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폭발 차단기용 로드 로크

申请号 KR1020087000238 申请日 2005-06-06 公开(公告)号 KR1020080037650A 公开(公告)日 2008-04-30
申请人 하이드릴 유에스에이 메뉴팩춰링 엘엘씨; 发明人 저지로버트아놀드; 버크켄호프마이클웨인;
摘要 A blowout preventer (100) to hydraulically seal a wellbore includes a housing (102)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bove a wellhead and to surround a drillstring (112), a plurality of rams (120) positioned perpendicular to an axis (114) of the drillstring to engage the drillstring (112) and hydraulically isolate an annulus (116) between the wellbore and the drillstring (112) when in a closed position, and a roller lock (350, 250) positioned about a thrust rod (326, 226, 126) of each ram (120) configured to maintain the rams (120) in the closed position.
权利要求
  • 웰보어(wellbore)를 유압식으로 밀봉하기 위한 폭발 차단기이며,
    웰헤드 위에 위치되고 드릴스트링(drillstring)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하우징과,
    드릴스트링의 축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드릴스트링과 결합하고, 램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웰보어와 드릴스트링 사이의 환형부를 하우징 위에 위치된 구성품으로부터 유압식으로 격리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램들과,
    각각의 램의 드러스트 로드 둘레에 위치되고, 램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롤러 로크를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롤러 로크는 경사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구형 롤러를 포함하며, 램이 드릴스트링으로부터 떨어져 변위될 때, 경사면은 구형 롤러를 드러스트 로드와의 압축 결합을 위해 밀어넣도록 구성되는 폭발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구형 롤러 및 경사면은 드릴스트링과 결합하도록 램의 이동을 허용하는 폭발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폐쇄 위치로부터의 램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롤러 로크는 드러스트 로드와의 압축 결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구형 롤러를 후퇴시키도록 구성 된 해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
  • 제4항에 있어서, 해제 케이지는 또한 구형 롤러를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contoured) 포켓 내에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폭발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경사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
  • 제2항에 있어서, 경사면은 형상면을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롤러 로크는 경사 평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며, 램이 드릴스트링으로부터 떨어져 변위될 때 경사 평면은 원통형 롤러를 드러스트 로드와의 압축 결합을 위해 밀어넣도록 구성되는 폭발 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롤러 로크는 램이 폐쇄 위치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롤러 로크는 유압이 피스톤을 후퇴시키도록 인가될 때 작동되는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
  • 폭발 차단기의 램에 연결된 드러스트 로드와 결합하여 이동을 제한하기 위 한 복수의 구형 로킹 요소와,
    작동 램이 압박되어 개방될 때, 각각의 리셉터클이 구형 로킹 요소가 드러스트 로드와 압축 접촉하기 위해 밀어넣도록 구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형 로킹 요소를 위한 복수의 리셉터클과,
    리셉터클로 구형 로킹 요소를 후퇴 및 보유하고 작동 램이 개방될 때 이들을 드러스트 로드와의 압축 접촉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해제 케이지를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로킹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구형 로킹 요소는 드러스트 로드와 접촉할 때 폐쇄 방향으로 작동 램의 이동을 허용하는 로킹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경사면은 평면인 로킹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경사면은 형상면인 로킹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형상면은 구형 로킹 요소에 대응하는 로킹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구형 로킹 요소가 드러스트 로드로부터 떨어져 완전히 후퇴될 수 있는 포켓을 포함하는 로킹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해제 케이지는 어떠한 관형 물체도 폭발 차단기를 통해 연장되지 않을 때 구형 로킹 요소의 손실을 방지하는 로킹 장치.
  • 폭발 차단기의 램을 로킹하는 방법이며,
    램의 드러스트 로드에 인접하여 위치된 리셉터클 내부에 구형 로킹 요소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구형 로킹 요소와의 압축 결합으로 드러스트 로드를 로킹하는 단계와,
    램을 언로킹시키도록 해제 케이지로 각각의 리셉터클 내로 구형 로킹 요소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램이 압박되어 개방될 때 구형 로킹 요소를 드러스트 로드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의 램을 로킹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해제 케이지로 리셉터클 내에 구형 로킹 요소를 보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해제 케이지는 구형 로킹 요소가 리셉터클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드러스트 로드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폭발 차단기의 램을 로킹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해제 케이지는 모든 구형 로킹 요소를 그들 각각의 리셉터클 내로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단일 구성품인, 폭발 차단기의 램을 로킹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해제 케이지는 복수의 구성품을 포함하며, 각각은 하나 이상의 구형 로킹 요소를 그들 각각의 리셉터클 내로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폭발 차단기의 램을 로킹하는 방법.
  • 说明书全文

    램 폭발 차단기용 로드 로크 {ROD LOCK FOR RAM BLOWOUT PREVENTE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석유 개발 및 복구 산업에서 활용되는 것과 같은 폭발 차단기용 로킹 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램형(ram-type) 폭발 차단기용 드러스트 로드의 바람직하지 않은 역전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 로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웰보어는 아래의 지각층에 갇힌 오일 및 가스 매장물을 발견하기 위해 지각 내부로 깊이 천공된다. 통상, 이러한 웰보어는 긴 채취, 또는 스트링 나사 파이프의 단부에서 드릴 비트를 회전시키는 드릴스트링(drillstring)이라고 공지된 장치에 의해 천공된다. 이러한 작업에 관련된 에너지 및 마찰 때문에, 드릴 비트가 아래의 암석층을 절삭함에 따라 드릴링 머드(drilling mud)라고 통상 언급되는 드릴링 유체가 드릴 비트를 윤활하고 냉각시키도록 사용된다. 또한, 드릴링 머드는 웰보어의 바닥으로부터 표면까지 드릴 커팅을 제거하는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상, 드릴링 머드는 드릴스트링의 중심 보어를 통해 고압 하에서 드릴 비트에 전달된다. 그로부터, 드릴 비트 상의 노즐은 여압 머드(pressurized mud)를, 여압 머드가 비트를 세척하고 냉각하는 드릴 비트 상의 커터로 유도한다. 유체가 드릴스트링의 중심 보어를 통해 다운홀(downhole)로 전달됨에 따라, 드릴스트링 부 품의 외측과 컷 웰보어 사이에 형성된 환형부에서 유체는 표면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드릴링 머드의 유체역학적 칼럼은 통상 표면으로부터 절삭되는 다운홀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웰보어가 표면 아래로 수천 피트 천공됨에 따라, 드릴링 머드의 정역학적 칼럼은 웰보어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또한 작용한다. 탄화수소 및 다른 유체는 상당한 압력 하에 존재하는 지하층에 갇혀있는 경우가 많다. 임의의 유동 제어 계획이 없다면, 이러한 파열된 지각층으로부터의 유체는 웰보어 밖으로 간헐천과 같이 폭발할 수 있고, 탄화수소 및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유체를 대기 중으로 분출할 수 있다. 드릴링 머드 칼럼으로부터의 수천 피트의 유압 헤드는 정상 상태 하에서 웰보어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조력한다. 그러나, 어떤 예측되지 않은 환경하에서, 드릴 비트는 여압층의 포켓을 직면할 것이며, 웰보어가 "킥(kick)" 하도록 야기하거나 또는 압력에서의 빠른 증가를 경험하도록 할 것이다. 지각층 킥은 예측할 수 없고, 다르게라면 재앙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폭발 차단기("BOP's")로 알려진 유동 제어 장치는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드릴링 리그(rig)에 필수적이다.

    폭발 차단기는 드릴스트링을 포위하는 환형 공간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폭발 차단기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는 램형 폭발 차단기로 공지되어 있다. 램형 폭발 차단기는 드릴스트링(및 그것에 연결된 임의의 부품)이 통과할 수 있는 큰 통로를 포함하는 웰헤드의 정상에 장착된 큰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또한 드릴스트링의 축과,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웰헤드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된 두 개 이상의 램을 포함한다. 램의 단 부는 연장될 때, 배치된 드릴스트링 둘레에 완전한 환형 유압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램형 BOP(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주하우징(102)과, 두 개 이상의 피스톤 램 하우징(104)과, (미도시된) 다른 웰헤드 구성품에 대한 연결을 위한 상부 볼팅 플랜지(106) 및 하부 볼팅 플랜지(108)를 포함하는 램형 BOP(100)가 도시된다. 램형 폭발 차단기(100)는 양호하게는 대체로 원통형인 관통 보어(110)가 유전관(112)이 드릴스트링 축(114)을 따라 방해받지 않고 관통하도록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유전관(112)은 통상 드릴스트링의 구성품이며, 드릴 파이프, 드릴 칼라, 측정 공구, 권취된 튜빙(tubing), 또는 와이어라인(wireline)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정상 상태 하에서, 유체가 관(112)의 외측 프로파일과 보어(110)의 내측 프로파일 사이에 형성된 환형부(116)를 통과하도록 관통 보어(110)는 개방되고, 방해되지 않는다. BOP 100 아래의 유체가 BOP 100 위의 웰보어와 더 이상 연통되지 않도록 아래의 웰보어가 차단되려고 할 때, 램 조립체(118)는 보어(110)과 관(112) 사이의 환형부(116)의 360°밀봉을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각각의 램 조립체(118)는 드러스트 로드(126)를 통한 유압 피스톤(124)에 연결된 선단 에지(122)를 갖는 밀봉 램(120)을 포함한다. 선단 에지(122)는 양호하게는 그 사이에 밀접한 밀봉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유전관(112)의 외측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형상 지어진다. 드러스트 로드(126)를 통해 밀봉 램(120)에 연결된, 유압 피스톤은 관(112)에 대해 선단 에지(122)를 결합시키고 환형부(116)를 밀봉하 도록, 외측 유압원(미도시됨)에 의해 작동된다. 각각 선단 에지(122)에 대해 대응하는 반원형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두 개의 램 조립체(118)가 있는 것이 통상적일 수 있지만, 램형 BOP 100는, 환형부(116)를 차단하고 밀봉하기 위한 선단 에지(122)를 위해 대응하는 원형부를 구비하면서 세 개 이상의 램 조립체(118)를 채용할 수 있다.

    환형부(116)를 차단하기 위해, 여압 유체가 램 하우징(104)의 저수조(130)와 연통하는 유압 포트(128)에 인가된다. 저수조(130)에서의 압력에서의 증가는 피스톤(124)의 배면(132)을 가압하고, 피스톤(124), 로드(126), 및 램(120)이 관(112)을 향해 밀리도록 한다. 저수조(130)와 연통되는 압력이 높을수록, 로드(126)를 통해 램(120)으로 전달되는 하중도 커진다. 램(120)을 환형부(116) 외부로 후퇴시키도록, 포트(128)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며, 피스톤(124)은 저수조(130) 내로 후퇴될 수 있다. 피스톤(124)의 후퇴는 후퇴 스프링(미도시됨), 유압 견인기의 사용을 통해,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수단을 통해 보조될 수 있다. 특히, 후퇴 포트(129)는 유압의 증가가 램(120)을 후퇴시키기 위해 피스톤(124)을 변위시키도록 후퇴 저수조(131)에 유압적 접근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램(120)은 연장되고 선단 에지(122)를 유전관(112)에 결합시키면서, 강한 유압 밀봉은 유체가 환형부(116)를 통해 웰보어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유압이 저수조(130)에 유지되는 한, 램(120)은 환형부(116)를 계속 밀봉할 것이다. 그러나, 램형 BOP 100의 작동적인 능력에도 불구하고 환형부의 밀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들이 있다. 예컨대, 리그사이트(rigsite)에서의 동력 공급 중단의 경우에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어가 연장된 시간 동안 폐쇄되는 경우라면, 그 기간에 걸쳐 유압을 유지하는 것이 항상 신뢰성이 있거나 현명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작동되는 경우라면 유압 램(120)을 정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구는 유전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유압 램(120)을 정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한 종전의 한 방법은 저수조(130) 내에 배치되면 정 위치에 로크 피스톤(124)을 기계적인 스크류로 조이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류들은 수동으로 또는 동력 장치를 통해서 조여지며, 램(120), 드러스트 로드(126), 피스톤(124)을 정위치에 효과적으로 로크할 것이다. 그러나, 접근성 우려는 이러한 해결책이 최적상태에 못 미치는 상태로 만든다. 특히, 심해 설치에서, 이러한 로킹 스크류는 원격 조정된 차량에 의해 또는 전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작동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수백 피트 또는 그 이상의 깊이에서 그들의 신뢰성은 의심된다. 또한, 땅에 기초를 둔 리그에서는, BOP 100은 통상 리그 플로어 아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로킹 스크류를 결합시키고 결합해제시키는 것은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고, 긴급한 경우에는 시간은 항상 사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드러스트 로드(126)를 정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해 유압 램을 로킹시키는 추가적인 해결책이 가능하다. 이전에, [예컨대,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합체된 로버트(Robert)의 미국 특허 제3,941,141호] 래칫 프로파일이 드러스트 로드(126)를 정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필적하는 로킹 부재와 결합된 드러스트 로드(126)의 외측 프로파일 상에서 사용되어왔다. 또한, 다양한 내부 나사 기구들[예컨대, 양자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합체된 엘리슨(Ellison)의 미국 특허 제4,052,995호, 올 슨(Olson)의 미국 특허 제4,076,208호]은 드러스트 로드(126)를 사용되는 정위치에 고정하고 그에 의해 드러스트 로드(126)는 나사결합되고 대응하는 잼 너트 장치는 드러스트 로드(126)를 정위치에 로킹시키도록 채용되어왔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웨징(wedging) 해결책[예컨대, 양자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합체된 애비(Abbe)의 미국 특허 제4,305,565호와, 윌리암스(Williams)의 미국 특허 제4,969,390호]이 드러스트 로드(126)를 정위치에 로킹시키도록 제안되어왔다. 전망이 있어보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해결책 각자는 이들이 드러스트 로드(126)을 정위치에 결합시키고 로킹시키기 전에 백래시라고 알려진 후방에서의 가벼운 미끄러짐 또는 "유격"의 양을 나타내는 점에서 최적에 못미친다고 다수에 의해 간주된다. 웰보어에 대한 고압 "킥"의 경우에, 드러스트 로드(126)에 연결된 램(120)에 있어서의 극소량의 변위도 웰보어 유체의 최악의 해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계에서 최소의 조작자 상호작용 및 로킹이 발생하기 전에 램의 최소의 백래시를 가지면서, 빠르고, 확실하고, 견고하게 램형 폭발 방지기를 결합 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한 오랜 요구가 있어 왔다.

    일 실시예에서, 폭발 방지기는 웰헤드 위에 위치되고 드릴스트링(drillstring)을 포위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과, 드릴스트링의 축에 수직하게 위치된 복수의 램들과, 각각의 램의 드러스트 로드 둘레에 위치되는 롤러 로크를 포함한다. 램은 드릴스트링과 결합하고, 램이 폐쇄된 위치일 때 하우징 위에 위치된 구성품으로부터 웰보어와 드릴스트링 사이의 환형부를 유압식으로 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 로크는 램을 폐쇄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폭발 차단기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로킹 장치는 폭발 차단기의 램에 연결된 드러스트 로드의 이동을 결합되어서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구형 로킹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로킹 장치는 구형 로킹 요소를 위한 복수의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리셉터클은 작동 램이 가압된 개방일 때, 구형 로킹 요소를 드러스트 로드와 압축 접촉하도록 밀어넣도록 구성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로킹 장치는 구형 로킹 요소를 리셉터클로 후퇴시키고 보유하기 위한 그리고 작동 램이 개방될 때 이들을 드러스트 로드와의 압축 접촉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해제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폭발 차단기의 램을 로킹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구형 로킹 요소를 램의 드러스트 로드에 인접하여 위치된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리셉터클은 램이 가압 개방될 때 구형 로킹 요소를 드러스트 로드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드러스트 로드를 구형 로킹 요소와 압축 결합시켜 로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램을 언로킹시키도록 해제 케이지로 구형 로킹 요소를 각각의 리셉터클 내로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1은 램형 폭발 차단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러스트 로드 리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러스트 로드 리테이너의 개략도이다.

    지금부터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러스트 로드 로크(250)의 개략적인 설명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드러스트 로드 로크(250)는 양호하게는 드러스트 로드(226)를 포위하는 고정 위치 내에서 피스톤 램 하우징(예컨대 도1의 104) 내에 위치된다. 드러스트 로드 로크(250)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방향(252)에서의 드러스트 로드(226)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언로킹 방향(254)에서의 드러스트 로드(226)의 변위는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드러스트 로드 로크(250)는 내부로 하나 이상의 롤러 리셉터클(258)이 형성되는 주요 본체(256)를 포함한다. 롤러 리셉터클(258)은 경사면(264)을 통해 얕은 섹션(262)까지 연장되는 깊은 섹션(260)을 포함하며 도시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롤러 리셉터클(258)은 드러스트 로드(226)의 로킹이 선택적으로 요구될 때 리셉터클(258)로부터의 그리고 리셉터클 내에 롤러(266)를 보유하고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롤러(266)가 깊은 섹션(260) 내에 위치될 때, 롤러와 드러스트 로드(226) 사이에는 대체로 접촉이 발생되지 않지만, 롤러(266)가 경사면(264)의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드러스트 로드(226)는 롤러(266)와 표면(264)에 의해 바인드(bind)로 점진적으로 잠금된다. 또한, 일단 그렇게 로킹되면, 언로킹 방향(254)에서의 드러스트 로드(226) 상의 하중에서의 추가적인 증가 는, 경사면(264)과 접하는 롤러(266)를 드러스트 로드(226)에 더 밀착하게 압축하도록 초래하는 경향이 있으며, 더 강한 로킹 위치를 얻게 된다. 로킹 방향(252)의 드러스트 로드(226)의 변위는 이 로드(226)가 로킹 방향(252)에서 이동하기에 자유롭도록 주요 본체(256)의 깊은 섹션(260)을 향해 롤러(266)가 경사면(264)을 굴러 올라가게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드러스트 로드 로크(250)의 리테이너 케이지(268)는 롤러(266)를 리셉터클(258) 내에 보유하며, 드러스트 로드(226)가 해제될 때 롤러(266)를 깊은 섹션(260)으로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 케이지(268)가 롤러의 드러스트 로드(226)와의 결합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롤러(266)를 변위시키도록 허용하도록, 리테이너 케이지(268)는 롤러(266)에 인접한 슬롯(미도시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266)가 구형인 경우에, 슬롯은 종방향 슬롯 또는 롤러(266)의 외측 프로파일에 일치되는 구형 섹션일 수 있다. 다르게는, 롤러(266)가 원통형인 경우에, 슬롯은 롤러(266)과 대략 동일한 너비인 횡방향 슬롯일 수 있다. 구성에 관계없이, 드러스트 로드(226)가 언로킹 방향(254)에서 변위될 때, 리테이너 케이지(268)는 롤러(266)를 경사면(264) 상부 및 깊은 섹션(260) 내로 그리고 드러스트 로드(226)의 외표면과의 결합으로부터 이격되게 후퇴시키도록 방향(270)에서 변위된다. 롤러(266)가 드러스트 로드(226)에 대향하는 방향(270)에서 그리고 드러스트 로드(226)로 편향되도록 리테이너 케이지(268)는 편향될 수 있다. 다르게는, 케이지(268)는 드러스트 로드(226)의 이동이 롤러(266)가 결합되도록 초래함에 있어 유일한 힘이 되도록 허용하면서 편향되지 않을 수 있다.

    공지된 리테이너 케이지를 변위시키거나 편향시키기 위한 유압관, 스프링, 및 장력 케이블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특히, 리테이너 케이지는 유압이 부착된 유압 액츄에이터에 인가될 때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압 장치가 드러스트 로드(226)를 언로킹 방향(254)으로 후퇴시키도록 채용되는 경우라면, 제어 시스템(미도시됨)은 이러한 유압을 리테이너 케이지 액츄에이터, 드러스트 로드 견인기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로 유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드러스트 로드 로크(250)를 해제시키기 위한 유압 시스템은 드러스트 로드(226)를 언로킹 방향(254)으로 변위시키도록 유압시스템과 다를 수 있다.

    또한, 경사면(264)이 공지된 임의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특히, 표면(264)은 단순한 평면일 수도 있고, 또는 구형 롤러(266)의 형상에 맞도록 프로파일될 수 있다. 또한, 롤러(266)가 일반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들이 구형 또는 원통형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러스트 로드(226)와 경사면(264) 사이의 접촉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양한 경도 및 마찰값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지금부터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러스트 로드 로크(350)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2의 드러스트 로드 로크(250)와 같이, 도3의 드러스트 로드 로크(350)는 양호하게는 드러스트 로드(326)를 포위하는 고정 위치 내의 피스톤 램 하우징(304) 내에 위치된다. 단일 드러스트 로드 로크(350)가 도시되지만, 복수의 로드 로크(350)가 드러스트 로드(326)를 반경 방향 및 축방향으로 포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드러스트 로드 로크(350)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방향(352)에서 드러스트 로크(326)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면서, 언로킹 방향(354)에서의 드러스트 로드(326)의 변위에 저항한다. 드러스트 로드 로크(350)는 내부로 두 개의 시리즈의 롤러 리셉터클(358a, 358b)이 형성되는 주요 본체(356)를 포함한다. 도2의 리셉터클(258)과 마찬가지로, 드러스트 로드(326)가 언로킹 방향(354)에서 변위될 때 내부 롤러 리셉터클(358a)은 롤러(366a)를 드러스트 로드(326)와의 결합으로 가압하도록 프로파일된다. 동시에, 주요 본체(356)가 언로킹 방향(354)에 배치될 때, 외측 롤러 리셉터클(358b)은 롤러(366b)를 외측 마모판(380)과의 결합으로 가압하도록 프로파일된다. 따라서, 드러스트 로드(326) 둘레의 그리고 드러스트 로드(326)에 따른 각각의 위치에 대해, 하나의 롤러(366a)는 드러스트 로드(326)와 맞물리며, 다른 롤러(366b)는 언로킹 방향(354)에서의 드러스트 로드(326)의 변위에 저항하도록 마모판(380)과 맞물린다. 이와 같이, 언로킹 방향(354)에서의 각각의 증가하는 변위에 대해, 도3의 드러스트 로드(326)는 단일 롤러 구성에서의 드러스트 로드에 의해 경험될 것과 같은(도2 참조) 반경 방향 압축의 두 배를 경험할 것이다.

    또한, 내측 및 외측 리테이너 케이지(368a, 368b)는 롤러(366a, 366b)를 리셉터클(358a, 358b) 내부에 보유하며, 드러스트 로드(326)의 후퇴가 바람직한 경우라면 로드 로크(350)가 해제되도록 허용한다. 도2의 리테이너 케이지(268)를 구비하는 것과 같이, 리테이너 케이지(368a, 368b)는 롤러(366a, 366b)가 슬롯 또는 다른 형태의 관통하는 개구(미도시됨)를 통해 드러스트 로드(326)와 마모판(380)에 접촉하도록 허용한다. 전과 같이, 리테이너 케이지(368a, 368b) 내의 이러한 개구는 롤러(366a, 366b)가 구형인 경우에는 종방향 슬롯 또는 구형 섹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롤러(366a, 366b)가 원통형인 경우라면 횡방향 슬롯일 수 있다. 주요 본체(356)와 리테이너 케이지(368a, 368b)와 결합되어 디폴드(default)에 의해 롤러(366a, 366b)를 드러스트 로드(326)과 마모판(380)과의 로킹 결합상태로 밀어넣게 하는 한 쌍의 편향 스프링(382, 384)이 도시된다. 내부 리테이너 케이지(368a)가 하우징(304)에 대해 고정됨에 따라, 경사면(364a)이 롤러(366a)를 드러스트 로드(326)와의 접촉상태로 가압하도록 화살표(352)의 방향에서, 스프링(382)은 주요 본체를 가압한다. 유사하게, 주요 본체(356)와 외측 리테이너 케이지(368b) 사이의 스프링(384)은 경사면(364b)이 롤러(366b)를 마모판(380)과의 접촉상태로 가압하도록 케이지(368b)와 롤러(366b)를 화살표(352)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롤러(366a, 366b)를 드러스트 로드(326) 및 마모판(380)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언로킹 기구(386)가 채용된다. 언로킹 기구(386)는 임의의 수의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양호하게는 롤러(366a, 366b)를 각각의 리셉터클(358a, 358b)로 후퇴시켜서 드러스트 로드(326)가 언로킹 방향(354)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3의 언로킹 기구(386)가 하우징(304)의 리세스(388) 내에 도시된다. 기구(386)를 포위하는 유압 밀봉(390)은 유압이 유압 포트(392)로 증가될 때, 드러스트 면(394)이 대응하는 외측 리테이너 케이지(368b)의 하중 견부(396)와 결합하도록 354의 방향에서 기구(386)가 변위되도록 보증한다. 포 트(392)에 대한 압력이 충분히 상승될 때, 스프링(384 및 382)은 드러스트 로드(326)가 후퇴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롤러(366a, 366b)가 리세스(358a, 358b) 내에 보유되도록 압축된다. 드러스트 로드(326)가 후퇴되는 경우라면, 포트(392)에 대한 압력은 해제될 수 있어서 드러스트 로드(326)는 필요한 임의의 제2 로킹 스텝없이 신속히 결합되고 정위치에 보유될 수 있다. 보통의 평행 상태에서, 로드 로크 조립체(350)는 임의의 보조적인 단계 없이, 심지어 유압력이 완전히 손실된 경우에조차도 드러스트 로드(326)의 결합해제에 저항한다.

    본 발명의 로드 로크 조립체(250 및 350)는 현재 입수가능한 로킹 기구에 대한 많은 장점을 나타낸다. 특히, 로드 로크 조립체(250, 350)는 드러스트 로드(226, 326)를 백래시(backlash)나 미끄러짐이 거의 없이 거의 즉각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 로크 조립체(250, 350)는 디폴트에 의해 로킹되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장치로서 개시된다. 드러스트 로드(226, 326)가 연장되는 경우라면, 이들을 정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해 어떠한 확인적인 단계도 필요하지 않다. 로드 로크 조립체(250, 350)는 자동적으로 결합되고, 드러스트 로드(226, 326)의 결합해제에 저항한다. 로드 로크(250, 350)를 결합시키기 위해 어떠한 외부적인 동력원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효율은 동력 공급중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반대로, 로드 로크(250, 350)를 결합해제시키기 위해서만 유압(또는 다른) 동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로드 로크(250, 350)가 드러스트 로드(226, 326)의 평활한 외부 프로파일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드러스트 로드(226, 326) 상에 어떠한 방해 형상부도 필요하지 않다. 이전의 해결책들은 드러스트 로드(226, 326)의 작동 및 결합을 방해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파일을 요구하였다.

    본 발명이 한정된 수의 실시예에 관해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의 잇점을 갖는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른 실시예들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오직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