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드탱크

申请号 KR2020120004750 申请日 2012-06-05 公开(公告)号 KR2020130007163U 公开(公告)日 2013-12-13
申请人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发明人 지경배;
摘要 본 고안은, 석유 또는 가스를 시추하기 위한 시추선에 마련되어 해저의 머드를 수용하는 머드 수용부;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로 머드 및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되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로 머드 및 공기 유입을 방치하는 유입부; 및 상기 머드 수용부 외부로 머드 및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되 상기 머드 수용부 외부로 머드 및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의 공기 배출을 방치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머드탱크가 개시된다. 상기에 의한 머드 수용부에 의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 수용부에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머드 수용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수를 줄여 장비 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공정 설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权利要求
  • 석유 또는 가스를 시추하기 위한 시추선에 마련되어 해저의 머드를 수용하는 머드 수용부;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로 머드가 유입되는 유입파이프 및 상기 유입파이프 주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홈을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머드 수용부 외부로 머드가 배출되는 배출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홈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머드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유입파이프와 상기 머드 수용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머드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상기 배출파이프와 상기 머드 수용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머드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는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와 연통된 머드탱크.
  • 说明书全文

    머드탱크{MUD TANK}

    본 고안은 머드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해저의 머드가 시추되면 별도의 분리기를 거쳐 불필요한 것은 해저로 버리고 필요한 머드는 수용하는 탱크내에 저장을 하며 이 저장용 탱크에 공기가 배출 및 유입될 수 있는 머드 탱크에 관한 것이다.

    시추선은 해저의 석유,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선박이다. 이때, 시추선이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해서는 해양의 머드를 먼저 시추해야 한다.

    즉, 석유나 가스 등은 해저 지하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해저 바닥에 있는 머드를 제거한 뒤에 지하의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먼저 시추한 머드를 분리기를 거쳐 불필요한 것은 해저에 버리고 필요한 머드는 수용부에 저장한 뒤 석유, 가스 등을 시추시 저장된 머드를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시추작업이 진행된다.

    시추된 머드를 저장하는 머드 수용부에는 머드 및 외부의 공기가 유, 출입되는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파이프에는 머드 및 공기의 유, 출입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공기의 유, 출입을 원할하게 한다.

    이때, 머드 수용부에 공기나 머드의 유, 출입을 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경우 장비 공정수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를 수용하는 수용부에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머드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머드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수를 줄여 장비 공정을 간소화하는 머드탱크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장비 공정을 간소화하는 머드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제공하여 공정 설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머드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석유 또는 가스를 시추하기 위한 시추선에 마련되어 해저의 머드를 수용하는 머드 수용부;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로 머드가 유입되는 유입파이프 및 상기 유입파이프 주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홈을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머드 수용부 외부로 머드가 배출되는 배출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홈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에 의한 머드탱크에 의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 수용부에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머드 수용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수를 줄여 장비 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공정 설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유입파이프와 상기 머드 수용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홈은 상기 배출파이프와 상기 머드 수용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홈 및 배출홈과 머드 수용부는 넌 타이트(NON TIGHT)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 수용부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는 상기 머드 수용부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머드탱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머드 수용부에 공기를 유입 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머드 수용부에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머드 수용부에 설치하기 위한 장비의 부품 수를 줄여 설치 공정을 간소화하고, 설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저감하여 작업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드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머드탱크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드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머드탱크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머드탱크(100)는 머드 수용부(120), 유입부(140) 및 배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머드 수용부(120)는 석유 또는 가스를 시추하기 위한 시추선(미도시)에 마련되어 해저의 머드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상기 머드 수용부(120)는 사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추되는 머드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스페이스(1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머드 수용부(120)내에는 머드가 수용되는 스페이스(125)와 아지테이트(122) 및 클리닝건(124) 등 다수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아지테이트(122)는 상기 스페이스(125)에 수용된 머드를 섞어 머드가 뭉치거나 굳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리닝건(124)은 스페이스(125)에서 머드가 배출되면 스페이스(125)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물이 배출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유입부(140)는 머드 수용부(120) 내부로 머드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파이프(1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파이프(142) 주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머드 수용부(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홈(14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160)는 머드 수용부(12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파이프(162)와 배출파이프(162) 주변에 형성되어 머드 수용부(1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홈(16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공기는 유입홈(144)으로 유입되어 머드 수용부(120)를 지나 배출홈(164)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유입홈(144)과 배출홈(164) 주변에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의 유입 및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머드 수용부(120)를 유, 출입하는 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머드 수용부(120)에 설치하지 않고도 머드 수용부(120)에서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머드 수용부(120)를 설치하기 위한 장비 공정수를 줄이고, 설비 설치에 필요한 경제적 손실 또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홈(144)은 유입파이프(142)와 머드 수용부(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배출홈(164)은 배출파이프(162)와 머드 수용부(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홈(144) 및 배출홈(164)은 공기가 유, 출입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홈(144) 및 배출홈(164)의 크기에 의하여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유입파이프(142) 및 배출파이프(162)는 머드 수용부(120) 내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파이프(142) 및 배출파이프(162)가 머드 수용부(120) 내부와 연통됨으로써, 해저의 머드가 장애물 없이 유, 출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저의 머드를 분리후 머드 수용부(120)로 유입할 때, 머드 유입을 방해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자유롭게 머드가 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입홈(144) 및 배출홈(164)을 통해 공기가 머드 수용부(120)로의 유, 출입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머드에 계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머드 수용부(120) 내에 수용된 머드가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머드 수용부(120)로 공기를 유, 출입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부(틈새)와 배출부(160)를 머드 수용부(120)로 연통되게 형성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 수용부(120)로 공기가 자유롭게 유입 및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머드 수용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장비 부품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줄이고 설치에 필요한 인력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머드탱크 120: 머드 수용부
    140: 유입부 160: 배출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