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장비용 마스트

申请号 KR1020110131242 申请日 2011-12-08 公开(公告)号 KR1020130064565A 公开(公告)日 2013-06-18
申请人 주식회사 에버다임; 发明人 황운규; 박종호;
摘要 PURPOSE: A mast for a boring device is provided to easily arrange a structure in inner space of a mast body and to improve rigidity by covering an opening unit of the mast body with a reinforcement plate in needs. CONSTITUTION: A mast(100) for a boring device comprises a mast body(110), a first bead(120), and a reinforcement plate(140). The mast body includes space capable of installing a structure inside and is formed as a U shape including an opening unit in the upper end. The first bead is individually and separately arranged in upper right and left ends of the mast body and is supported by being wrapped by a cradle(150). The reinforcement plate reinforces the mast body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mast body.
权利要求
  • 내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U자 형상의 마스트 본체;
    상기 마스트 본체의 상측 좌우단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형성된 한 쌍의 제1 비즈들; 및
    상기 마스트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장착된 보강판;
    을 포함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
  • 내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하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H자 형상의 마스트 본체;
    상기 마스트 본체의 상측 좌우단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1 비즈들; 및
    상기 마스트 본체의 상하측 개구부에 각각 장착된 보강판들;
    을 포함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본체의 하측 좌우단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비즈들과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 비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비즈들은 외측의 상하부에 경사가 있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비즈들과 내면 형상이 일치되어 조립 가능한 크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비즈들의 각 외측면에는 교환가능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본체와 제1,2 비즈들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
  • 说明书全文

    천공장비용 마스트{Mast for Rock drilling Equipment}

    본 발명은 천공장비의 말단에서 락드릴 및 호스릴 등의 구조물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천공장비용 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공장비는 채석장에서의 암석 채취, 암반지대에서의 도로개설이나 터널 구축, 건조물을 건축할 때 암반을 깨뜨리거나 발파공을 천공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 같은 천공장비는 암반에서 큰 덩어리의 원석을 채취할 때 레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직선 이동시켜 발파용 또는 파암용 구멍을 뚫게 되며, 천공장비용 마스트는 천공장비의 말단에서 락드릴 및 호스릴 등의 구조물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천공장비용 마스트(1)는 강재를 용접하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작업 능률이 떨어지며, 가공성이 낮다. 또한, 작업 시 락드릴이 상하 반복 이송되어 마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락드릴의 위치를 심(2)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조정 해야 하나 상하 유격만 조절 가능하고 좌우의 유격은 구조적으로 조절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04682899(1987.07.28 등록)

    본 발명의 과제는 마스트 본체가 U자 또는 H자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어 내부 공간에 구조물 배치가 용이하고, 강도 높은 작업을 필요로 할 시에는 개구부를 보강판으로 덮어줌으로써 강도 높은 천공장비용 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는, 내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U자 또는 상하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H자 형상의 마스트 본체; 상기 마스트 본체의 상측 좌우단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형성된 한 쌍의 제1 비즈들; 및 상기 마스트 본체의 상측 또는 상하측 개구부에 장착된 보강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트 본체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돼 구조물 배치가 용이하며, 소정의 형상으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낮아진다. 또한, 마스트 소재를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고, 경사를 가지는 제 1,2 비즈들을 이용하여 크레들이 닿는 접촉면적을 넓혀, 천공장비용 마스트에 작용하는 응력과 변형수준을 낮출 수 있다. 이로 인한 마스트의 수명을 늘릴 수 있으며, 잦은 이동으로 인해 제1,2 비즈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이동 중심선의 유지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강도 높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개구부에 보강판을 장착함으로써 추가 보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가 천공장비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천공장비용 마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보강판의 다른 장착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에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가 천공장비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에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비용 마스트(100)는 천공장비의 말단에서 락드릴(10) 및 호스릴(20) 등의 구조물을 장착하고, 상하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천공장비용 마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비용 마스트(100)는 마스트 본체(110)와, 제1 비즈(120)와, 보강판(140)을 포함한다.

    마스트 본체(110)는 내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트 본체(110)는 상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구부를 통해 내부 공간에 구조물 배치가 용이할 수 있다.

    제1 비즈(120)는 상기 마스트 본체(110)의 상측 좌우단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크레들(150)에 의해 감싸져 지지되도록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제2 비즈(130)들은 제1 비즈(120)들과 상하로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들(150)의 잦은 이동으로 인해 제1 비즈(120)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이동 중심선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크레들(150)은 락드릴(10)이 상하 반복 이송될 때 천공장비용 마스트(100)에서 중심을 잃고 기울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크레들(150)은 제1,2 비즈(120,130)와 내면 형상이 일치되어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강판(140)은 마스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판재로, 필요 시에는 개구부가 있는 마스트 본체(110)의 상부를 덮어 보강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천공장비용 마스트(10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판(140)은 편평한 판 형상으로 개구부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볼트와 나사를 포함한 체결수단에 의해 마스트 본체(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는 마스트 본체의 상측 좌우단에 경사를 가지는 제1 비즈가 각각 형성 됨으로써, 제1 비즈들과 크레들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천공장비용 마스트의 응력과 변형수준이 낮아지기 때문에 제품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마스트 본체의 하측 좌우단에 제1 비즈들과 대칭을 이루도록 제2 비즈들을 형성할 수 있어, 잦은 이동으로 인해 제1,2 비즈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이동 중심선의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제2 비즈(130)는 상기 마스트 본체(110)의 하측 좌우단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비즈(120)와 대칭을 이루도록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제2 비즈(130)는 마스트 본체(110)에 장착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는 천공장비용 마스트(100) 사용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제1,2 비즈(120,130)는 상하부에 경사가 있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크레들(150)과 조립이 원활하다. 또한, 크레들(150)과 조립 시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천공장비용 마스트(100)의 응력과 변형수준을 낮춰 제품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잦은 이동으로 인해 제1,2 비즈(120,130)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경사를 가지는 대칭형 구조로 인하여 이동 중심선 유지가 가능하다.

    제1,2 비즈(120,130)의 외측면에 가이드 플레이트(160)가 교환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60)는 제1,2 비즈(120,130)가 크레들(150)과 조립되는 면의 마모를 막기 위한 것이다.

    마스트 본체(110)와 제1,2 비즈(120,130)는 압출 성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압출 성형이란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금형(金型)에서 밀어내어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로 변환하는 성형법이다. 압출 성형을 하면 하나의 기계로 여러 가지 공정과 여러 형태의 제품을 만들 수 있으므로 노동력, 공장면적을 감축할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의 증대로 비용절감과 연속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함으로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마스트 본체(110)와 제1,2 비즈(120,130)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은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이 좋기 때문에 천공장비용 마스트(100)의 무게를 줄여 천공장비 조작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강도 높은 천공장비용 마스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 성형 시 용접이나 리벳 접합 등의 후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보강판의 다른 장착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판(140)은 좌우 가장자리 부위가 개구부 안쪽으로 굽어져 개구부의 좌우 내벽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강판(140)은 개구부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볼트와 나사를 포함한 체결수단에 의해 마스트 본체(110)에 체결될 수 있다.

    보강판(140)은 락드릴(10) 및 호스릴(20)과 같은 구조물들의 간섭 영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스트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에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비용 마스트(200)의 마스트 본체(210)는 내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 본체(210)의 상측 좌우단에 제1 비즈(120)들이 크레들(150)에 의해 감싸져 지지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마스트 본체(210)의 하측 좌우단에 제2 비즈(130)가 제1 비즈(120)들과 대칭을 이루도록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판(140)은 개구부의 상하부를 덮은 상태에서 볼트와 나사를 포함한 체결수단에 의해 마스트 본체(2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1,2 비즈(120,130)의 외측면에 가이드 플레이트(160)가 교환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심 10.. 락드릴
    20.. 호스릴 110.. 마스트 본체
    120.. 제1 비즈 130.. 제2 비즈
    140.. 보강판 150.. 크레들
    160.. 가이드 플레이트 210.. 마스트 본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