결되게 한다. 다음으로, 끝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기 지하수토출공(303)을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에서 그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돌출 형성된 상기 토출구(113) 내측에 삽입하여 서로 끼움되어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입출수케이스(30)는 상기 토출구(113)에 단순히 맞물리게 연결된 상태이므로, 그에 따른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113)가 구비된 타측 방향에서 상기 입출수케이스(3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4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가압수단(40)은 상기 토출구(113)가 구비된 타측 방향의 맨홀박스(11) 내부 측벽이 상기 맨홀박스(11) 외측으로 소정 돌출 연장되는 측벽연장부(40a)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나사탭(41)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연장부(40a)에는 일측 머리부분에 평평한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탭(41)에 잠김 또는 풀림되는 가압볼트(42)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 상기 입출수케이스(30)를 설치할 때는 상기 지하수토출공(303) 끝단부를 일주하는 고무패킹(303a)이 개재된 상기 지하수토출공(303)을 상기 토출구(113)에 맞물리게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볼트(42)를 스패너 등으로 풀림되도록 하여 상기 입출수케이스(3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입출수케이스(30)가 상기 토출구(113)에 수밀되게 연 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출수케이스(30)의 해체시에는 상기 작업을 역순으로 하여 상기 입출수케이스(30)를 쉽게 탈착할 수 있어 각종 배관의 수리 시 종전과 같이 협소한 공간의 상기 맨홀박스(11) 내부에서 번거럽게 작업할 필요없이 외부로 상기 입출수케이스(3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유량계(20)를 인양하여 수리하고, 간편하게 재설치할 수 있는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상부 밀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가 지하수 관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의 유량계 및 입출수케이스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맨홀부

    11 맨홀박스

    111 하부플랜지

    111a 체결공

    112 케이싱연결관

    113 토출구

    114 전선인출구

    11' 가이드부재

    12 맨홀덮개

    121 상부플랜지

    121a 체결공

    122 보온재

    123 유량계검침구

    12' 릴리프밸브

    20 유량계

    21 수도미터기

    21a 체크밸브

    22 입수연결관

    23 출수연결관

    221,231 고정브라켓

    221a,231a 체결공

    22' 감압밸브

    23' 호스연결구

    30 입출수케이스

    31 입수공간부

    32 출수공간부

    301 격벽

    302 지하수유입관

    303 지하수토출공

    304 입수연결구

    305 출수연결구

    304a,305a 지지브라켓

    304a',305a' 장홈

    30' 손잡이고리

    40 가압수단

    41 나사탭

    42 가압볼트

    B 볼트 WP 수중펌프

    P 패킹부재 C 전선

    S 완충부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