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착기

申请号 KR1020080029727 申请日 2008-03-31 公开(公告)号 KR101000659B1 公开(公告)日 2010-12-10
申请人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发明人 크롤만,칼요하네스;
摘要 본 발명은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오거(4,auger); 상기 오거(4)를 둘러싸는 인케이싱 튜브(5); 굴착축(1)에 대한 회전방식에서 적어도 오거(4)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기(20); 상기 오거(4)로부터 굴착흙을 배출하며 상기 굴착흙용 배출관(11)을 구비하는 분출장치(10); 및 상기 오거(4)가 배출장치(10)와 같이 작동될 때 나란하게 구비되는 마스트요소(3)를 포함하되, 특히 상기 배출관(11)의 길이(L)를 변화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굴착기, 오거, 분출장치, 마스트요소, 굴착흙
权利要求
  • 오거(4,auger);
    상기 오거(4)를 둘러싸는 인케이싱 튜브(5);
    상기 오거(4)를 굴착축(1)에 대해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기(20);
    상기 오거(4)로부터 굴착흙을 배출하며 굴착흙용 배출관(11)과 수집장치(30)를 구비하는 분출장치(10); 및
    상기 오거(4)가 분출장치(10)와 함께 이동될 때 나란하게 구비되는 마스트요소(3); 를 포함하는 배출관(11)의 길이가 신축되는 굴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은 견인장치(35)과 체결되며, 상기 견인장치(35)에 의해 수집장치(30)를 축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은 배출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은 다단구조(telescopic)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은 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다수의 튜브요소(14)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요소는 배출관(11)을 신축시키도록 다단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은 적어도 하나의 호이스팅 케이블(18)과 상기 호이스팅 케이블(18)의 길이를 자유롭게 인출하기 위한 윈치장치(19)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 케이블(18)은 끝단에 구비된 튜브요소(1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튜브요소(14)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케이블(2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장치(30)는 배출관(11)에 굴착흙을 공급하며 분출슈트(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은 견인장치(35)에 의해 윈치장치(19)와 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40)가 오거(4) 및 분출장치(10)를 위한 이송구동기(41)의 위치에 따라 배출관(11)의 길이(L)를 설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
  • 제1항에 기재된 굴착기를 이용하여 지면에 굴착공을 굴착하기 위한 방법은,
    오거(4)는 회전구동기(20)에 의해 굴착축(1)에 대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지면에서 굴착축(1)의 방향으로 분출장치(10)와 같이 작동되고, 상기 배출관(11)은 굴착축(1)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공을 굴착하기 위한 방법.
  • 说明书全文

    굴착기{EARTH DRILLING DEVICE}

    본 발명은 제1항에 기재된 전제부에 따른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제1항에 기재된 굴착기는 오거(4,auger); 상기 오거(4)를 둘러싸는 인케이싱 튜브(5); 굴착축(1)에 대한 회전방식에서 적어도 오거(4)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기(20); 상기 오거(4)로부터 굴착흙을 배출하며 상기 굴착흙용 배출관(11)을 구비하는 분출장치(10); 및 상기 오거(4)가 배출장치(10)와 같이 작동될 때 나란하게 구비되는 마스트요소(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굴착기는 JP 60-238516 에 게시된다. 상기 알려진 굴삭장치에서 분출개구는 오거에 의해 운반되는 굴착흙이 발생하는 회전굴착구동기 하부의 인케이싱 튜브의 상부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분출개구로부터 굴착흙은 지면에 굴착튜브에 근접한 인케이싱 튜브를 따라 낙하된다. 상기 굴착흙의 분출은 회전구동기와 일정 레벨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회전구동기가 지면으로부터 먼 거리에 구비되어 있을 때 매우 높은 낙하 높이는 굴착 시점에에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낙하되는 굴착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안전대책이 필요 하다. 또한 회전구동기에 의해 일정 레벨에서 굴착흙의 제어되지 않은 분출이 건설현장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굴착기가 JP-257363 에 게시되어 있다. 굴착기에 있어서 신축성이 있는 배출백이 분출구에 구비되고 분출구는 굴착흙용 배출관을 형성하고 굴착흙이 낙하할 때 가이드로 동작한다. 이 때 방향성이 없이 분출된 주변의 굴착흙은, 사고의 위험이 감소되고 건설현장의 오염이 발생하기 않도록 방지되어야 한다.

    JP 06-257363 에 도시된 배출백은, 굴착툴이 완전히 철수했을 때 단지 지면에 닿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백은 직물의 비교적 큰 길이로 인해 바람부는 날에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날리고 장치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다 큰 굴착깊이에 대해 굴착흙이 습하거나 백에 달라붙는다면 백의 막힘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깨끗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굴착흙의 배출을 실현할 수 있는 굴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굴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착기는 배출관의 길이를 변화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분출된 굴착흙용 배출관이 길이 조절방법으로 제공되는데 그 요점이 있다. 실제 굴착깊이에 배출관의 길이를 적용하는 것, 즉 분출장치가 오거 및/또는 인케이싱 튜브와 같이 지면에 낮아질 때 하방으로의 굴착 동안에 배출관을 보다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비 철수 동안에 다시 배출관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로 배출관의 단부측 출력개구부가 지면상에 항상 구비되며 하방으로의 굴착 동안에 지면에 배출관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법적인 면에 있어서 배출관으로부터 굴착흙의 연속적인 제거는 굴착깊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배출관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관의 길이변화는 굴착축에 종축으로 배출관의 치수변화, 즉 종축의 마스트요소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영향감도는, 바람의 저항이 감소되도록 다단 구조로 단축되기 때문에 감소된다.

    기본적으로 배출관은 일측에서 개방되는 슬라이드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분출된 굴착흙의 신뢰할 만한 가이드를 위해 배출관은 배출튜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착흙의 완벽한 가이드가 제공되지만 원하지 않는 방향의 굴착흙은 다른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이드된다.

    상기 배출관의 길이변화는, 부가적인 요소가 결합되거나 배출관으로부터 분리될 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섬유재 호스와 같은 재료로 제작된 신축성 배출관을 사용할 때 배출관은 감거나 모아서 짧아질 수 있다. 그러나 배출관이 다단구조로 형성된다면 보다 큰 잇점이 있다. 배출관이 다단구조를 갖는다면 배출관의 길 이변화는 보다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관의 다단구조는, 배출관이 바람의 영향감도를 감소하는 정밀한 구조로 제작된다면 보다 특별한 잇점이 발생한다.

    배출관을 보다 짧아지도록 단축할 수 있는 다수의 튜브요소를 갖는 배출관은 또 다른 잇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다단기능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부방향으로 좁아지는 튜브요소는 또 다른 잇점이 있다. 상기 튜브요소는 동시에 다단기능이 이루어지면서 동일한 치수로 제공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서로 인접한 튜브요소끼리 다단구조의 단축은 튜브요소의 좁아지는 부분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굴착흙의 신뢰할 수 있는 가이드를 이루기 위해 좁아지는 부분은, 튜브요소의 직경이 회전구동기 또는 지면과 거리가 멀어지면서 좁아지는 방법으로 작동한다.

    좁아지는 부분이 형성된 튜브요소가 제공된다면 상기 튜브요소의 구조는 깔때기 구조라 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배출관은 깔때기 체인 구조라 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제작을 위하여 좁아지는 부분은 원뿔형 테이퍼링(conical taperings)이 적합하다. 튜브요소의 좁아지는 부분의 분리에 있어서, 다단기능을 갖는 배출관이, 다른 단면을 갖는 튜브요소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배출관의 길이를 변화하기 위한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호이스팅 케이블을 갖고, 호이스팅 케이블의 자유길이를 변화하기 위한 윈치장치를 갖는다. 그 결과로 배출관의 길이 조절은 간단하고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달성된다.

    또한 호이스팅 케이블 동작은, 바람의 영향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배출의 왜곡 및 편향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랙-앤- 피니언(rack-and-pinion)구조는 배출관의 길이를 변화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흡수력에 있어서 몇몇 호이스팅 케이블, 예를 들면 두 개의 호이스팅 케이블이 제공될 수 있고 윈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구조적인 면에 있어서, 특히 배출관의 길이를 변화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가, 호이스팅 케이블이 튜브요소 중의 하나에 고정된다는 점으로 주어진다. 먼저 호이스팅 케이블이 말단에 구비된 튜브요소에 고정되고, 특히 상기 튜브요소는 회전구동기 및/또는 지면에 가장 가까운 면으로부터 떨어져 구비된다. 이 경우에 배출관은 전체길이를 따라 단축되고 이 때 배출관의 단부에 구비된 튜브요소가 단축된다. 즉 지면에 근접하게 구비된 낮은 위치의 튜브요소는 단축되고 점차적으로 튜브요소들이 상술한 튜브요소들과 같이 단축된다. 배출관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남아있는 튜브요소는 종축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호이스팅 케이블에서 각각 가이드되는 잇점이 있다. 결국 튜브요소에 있어서 가이드 개구부를 갖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가이드 개구부는, 튜브요소가 호이스팅 케이블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 경우 호이스팅 케이블은 튜브요소를 유지하고 남아있는 튜브요소를 측면적으로 안정화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설비는 튜브요소 상의 가이드를 통하여 구동되는 호이스팅 케이블을 위해 제작되고 상기 가이드 하부에서 호이스팅 케이블은 케이블 레스트(cable rest) 형태로 각각의 결합편을 갖는다. 각각의 튜브요소들 사이에서 거리는 호이스팅 케이블의 자유거리의 감소에 따라 짧아지고 각각의 튜브요소는 서로 슬라이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착기의 신뢰성에 관하여 본 발명은 인접한 튜브요소의 연장 동안에 이동을 한정하도록 구비되는 수단에 그 잇점이 있다. 상기 잇점을 달성하기 위해 정지요소는 서로에 관하여 각각의 튜브요소의 축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한정하는 튜브요소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브요소의 상부측에 방사상의 돌기 정지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최대 연장이동에 도달했을 때 돌기 정지요소는 상부에 구비된 튜브요소의 돌기 정지요소 방사상 내측에 대하여 남겨진다. 그러나 인접한 튜브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유지케이블은 인접한 튜브요소의 상부 단부 또는 마주하는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인접한 튜브요소에 있어서 세 개의 각 유지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튜브요소의 주변을 따라 등거리로 분배된다. 유지케이블 또는 정지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 의해 인접한 튜브요소의 축 움직임 제한에 의하면, 인접한 튜브요소 사이에 방출관의 연장 동안에 일어나는 굴착흙이 흘러나올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출장치는 오거를 둘러싸는 수집장치를 갖는 것이 유용하다. 특히 실린더형태를 갖는 수집장치는 오거로부터 굴착흙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배출관에 굴착흙을 운반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수집장치는 인케이싱 튜브의 상부 단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단부 및/또는 회전구동기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착흙을 배출관에 공급하기 위한 수집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분출슈트에 있어서의 잇점이 있다. 상기 분출슈트는 수집장치로부터 배출관에 신뢰성 있는 굴착흙의 운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중력을 이용하기 위해 분출슈트는 수집장치로부터 거리를 두고 하방으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착흙이 배출관으로 간단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분출슈트는 최상부 배출관의 튜브요소에 구비된다.

    상기 인케이싱 튜브 및 오거는 수집장치에 회전방법으로 제공된다. 오거로부터 수집장치까지 굴착흙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수집장치와 일정 레벨에서 인케이싱 튜브에 구비된다. 상기 수집장치는 폐쇄장치를 가질수 있고 수집장치로부터 분출슈트 및/또는 배출관까지 상기 폐쇄장치에 의해 굴착흙의 통로가 선택적으로 블록될 수 있다.

    상기 오거 및 인케이싱 튜브를 갖는 굴착스트링이 큰 구경의 굴착공을 굴착할 때, 상기 수집장치는, 최소길이로 단축된 배출관이 지면에 남겨지고 굴착흙의 제어된 분출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도록, 지면에 구비된다.

    견인장치는 배출관이 이동될 수 있는 것에 의해 굴착축 방향의 회전구동기 및/또는 분출장치와 연결되는 윈치장치와 함께 제공된다.

    상기 견인장치는, 굴착스트링이 큰 구경의 굴착공을 굴착할 때 배출관을 견인하도록 구성되며 배출관의 지면 접촉을 방지한다. 상기 굴착스트링이 큰 구경의 굴착공을 굴착한다면, 설비는, 굴착흙의 낙하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굴착흙이 배출관을 통해 더 이상 분출되지 않고 수집장치로부터 직접 분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위해 배출관은 상부 방향 및/또는 방사선 방향 및/또는 환상형 방향으로 견인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수집장치로의 굴착흙은 배출관으로 더 이상 통과되지 않는다.

    상기 견인장치는 크레인장치를 구비하고 배출관은 견인 및/또는 윈치장치로 피벗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장치는 수집장치 특히 회전구동기 하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오거 및/또는 분출장치용 이송구동기의 위치에 따라 배출관의 길이를 설정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배출관의 길이, 즉 굴착방향에서 배출관의 치수는 굴착 스트링의 이송, 즉, 지면 위의 수집장치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어, 지면 위의 수집장치의 위치에 있어서 배출관의 지면 접촉은 자동으로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배출관은 굴착방향, 즉 마스트요소에 종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구동기는 두 개의 헤드 회전구동기이고 오거 및 인케이싱 튜브가 회전되게 설정되고 또한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회전구동기는 두 개의 분리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집장치는 인케이싱 튜브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부 구동유닛 하부에 적절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굴착기에 의해 지면에 굴착공을 굴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거가 회전구동기에 의해 굴착축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면에서 굴착축의 방향으로 분출장치와 같이 작동되며 배출관의 길이가 굴착축의 방향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착축의 이용에 의해 잇점들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굴착기에 의하면 실제 굴착깊이에 배출관의 길이를 적용하는 것, 즉 분출장치가 오거 및/또는 인케이싱 튜브와 같이 지면에 낮아질 때 하방으로의 굴착 동안에 배출관을 보다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비 철수 동안에 다시 배출관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출관의 단부측 출력개구부가 지면상에 항상 구비되며 하방으로의 굴착 동안에 지면에 배출관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법적인 면에 있어서 배출관으로부터 굴착흙의 연속적인 제거는 굴착깊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관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관의 길이변화는 굴착축에 종축으로 배출관의 치수변화, 즉 종축의 마스트요소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단구조로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이 감소되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착기는, 종축으로 연장한 마스트요소(3)가 구비된 부분에 무한타입으로 형성된 구동기어(2)를 갖는다. 상기 마스트요소(3)에서 회전구동기(20)는 종축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동기(20)는 두 개의 헤드 회전구동기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 회전구동기는 회전방법으로 오거(4)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유닛(24)과 회전방법으로 인케이싱 튜브(5)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인케이싱 튜브(5)는 오거(4)를 둘러싸는 구조이다. 상기 오거(4) 및 인케이싱 튜브(5)의 회전은 각각 굴착축(1)에 대하여 일어난다.

    상기 마스트요소(3)에서 이송구동기(41)는 윈치구동기가 제공되는 것으로 형성되며 회전구동기(20)와 케이블견인구조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이송구동기(41)의 동작을 통해, 회전구동기(20)는 마스트요소(3)의 종축방향으로 회전구동기에 구비된 오거(4)와 인케이싱 튜브(5)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굴착축(1)의 방향에서 오거(4) 및 인케이싱 튜브(5)는 지면으로 관통할 수 있다. 지면의 관통 동안에 흙은 오거(4)에 의해 스트립(stripped)되고 상부방향에서 회전구동기(20)를 향해 인케이싱 튜브(5) 내측의 오거(4)로부터 운반된다. 상기 오거(4)로부터 스트립된 흙을 배출하기 위해 분출장치(10)가 구비된다.

    상기 분출장치(10)는 수집장치(3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수집장치(30)는 회전구동기(20)의 제2 구동유닛(25)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수집장치(30)는 인케이싱 튜브(5) 및 오거(4)를 에워싸는 구조이다. 상기 수집장치는 굴착축(1)의 방향에서 인케이싱 튜브(5) 내측 상부방향으로 오거(4)로부터 굴착작 업 동안에 운반되는 굴착흙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집장치(30)에서 굴착흙은 오거(4)로부터 수집장치(30)로 인케이싱 튜브(5) 내의 개구부를 통해 전달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슈트(33)가 지면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수집장치(30)에 구비되며 굴착흙은 중력으로 인해 수집장치(30)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31)이 유압실린더로 형성된 구동기(32)에 의해 동작되는 분출슈트(33)에 구비된다. 상기 플랩(31)에 의해 상기 수집장치(30)는 닫혀지고 분출슈트(33)를 통한 굴착흙의 운반이 플랩(31)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굴착흙용 분출장치(10)는 배출관(11)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관(11)은 굴착축(1)의 방향에서 마스트요소(3)에 종축으로 연장하고 다수의 튜브요소(14,14'14" 내지 14 n ) 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모든 튜브요소(14,14'14" 내지 14 n ) 는 동일한 치수를 갖고 지면(8) 방향으로 좁아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뿔형 튜브요소(14,14'14" 내지 14 n )는 서로 다단계구조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배출관(11)의 길이(L)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각각의 튜브요소(14 x , 14 x+1 )는, 상기 튜브요소의 주변에 등거리로 구비되는 세 개의 유지케이블(22,22',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유지케이블(22,22',22")은, 상기 유지케이블 상부의 튜브요소(14 x , 14 x+1 )에 고정된다. 상기 유지케이블(22,22',22")은, 상기 튜브요소(14 x , 14 x+1 )가 서로 이동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결정하며 따라서 배출관(11)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굴착흙이 빠져나올 수 있는 상기 튜브요소(14 x , 14 x+1 ) 사이의 공간발생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장치(10)는 배출관(11)의 길이조절을 위한 호이스팅 케이블(18)을 갖는다. 상기 분출장치(10)의 일측단에서 호이스팅케이블(18)은 최저부 튜브요소(14)에 유지장치(17)에 의해 고정되게 연결되며, 상기 최저부 튜브요소(14)는 수집장치(3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튜브요소이다. 상기 최저부 튜브요소로부터 상기 호이스팅 케이블(18)은 상부 방향의 굴착축(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최저부 튜브요소 상부에 구비된 상기 튜브요소(14' 내지 14 n )는 도3에 도시된 가이드홈의 호이스팅 케이블(18)를 통해 구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튜브요소(14' 내지 14 n )는 호이스팅 케이블(18)에 의해 측면적으로 안정화된다.

    상기 호이스팅 케이블(18)의 작동에 있어서, 윈치장치(19)가 제공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장치(19)는 호이스팅 케이블(18)용 제1 윈치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위치(59')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윈치(59')와 함께 호이스팅 케이블(18)에 마주하는 제 2 호이스팅 케이블이 동작된다. 상기 제2 호이스팅 케이블의 동작과 고정은 제1 호이스팅 케이블과 유사하다. 상기 두 호이스팅 케이블은 체인으로 튜브요소(14,14',14" 내지 14 n )를 관통한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윈치(59,59')가 지지장치(53)의 크로스바(52)에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장치(53)에서 최상부 튜브요소(14 n )가 고정된다.

    상기 윈치장치(19)는 배출관(11)의 선택적인 길이변화를 허용한다. 만약 윈치장치(19)에 의해 제1 호이스팅 케이블(18)과 제2 호이스팅 케이블이 감기면, 호이스팅 케이블은 최저부 튜브요소(14)를 호이스팅한다. 상기 최저부 튜브요소(14)의 호이스팅에서 상기 최저부 튜브요소(14)는, 배출관(11)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단축될 때 까지, 다른 튜브요소(14',14" ) 등과 같이 성공적으로 호이스팅된다.

    상기 윈치장치(19)의 자동 동작에 있어서 제어부(40)가 제공되며 이송구동기(41), 오거(4) 및 인케이싱 튜브(5)의 위치에 따라 배출관(11)의 길이(L)를 설정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도3 및 도4를 살펴보면 분출장치(10)는 크레인으로 형성된 견인장치(35)를 갖는다. 상기 견인장치(35)는 회전구동기(20) 및 수집장치(30) 사이에 위치된 프레임(26)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26)은 수집장치(30)와 같이 회전되고 축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연결되고 오거(4) 및 인케이싱 튜브(5)를 통해 구동된다. 기본적으로 견인장치(35)는 하부 구동유닛(25) 및/또는 수집장치(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견인장치(35)는 두 개의 레버요소(64,65)를 갖고 상기 레버요소는 연접구조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레버요소(64)는 프레임에 구비된다. 상기 제2 레버요소(65)에서 배출관(11)은 지지장치(53)의 크로스바(52)를 통해 현수형 구조 가 된다. 상기 견인장치(35)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구동기(66)를 갖으며 제2 레버요소(65)는 제1 레버요소(64)에 대해 피벗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하여 견인장치(35)에 현수된 배출관(11)의 위치는 굴착축(1) 및 방사상의 방향으로 수집장치(30)에 대해 변화될 수 있다. 특히 견인장치(35)는 도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4에 도시된 분출슈트(33) 이하까지 배출관(11)의 이동을 허용하며 배출관(11)은 분출슈트(33)에 대해 견인되고 방사상으로 동작될 수 있고, 굴착흙은 분출슈트(33)로부터 지면에 직접적으로 낙하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굴착기에 의하면 상기 굴착기는 이하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굴착작업의 초반에 본 발명에 의한 오거(4) 및 인케이싱 튜브(5)는 지면 상부에 구비되고 배출관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하게 연장된다. 이 때 이송구동기(41)는 지면(8)으로 굴착되는 오거(4) 및 인케이싱 튜브(5)가 동작되어 구동된다. 이 결과로 굴착흙은 상부방향의 인케이싱 튜브(5) 내측의 오거(4)에 의해 운반되어 수집장치(30)로 전달된다. 상기 수집장치(30)로부터 굴착흙은 배출관(11)으로 분출슈트(33)를 통해 통과되고 지면으로 낙하된다.

    지면으로 인케이싱 튜브(5)와 같이 오거(4)가 도입될 때, 상기 인케이싱 튜브(5) 상부측에 고정되는 수집장치(30) 및 배출관(11)은 낮은 위치가 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이 낮아지는 동안 상기 배출관(11)이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40)는 굴착깊이를 증가시켜서 배출관(11)의 길이(L)를 감소시킨다. 결국 제어부(40)는 윈치장치(19)를 동작하고 굴착시작시 최저부 튜브요소를 순차적으로 호이스팅 케이블(18)에 의해 튜브요소(14,14',14" 내지 14 n )를 호이스트될 수 있게 한다.

    굴착깊이를 증가시킬 때, 단일 튜브요소(14,14',14" 내지 14 n )는 보다 단축되고 경우에 따라 배출관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길이를 갖는다.

    연속적으로 하방으로 굴착되는 동안에 배출관이 지면(8)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11)은 견인장치(35)에 의해 견인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슈트(33)로부터 이동된다. 상기 굴착흙은 지면에 직접적으로 분출장치(33)로부터 운반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출관을 갖는 굴착기의 측면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장된 배출관을 갖는 Y 방향에서의 도1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확대된 배출관을 갖는 Y 방향에서의 도1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단축된 배출관을 갖는 Y 방향에서 도1를 보다 구체적을 도시한 것으로 견인장치에 의해 수집장치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주요구성요소의 도면부호]

    1 ... 굴착축 2... 구동기어

    3 ... 마스트요소 4 ... 오거

    5 ... 인케이싱 튜브 8 ... 지면

    10 ... 분출장치 22 ... 유지케이블

    14 ... 튜브요소 18 ... 호이스팅 케이블

    20 ... 회전구동기 25 ... 제2 구동유닛

    30 ... 수집장치 31 ... 플랩

    33 ... 분출슈트 35 ... 견인장치

    41 ... 이송구동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