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

申请号 KR1020090119355 申请日 2009-12-03 公开(公告)号 KR1020110062586A 公开(公告)日 2011-06-10
申请人 송훈; 发明人 송훈; 김대수; 유제승;
摘要 PURPOSE: A noise prevention device for a boring machine is provided to cut off noise caused by drill work effectively and to prevent the scatter of dust at drill work. CONSTITUTION: A noise prevention device(100) for a boring machine comprises: a cover unit(110) covering a leader and a driving rod to cut off noise caused by drill work and including a frame, a soundproof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a sound absorb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oundproofing material, and a filler placed on the inside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dust suction unit installed to the bottom of the cover unit to inhale and remove dust caused by drill work and including a suction frame(121)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unit and a suction pipe(123) extended from the suction frame.
权利要求
  • 천공기를 감싸는 것으로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재와 흡음재를 포함하는 커버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천공작업중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 및 제거하는 분진흡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소음차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폐도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소음차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호 적층되는 다수개의 단위적층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적층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제1 걸림턱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하부에 적층되는 단위적층부재의 제1 걸림턱에 걸리는 제2 걸림턱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단위적층부재들이 상호 포개질 때, 상부에 적층된 단위적층부재의 제2 걸림턱에 걸리는 제3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소음차단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적층부재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버유닛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이 최상단의 단위적층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분진흡입부의 흡입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로드와,
    상기 흡입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최상단의 단위적층부재에 설치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에 걸려 회전하는 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최하단의 단위적층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
  •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음재와, 상기 방음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의 내주면에 도포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
  • 说明书全文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 {Noise reducing apparatus for carane piercing machine}

    본 발명은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기를 이용한 천공 작업중 발생하는 소음과 먼지의 비산을 차단할 수 있는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천공기는 지중 또는 암벽등을 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천공기는 천공의 목적, 천공홀의 깊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공통적으로 작업 중 소음이 매우 심하고, 오염물이 주변으로 비산하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천공작업장 근처에서는 작업자 또는 인근 거주자들이 소음과 비산되는 먼지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공사현장 주변을 보호막(보호천)으로 치고 작업을 실시하거나 물을 살수하면서 작업을 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 즉, 보호막을 치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흙먼지가 인근지역으로 비산 되는 것을 막지 못하였고, 후자의 경우 즉, 물을 살수하면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공사현장이 너무 지저분해지고, 또 별도의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이유로 물을 계속적으로 뿌리는 번거로움과 물 낭비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천공기를 이용한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공 작업중 발생하는 먼지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진기능을 갖는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는 천공기를 감싸는 것으로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재와 흡음재를 포함하는 커버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천공작업중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 및 제거하는 분진흡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유닛은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폐도어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호 적층되는 다수개의 단위적층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적층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제1 걸림턱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하부에 적층되는 단위적층부재의 제1 걸림턱에 걸리는 제2 걸림턱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단위적층부재들이 상호 포개질 때, 상부에 적층된 단위적층부재의 제2 걸림턱에 걸리는 제3 걸림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적층부재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버유닛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이 최상단의 단위적층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분진흡입부의 흡입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로드와, 상기 흡입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최상단의 단위적층부재에 설치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에 걸려 회전하는 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최하단의 단위적층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음재와, 상기 방음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의 내주면에 도포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는 천공 작업중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여 작업장 인근의 소음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는 작업중 발생하는 먼지를 집진 및 제거함으로써 먼지에 의한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100)의 제1 실시예 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100)는 천공기(10)의 구동로드(20)와, 구동기(3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천공 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붐대에는 리더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더에 구동로드(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30)가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기(30)에 구동로드(2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로드(20)의 하단에는 지반을 천공하기 위한 비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100)는 상기 리더와 구동로드(20)를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비트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과 먼지를 차단한다.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100)는 리더와 구동로드(20)를 감싸는 커버유닛(110)과, 이 커버유닛(110)의 하단에 마련된 분진흡입부(120)를 포함한다.

    커버유닛(110)은 사각의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폐도어(111)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 개폐도어(111)를 통해 구동로드(20)의 장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커버유닛(110)은 프레임(112)과, 이 프레임(112)의 내측에 장착되는 방음재(113)와, 방음재(113)의 내측에 장착되는 흡음재(114) 및 흡음재(114)의 내측에 도포되는 충진재(115)를 포함한다.

    프레임(112)은 철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유닛(110)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한다.

    방음재(113)와 흡음재(114)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흡음하기 위한 것인데, 발포수지나 스폰지, 발포알루미늄과 같이 소리의 전달이 어려운 발포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115)는 흡음재(114)의 내주면에 도포된다. 이렇게 방음재(113)와 흡음재(114) 및 충진재(115)가 3중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방음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분진흡입부(120)는 커버유닛(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지면과 인접하게 되며, 커버유닛(11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프레임(121)과, 흡입프레임(121)으로부터 연장되는 흡입관(123)을 포함한다.

    흡입프레임(121)은 일측에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공(122)이 형성되어있고, 이 흡입공(122)과 연통되도록 흡입프레임(121)으로부터 흡입관(123)이 연장되어 있다.

    분진흡입부(12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흡입관(123)이 벤츄리관(124)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벤츄리관(124)은 압축기(125)에 의해 고압의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관(126)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있어서, 벤츄리관(124)을 통과하는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차 때문에 흡입관(123)의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가 이동관(126)으로 유입된다.

    이동관(126)에는 분진분리기(127)가 결합되어 있는데, 분진분리기(127)는 싸이클론 집진기가 적용되었으며, 분진분리기(127)에 유입된 공기는 분진분리기(127)에서 공기와 분진으로 분리되어 분진은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천공기 소음방지장치(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천공기 소음방지장치(200)는 복수개의 단위적층부재(211)를 포함하는 커버유닛(210)과, 이 커버유닛(2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220)와, 커버유닛(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진분리기(127)를 포함한다.

    커버유닛(210)은 상술한 것처럼 상호 적층되는 단위적층부재(211)를 포함한다.

    단위적층부재(2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본체(212)와, 본체(212)의 상단에 내측을 향해 절곡된 제1 걸림턱(213)과, 하단에 마련된 제2, 제3 걸림턱(214,215)을 포함한다.

    단위적층부재(211)는 내경이 상부에 체결되는 단위적층부재(211)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하부의 단위적층부재(211)가 상부의 단위적층부재(211)를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걸림턱(213)은 상측의 단위적층부재(211)의 제2 걸림턱(214)에 걸림으로써 단위적층부재(211)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길이조절부(220)재에 의해 단위적층부재(211)들이 상호 포개지도록 슬라이딩될 때, 제3 걸림턱(215)이 상부 단위적층부재(211)의 하단에 걸려 단위적층부재(211)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구간을 한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적층부재(211)가 네 개가 적용되었으나, 리드(40)의 길 이나 크기에 따라 단위적층부재(211)의 설치 갯수와 크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220)는 단위적층부재(211)들을 상호 포개지게 이동시키거나 리드(40)와 구동로드(20)를 감싸도록 연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진분리기(127)의 흡입프레임(121)에 설치된 구동모터(221)와, 커버유닛(210)의 최상단 단위적층부재(211)에 설치된 가이드롤러(222)와, 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223)와, 구동롤러(223)와 가이드롤러(222)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와이어(224)와, 커버유닛(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와이어(224)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226) 및 가이드로드(226)와 와이어(224)를 연결하는 커넥팅부재(22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221)는 흡입프레임(121)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에 구동롤러(223)가 설치되어 있어서, 구동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224)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가이드로드(226)는 일단이 최 상측의 단위적층부재(211)에 고정되고 타단이 흡입프레임(121)에 고정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커넥팅부재(225)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흡입프레임(121)을 커버유닛(210)과 연결한다.

    상기 커넥팅부재(225)는 일측이 상기 와이어(224)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최 하측의 단위적층부재(211)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로드(226)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로드(226)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21)를 구동시켜 와이에 고정된 커넥팅부재(225)를 구동롤 러(223)측으로 이송시키면 커넥팅부재(225)가 가이드로드(226)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커넥팅부재(225)에 연결되어 있는 최 하단의 단위적층부재(211)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3 걸림턱(215)이 상측의 단위 적층부재의 제2 걸림턱(214)에 걸리게 되므로 단위적층부재(211)가 하단에서부터 차례로 상방으로 포개져 올라가게 된다.

    반대로 구동모터(221)에 의해 와이어(224)에 설치된 커넥팅부재(225)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최 하단의 단위적층부재(211)가 하강하면서 제1 걸림턱(213)이 상측 단위적층부재(211)의 제2 걸림턱(214)에 걸리면서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하강시키게 되면서 단위적층부재(211)에 의해 리드(40)와 구동로드(20) 및 비트를 감싸게 된다.

    본 실시예의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200)는 단위적층부재(211)들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하면서 구동로드(20)를 감싸거나 개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중에는 방음을 위해 단위적층부재(211)들을 하강시키고, 구동로드(20)의 교환시에는 단위적층부재(211)들을 상방으로 승강시켜 상기 구동로드(20)와 리드(40)를 노출시킨다.

    도 6에는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300)는 커버유닛(240)의 단위적층부재(241)가 일측이 개방된 상태이다.

    천공기의 리드(40)가 붐대에 의해 구동차량에 연결될 때, 이 붐대가 단위적층부재(241)들의 승하강시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붐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단위적층부재(241)가 리드(40)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단위적층부재(241)는 리드(4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되, 밀착결합될 수 있는 신축성이 있고, 마찰력이 비교적 작은 소재로 형성된 접촉부(2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단위적층부재(241)들도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길이조절부(22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호 포개짐으로 구동로드(20)와 리더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거나 구동로드(20)와 비트를 감싸도록 하여 소음을 차단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300)는 단위적층부재(241)의 형태만 상이할 뿐 구동원리와 기본적인 구성이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제2, 제3 실시예의 분진흡입부(120)도 제1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원리가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단위 적층부재가 하강한 상태와 승강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분진흡입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