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진 차단장치

申请号 KR1020130017546 申请日 2013-02-19 公开(公告)号 KR101434088B1 公开(公告)日 2014-08-25
申请人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发明人 이영균; 이상현;
摘要 Disclosed is a dust preventing device. The dust preventing device is installed around a striking device of a pile driver to prevent the diffusion of the dust generated when a pile is struck. The dust preventing device comprises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separated from the first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ositioned under the first frame; and a dust preventing film having the upper part fix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lower part fixed to the second frame and preventing the dust by surrounding the striking device of the pile driver. If the dust preventing device is used, a plurality of dust preventing devices can be easi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e driver when being installed in the pile driver. Therefore, the installation to the pile driver is to be simple. Moreover, transport and storage are convenient as the dust preventing device can be folded.
权利要求
  • 항타기의 타격장치 둘레에 설치되어, 말뚝 타격시 발생하는 분진의 확산을 차단하는 분진 차단장치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된 상단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된 하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항타기의 타격장치를 둘러싸도록 위치하여 분진을 차단하는 분진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이고,
    상기 분진 차단막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각 고리 형상으로 배열된 4개의 제1 플레이트들;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각 고리 형상으로 배열된 4개의 제2 플레이트들;
    상부 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들에 결합되고, 하부 단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들에 결합된 차단망; 및
    상기 차단망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접이용 고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차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차단장치는 상기 타격장치의 길이에 따라 상기 타격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차단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들을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상기 분진 차단장치가 상기 항타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각 분진 차단장치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차단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들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개구들에 삽입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스크류에 결합되는 제1 너트;
    상기 제2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개구들과 대응하도록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개구들에 삽입되는 제2 스크류; 및
    상기 제2 스크류에 결합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차단장치.
  • 说明书全文

    분진 차단장치{DUST PREV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진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및 토목공사시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차단하기 위한 분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서는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을 떠받치는 연약지반 등을 개량하기 위하여 말뚝공사를 시행하게 된다. 말뚝공사에는 항타기가 이용된다.

    항타기는 기초공사용 기계의 하나로서, 말뚝 또는 널말뚝을 박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항타기는 말뚝을 타격할 수 있는 해머를 가지며, 해머를 구동하는 구동방식에 따라 낙하해머식, 증기해머식, 공기해머식, 디젤해머식, 진동해머식 등이 있다.

    이러한 항타기를 이용한 말뚝공사가 시행되는 경우,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지반의 흙 등이 바람에 날려 공사현장의 주변으로 비산되며, 이에 따라 공사현장 주변으로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분진을 차단하기 위하여 공사현장 주변으로 가설벽을 설치하고, 항타기의 주변으로 분진 차단망을 설치하게 된다.

    항타기의 주변에 분진 차단망을 설치하기 위하여, 탑승장치를 갖는 크레인을 항타기의 주변에 설치하고, 상기 탑승장치 내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항타기의 해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탑승장치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상기 해머의 주변으로 작업자가 직접 분진 차단망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진 차단망의 설치 과정은 작업자가 크레인의 탑승장치를 타고 상승 및 하강하면서 분진 차단망의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낙하 위험이 있으며, 분진 차단망의 설치 과정이 오랜 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진 차단망은 해머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 설치되므로 분진 차단망의 일부가 훼손되는 경우, 긴 길이의 분진 차단망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분진 차단망의 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번 사용된 분진 차단망은 철거 후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타기에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고,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분진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는 항타기의 타격장치 둘레에 설치되어, 말뚝 타격시 발생하는 분진의 확산을 차단하는 분진 차단장치로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된 상단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된 하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항타기의 타격장치를 둘러싸도록 위치하여 분진을 차단하는 분진 차단막을 포함한다.

    상기 분진 차단장치는 타격장치의 길이에 따라 상기 타격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진 차단막은, 상기 분진을 차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양쪽 단부가 고정된 차단망; 및 상기 차단망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접이용 고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이고;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고, 사각 고리 형상으로 배열된 4개의 제1 플레이트들;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각 고리 형상으로 배열된 4개의 제2 플레이트들; 상부 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들에 결합되고, 하부 단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들에 결합된 차단망; 및 상기 차단망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접이용 고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는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들을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상기 분진 차단장치가 상기 항타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각 분진 차단장치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들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개구들에 삽입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스크류에 결합되는 제1 너트; 상기 제2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개구들과 대응하도록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개구들에 삽입되는 제2 스크류; 및 상기 제2 스크류에 결합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진 차단장치가 소정의 길이로 제작되어, 항타기에 설치시 항타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진 차단장치들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항타기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절첩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차단망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플레이트들 및 제2 플레이트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제2 플레이트들과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분진 차단막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진 차단장치가 복수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진 차단장치의 일정 길이를 생략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분진 차단장치가 복수로 결합되는 경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분진 차단장치는 항타기의 타격장치 둘레에 설치되어, 말뚝 타격시 발생하는 분진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분진 차단막(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분진 차단막(130)의 설치를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들이며, 항타기의 타격장치(예를 들면, 수직운동하는 해머)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항타기의 타격장치를 둘러쌀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110)은 항타기의 타격장치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항타기의 타격장치를 둘러싸기 위하여, 예를 들면, 단면 형상이 사각인 다수의 빔(beam)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10)은 철재일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10)과 동일한 규격의 사각틀 형상일 수 있고, 제1 프레임(1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프레임(1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레임(120)은 철재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소정의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평면에서 볼 때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200Cm의 길이를 갖는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규격은 예시적인 형태일 뿐,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분진 차단막(130)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결합되고,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항타기의 타격장치를 둘러싸도록 위치하여 항타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진 차단막(130)은 차단망(131) 및 접이용 고리 부재(132a, 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망(131)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부는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단부는 제2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차단망(131)이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형태는, 예를 들면, 차단망(131)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둘레에 둘러진 후, 상단부 및 하단부와 맞닿는 면에 융착시키거나, 차단망(131)에 끈을 엮어서 차단망(13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고정하는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단망(131)은 망사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망(131)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망(131)의 길이가 500Cm의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망(131)의 길이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길거나 짧게 제작될 수 있다.

    접이용 고리 부재(132a, 132b)는 긴 길이의 차단망(131)이 일정한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접이용 고리 부재(132a, 132b)는 차단망(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이용 고리 부재(132a, 132b)는 차단망(131)의 내측에 소정의 면적으로 고정되는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 및 차단망(131)의 내측에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보다 큰 면적으로 고정되는 제2 접이용 고리 부재(1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 및 제2 접이용 고리 부재(132b)는 차단망(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때, 제2 접이용 고리 부재(132b)는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의 아래에 위치하고, 다시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는 제2 접이용 고리 부재(132b)의 아래에 위치하는 형식으로,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 및 제2 접이용 고리 부재(132b)가 서로 반복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접이용테(132a, 132b)들이 차단망(131)에 고정되는 형태는, 예를 들면, 차단망(131)의 내면에 와이어(미도시) 또는 끈(미도시)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이용 고리 부재(132a, 132b)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 형상이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접이용 고리 부재(132a, 132b)는 차단망(131)이 길게 펼쳐진 상태에서 차단망(131)을 접기 위해, 예를 들면, 제2 프레임(120)은 지면에 놓여지고 제1 프레임(110)을 제2 프레임(120)을 향해 이동 또는 낙하시키면, 상부에 위치한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가 그 아래에 위치한 제1 접이용 고리 부재(132a)에 겹쳐지고, 상부에 위치한 제2 접이용 고리 부재(132b)가 그 아래에 위치한 제2 접이용 고리 부재(132b)에 겹쳐지는 형태로 접이용 고리 부재(132a, 132b)들이 겹쳐지면서 차단망(131)이 일정한 형태로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진 차단장치가 복수로 연결되는 경우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100)는 항타기의 길이를 따라 다수 연결될 수 있다. 분진 차단장치(100)가 다수 연결되는 경우, 일 예로, 하나의 분진 차단장치(100')의 제2 프레임(120')과, 상기 하나의 분진 차단장치(100')의 아래에 추가로 연결되는 추가의 분진 차단장치(100'')의 제1 프레임(110'')을 서로 대응시킨 후, 서로 대응된 상기 제2 프레임(120') 및 상기 제1 프레임(110'')의 둘레에 클램프(140)(예를 들면, ㄷ자 형상의 클램프)를 끼우고, 상기 클램프(140)에 볼트 및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분진 차단장치(100', 10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100)를 항타기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10)의 사방에 다수의 와이어(미도시)를 마련하고, 상기 와이어를 항타기의 타격장치 둘레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분진 차단장치(100)를 항타기의 타격장치 둘레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100)를 이용하면, 분진 차단장치(100)의 골격을 이루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 그리고 분진 차단막(130)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소정의 길이로 제작되며, 이러한 분진 차단장치(100)를 항타기에 설치할 때 항타기의 길이에 따라 추가의 분진 차단장치들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항타기에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분진 차단장치(100)의 보관시 분진 차단막(130)의 차단망(131)이 일정한 형태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분진 차단장치(100)를 간단히 접어서, 접은 상태로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여 분진 차단장치(100)의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해질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진 차단장치의 일정 길이를 생략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200)는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분진 차단막(23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진 차단막(230)은 차단망(231) 및 접이용 고리 부재(232a, 232b)와 함께,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은 결합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200)는 분진 차단막(230)이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이 결합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고, 이하에서는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 결합부재(24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재(240)는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을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에 결합시킬 수 있고, 분진 차단장치(200)가 항타기의 타격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각 분진 차단장치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재(240)는 제1 스크류(241), 제1 너트(243), 제2 스크류(242), 제2 너트(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류(241)는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 상에 위치하고,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크류(241)는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을 구성하는 단면 형상이 사각인 다수의 빔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서로 대칭되는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우측변(210a)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빔에 대칭되는 빔의 좌측변(210b)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 배열될 수 있다.

    제1 너트(243)는 제1 스크류(241)에 결합되어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이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에 결합되는 형태는 이하의 제1 플레이트들(233)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스크류(242)는 제2 프레임(220) 상에 위치하고, 분진 차단장치(200)가 다수 연결되는 경우, 제2 스크류(242)가 위치하는 제2 프레임(220)에 접하는 제1 프레임(21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제2 스크류(242)는 제2 프레임(220)을 구성하는 단면 형상이 사각인 다수의 빔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하측변(220c)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제2 프레임(220)의 하측 둘레를 따라 다수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크류(242)와 결합하는 제1 프레임(210)에는 제2 개구들(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들(222)은 예를 들면, 제1 프레임(210)을 구성하는 단면 형상이 사각인 다수의 빔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측변(210d) 및 하측변(210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측변(210d) 및 하측변(210c)에 위치하는 각 제2 개구(222)는 서로 동심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너트(244)는 제2 스크류(242)에 결합되어 분진 차단장치(200)가 다수 연결되는 경우에 각 분진 차단장치의 서로 접하는 제2 프레임(22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들(233) 및 제2 플레이트들(234)은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에 차단망(231)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플레이트들(233)은 차단망(231)의 상단부를 제1 프레임(210)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들(233)은 차단망(231)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들(233)은 차단망(231)의 상단부의 각 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들(233)이 차단망(231)에 고정되는 형태는, 예를 들면, 차단망(231)의 상단부가 제1 플레이트들(233)에 감싸진 후, 감싸진 차단망(231)의 끝단과 상기 끝단에 맞닿는 차단망(231)의 일부를 서로 융착시키거나, 차단망(231)에 끈을 엮어서 차단망(231)의 상단부에 제1 플레이트들(233)을 고정하는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들(233)은 제1 프레임(210) 상에 위치하는 제1 스크류(241)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들(233)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개구들(233a, 23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들(233a, 234a)은 제1 스크류(241)와 결합되고, 제1 스크류(241)에 결합되는 제1 너트(243)에 의해 제1 플레이트들(233)이 제1 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들(234)은 차단망(231)의 하단부를 제2 프레임(220)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제2 플레이트들(234)은 차단망(231)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들(234)은 차단망(231)의 하단부의 각 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들(234)이 차단망(231)에 고정되는 형태는 앞서 언급된 제1 플레이트들(233)이 차단망(231)에 고정되는 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레이트들(234)은 제2 프레임(220) 상에 위치하는 제1 스크류(241)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제2 플레이트들(234)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개구들(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들(222)은 상기 제1 스크류(241)와 결합되고, 제1 스크류(241)에 결합되는 제1 너트(243)에 의해 제2 플레이트들(234)이 제2 프레임(2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단망(231)을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에 고정하는 과정과, 복수의 분진 차단장치들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차단망(231)을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에 고정하는 경우, 먼저 차단망(231)의 상단부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들(233)에 형성된 제1 개구들(233a, 234a)을 제1 프레임(210)의 내측 둘레에 위치한 제1 스크류(241)들에 삽입하여 제1 플레이트들(233)을 제1 프레임(210)과 결합하고, 이어서 제1 너트(243)를 제1 스크류(241)에 결합한 후 제1 플레이트들(233)을 향해 제1 너트(243)를 조여서 제1 플레이트들(233)을 제1 프레임(210)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단망(231)의 상단부가 제1 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단망(231)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이트들(234)에 형성된 제1 개구들(233a, 234a)을 제2 프레임(220)의 내측 둘레에 위치한 제1 스크류(241)들에 삽입하여 제2 플레이트들(234)을 제2 프레임(220)과 결합하고, 이어서 제1 너트(243)를 제1 스크류(241)에 결합한 후 제2 플레이트들(234)을 향해 제1 너트(243)를 조여서 제2 플레이트들(234)을 제2 프레임(220)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단망(231)의 하단부가 제2 프레임(220)에 고정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분진 차단장치가 복수로 결합되는 경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분진 차단장치, 예를 들면, 제1 분진 차단장치(200') 및 제2 분진 차단장치(200'')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먼저 제1 분진 차단장치(200')의 아래에 제2 분진 차단장치(20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2 프레임(2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1 프레임(210'')을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1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2 프레임(220')의 하측에 위치한 다수의 제2 스크류(242'')를 제2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1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2 개구들(222')에 삽입하고, 제2 스크류(242'')에 제2 너트(244)를 결합한다. 이어서 제2 너트(244)를 제2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1 프레임(210'')을 향해 조여서 제1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2 프레임(220')과 제2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1 프레임(210'')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분진 차단장치(200', 200'')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진 차단장치(200)를 이용하면, 분진 차단막(230)을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에 고정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해질 수 있고, 복수의 분진 차단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작업 역시 간편하고 신속해질 수 있다.

    한편, 분진 차단장치(200)의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및 분진 차단막(230)이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및 차단망(231)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는 경우 쉽게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가 용이한 분진 차단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110, 210 : 제1 프레임 120, 220 : 제2 프레임
    130, 230 : 분진 차단막 132a, 132b, 232a, 232b : 접이용 고리 부재
    140 : 클램프 222 : 제2 개구들
    233 : 제1 플레이트 234 : 제2 플레이트
    233a, 234a : 제1 개구들 240 : 결합부재
    241 : 제1 스크류 242 : 제2 스크류
    243 : 제1 너트 244 : 제2 너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