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식 파이프

申请号 KR1020130002483 申请日 2013-01-09 公开(公告)号 KR1020130018349A 公开(公告)日 2013-02-20
申请人 김형태; 发明人 김형태;
摘要 PURPOSE: A prefabricated pipe is provided to protect a car body from such factors as heat during summer, strong rainfall, wind, hail, snowfall and sand. CONSTITUTION: A prefabricated pipe forms a coupling hole(672) on both sides of a pipe(600) and a coupling shaft(674) in a coupler between pipes to insert to the coupling hole. The coupl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The first main body comprises a coupling shaft to insert into the coupling hole at one end and a male screw shaft to protrude at the other end. The second main body comprises a female screw shaft into which the male screw shaft insert at one end and a coupling shaft to insert into the pipe at the other end.
权利要求
  •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는 결합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구는 일단에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축이 형성되고 타단에 돌출된 숫나사축이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일단에 상기 숫나사축이 삽입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암나사축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파이프에 삽입되는 결합축이 형성된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 및 결합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이프.
  • 说明书全文

    조립식 파이프{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야외 또는 옥외 주차장에 수용될 차양판넬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여름철 차양 지붕의 공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차장의 여름철 차양지붕을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주차 후 뜨거운 열기로부터 차체 보호에 관한 것이며 관련기술을 응용하여 자성이송장치를 개발하며 각종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로드 및 파이프 연결에서의 결합기구 및 별도 너트 없는 페이스너의 개발에 대한 것이다.

    배경기술로서, 특허문헌 1(미국공개특허 제2003-0141717호는 배관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서, 제1파이프의 접속부에 구멍을 뚫어 제2파이프와 다양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개폐형의 고리와 프레임 속에 와이어로프를 넣어 프레임을 연결하고, 패널을 상기 프레임에 넣는 것으로 조립하여 미관을 갖추며 손쉽게 차양패널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차양지붕의 미관을 고려함과 더불어 차양막 주차장의 효과적 실현 가능한 설치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종 산업상의 이용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 및 특수용 페이스너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는 결합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구는 일단에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축이 형성되고 타단에 돌출된 숫나사축이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일단에 상기 숫나사축이 삽입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암나사축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파이프에 삽입되는 결합축이 형성된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홀 및 결합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대부분의 야외 주차장에 여름철 차양시설의 설치 수용의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시스템은 여름철의 열기로부터 차체를 보호하며 강수와 강풍, 겨울철의 우박, 적설 및 모래나 다른 입자들로부터 적절히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차양막 주차장의 설치 개괄도,
    [도 2]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차양 패널이 결부될 프레임1의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차양 패널이 결부될 프레임1의 아래 평면도
    [도 4]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차양 패널의 평면도(위) 및 측면도(아래)
    [도 5]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차양 패널과 프레임1의 평면및 정면도
    [도 6]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빔및 빔과 연결되는 수평지지대의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폴1,2의 측면도(좌우) 및 윗면 단면도(중간)
    [도 8]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폴1과 수평지지대,빔의 정면(폴1)및 측면도
    [도 9]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폴2와 수평지지대의 부품 사시도및 설치 측면도
    [도10]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레벨조절용 폴2의 사시도및 정면도(우)
    [도11]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폴1의 조인트 박스1,2의 측면사시도및 기타
    [도12]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와이어로프,도르래,쐐기,차양판의 사시도
    [도13]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로드 및 파이프의 측면 단면도
    [도14]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나선없는 파이프와 연결구의 단면 및 사시투영도
    [도15]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나선형 연결구의 단면과 측면사시도
    [도16]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임시형 폴의 사시도
    [도17]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폴1과의 다양한 방식의 와이어 로프 결속 예시의 측면사시도 및 정면도(우)
    [도18]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폴2와 폴2용 와이어로프를 뺀 실시예 1의 개괄도
    [도18a]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도18] 의 보조 처마와 물받이,홈통의 구조도
    [도19]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개폐용 다이얼이 붙어있는 프레임2의 하부평면도
    [도20]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차양 패널이 결부된 프레임2의 사시도
    [도21]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프레임3(접이식)의 정면도 및 사시도(위)
    [도22]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프레임2와 3을 회전축에 연결한 사시예시도
    [도23]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수평이동판과 휠 연결 시스템의 개괄구조도 단면
    [도24]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자석이송 시스템의 단면(위) 및 사시도
    [도24a]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도24] 에서의 잠금장치 추가시의 예시도
    [도25]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회전축이 결부될 보조 자석 시스템 단면도및 자석이송장치의 각도별 잠금 예시도
    [도26]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홀더형 프레임(프레임4)의 사시도및 관련 부품도
    [도27]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연결구의 설치 순서도
    [도28]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발(leg)형 페이스너의 사시도 및 관련부품도
    [도29]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고무 패킹 페이스너의 사시투영도
    [도30]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고리형 페이스너의 사시투영도 및 수작업에서의 일체형 페이스너및 외부너트의 사시도
    [도31]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고리형 페이스너의 대량양산시 조립순서의 부품도 및 2종의 다른 고리의 부품도
    [도32]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에서의 위 3종의 일체형 페이스너의 자동및 수작업 조임 완결도 및 일부 부품도

    가상의 주차장을 직사각형으로 설정한다. 곧 다음과 같은 기본 밑그림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림의 윗편을 주차장의 뒤편으로 설정한다.

    뒷부분부터 앞쪽으로는 가로로 된 줄을 횡렬 1라인(abscissa line 1:엡씨써 라인 원)으로 명명한다. 그리고 왼편으로부터 세로로 된 줄을 종렬 1라인(ordinate line 1:오더닛 라인 원)으로 명명한다.

    a.빔(beam) 세우기

    빔은 땅속에 박히게 될 기초장치이다. 먼저 [도6] 에서의 빔(23)을 주차장의 모퉁이마다 바닥에 구멍을 뚫어 하나씩 설치한다. 빔(23)은 스테인리스 철로서의 STS 304 또는 다른 금속이나 기타 재질이라하여도 튼튼하게 주차장을 유지할 수 있으면 무방하다. 대개 둥근 열주형(columnar,列柱形) 모양이지만 네모난 것 또는 다각형이어도 된다.

    b.수평 지지대와 결속대(binding pole=pole) 세우기

    [도6] 에서의 수평지지대(24)는 일부가 끝에 나선(screw,螺線)(26screw)가공이 되어 있는데 빔(23)과 빔(23)사이를 연결하며 빔의 홈(hole)(25hole)에 그 끝을 넣은뒤 볼트(bolt)부분(26screw)을 너트(nut)(27nut)등으로 단단히 결속시킨다. 이때 수평지지대(24,24holes)를 각지게 하거나 둥글게 할 수도 있으며 그위로 [도7] 의 세로로 된 폴1(29)과 폴2(35)를 설치한다.

    폴1(29)은 고정적인 용도로 설치될 결속대이며 폴2(35)는 [도2] 에서의 고리(1)사이로 연결되는 와이어로프(59= [도12] 의 59steel,59nylon)를 묶는 임시 결속대이다. [도8] 에서처럼 폴1(29)들이 들어가는 수평지지대(24holes)의 홈(34hole)의 위치가 조립공정도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어서 각 폴1(29)마다 나선(32screw)가공이 되어져 있는 주조형(casting processed figure) 폴이다. 하단에 나선부(32screw)를 통해 너트(33nut)로 조이게 만들어진다.

    수평지지대의 홈(34hole)으로 내려가는 부분부터는 직경이 조금 줄어드는데 그 경계선을 걸림선(suspension diameter line,臨界徑直線)(29suspen)이라고 한다. 이때 하단의 나선부(32screw)보다는 홀(34hole)의 지름(diameter)이 크며 상단의 원기둥부분(32cylinder)보다는 홀지름(34hole)이 작아야한다. 한편 [도9] 에서처럼 임시 결속대으로서의 폴2(35)의 발(38connector)은 수평지지대(24)를 반쯤 감싸며(39,39small) 수평지지대(24)의 모양에 따라 폴2(35)의 발모양(38connector)도 달라진다. 발부분 (38connector)은 폴2(35)와 분리됨이 좋은데 그러면 지붕의 경사에 의해 생기는 높이차이에 따른 연결에 편리하다.

    조립시 나선(37screwal,38in screwal)이 있음이 원칙이나 간이형의 경우 없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9] 에서처럼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한쪽(39small)에 고무(rubber)로 된 신축성있는 패킹(packing)(45)을 덮은뒤 반대편(39)은 아래의 홈들(40hole,40another hole)에 볼트(41bolt)와 너트(42nut)및 평와셔(44washer)로 단단히 조인다. 그 후 알루미늄 등의 밴드(band)(46)로 수평지지대(24)에 단단히 밀착시킨다.

    수평지지대(24holes,24)는 각각 결속대인 폴1(29)과 폴2(35)를 지지한다.

    c.종렬(縱列,ordinate line)에 와이어 로프 연결 설치하기

    와이어 로프(wire rope,꼬임끈)( [도12] 의 59) 또는 줄(chord)은 steel wire rope(강삭 또는 강철선)(59steel)또는 나일론재질의 nylon wire rope(나일론 끈)(59nylon)등으로 한다. 와이어 로프 또는 간단히하여 로프(59)는 bare wire(외부에 감김이 표시된 끈)방식이며 프레임과의 마찰면( [도2] 의 13,15,18 및 [도2] 의 1,etc,.)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투명 PVC 호스(transparent polyvinyl chloride hose) 등의 외부 피복(59coat)으로 감싸주어야 한다.

    폴2(35)가 설치되면 먼저 폴2의 홈(hole)( [도7] , [도9] 의 36hole)에 로프(59)를 넣어 당긴후 도르래(pulley,滑車)(61)등으로 조인다. 종렬의 결속대인 폴2(35)는 로프(59)의 끝을 단단히 묶는 결속축 역할을 한다. 이때 종렬이라 함은 프레임( [도2] , [도3] )의 원통(18)을 가로로 놓을 때를 기준으로 그 세로로 된 열(列)을 말한다.

    종렬마다 로프(59)를 설치하여 서로 반대편의 폴2의 홈(hole)(36hole)에 로프(59)를 넣어 도르래(61) 등으로 단단히 결속시킨다. 로프(59)를 장치하는 것은 프레임( [도2] )의 안전한 설치를 위해서 필요하며 수평유지에 도움된다. 주차장의 크기가 협소하거나 설치자의 기호등 경우에 따라 로프(59) 대신 둥근 막대(round rod)( [도13] 의 64) 또는 파이프(pipe)( [도13] 의 65-67)로 하여도 된다. 특히 와이어로프(59)가 부식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파이프(65-67)가 필요하다.

    한편, 와이어로프를 대체할 수 있는 파이프나 둥근 막대(64,65)는 서로를 수평으로 이어서 하나처럼 될 수 있어야하며 끝에 나선(screw)이 있어서 폴(29,35)의 홈(30hole,36hole)의 외부에서 너트(65nut)와 와셔(65washer)로 조일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러나 아주 긴 로프(59)를 대체할 수는 없기 때문에 중간에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및 로드(64-67)로만 가능하며 파이프(65-67)역시 로프(59)와 병행하는 것이 좋다. 파이프(65-67)끝이 막힌 것은 핀(pin)을 이용하여 열림장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로프에 고리(ring) 걸기

    프레임 윗편에 붙어 있는 고리(1)는 [도2] 에서 알 수 있듯이 열쇠고리에서와 같이 개폐가 가능해야하며 프레임을 종렬 와이어로프(59)에 걸기 위해서이다. 개폐장치의 위치는 로프에 긁히지 않게 고리 옆부분(2)에 있음이 좋다. 이외에 [도2] 의 상단 측면도에서처럼 두가지(1another ring1,1another ring 3)방식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문 또는 프레임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고리(ring)(1)는 프레임의 앞쪽(5)에 있거나 몸통(6)에 있을 수 있다. [도2] 는 고리가 통의 윗부분(on upper shelf,上段)의 위치에 있지만 고리(1)를 통의 하단(on lower shelf,下段)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공정도(flow chart)에 따라 고리(1)가 상단에 있는 경우 주로 와이어 로프(59)를 설치후 그대로 두고자 할때이며 하단(on lower shelf,下段)에 있는 경우 일부를 제하고 나머지는 설치후 와이어로프(59)를 제거하는 경우이므로 고리(1)가 특히 하단에 있는 경우 프레임과 분리(3)할 수 있는 것이 옳다. 그러므로 볏(pit)부분의 고리는 몸체(6)와 분리할 수 없는 간이형(1another ring 1,1another ring 2)인 경우일 수 있지만 아래에 고리( [도20] 의 1, [도26] 의 11 band ring. 참고)가 있는 경우 미관을 위하여 가능하면 고리(1)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아래(on lower shelf,下段)에도 따로히 전기배선등을 위해 간이형 고리(1another ring 1,1another ring 2)를 만들 수는 있다. 프레임을 걸 때이면 모든 프레임마다 후미(tail)위치(14)가 항상 같아야 한다. 특히 고리(1)가 아래(on lower shelf,下段)에 있을 때에는 나중에 프레임을 연결할 때 반바퀴 돌려야하므로 프레임 위치를 설치할 방향에 맞추어야 한다. 프레임을 연결할 때이면 전방(5)과 후미(14)의 위치가 고리(1)에 로프(59)를 걸 때와 반대가 되기 때문이다. 종렬 와이어로프(59)가 모든 폴2마다 설치되었다 하여도 안의 프레임(frame)은 비어있어서 또다른 와이어 로프(59)가 들어갈 수 있어야한다.

    e.프레임(frame,型) 연결하기전 선작업

    종렬(ordinate)의 와이어로프(59)에 고리(1)를 통해 걸린 프레임들을 횡렬(abscissa)로 연결하기위해서는 먼저 한쪽 폴1(29)에 와이어로프(59)를 홈(30hole)에 넣어야 한다.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전 선작업(pre-doing,先作業)으로 폴1(29)과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해당하는 조인트박스(jointing box)( [도11] 의 47,56)중 하나)를 반드시 먼저 설치해야한다. 프레임의 앞부분(5)과 연결되는 전방(front,前方) 조인트 박스(47)와 프레임의 뒷부분(14)에 연결되는 후방(tail,後方,後尾)조인트 박스(56)중 하나를 먼저 횡렬의 한쪽에 설치한다. 공정도(flow chart,工程圖)에 따라 조인트 박스가 없을 수도 있으나 미관을 고려하여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이음 거리는 조인트 박스의 베이스(base)(48)옆의 조절 볼트(control bolt)(50Joint bolt,57Joint bolt)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안정적이다. 조절 볼트(50Joint bolt,57Joint bolt)는 지붕 경사도가 높은 경우 4개로도 만들 수 있다. 전방(front,前方) 조인트 박스(47)에는 나선(screw) 커버링(cover ring)(4cover)이 붙을 수 있다. 커버링(4cover)과 프레임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패딩(47padding, [도26] 참고)이 있게 된다. 커버링(4cover)이 있는 경우 별도(아래의 f.프레임 연결하기 참고)의 고무로 된 마개(20F fill)가 필요하며 프레임 일부와 조인트박스(47,56)의 상단 부분에 방수를 위한 별도의 덮개(29cover)가 있을 수 있다. 덮개(29cover)는 조인트박스 표면모양과 같이 성형되며 패널(62)을 덮지 않는다. 덮개(29cover)는 조인트 너트(51nut)를 덮을 수 있으며 양쪽에 조인트너트(51nut)에 결합되는 세로의 요철 홈(holes)(29cover lock)이 있다. 세로홈(29cover lock)의 폭(width)은 조인트 너트(51nut)의 폭보다 미세히 커서 조인트 너트(51nut)의 바깥부분을 덮으며 잠겨진다. 설치후 양쪽의 두 홈(29cover hole)을 핀볼트(29cover pin)와 핀 너트(29cover nut)로 잠근다.

    f.프레임(frame,型) 연결하기

    고리(ring)(1)에 들어가는 종렬 와이어로프(59)는 임시적이기 때문에 경삭(nylon wire rope,輕索)(59nylon)일 수도 있지만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해야하는 또다른 와이어 로프는 강삭(steel wire rope,鋼索)(59steel)일수록 프레임 연결이 확고해진다.

    프레임은 패널(panel)(62)이 들어갈 수 있는 장치이다. 프레임 결속(connecting)이 부드러워야 패널(62) 연결작업도 오차가 없게 된다. 각 프레임은 [도2] 에서처럼 헤드(head)(5)와 몸통(body)(6),날개(wing)(7),후미(tail)(14)등으로 구성되며 간이형(compact type)에는 후미(14)및 그 부속품이 없을 수도 있다. 앞부분의 전방대구(big front hole,前方大口)(13) 또는 트렁크 마우스(trunk mouth)와 중간의 원뿔대형의 통과구(through hole,通過口)(18)및 뒷부분의 후방 소구(small rear hole,後方小口)(15)또는 테일 홀(tail hole)과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는 전방대구(13)로 넣어 후미 부분(部分)의 후방소구(tail hole)(15)로 나오게 되지만 설치자의 설치 계획에 따라 반대일 수도 있다. 이때 프레임속의 바디(6)와 테일(14) 부분의 연결부분(6rear)은 [도2] 에서와 같이 원뿔대(truncated cone,圓)형(form,形)(18)이어야하며 그중 뒷부분은 와이어로프(59) 및 막대(64)등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곡선형(curved form)이어야하며 걸림이 없어야한다.

    후크(hook)(16)역시 설치자가 눈으로 잠금위치를 확인하기 쉽게 해야하며 후미(14)의 위 아래 또는 옆면의 어느 곳에든지 있을 수 있다. 후크(16)가 채워지는 홈(hole)(17)을 후크 홀(hook's hole)이나 쇄구(lock hole,鎖口)라 하며 제조할 때 반드시 후크(16)와 위치가 맞추어져야 한다. 또한 설치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가 필요하다. 후크(16)가 테일(tail,후미)(14)의 옆면에 있을 때에는 옆에서 설치하기 때문인데 오른편(14right)과 왼편(14left)의 위치는 설치자의 방식에 따라 그때마다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위(14upper) 또는 아래(14lower)에 위치하면 일반적인 표준형을 제작 할 수 있다.

    프레임과 프레임이 서로 후크(16,17)로 연결된 후에는 프레임 몸통의 나선(spiral) 커버링(cover ring)(4cover)으로 나선화된 한쪽 프레임의 head(헤드) 나선(5screwal)과 다른쪽 프레임의 body(몸통) 뒷부분 나선(6screwal)을 커버링(4cover)을 돌려 단단히 조인다.

    커버링(4cover)의 나선(4screwal)은 촘촘한 경우*에 피치(pitch)에서의 나사산(ridge)과 나사골(furrow)은 뾰족한 나선(sharpen screw)의 금속 너트가 안에 있어야 마모되지 않는다. 플라스틱의 경우 끝이 뭉특한 나선인 경우가 적당하며 이하 모든 나선(spiral)은 이랑의 끝이 뾰족하며 촘촘한 경우를 스크류(screw)로 하여 표준으로 하였다. 필요에 따라 밀도가 덜 촘촘하며 이랑끝이 뭉특한 나선도 가능하다.

    *참고)나선(screw)의 구분: spiral은 일반나선이란 뜻이며 screw는 끝이 뾰족하며 촘촘한 경우의 표준나선으로, screwal은 나선이 없거나 촘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crew는 피치(pitch,나사산과 나사골)에 따라 촘촘하거나(dense) 촘촘하지 않거나(sparse) 끝이 뾰족하거나(sharpen) 뭉특하거나(dull) 나선폭이 두텁거나(thick)에 따라 모두 구분이 가능하다. 그로인해 일부를 예외로 하여 부호의 명칭은 그 중의 하나인 screw로 통일하기로 한다.

    한편 커버링(4cover 1,2)의 방수(waterproof)를 위해서는 먼저 [도2] 에서처럼 프레임의 앞쪽(5)에 있는 나선(5screwal)에 미리 패킹 테잎(packing tape)을 감은뒤 커버링(4cover)을 조인다. 물론,패킹테잎은 지나치면 나중에 분리하기가 어려우므로 방수가 가능한많큼만 감겨야한다.

    *f.참고)프레임(frame,型)의 날개(7)및 홀더(20,21)에 대하여

    길이(length)와 폭(width)은 그때마다의 패널(62)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취지는 기능만을 중심으로 한다. 그중 날개의 폭(width)은 패널(62)을 넣기에 적당하되 돌출(jutting out,突出)(9width)이 통에서 약 2.55cm 또는 1 inch(≒2.54cm)를 넘지 않도록 제작함이 좋다. 몸통(6)의 겉 모양은 원통형 및 직육면체형이 적당하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른 모양일 수도 있다. 그리고 속은 원통입구(cylinderic front,圓筒入口)(18)에 후미의 윗면및 밑면이 곡면 모양(shape with a curved surface,曲面形)(18curve)이어야하는데 앞뒤가 통과가 잘되도록 비어야하며(18) 앞부분은 후크(16)가 들어갈 홈(17)이 있어야 한다. 앞(13)과 뒤(15)의 지름의 차이는 1 inch(≒2.54cm)를 넘지 않아야 좋으며 그 속(13,15)으로 와이어 로프(59) 또는 로드및 파이프( [도13] 의 64-67)및 [도26] 을 참고하여 모양이 다른 경우와 [도22] 를 참고하여 회전축(74rotate axis,74axle)기타(etc,.,等)가 들어가서 프레임의 연결을 고착시킨다.

    하단 홀더(21)는 보수를 위해 프레임과 분리되어야 한다. 정면도로서의 [도5] 와 하단에서 바라본(below sighting)의 [도3] 에서는 하단홀더(21)가 개폐형으로서 하단홀더(21)의 연결핀(21pin)이 핀홈(21pin port)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그로인해 프레임으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때 몇가지 볼트 부품이 필요해진다. [도3] 에 [도26] 에서의 홀더형 프레임(프레임4), [도20] 의 단면 날개형 프레임(프레임2)을 참고하여 특별한 역할을 하는 핀 볼트들을 추가할 수 있는데, 우선 상단홀더(20)에는 4각 핀볼트(pin bolt)(20Q bolt)가 추가되며 하단 홀더(21)에는 둥근 핀볼트(pin bolt)(21R pin bolt 1,2,3)가 들어간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i.패널 장착 편에서 하기로 한다.

    g.이동형 임시 폴

    프레임 설치 중 폴2(35)에 지나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2(35) 사이에 임시 폴(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임시 폴(80)은 하단에 발이 세 개 또는 네 개가 있어야 하며 폴(pole transit)(80)과 이동받침대(88)를 연결구(connecting case,connector,連結球)(87fasten)로 연결한다.

    이동 받침대(88)는 바퀴(90wheel)가 달릴 수도 있으며 간이형(compact style)의 경우 바퀴(90wheel)가 없이 세 개 또는 네 개의 다리(tripod,four legs)(90)로도 가능하다. 상단은 와이어로프(59)를 걸거나 또는 수평지지대(24)를 연결할 때 필요하다. 지지구(85supporting cup)는 모양이 컵과 같으나 밑면이 없다. 고리(83ring)( [도2] 의 1,1another ring 1,2 참고)는 있을 수 있으나 대개는 컵(85supporting cup)옆의 지지대(supporter)(85supporter)위에 임시용 밴드(84tie)및 그외 도구등(clip wire,wing seals,etc,.,等)(84binding)으로 묶어주는 것이 낫다.

    컵(85supporting) 밑으로 높이를 조절하기위한 크기가 다른 여러 가지 여분용 실린더(86sub 1,2)가 필요한데 위아래 크기가 다른 것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그 아래에 볼트(81)가 들어갈 홈(81h)이 있으며 볼트에는 너트(82nut)가 있어야 한다. 두 폴(80)을 연결하는 연결구(connecting case) 또는 잠금 실린더(cylinderic fastener)(87fasten)가 중요한데 이때의 잠금볼트(87fastener)는 좌우로 두개 이상 있을 수 있다. 그 아래에도 폴(80)의 지지(supportence)를 위한 볼트(81)가 들어갈 홈(81h)이 있으며 볼트(81)에는 너트(82)가 있어야 한다.

    한편 타이(tie)라 불리우는 임시용 밴드(84tie)가 필요한데 그것은 로드와 파이프(64-67),수평지지대(24)와 와이어로프(59)및 기타 다양한 필요성이 있으며 그 외 여러 가지를 담을 수 있는 도구함(box of tools)등이 있을 수 있다. 하단의 발(90)은 이동용 바퀴형(90wheel) 일지라도 바닥(surfacement of lot)에 고착되어 안정적이어야 한다. 그 외 여러 가지 도구(tools)가 갖추어진 이동형 임시 폴(80)은 넓은 주차장의 경우 와이어 로프(59)를 길게 연결하는데 필요하며 프레임등의 작업시 특히 완벽한 수치제어(precisingly fitting's well on the assembly doing by)를 결부하여 조립할 경우에 필요하다.

    h.횡렬(abscissa line)에서의 와이어 로프에 대하여

    횡렬(橫列)로 서로 대면하는 폴1(29)과 폴1(29)사이에 프레임을 연결(13,14)시키기 위해서는 내구성이 강한 끈(cord,rope)이 안에 들어가야하며 후크(hook,잠금장치)(16,17)와 더불어 수평을 유지하며 서로를 단단히 결합연결시킬 수 있어야한다. 여기에 쓰이는 횡렬 와이어 로프(59)는 고정용이기 때문에 종렬에서의 임시용 와이어로프(59)와 다를 수 있다. 곧 아주 강해야 한다. 그리고 프레임 마찰면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피복(59coat)으로 감싸진 로프(59)가 필요하다. 로프(59)가 프레임에 들어가면 연속으로 프레임을 연결하여 로프끝을 반대편의 폴1(29)에 결속해야한다. 이때 로프(59)를 강하게 동여메는 도구로 도르래(pulley,滑車)(61)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나선파이프 등(64-67)으로 로프를 대신할 경우 보다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때 막대나 파이프(64-67)는 도금철등의 강한 재질이어야하며 서로를 나선(65external screw,65internal screw)으로 연결할 수도 있어야한다. 나선이 있는 환봉형 나선(round with screw) 막대(rod)(64)와 더불어 연속으로 이을 수도 있다. 특히 연결구(68)의 경우 추후 보수 작업이 가능한 도구이다. 다만 아주 큰 주차장은 설치자의 설치 조감도가 매우 완벽해야하는데 막대 및 파이프(64-67)로 하기가 곤란하여 피복(59coat)으로 감싸진 강삭(鋼索) 와이어 로프(59steel)를 폴1(29)의 연결방식의 대표로 한다. 막대 및 파이프(64-67)로 대신할 경우 패널(62)과 프레임이 경우에 따라 서로 안맞게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 로프(59)를 파이프(65-67)속에 넣어가며 같이 설치하면서 파이프(65-67)와 프레임을 연결해가는 방법도 있다. 막대및 파이프(64-67)로 연결할 경우 양끝의 폴1(29)의 지름및 홈(30hole)의 지름을 크게한뒤 그 속으로 막대및 파이프(64-67)를 넣어 [도6] 에서의 빔과 수평지지대의 예처럼 나선부분(65external screw,65internal screw)을 너트(65nut)로 조이게 된다. 그때에는 횡렬의 와이어 로프(59)도 임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량 파이프(65-67)는 바람이나 눈,비등의 외부압력에 잘 휘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굵은 와이어로프(59)가 들어가야 한다.

    고리(1)에 걸린 프레임을 하나씩 들어 서로를 연결하되 로프(59)가 프레임속(13,14)으로 계속 들어가며 다른 프레임의 전방대구(前方大口)(13)에 후크(16)로 연속으로 연결시킨다. 패널 설치전 와이어로프(59)를 어느정도 결속대(29)에 조여준다. 다만 이 순서는 설치자의 설치계획에 따라 다음의 [실시예1] 의 i.패널 설치 다음으로 해도 된다. 프레임 설치가 끝나면 고리(1)로 연결된 종렬의 와이어로프(59)는 가능한 제거하며 고리(1,11band ring)도 가능하면 제거한다. 경우에 따라 종렬 와이어로프(59)및 고리(1)를 남겨둘 수 있다. 특히 주차장이 아주 넓은 경우 일부 종렬 와이어로프(59steel)는 남겨둘 수 있다. 프레임의 하단(lower part)에 고리(1,another ring1,2)가 있는 경우 일부는 전기배선을 위하여 남겨둔다. 횡렬의 와이어로프(59)는 파이프(65-67)연결과 병행한 경우 제거할 수 있다.

    i.패널 설치

    각 프레임([도2] 참고)마다 양쪽에 있는 날개(wing)(7)의 홀더 틈(10interval)에 유리(glass)나 플라스틱(plastic)으로 만든 윈도우(window,窓) 또는 차양 패널(panel,板)(62)을 넣는다. 이때 패널(62)을 동시에 한꺼번에 넣되 위의 순서 h.와 병행하여 프레임의 통(13,15)속으로 와이어로프(59)를 넣어 하나씩 채우면서 패널(62)작업도 병행할 수도 있다. 간이형([도2])의 경우 차양 패널(62)이 들어갈 프레임의 홀더끝(10)이 차단(10wall)되어야 하며 보수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단면날개형인 [도20] 을 참고하여 좌우 똑같이 가능하다. (*참고.이 경우라도 횡렬들중 제1라인과 마지막 라인 곧 양끝부분들은 단면 날개를 좌우 구분하여 각각 구분하여 제작한다.)

    패널(62) 설치시 홀더내(10interval)홈(20R nut hole,21R hole)은 패널의 요철 부분(62p&d)에 일치하여 별도의 이탈방지 핀볼트(pin bolt) 또는 볼트핀(bolt pin)(21R pin bolt 1,2,3)으로 밀어넣어 패널(62)이 틈(10interval)에 들어간후의 하단 홀더(21) 앞부분(21front)과 뒷부분(21rear)등을 고착시켜야 한다.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어 하단 홀더(21)에 부착되어 패널에(62) 홈(hole)(62h)이나 요철(凹凸)홈(62p&d)을 두어 밑에서 밀면 올라가고 다시 누르면 내려오는 후크형일 수도 있으며 너트가 없는 핀볼트(21R pin bolt 1,2,3) 인 경우 반드시 상단 홀더(20) 또는 하단 홀더(21)의 홈(hole)(20R nut hole,21R hole)에 너트나선(nut screws)(20R nut,21R nut)이 있는 경우이다.

    특히 보편적일 핀볼트1형(21R pin bolt 1)은 하단홀더(21)에는 너트나선이 없는 홈(21R hole)일 수 있으나 그런 경우 상단홀더의 홈(20R nut hole)에는 반드시 너트나선(20R nut)이 있어야 한다. 물론 차양패널(62)에 천공(62h)을 뚫거나 요철(凹凸)홈(62p&d)부분을 두어 핀볼트(21R pin bolt 1,2,3)가 들어갈 수 있어야 하며 아래 위의 두 홀더(20,21)사이의 고착될 틈(10interval)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한다. 곧 머리가 있는 핀볼트(21pin bolt 1,21pin bolt 2) 를 나선홈(screw hole)(21h)에서 올려 하단 홀더(21)의 나선홈(screw hole)(21h)에 있는 너트(21n)안에 조립하되 패널(62)의 요철(62 p&d)이나 홈(62h)에는 나선이 없어야한다. 패널(62)이 가벼운 플라스틱일 경우 지나치게 조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핀볼트(21R pin bolt 1,2,3) 의 잠금이 어느정도 여유있는 편이 좋다. 잠금장치(22)가 있는 하단 홀더(21)에 들어갈 수 있는 핀볼트 2형(21R pin bolt 2)은 짧으며 상단홀더(20)에 닿지 않는다. 핀볼트 1,3형(21R pin bolt 1,3) 의 끝은 상단홀더(20)의 나선너트 홈(20R nut hole)에 들어간다. 나선외의 나머지는 평평한 원기둥형(21R flat)이어야 한다. 핀볼트 홈의 상단(20)이 막힌 것은 비가 들어오지 않게 하기위해서이다. 패널(62)은 재질 및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가능한데 대개 요철부분(62p&d)과 천공홈(62h) 중의 하나 이상이 반드시 필요하다. 더불어 두 홀더(20,21)사이로 들어갈 접합부분(10interval)에 테두리(confines)(62edges)를 두면 설치시 프레임에 긁히지 않고 부드러워진다. 재질은 굴절투과양식에 따라 플라스틱 및 유리 등으로 나뉘어 그때마다 차양판의 투명 농도가 다름을 말한다. 비가 새는 것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패널(62)과 패널(62) 사이가 밀착되야하며 접합부 테두리(62spanned edges)는 고무액정으로 된 실리콘 작업을 할 수도 있다. 경사도가 있는 지붕에서는 단순히 비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면 실리콘 작업까지는 대개 불필요하다.

    그러나 대신 이때 횡렬 방향 테두리(62spanned edges)의 한쪽은 [도4] 에서의 연결형 패킹(62spanned edges)이 패널(62) 설치전 미리 가공되어 있어야한다. 연결부분(62pasting)은 실리콘 또는 풀칠(doing paste)을 해야하는데 일부분(62glued)은 미리 강성(hardy,强性)으로 응착되어 있다. 그중 도면의 가장 하단에 있는 상하양면 덮개형(Both sides pasting style참고)은 접이식(62spanned rolls)으로 테두리를 덮게 되는데 덮기전 풀칠을 먼저 하거나 미리 약하게 풀칠이 되어 있어야한다.

    덮을 때에는 위아래 따로 덮을 수 있어야 한다. 단,공장에서 제작시 미리 한쪽면(62glued)이 단단하게 응착되어 있어야한다. 설치시에는 펼쳐진 부분의 테두리(62 spanned edges)는 한쪽이 응착(62glued)된 상태에서 비가 내려오는 방향의 반대편 방향에 다른 패널(62)을 끼우면 되는데 하나씩 설치하거나 한꺼번에 설치해도 된다. 곧 패널(62)을 먼저 홀더(20,21)에 끼우면서 다른 패널(62)를 연이어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때 클립( [도26] 의 62clip )을 패널(62)과 패널(62) 사이의 핀볼트(21R pin bolt 1,2,3) 에 연결하면 프레임과 패널(62)의 서로에 대한 연결이 보다 확고해진다(듀얼패널은 [실시예3] 참고).

    차양판(62)의 재질은 강화유리와 플라스틱재질의 어느 것이나 무방하나 햇빛을 어느정도 차단하며 반투명이어야한다. UV선 또는 자외선을 차단할 뿐 아니라 또한 반사될 때의 색상등이 보기 좋은 것이 좋다. 차양의 효과뿐 아니라 미적 감각의 효과에 따라 설치의 성과가 직접 결부된다.

    *i.참고)차양판의 명칭은 윈도우와 패널 둘 다 사용가능하며 여기에서는 패널이란 단어로 통일한다.

    j.프레임(frame,型)을 결속대(結束臺)에 연결하기

    [실시예1] 의 e.에서 다 연결된 프레임들의 처음과 끝의 조인트 박스(47,56)중 남은 하나를 결속대인 폴1(29)에 고정시킨다. [도17] 과 같이 여러 가지 결속방식중의 한 가지를 선택한다. 물론,나선막대(64)및 파이프(65-67)로 연결될 경우 폴1의 홈(30hole)은 크게되며 이때 파이프(65exscrew,66exscrew)의 폴(29)바깥의 돌출부분은 와셔(65washer)및 너트(65nut)로 조인다. 상하 유동이 가능한 고정 도르래(61fix)가 있는 경우 하단에 걸림핀 또는 지지핀(81screw pin)을 필요로 하며 한 겨울에 와이어로프(59)가 수축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곧, 와이어 로프(59steel)가 수축(shrinking)될 경우 도르래(61fix)가 위로 올라가며 느슨해질 경우(relaxing) 도르래(61fix)의 무게에 의해 다시 내려온다. 물론,와이어로프(59steel)는 도르래(61fix)에 한번 휘감아주는 것이 좋다. 지름이 3mm인 강삭(59steeel)인 경우 대체로 1m당 0.1-0.2mm의 수축으로 봄이 타당하다. 단, 겨울철에 설치하는 경우 고정도르래(61fix)를 안쪽(innering upper)으로 밀어넣었다가 여름철에 다시 스스로 내려올 수 있을많큼 무게가 있어야한다. 파이프(65-67)의 경우 연결시 약간의 여유를 두면 연결구(68)에서 보완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 외 나선파이프(65exscrew,66exscrew)및 와이어로프(59)를 같이 조이는 방법도 [도17] 을 참고하여 결속대(29)에 결속시킨다. 고정용 도르래(61fix)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하단에 도르래(61fix)가 내려가지 않게 지지핀(81screw pin)이 있어야하는데 미리 핀(81screw pin)이 들어갈 홈(hole)(81pin hole)이 폴1(29)에 성형되어 있어야 한다.

    k.보수 대비 작업 [실시예2] 의 l. 참고

    일단 설치가 되었다하여도 강풍이나 돌발적 문제로 인해 패널(62)을 부득히 교체해야할 경우가 생긴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프레임과 패널(62)은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날개(7)의 홀더들(20,21)은 공장에서 제조시 별도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특히 하단 홀더(21)의 경우 90°회전(21roll,21rolling pin)이 가능하게 하여 패널(62)을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보다 간편하게 보수가 가능하려면 날개의 하단(21)이 이완성(flexibility)이 있거나 미닫이식이어야 한다.

    [도3] 및 [도5] 에서의 잠금장치(22)가 필요하다. 곧 잠금장치(22)의 손잡이(handle)(22handle)를 옆으로 당기면 잠금(22)에 의해 물려 있던 하단 홀더(21)가 이완되고 이때 홀더(21)의 양 끝에 있던 핀(pin)연결부분(21rolling pin)으로 인해 홀더(21)가 회전하여(21roll) 패널(62)이 빠지게 된다. 이 경우 하단홀더가 약 90°회전하여 (21roll,21rolling pin) 밑으로 내려가야한다. 곧 패널(62)을 빼려면 잠금장치(22)의 당김부분(22handle)을 옆으로 당기면 된다. 이때 날개에 들어 있던 패널(62)이 빠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잠금장치(22)가 없는 간이형(compact form)이라면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어도 천공(borings)을 통해 볼트(bolts)(20Q bolt,21R pin bolt 1,3) 만으로 하단 홀더(21)의 분리(a part)가 가능할 수 있다. 보수시 사각의 Q볼트(20Q bolt)를 푼뒤에는 하단홀더(21)의 홈(21Q hole)에 임시의 패킹(21Q pack)을 넣은뒤 하단홀더(21)을 분리하는 것이 좋다. Q볼트(20Q bolt)는 둥근 라운드형 또는 미관을 위하여 육각 또는 다른 다각형 모양일 수도 있다. 다만, 중요한 것은 날개 홀더(21)를 비롯한 프레임 각 부분이 분리(a part)될 수 있으면 설치후 보수작업이 쉽게 가능해진다. 잠금장치의 다이얼( [도19] 22dial,22geared wheel)을 이용한 하단홀더(21)의 개폐는 [실시예2] 의 l. 추후 보수를 위한 장치 편을 참고하면 된다. 물론, 잠금장치 방식(22 ,22dial)에 따라 하단홀더(21) 및 프레임의 성형(cast)은 그때마다 달라지게 된다.

    *참고) 와이어로프(59)를 폴(29,35)에 조일 때에는 [도17]과 같이 여러 가지 결속방식이 가능하며 간단히 주차장 하부 바닥에 쇄기(63wedge)를 박은뒤 폴(29,35)의 홈으로부터 와이어로프(59)를 끌어내려 홈(hole)에 연결하여 조일 수도 있다.

    *그외 참고사항

    위의 주차장 지붕은 고착식(immobile style)이며 개방형(open and closing style) 또는 개폐식(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style)이 아니다. 고착식은 여러 분야로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인도와 일부 차도에도 설치가능하며 건물의 옥상 및 베란다 등에도 설치가 쉽다는 점이다. 특히 학교의 옥상 및 온실에서는 여름철 차양 효과가 클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 농촌에서는 프레임([도2],[도26]등)및 수평지지대(24)등을 구부려 와이어로프(59)를 이용하여 조립할 경우 일부 비닐 하우스를 대치할 수도 있다. 기타 응용에서는 태양열 발전을 위한 기본 집열판도 [실시예 1]등에서와 같이 대형화하여 조립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발전및 기타에 필요한 각종 전지 등에 대해서는 본 특허의 내용에 포함하지 않음이 옳으며 별도로 간주하여 더 이상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개방형과 아울러 자동개방형 차양 지붕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실시예 2] 에서 하기로 한다.

    차양막이 개폐되는 경우의 야외 주차장 차양지붕 설치

    개방이 가능한 지붕(roof)은 [도20] 에서처럼 프레임의 특징이 달라진다. 곧 패널(62)과 프레임이 하나로 연결되어 일체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나 강화유리의 경우 무겁기 때문에 프레임 설치도중 위험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강화유리의 경우 폴더형 패널 또는 접이식([도21])을 따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착식과 특징이 다른 이유는 우선 패널(62)을 삽입하는 홀더(holder)가 하나라는 점이다. 대신 홀더에 고착된 패널(62)을 횡렬이 다른 옆의 다른 프레임( [도16] 참고 )에 부착된 작은 받침대(rack)(7rack)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제조시 연결구( [도14] 의 68)를 프레임의 통과구(18)로 이용하면 프레임과 프레임이 서로 완전 밀착되지 않고 패널(62)이 별도로 움직일 수 있게하여 각 프레임을 위아래로 올릴 수도 있다. 다만, 프레임 단독으로는 개폐에 한계가 있으므로 주차장이 소규모의 경우에 적합하다.

    아울러 고착형일지라도 드문드문 일부를 통풍과 환기의 목적으로 연결구(68)를 이용하여 단독 개방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22] 에서처럼 별도로 횡렬 라인별로 일체형이 된 경우는 라인 자체를 회전축(74rotate axis)을 이용하여 들어올릴 수 있으며 주차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자신호로 연결하여 동시에 올릴 수도 있다. 그 중 [도24] 에서는 자석이송시스템에 대한 설명이며 [도24a] 에서는 잠금장치에 대한 부가설명이 들어간다. 그리고 설명을 쉽게하기 위하여 [도24] 와 [도24a] 를 [도24] 로 통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도24a] 는 종래의 잠금방식(locking methods) 또는 스타퍼(stpooer)방식으로는 까다로울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며 종래의 방식은 본 특허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전자 제어 구조인 개폐형에서의 초대형 주차장의 경우 태양열 발전 시스템에 결부시킬 수 있으나 본 특허의 범위를 초과하여 자세히 기술하지 않고자 하며 일반적 제어 시스템의 프레임설치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밖의 내용은 참고사항만 기술한다.

    a.빔(beam) 세우기- [실시예1] 의 a.참고

    b.수평 지지대(平支持坮,horizontal supporter)와 결속대(結束臺,binding axis pole=pole) 세우기- [실시예1] 의 b.참고

    이때의 수평지지대는 [도22] 에서와 같이 입방형 수평지지대(quadrangular formed horizontal supporter)(79)이며 폴역시 미니폴(mini pole)1(78)으로서 외부덮개(cover)(78cover)를 통하여 베아링(77bearing)과 같이 미리 조립(assembling)되어 있어야 좋다. 입방형 수평지지대(79)는 미니 폴(78)1이 들어 갈 수 있는 홈들(79hole)이 있어야 한다.

    c.종렬(縱列,ordinate line) 로프 설치하기- [실시예1] 의 c.참고

    d.로프에 고리걸기- [실시예1] 의 d.참고

    e.프레임(frame,型) 연결하기전 선작업- [실시예1] 의 e.참고

    f.프레임(frame,型) 연결하기- [실시예1] 의 f.참고

    [도20] 에서는 프레임2형이 소개되어 있는데 몸체(body,身體)(6)모양은 원통형이거나 육면체 모양일 수도 있다. 개폐형(開閉形)지붕에서의 프레임이라도 패널부분(62)을 따로히 분리(separation,分離)할 수는 있다. 한편,프레임 연결은 [도18] 에서와 같이 와이어로프(59)로 연결하면서 파이프(65-67)로 프레임속에 넣어 연결하는 것이 좋다.

    파이프(65-67)는 프레임속에 꼭 끼어야하며 (fitness not to escape) 서로를 연속으로 이어가야하므로 나선(screw)이나 요철(depression and prominance)로 연결되야 한다. [도14] 의 68에서와 같이 파이프(67)및 그에 맞는 연결구(68)는 프레임에 직접 결부되어 제작이 가능하다. 프레임2형에 있어서 단독형 개폐가 가능하려면 파이프(67)형 통과구(18)는 프레임에 미리 고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결국 각 프레임을 연결한다는 것은 각 파이프(67)를 연결하는 것과도 같아서 서로를 단단히 얽혀주고 또한 볼트(67pin bolt)와 핀등이 없이 쉽게 분리가 가능해야한다. 연결구(68)로 인해 쉽게 개폐가 가능하지만 프레임이 아주 많은 주차장에는 부적합하다.

    g.이동형 임시 폴 - [실시예1] 의 g.참고

    h.횡렬(abscissa line)에서의 와이어 로프에 대하여- [실시예1] 의 h.참고

    i.패널이 따로 있는 경우의 패널 끼우기- [실시예1] 의 i.참고

    패널( [도4] 의 62)을 따로 분리한 경우 [실시예1] 의 i 에서와 같으며 다만 날개의 홀더(holder)(7)가 하나이기 때문에 받침대(7rack)가 같이 결부된다. 특히 강화유리 패널(62,62dual)의 경우 고리(1)의 위치가 [도20] 에서와 같이 조금 뒤편에 있다. 그것은 설치시 패널(62,62dual)의 무게를 고려해서이다. 프레임의 몸체(6)의 길이와 홀더 날개(7)의 길이는 대개 같음이 좋다

    패널(62)의 움직임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탈방지 핀볼트(21R pin bolt 1,2,3)가 후미(10)에도 반드시 필요하며 후미(10)와 양 쪽 요철(62p&ds)사이에 천공(62h)으로 한 개이상 두어 고착시켜야한다. 듀얼패널(62dual)의 경우 상판(62dual upper)은 제조시 따로히 한 장을 덮거나 아니면 한 장의 양쪽에 요철을 구분해야한다.

    j프레임(frame,型)을 결속대(結束臺)에 연결하기- [실시예1] 의 f.참고

    [도20] 에서와 같이 개방형 프레임의 경우 결속대는 미니폴1(78)으로서 프레임의 축(shaft)(74rotate axis)에는 와이어로프(59)보다는 로드(64) 및 파이프(65-67)와 연결구(68)가 더 중요하다. 이때 축(74rotate axis)은 대개 150°까지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회전판(75geared wheel)과 외부베아링(77bearing)이 필요하며 프레임및 프레임끝의 잠금장치(16)는 축(74rotate axis)에 연결되어 있는 톱니바퀴(75geared wheel)의 홈(74pipal lock hole)에 고정되어(17,74pipal lock) 져야하는데 외부베아링(77bearing)을 통하여 축(74rotate axis)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75geared wheel)의 연결대(74pipal lock)와 프레임의 잠금장치(16)는 횡렬라인(abscissa lines of frame)이 길면 강한 금속성으로 결합하여야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연결대(74pipal lock)대신 나선홈(74screw)이나 하우징(74housing)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먼저 하우징(74housing) 조립을 보면 [도22]의 왼편에서와 같이 프레임의 통로(13,15,18)의 모양(19form)및 그에 들어가는 로드(64flat,etc,.)의 단면을 다각형으로 하는 경우 바로 연결함이 가능하며 이때에는 [도20]의 후미(15)에서의 잠금장치(16)가 없이 후미(15)를 단면이 마름모 또는 다각형으로 만들어 전방대구(13)역시 같은 모양으로 하여 연속으로 연결한뒤 회전판(75geared wheel)에도 같은 모양의 하우징(13)을 두거나 나선연결이 가능해야한다. 한편 다각형대신 나선연결일 경우 프레임 후미(15)가 없이 원형의 통로후미(18rear)에 나선(screw)을 두어 [도13] 에서의 보조 로드및 파이프(64sub-66ex sub)를 이용해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회전판(75geared wheel)에는 다각형의 하우징(74housing) 또는 나선홈(74screw)이 가능하며 다각형의 하우징(74housing)일 경우 간이형이므로 비교적 규모가 작은 주차장에서 가능하다고 본다. 이때 프레임등의 그 단면 모양에 따라 주의해서 제작해야 한다. 프레임의 회전축(74rotate axis)막대(shaft)가 회전판(75geared wheel)의 뒤(rear)와 속(inner)에 붙어있는 일체형의 경우에는 회전축(74rotate axis)의 속에 단면이 다각형인 로드(64flat)가 들어갈 수 있는 다각형의 하우징(74housing) 또는 단면이 원형인 나선로드(64)가 들어갈 수 있는 나선(74screw)이 있어야하며 그리고 다시 회전축(74rotate axis)의 단면 모양(aspected form)에 따라 연결될 로드등(64flat,etc,.)의 잠김 하우징(74housing) 또는 나선(screw)의 모양이 달라진다. 곧,회전판(75geared wheel)의 내경 하우징(74housing)의 모양 또한 통로(18)를 마름모형등의 다각형으로 하였을 경우 속에 들어가는 로드(64) 역시 다각형 로드(64flat)이어야하며 다각형인 회전축(74rotate axis)이나 로드(64flat,etc,.)의 외경모양과 같아야하고 그 속의 회전축(74rotate axis)의 하우징(74housing)은 프레임의 연결통로(13,18)와 같은 모양이다. 회전축(shaft)(74rotate axis)이 분리된 경우도 가능한데 회전판 또는 톱니바퀴(75geared wheel)와의 지름을 라인마다(by abscissa lining) 달리할 수가 있으며 보다 다양한 종류의 외경을 갖는 회전축(shaft)(74rotate axis)및 내경의 회전판(75geared wheel)이 가능해진다. 한편 회전판(75geared wheel)과 회전축(74rotate axis)이 분리형인 경우 회전판(75geared wheel)의 속에도 별도의 하우징(75wheel housing)조립이 가능하며 직접 회전축(74rotate axis)의 하우징(74housing)에 프레임대신 앞서의 로드(64flat,etc,.)등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될 로드(64flat,etc,.)에 의해 그 다각형으로서의 모양이 달라진다. 물론 여러 가지 다각형(poly-gonal shape)이 가능하며 공차적 틈(interval of allowance)이 없는 것일수록 유동적이지 않게 된다. 연결후 핀(74pin)과 너트(74pin nut)로 연결홈들을 연결할 수 있다. 안내선(lead lines)이 있으면 연결홈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별도로 연결구( [도15] 의 68)를 참조하여 나선있는 로드및 파이프(64-67screws 참조)로서의 주축(74axle)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요철을 두어 잠긴 로드(64flat,etc,.)등이 유동성없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되면 축(shaft)(74rotate axis)과 톱니바퀴(75geared wheel)와의 연결은 둥글지 않음으로하여 유동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됨을 필요로 한다. 프레임은 회전축(74rotate axis)이나 주축(74axle)에 연결된 로드및 파이프(64-67screws)로 이어질 경우 로드및 회전바퀴(75geared wheel)의 하우징(74housing,75wheel housing)에서와 같이 그 홈(13,15)의 앞에서 본 모양(19form)은 [도22] 의 왼편및 [도26] 에서와 같이 마름모형(rhombus formation)이나 사각모양(quadrangular formation)등 비구형(non-rounding formation)이면 회전축과의 연결이 원활할 뿐 아니라 후에 보수작업이 쉽게 가능해진다. 다만 연결구([도14],[도15] 참고)의 모양은 원형(rounding formation)을 유지해야하는데 로드(64flat,etc,.)의 모양을 일부 변형해 연결부분을 따로히 원형으로 성형하게 된다. 연결구(68)양식(style)을 프레임과 프레임에 두어 각 프레임마다 개폐형이 가능하더라도 속에는 가능하면 로드및 파이프(64-67screws)가 들어가는 것이 좋다. 공차적 빈틈을 최소화하여 가능하면 빈틈이 없는 세심한 조립(scrutiny assemblings)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 연결마다 하단의 m.그밖의 작업과 참고사항편에서의 열팽창지수에 따른 여름철의 인장(tensioning with themals)문제를 대비한 특별한 *틈(interval,vacancy)이 있으면 좋다. 한편,원할한 회전을 위해 베아링(77bearing)이 들어가는 커버(78cover)홀 속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조링(77spiring ring)등이 같이 들어갈 수 있으며 그것은 베아링(77bearing)과 커버(78cover)홀등의 연결면과의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하우징(housing)(74housing,etc,.)이나 홀(hole)등의 연결부분에 방수패킹(rubber packing)(74rubber ring)등이 필요하며 성형(cast)은 도면을 참고하기 바란다.

    k.프레임과 유도이동(誘導移動) 수평판과의 연결

    유도이동(inducted moving,誘導移動) 수평판(75geared board)은 패널(62)의 개방(open panel)이 가능하기 위해서이다. 패널(62)마다 받침대(7rack)에 올려 있거나 또는 [도4] 에서의 Dual style(이중패널)에서의 패널(62)을 한꺼번에 위로 들게되면 해당 패널(62)들이 개방된다. 눈과 우박이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그때마다 신속히 패널(62)을 개방시키려면 전자제어장치(electric controlled devices,電子制御裝置)로 개폐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은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移送體系) 또는 자석류(magnetic sorts,磁石種類)이다. 컨베이어 시스템(76conveyor system)은 모터(motor)가 필요한데 모터는 전자기력 방식으로 새로이 개발될 소지가 있으며 본 특허에서는 범위를 초과하여 소개하지 않는다. 여하튼 기존 컨베이어 시스템및 모터로는 경우에 따라 수십톤에 이르르는 전체 지붕 덮개(roof)를 한꺼번에 개폐시키기가 곤란하다. 한편 비교적 중소형 주차장에는 일찍이 자동차에 응용되어 쓰이고 있는 로드이송장치(rodal transit moving methods,竿移送裝置)가 가능하다. [도23] 을 보면 간략적인 수평이동판(75geared board)의 역학이동(dynamic moving)을 이해할 수 있다.

    먼저 회전핀(93pin roll)에 의해 수평이동판(75geared board)에 연결된 막대(rod,竿,棒)(93connector)의 위치(93start)를 회전판(93wheel)의 한쪽에 약 29° (또는 그전후) 경사로 두어 이동판(75geared board)에 접목시키면 회전판(93wheel)의 회전에 따라 이동판(75geared board)이 이동한다. 이때 체인(94chain)은 회전판(93wheel)의 중심(centering)(93wheel roll)으로 이어지거나 또는 회전판의 외부둘레(outer circumference)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회전판(93wheel)이 한방향으로 회전(one way rotation)하면 이동판(75geared board)이 회귀(return,回歸)할때 [도23] 에서와 같이 공차(公差)(93allowance)부분이 발생한다. 이 공차는 역회귀(reentrant length)인데 이로인해 각 프레임들의 회전축(shaft,回轉軸)(74rotate axis)이 부분적으로 역회전하므로 이것을 막기위해서는 공회전(空回轉)해야하며 수평이동판(75geared board)의 접합 부분에 빈 틈(75space)을 두거나 축(74rotate axis)이 스스로 공회전(no-load rotation)(75alternative)하게 해야한다. 이것을 보완하여 양방향 조절(both way control) 개폐장치(switch gear)가 가능한 도르래(pulley)(94 geared pulley)및 체계(system)가 필요해진다. 이로인해 소형 주차장에는 회전판(93wheel)의 회전방향(direction of rotation,回轉方向)이 좌우(left and right,左右) 또는 시계와 반시계(watch and anti-watch direction) 양쪽이 가능하게 하여 막대(93connector)가 [도23] 에서의 ae사이를 왔다갔다 할 수 있다. 실제로는 이러한 방법이 보다 적당하나 역시 일반 모터(motor)로 작동하기에는 아주 큰 질량(mass≒weight)을 실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주차장의 규모에 따라 가능하려면 우선 각 프레임마다의 개폐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22] 에서와 같이 프레임들의 회전축(74rotate axis)은 톱니의 이동판(75geared board)및 톱니바퀴(75geared wheel)를 필요로 한다. 톱니바퀴(75geared wheel)는 회전을 원활히하게 하는 베아링(bearing)(77bearing)내부에 연결되어 축(74rotate axis)과 같이 회전할 수 있어야한다. 프레임및 프레임끝의 잠금장치(16)는 축(74rotate axis)에 연결되어 있는 톱니바퀴(75geared wheel)의 홈(74pipal lock hole)에 고정되어(17,74pipal lock) 축(74rotate axis)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된다. 모터등으로 수평이동판(75geared board)이 밀리면 축(74rotate axis)이 회전하여 축(74rotate axis)에 연결된 프레임들이 회전하여 각 패널(62)이 열리거나 닫힌다. 이때 회전을 원활히 하는 보조장치가 필요하다. 우선 회전장치(rolling system)의 가속도(加速度)성 역할(function of accelerations with roll)이 가능하다. 곧, [도22] 하단의 원으로 둘러쌓인 그림에서의 롤러(roller,回轉裝置)(75roller)를 첨부할 수가 있다. 롤러(75roller)는 이송시스템과 병행하여 이동판(75geared board)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만한 수평이동및 축(74rotate axis)의 회전이 가능하려면 롤러(75roller)의 회전력과 주차장의 규모등에 대한 기술적인 선행(pre-doing of engineering analysis)이 필요하다. 그러나 롤러(75roller)로는 대형 주차장에는 여전히 무리가 생길 수 있다. 더구나 큰 주차장에는 보다 안정적인 콘베이어 시스템(76conveyor system)이 필요하다. 콘베이어 시스템(76conveyor system)은 톱니가 있는 콘베이어 벨트(76geared belt)가 있으며 수평이동판(75geared board)을 대치한 것이다. 당연히 모터가 결부되야 한다.

    l.추후 보수를 위한 장치- [실시예1] 의 k., [실시예4] 의 j.,k. 참고

    한편 다이얼(dial)장치를 이용하여 하단 홀더를 프레임 속으로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날개(7)의 하단(21)은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다 다시 펼칠 수도 있다. [도19] 에서의 하단에 있는 다이얼(22dial)을 반시계 방향으로(반원형 화살표 방향의 왼편) 돌린다. 그러면 프레임속에 이어진 회전판(22geared wheel)이 같이 회전하며 직선형 톱니(22geared bar)가 프레임의 안쪽 곧 패널(62)의 반대편으로 횡축 이동(직선형 화살표 방향의 왼편)하게 됨이다. 동시에 그에 잠겨 있던 하단 홀더(21)가 잠금이 해지되어 핀(21pin)이 있는 롤장치(21pin roll)로 인해 밑으로 회전하여 [도5] 에서와 마찬가지로 위에 있던 ( [실시예1] 의 k.참고) 패널(62)이 빠질 수 있게 된다. 핀(21pin)은 고정용 핀(pin fix)과 달리 회전용(pin roll)이기 때문에 핀 홈(port)(21pin port)의 접착면이 아주 매끄러워야(flat,smooth) 한다. 한편 파이프(65-67)나 차양판(62)에 별도의 홈(hole)을 내어 조명(lamp)등을 설치할 경우가 생긴다. 이때 너트(nut)를 패널(62)안에 올리기 곤란해진다. 이때 발(leg)과 같은 모양의 너트형 조임쇠(fastener)가 가능하다. [도28] 를 보면 2개이상의(multi or poly) 복합발구조(poly legging nut type)의 발모양(legging nut) 내부너트(fastener or nut)(73legging nut)가 가능하며 발(73leg)은 2단 또는 3단의 받침(step)이 있어서 대상(object)의 바닥(surface)에 부드럽게 진행하게(moving smooth)한다. 물론,경우에 따라 발(73leg)의 펴지는 각도(unfolding angle)에 따라 각 받침대(73step1,73step2,...)가 그때마다 달리 벽면(wall)에 부착 가능하다. 곧,면적이 좁은 공간(space)에서 가능하기 위해서이지만 이때 발(73leg) 주변에 반드시 울타리(barrier)가 있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발(73leg)은 최대이각(maximum angle)으로 인해 바닥에 내려앉게 된다. 최대이각은 볼트 길이방향(length's direction)으로부터 30°가 적당하나 경우에 따라 60°이상까지도 가능할 수 있다. 최대이각으로 되기위해서는 발(73leg)은 회전핀(73pin)에 의해 회전하는데(rotates on rolling by moving) 하단에 걸림쇠(73sus)가 있어서 발(73leg)이 일정한 각도이상으로 벌어지지 않게 만든다. 또한 각 발(73leg)은 베이스(73base)와의 사이에 피복 덮힌 인장스프링(73tension)으로 인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피복은 스프링(73tension)의 선의 가닥(thread or strand)을 감싼 모습이어야 한다. 베이스(73base)는 통이므로 앞쪽에 뚜껑 또는 먼지덮개(71cover)를 씌운다. 뚜껑(71cover)은 탄력성(flexibility,彈性)이 좋아야하며 손잡이 꼭지(tap)가 있기 때문에 도구등으로 빼낼 수 있어야 한다.

    홈(hole)에 너트(73legging nut)와 볼트(72bolt)가 붙어 있는 일체형 볼트(71dial bolt)를 넣은뒤 외부너트(72nut)로 조이면 안쪽의 볼트(72bolt)의 경사면(91 slope)에 의해 발(73leg)이 벌어지며 벽(wall)면에 발의 스텝(73step1,73step2,...)이 서서히 부착된다. 발(73leg)의 최대이각(utmost angle,最大離角)은 통형(桶形)의 베이스(73base)의 옆(발과 같은 방향)의 길이에 좌우되는바 인장스프링(73tension)의 부착점의 위치에 관련된다. 풀러(fuller)(71full)에 의해 어느정도 방수(waterproof,residence of water)가 가능하다. 풀러(71full)는 대상체의 홈(object's hole)안에 들어가되 내부에 나선이 가능하며 홈(object's hole) 길이에 맞추어 미리 나선으로 조일 수 있다. 볼트(71dial bolt)를 다시 빼려면 외부너트(72nut)를 반대로 돌리면 된다. 이와 같은 텐션 볼트 기능(tensioning fasten skill,引張*

    機能)은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진 패킹볼트(91)및 고리로 이루어진 환볼트(91M)로 대치가능하다.

    *참고[=헌과 흔]

    m.그 밖의 작업과 참고사항 - [실시예4] 의 l.참고

    설치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폴1(29)의 와이어 로프(59) 끝에 있는 도르래(pulley,滑車)(61)는 제거할 수 있으며 고착(61fix)시킬 경우 추후 겨울철에서 신축성(flexibility)이 있으려면 여름철에는 약간 느슨하게 와이어 로프를 풀 수도 있다.

    차양막이 개폐되는 경우의 야외 주차장 차양지붕(강화유리형) 설치

    개방(open,開放)이 가능한 지붕(roof)종류중 [도21] 에서처럼 강화유리의 경우 폴더형 패널(folderic panel,折疊式) 또는 접이식(70arm1,2)을 따로히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이중패널(62 dual upper)이 별도로 움직일 수 있게하여 위아래로 올릴 수도 있다.

    a.빔(beam) 세우기- [실시예1] 의 a.참고

    b.수평 지지대(水平支持坮,horizontal supporter)와 결속대(結束臺,binding pole=pole) 세우기- [실시예1] 의 b.참고

    c.종렬(縱列,ordinate line) 로프 설치하기- [실시예1] 의 c.참고

    d.로프에 고리걸기- [실시예1] 의 d.참고

    특히 듀얼패널(62dual) 프레임의 경우 연결된 부분은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은 내릴 때 다른 패널(62,62dual)위에 정확히 올려지기 위해서이다. 설치자의 설치 작업을 원할히 하기위해 프레임 윗부분에 손잡이(6lifter)를 붙일 수도 있다. 다만 강화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패널(62,62dual)에서의 프레임의 경우 미관을 고려하여 손잡이(6lifter)가 없이함이 바람직하다.

    e.프레임(frame,型) 연결하기- [실시예1] 의 f.참고

    이중패널(62dual) 프레임의 경우는 무겁기 때문에 따로히 분리해야하며 이 경우 [도21] 에서와 같은 접이식이 좋다. 접이식의 경우 [도20] 에서의 받침대(7rack)가 없어도 된다. 접이식의 경우 [도18] 에서와 같이 와이어로프(59)로 연결하면서 파이프(65-67) 또는 연결구(68,68incon,68incon taper)로 프레임속에 넣어 연결하는 것이 좋다. 로드,파이프및 연결구(64-67,68,etc,.)는 프레임속에 꼭 끼어야하며(fitness not to escape) 서로를 연속으로 이어가야하므로 나선으로 연결되야 한다. 이때,개별적으로 개폐가 필요한 경우 로드및 파이프를(64-67) 나선 연결로 하지 않는다( [도14] 참고). 나선연결의 경우 개폐전의 나선 감김 위치와 개폐후의 나선 잠금 위치가 달라지므로 단독 개폐방식으로는 하지 않는다. [도27] 은 연결구(68)의 조립순서를 나타낸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들어가는 모습이며 단독 개폐형 프레임 연결의 대상체는 [도14] 에서와 같은 연결구(68)및 평파이프(67)와 같은 지름으로서 내외경 나선이 없어야 한다.

    f.패널 끼우기 - [실시예1] 의 i.참고

    프레임의 옆면에 프레임( [도21] )과 패널(62)의 연결부분(69con base)이 있다. 공장에서 미리 볼트(69base bolt)와 너트(69base nut)로 조인다. 패널은 [도4] 의 하단 dual style(양면 양식)(62dual)에서와 같이 하단에는 패널(62)을 그대로 하며 위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패널 상판(upper plate)을 한 장 더하거나 제조시 위아래 좌우 양쪽에 요철차이를 둔다. 곧,한쪽은 하단(62)이 있고 다른 쪽은 그위에 올려지는 상단(upper layer)(62dual upper)이 있다.

    g.프레임과 유도이동(誘導移動) 수평판과의 연결- [실시예1] 의 k.참고

    [도22] 의 오른편 강화유리형 프레임(frame 3)은 왼편의 보통 개방형(frame2)과 축(74rotate axis)에 연결되는 방법이 같다. 곧 프레임마다 연결구(도 14의 간이형 68 및 도 15에서의 하단의 68incon,68incon taper 참고)로 연결하면 횡렬라인별로(by the one of abscissa lines of framed panel) 또는 단독으로(by each panel) 개폐할 수 있다. 곧, 모든 라인마다 같은 축연결방법(도15에서의 하단의 68incon,68incon taper 참고)이지만 부분적으로 핀(67pin bolt)과 결부하여 단독개폐형(도14및 도2,도20,도26에서의 13.,15.,18. 참고)이 있을 수 있다. 축(74rotate axis)을 이용한 자동개폐형의 경우 겨울철 눈(snow)이 쌓이거나 등의 이유로 무거워진 패널(62dual)의 무게와 파손시(damages)및 기타문제등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 개폐시 전부(all) 또는 일부(partial abscissa lined panels)가 작동이 안될 수가 있다. 이 경우 손으로(by manual) 일일이(of each panel)의 수동형 오프닝(handy opening)이 유효할 수 있다.

    이하생략 및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4] 참고

    간이형 차양지붕(홀더형) 설치

    [도26] 은 중소형뿐 아니라 대형 주차장의 경우에도 적용되는바 중소형에서는 비교적 프레임의 길이가 길거나 하나의 횡렬 라인에 하나의 프레임만으로도 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도26]의 홀더형 프레임을 참고하여 아래내용을 기술하였다.

    a.빔(beam) 세우기 -[실시예1] 의 a.참고

    b.수평 지지대(水平支持坮,horizontal supporter)와 결속대(結束臺,binding pole=pole) 세우기 -[실시예1] 의 b.참고

    c.종렬(縱列,ordinate line)에 와이어로프 설치하기 - [실시예1] 의 c.참고

    d.로프에 고리(ring) 걸기 -[실시예1] 의 d.참고

    여기에서의 고리는 임시형 밴드 고리(provisional band ring)(11band ring)이다. 홀더형 프레임에 설치전 미리 조립되어 있어야하며 분리할 때에는 하단의 나선 고리(1)를 돌려 스크류된 부분(11screw)이 밑으로 나오면 스크류된 부분(11screw)에 걸려 있는 이음쇠(hook lock)(11banding)가 풀리며 밴드(11band ring)가 벌어지게 된다. 중소형의 경우 대형 프레임과 달리 프레임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밴드고리(11band ring)가 프레임의 양쪽에 두개이상 설치되어야 한다. 대형주차장의 프레임은 비교적 짧아야한다. 그것은 설치후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중소형의 경우 프레임의 길이가 긴많큼 모양도 다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62)의 크기나 모양(휘어진 정도)도 다양해진다. 물론 고리2형과 3형을 전기배선을 위해 아래에 따로히 만들 수도 있다.

    e.프레임(frame,型) 연결하기전 선작업 -[실시예1] 의 e.참고

    조인트 박스는 홀더형으로서(60Joint holder) 조절볼트(control bolt)(60Joint bolt)는 상하형 2개및 좌우형 2개 어느 것이든 무방하며 또는 지붕 경사도(degrees: the slope on angle of sleeves)및 높이 차이에 따라 4개형이 필요하다. 폴1(29)에 홈(30hole)을 내어 연결하거나 프레임 1형의 조절볼트(50Joint bolt,57Joint bolt)와 같이 폴(29)밖에 위치해도 된다. 조인트 박스 2형은 양쪽에 미리 설치한다. 조절볼트가 4개인 경우 지붕의 경사가 높은 경우에 필요하다.

    f.프레임(frame,型) 연결하기 -[실시예1] 의 f.,i. 참고

    프레임은 위의 상단홀더 하나(20)와 아래의 하단홀더(21)에서의 대칭적(symmetric) 동형(same figures,同形)의 둘(21left,21right)로 이루어진 홀더형 프레임이다. 이것은 플라스틱(plastic)으로 성형되는 것이 좋으며 메탈(metal,金屬)로 하여도 된다. 메탈일 경우 강화유리로 된 차양판(62)이 가능하다. 공장에서 미리 상단(20)과 하단(21)이 사각 핀볼트(20Q bolt)에 의해 조립되어 있어야 하며 설치전 임시형 밴드 고리(11band ring)로 이미 묶여 있어야한다. 사각 핀볼트(20Q bolt)가 들어가는 홈(20Q hole,21Q hole)은 볼트(20Q bolt)에 맞게 사각입방형 모양이다(경우에 따라 볼트몸체는 모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둥글거나 그 밖의 모양도 가능하다). 볼트(20Q bolt)의 몸체에는 사각기둥(quadrangular figured or quadrangular cubic pillar)모양이 적당하며 또한 그밖의 모양도 무방하다. 헤드부분은 [도26] 의 오른편 위를 참고하여 둥글거나(A) 육각형(B) 또는 사각(C)일 수 있으며 이물질(another materials,異物質)의 오염을 막기위해 홈(20Q hole)을 충분히 덮을 수 있어야 한다. 방수도 가능해야 좋다. 그러나 너트(21Q nut)가 감기는 하단(20R pin screw)은 둥글게 나선이 되어야한다. 위(20)에서 아래(21)로 볼트(20Q bolt)를 내린뒤 하단홀더(21)의 밑에서 너트(21Q nut)로 조인다. 이것은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어야 한다. 홀더(20,21)를 결속할 뿐 아니라 후에 보수작업시 필요하므로 잠금과 풀림이 가능해야한다.

    공장에서 사각핀볼트와 너트(20Q bolt,21Q nut)가 조립된뒤 다시 또 하나의 핀볼트(21R pin bolt1,3)는 나선(20Q screw)이 하단 홀더(21)가 아닌 상단홀더(20)에 우선적으로 있어서 설치 현장(field of construction work ,設置現場) 곧 주차장(parking lot) 현장에서 조립해야 하는데 하단홀더(21)의 아래(21)에서 위(20)로 조립하게 된다. 모양은 일반 핀볼트와 같이 둥근 원기둥(cylinder)모양이다. 나선화되어 있는 부분(21R pin screw)과 나선없이 원기둥 부분(21R flat)으로 나뉘어지며 패널의 요철(62 p&d)에 포함될 부분에는 반드시 나선없이 원기둥 부분(21R flat)이어야한다. 상단홀더의 홈(20R nut hole) 윗부분은 막혀 있어야 하며 상단홀더(20)의 홈(20R nut hole)속에는 반드시 나선(screw)이나 너트(20R nut)화되어 있어야 한다. 둥근 핀볼트(21R pin bolt1,3)의 조립은 하단의 i.패널 설치시 가능하다. 밴드고리(11band ring)에 장착되어있는 고리(1)는 돌릴 수 있으므로 프레임끼리의 마찰이 없도록 조금씩 돌려 놓아도 된다. 아래에 전기선(electric wire)등을 위해 또다른 고리(another ring1,2)를 설치할 수 있다.

    g.횡렬(abscissa line)에서의 와이어 로프에 대하여- [실시예1] 의 h.참고

    와이어로프(59)또는 로드,파이프(65-67)가 들어가는 두 홀더(20,21) 사이의 홈(15)의 모양(19form)은 마름모형(rhombus formation)이나 구형(round formation)이거나 또는 사각모양(quadrangular formation)일 수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와이어로프(59)대신 그에 맞는 로드(64)및 파이프(65-67)에 따라 상하(20,21)의 홀더형 프레임을 제작해야한다.

    h.고리밴드 제거

    홀더형에서 고리(11band ring)는 설치후 제거함을 우선으로 한다. 다만 플라스틱으로 된 성형의 경우 고리2형(1another1)과 3형(1another2)등이 있으므로 2형과 3형으로 설치했을 경우에는 제거할 필요는 없다.

    i.패널 설치-[실시예1] 의 i.참고

    패널(62)을 설치할때면 연결클립(62clip)으로 양쪽 패널(62s)을 연결하는 좋다. 클립(clip)(62clip)을 먼저 올리고 패널(62)을 올리거나 패널(62)을 올리고 클립(62clip)을 나중에 올림이 가능하며 클립(62clip)의 크기가 요철(62p&d)보다 커야한다.

    j.보수 대비 작업-[실시예1] 의 k.참고

    *수리를 위해 홀더(20,21)를 분리할 때에는 먼저 하단(21)의 둥근 핀볼트(21R pin bolt1,3)를 돌려서 빼낸다. 그런뒤 패널(21)을 손으로 지지한뒤 사각 핀볼트(20Qbolt)의 너트(21Q nut)를 돌려서 빼낸다. 하단 홀더(21left or 21right)와 패널(62)이 같이 내려오게되는데 작업이 신중해야 한다. 새로운 패널(62)로 바꿀 때에는 반대로 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단(20.21)을 조이는 사각 핀볼트(20Q bolt)가 약간 흔들려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것이 낫다. 위로 빠지는 것을 막으려면 사각 핀볼트(20Q bolt)가 미리 프레임 상단(2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낫다. 프레임의 크기(길이등)가 큰 경우 패널(62)의 설치및 분리가 까다롭다. 그러므로 대형 주차장의 경우 프레임의 길이가 짧은 것을 대량으로 이어서 붙일 수 있는 것이 낫다. 곧,고착형(immobility type in firmness system)이어야하며 대형주차장일 경우 보수가 원만하도록 적합한 소형(adapted size)을 다량으로 제작(prefabrication)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8a에서 나타내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차양지붕에는 처마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 18a는 위에서 본 일부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처마는 가장자리가 아래로 굽어진 형태로 구비되며, 차양지붕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빔(23)에서는 빔의 주위를 한 쌍의 처마가 빔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처마에서 흘러내린 빗물은 상기 처마 아래에 위치한 배수관에 모여 하수구로 흘러들어 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양지붕은 횡렬 와이어로프 대신에 파이프(6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가 연결되어서 구성되는데,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600)의 중간에는 결합구(68)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는 결합홀(672)이 형성되며,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구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축(67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는 분리가능한 두 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몸체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산을 따라 상대운동하여 두 몸체의 길이를 신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파이프가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중간에 어떤 파이프를 교체하거나 보수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결합구가 없으면 전체 파이프를 분해하여 중간 파이프를 떼어내야 하지만, 상기 결합구가 파이프의 사이에 구비되면 결합구를 돌려 두 개의 몸체의 길이를 줄이면 결합축을 결합홀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어 파이프로부터 결합구를 떼어낼 수 있다.

    결국, 결합구를 이용하면 전체 파이프를 해체할 필요없이 원하는 부분의 파이프만 교체가 가능해진다. 상기 결합구를 다시 설치할 때에는 결합축을 결합홀에 삽입한 다음 몸체를 회전시켜 두 몸체의 길이를 늘리면 결합구와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에 형성된 핀홀(676)을 통해 핀을 삽입시키면 결합이 고정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결합홀 및 결합축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홀 및 결합축을 나사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핀을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22를 참조하면, 프레임의 끝단에 연결하여 차양패널을 열고 닫게 하는 프레임회전장치(500)가 개시된다. 즉, 상기 차양패널은 일단이 하나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프레임의 랙위에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의 끝단에 연결된 프레임회전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그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차양패널의 개폐가 가능해 진다.

    상기 프레임의 끝단 및 프레임회전장치에는 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회전장치는 치차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회전장치의 선형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회전장치(500) 및 프레임의 끝단(510)에는 자석이 구비된다. 즉, 상기 프레임회전장치가 움직임에 따라 프레임회전장치에 내장된 자석의 N극과 프레임의 끝단에 구비된 자석의 N극이 가까워 오면 서로 밀어내게 되므로 프레임의 끝단에 회전력이 더욱 부가된다. 상기 프레임이 회전함에 따라 이번에는 프레임의 끝단의 S극과 프레임회전장치의 N극이 가까워지고, 이때에는 서로 끌어당기게 되므로 역시 프레임의 끝단에 회전력이 더욱 부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회전장치의 이동에 따라 프레임의 회전력이 더욱 부가되므로 프레임회전장치를 이동시킬 때 작은 출력을 사용해도 용이하게 프레임을 회전시킬 수가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9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천장이나 벽면에 두 개의 보드를 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결합기구(9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결합기구는 볼트(910), 탄성링(920), 풀러(930), 너트(9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910)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916), 납작하고 면적이 넓은 헤드(914)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와 헤드 사이에는 경사면(91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912) 아래에는 탄성링(920)이 구비된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링(920)은 두 개의 곡선로드 및 두 개의 스프링(924)을 포함한다. 상기 곡선로드의 끝단에는 상기 스프링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은 각각 곡선로드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곡선로드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선로드 및 스프링은 각각 네 개의 커버체(926)에 의하여 감싸진다. 상기 네 개의 커버체(926)는 단단한 합성수지나 금속재료로 구비되며,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링(920)의 하부에는 풀러(930)가 구비된다. 상기 풀러는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940)는 볼트(910)와 결합하여 상기 풀러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링(920)이나 풀러(930)의 단면적은 힘을 주지 않았을 때 볼트의 헤드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정이나 벽면에 결합시킬 보드 등의 물건이 있는 경우, 일정 부분에 상기 결합기구(900)가 통과할 정도로 구멍을 뚫는다. 이 구멍을 통해 결합기구(900)를 통과시킨 다음 너트를 볼트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볼트를 돌려 뒤로 다시 빼내면 볼트의 경사면(912)이 뒤로 밀림에 따라 탄성링(920)은 지름방향으로 힘을 받아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링(920)은 도 32(C)와 같이, 반대편 천정이나 벽면에 밀착하게 되어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링 대신에 날개커버(950)가 구비된다. 즉, 날개커버(950)는 볼트결합체(952) 및 고정날개(954)를 포함하며, 볼트결합체(952)에는 볼트(9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관(951)이 구비된다. 또한, 볼트삽입관(951)의 외부부에는 고정날개(954)와 연결되는 스프링(955)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날개(954)는 볼트결합체(952)와 힌지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운동은 외부 힘이 없어진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원상복귀된다. 상기 날개커버(950)에 볼트가 삽입된 후에는 뚜껑(956)을 덮을 수 있다.

    하부의 풀러(930) 및 너트(9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기구를 천정이나 벽면의 구멍을 통해 밀어 넣은 후, 볼트를 돌려 다시 뒤로 빼내면, 상기 고정날개(954)가 도 32(a)와 같이 천정이나 벽면의 반대편에서 벌어지면서 결합기구가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다.

    *참고.1-21은 프레임에서의 각 부분의 부호 설명
    1. 고리(ring)
    1another ring 1. 또다른 고리1번
    1another ring 2. 또다른 고리2번
    2. 고리의 후크장치
    3(=3connector). 고리 연결부분
    3bolt. 연결부분의 볼트 부분
    4cover. 커버링
    4screwal. 커버링의 내경 나선
    4inner packing. 커버링속의 얇은 고무패킹
    4cover packing2. 커버링을 보조하는 고무패킹
    5. 프레임의 앞부분(head of frame)
    5screwal. 선택나선 곧,프레임 앞부분에서 외경나선이 뾰족하거나 뭉특할 수 있거나 없어도 되는 부분으로 하는 것
    5threshold. 프레임의 턱
    6. 프레임의 몸체(body of frame).위의 고리및 기타등의 설치를 위해 위치 지정
    6rear. 몸통의 뒷부분
    6ring nut. 위 3의 너트 또는 나선
    6screwal. 커버링의 내경 나선과 맞물리는 프레임의 외경나선
    6lifter. 프레임의 손잡이
    7. 날개
    7rack. 측면의 패널 받침대
    8. 프레임의 길이(표시하지 않음)
    9(=9width). 프레임의 날개 돌출길이 또는 너비
    10. 홀더의 끝
    10wall. 차단벽
    10interval(=10vacant). 홀더 사이의 공간
    11band ring. 밴드로 묶는 임시형 고리
    11screw. 밴드형 고리의 나선 부분
    11nut. 밴드형 고리의 너트 부분
    12. 홀더의 앞부분
    13. 전방대구
    13connector. 전방대구의 돌출연결구
    13fitness hole. 돌출연결구가 들어가는 하우징 홈
    14. 후미(tail). 아래의 16 을 위해 위치 지정
    15. 후미 소구(small rear hole,後尾小口)
    16. 프레임후크
    17. 프레임 후크의 홈(hook's hole)
    18. 통과구(through hole,通過口)=홀더형 프레임의 홈
    18curve. 통과구 뒷면의 곡면 모양
    19form. 통과구의 앞에서 본 모양
    20. 날개의 상단 홀더
    20F fill. 커버링의 연결후 빈틈을 메꾸는 고무마개
    20F handle.위 고무마개의 손잡이(handle of filling)
    21. 날개의 하단 홀더(lower holder of wing)
    21compact. 날개의 하단 홀더의 간편형(compact type of lower holder)
    * 참고.23-46는 빔 구조에서의 각 부분의 부호 설명.
    23. 빔(beam)
    24. 수평지지대(horizontal supporter)=둥근형(straight long on rounding aspect) 또는 사각형 단면(or tube type of quadrangular aspected)
    24holes. 홈이 있는 수평지지대(horizontal supporter with holes)
    24bended. 구부러진 수평지지대(bended supporter)
    24angle. 구부러진 수평지지대의 각(angle in bended part of supporter)
    24eaves. 처마용 지지대(supporter of eaves)
    25hole. 수평지지대를 위한 빔의 홈(beam's hole for horizontal supporter)
    25another hole. 빔내 지름이 다를 수 있는 같은 모양의 다른 홈(beam's hole for another);1,2,3....
    25eaves hole. 빔내 처마용 엘브를 위한 구부러진 홈(curved hole for eaves' elb or bridge)
    26screw. 수평지지대의 볼트 나선(bolt screw of horizontal supporter)
    27nut. 수평지지대의 볼트 너트(bolt nut of horizontal supporter)
    28washer. 수평지지대의 볼트 와셔(bolt washer of horizontal supporter)
    29. 결속대 1번 (pole 1) *(약칭):폴1
    29cover. 하단의 47,56의 설치후의 방수용 덮개(water proofing cover)
    29cover lock. 위 방수용 덮개가 조인트너트에 잠기는 부분(water proofing cover lock of fastening on nut)
    29cover hole. 위 방수용 덮개의 핀홈(pin hole of water proofing cover)
    29cover pin. 위 방수용 덮개의 핀볼트(pin bolt to pin hole)
    29cover nut. 너트(pin bolt's nut)
    29suspen. 폴1의 걸림선(suspension line of pole 1)
    30hole. 와이어 로프를 위한 폴1의 홈(pole1's hole for wire rope)
    30another hole. 같은 모양의 폴1 홈(same hole of another)
    30U stable arm. 와이어로프를 묶어주는 U자형 받침기구(binder of a U letter for winding rope)
    30U screw pin. 위 받침기구의 스크류 핀(screw pin to fasten binder)
    30U screw nut. 위 스크류 핀의 너트(screw nut to fasten binder)
    30U pin hole. 스크류핀의 회전홈(pin hole of rolling)
    31different hole. 폴1내 다른 모양의 홈(pole 1's different hole of another):마름모 모양등(rhombus shape,etc,.)*본문 표시 없음
    32cylinder. 폴1의 원기둥 부분(round cylinder part of pole 1)
    32screw. 폴1의 하단 나선(screw part of pole 1)
    33nut. 너트(bolt nut of pole 1)
    33washer. 와셔(bolt washer of pole 1)
    34hole. 폴1이 들어가는 수평지지대의 홈(horizontal supporter's holes for pole 1s)
    35. 결속대 2번(pole2) *(약칭):폴2
    36hole. 와이어 로프를 위한 폴2의 홈(pole2's hole for wire rope)
    37ex screwal. 폴2의 나선 하단(lower screwal part of pole 2)
    38connector. 폴2의 나선 하단 연결받침대로서의 발(screw connector leg of pole 2)
    38in screwal. 연결받침대의 내경 나선(internal screwal part of connector leg)
    39. 큰 덮개(entiring cover)
    39small. 작은 덮개(small cover)
    40hole. 볼트 홈(hole for bolts)
    40another hole. 같은 크기의 다른 볼트 홈(same diameter hole of another)
    41bolt. 큰 덮개를 위한 핀볼트(bolt for entiring cover)
    42screw. 나선부(screw part)
    43nut. 너트(nut)
    44washer. 와셔(washer) *도면 표시없음
    45. 고무 패킹(rubber packing)=고무 바킹
    46. 밴드(band,tieing)=타이
    *참고. 이하 조인트박스등 와이어로프 결속에 대한 설명 부호.
    47. 조인트 박스(jointing box)
    47padding. 조인트 박스앞의 보충제(충격 완화용)(padding before Jointing box)
    48. 베이스(base box)
    49fasten. 조임 볼트(fastening short bolt)
    50Joint bolt. 조절 볼트(controller bolt)
    50screw. 조절볼트의 나선(screw part of controller bolt)
    51nut. 베이스 4각 너트(quadrangular nut on base box)
    52joint nut hole. 조인트 박스의 너트(nut hole of jointing box)
    52another hole. 조인트 박스의 같은 너트(same nut hole of jointing box)
    53nut in out. 박스속의 리미트 너트(limit nut)
    53another nut. 박스속의 다른 리미트 너트(another limit nut)
    54tool. 레벨러(leveler)=수직 또는 수평자
    55hole. 와이어 로프가 들어가는 홈(hole for wire rope)
    56. 후미 조인트 박스(jointing box of tail hole)
    57Joint bolt. 후미 조절 볼트(tail controlling bolt)
    58tool. 표준 표고대 셋(standard leveling set) *본문 표시 없음
    59. 와이어 로프(wire rope general)
    59steel. 스틸 와이어 로프(steel wire rope)=강삭
    59nylon. 나일론 와이어 로프(polytexted or nylon wire rope)
    59band. 와이어로프를 폴1에 묶는 밴드(band of tieing with wire rope to pole 1)
    59clip. 와이어 로프를 폴1에 묶는 클립형 밴드(clip band of tieing with wire rope to pole 1)
    59screw pin. 위 59band 또는 59clip의 나선 핀(screw pin of band)
    59nut. 너트(nut)
    59coat. 피복 호스(hose of chord)
    60Joint holder. 홀더형 조인트 박스(holderic jointing box)
    60Joint bolt. 홀더형 조인트박스의 조절볼트
    60Joint nut. 홀더형 조인트박스의 조절볼트너트
    60hole. 위 60Joint bolt가 들어갈 폴1의 홈 (hole of pole2 for control bolt)
    61. 와이어로프용 도르래 또는 릴(pulley or reel to wind rope)
    61left branch. 나선홈이 있는 릴의 왼쪽 다각형 회전 막대(left rotater of reel by a polygon aspected):12각 기둥 등(dodecagonal column shape,etc,.)
    61pulley branch. 나선 페이스너로 연결 가능한 릴의 오른쪽 회전 막대(main rotater of a reel with a screw)
    61screw. 회전막대를 연결하는 볼트(screwing bolt to connect both branches)
    61angle. 위 회전막대들의 휘어진 각(angle of branch to easy of winding)=65°-115°
    61handle. 위 막대들의 손잡이(handles of both branches)*35M handle 참고
    61cover. 위 61이 들어가는 접이식 케이스
    61cross wiring h. 와이어로프가 들어가는 61의 홈(61's hole to bind rope)
    61fix. 고정 도르래(fixable pulley with half rotation)
    61fix pin. 고정 도르래를 고정시키는 핀볼트(pin bolt to fix)
    61nut. 위 핀볼트의 너트(nut of pin bolt)
    61fix hole. 고정 도르래및 위 핀볼트가 회전할 수 있는 홈(hole in a pole to rotate pin bolt)
    61reel. 와이어로프를 감을 수 있는 릴장치(reel of winding a wirerope)
    61gears. 릴장치의 기어 톱니바퀴(geared wheel of a reel)
    61S case. 릴장치 하단에 있는 컨트롤 박스(control case of a reel)
    61S stopper. 나선으로 된 스타퍼(screwed stopper)
    61S nut. 위 스타퍼가 들어가는 사각 너트(rectangle nut for screwed stopper)
    61S dial. 위 스타퍼의 요철화된 양쪽 손잡이(both dials of a stopper)
    61S conical. 스타퍼의 원추형 부분(twin conical parts of stopper)
    61S part. 스타퍼와 사각너트가 들어간뒤 그위에 올려지는 케이스 조각 1,2(a part of joining to a reel case and on a rectangle nut 1,2)
    61S biter. 회전기어와 물리는 외톱니 1,2(single pendulum as a gearing biter 1,2)
    61S hole. 위 외톱니들이 들어가는 케이스의 하단 사각홈 1,2(hole of bitering:1,2)
    61S pin hole. 스타퍼 양옆과 외톱니들의 일치홈들 1,2(connect pin holes in case and in a biter of a pin to each biter of 1,2)
    *참고.이하 패널에 대한 부호 설명.
    62. 패널(panel)
    62dual. 이중 패널(dual panel)
    62dual upper. 이중패널의 윗부분(upper part of dual panel)
    62p&d. 패널의 요철(prominence and depression)=凹凸
    62h. 패널의 천공(hole of panel)
    62edges. 패널 옆면의 테두리(edges of panel's near side):간이형 패널형,프레임1 또는 기타
    62middle. 옆면의 중간 테두리(edges of panel's middle side):프레임1 또는 기타
    62threshold. 방수문턱(waterproof threshold)
    62out. 옆면의 바깥쪽 테두리(edges of panel's outer side):프레임1 또는 기타
    62spanned edges. 패널의 넓게 퍼진 테두리(edges of panel's span)
    62spanned (edges) rolls. 넓게 퍼진 테두리중 상하 패킹형 (packing binal edges of panel's span)
    62glued. 강성 접착제로 붙여진 부분(adhesive attached)
    62pasting. 약성 접착제로 붙여졌거나 붙여질 부분(flexible in pasting=weaken pasted or to do pasting)
    62clip. 패널을 서로 연결하여주는 패널연결장치(clip of connection between both panels)
    62packing hole. 접이식 패널의 폴더가 연결되는 홈(packing hole to connect between up and lower of panel)
    62eaves. 처마용 패널(panel of eaves)
    62bending. 처마형의 구부러진 패널(bending panel for eaves' edge)
    62corners. 처마형 구부러진 패널에서의 모퉁이에 들어가는 두 패널(bending panels for eaves'corner with left and right sides)
    *참고.이하 연결구의 부호 설명.
    68. 연결구(connector),간이형뿐만 아니라 로드형과 파이프형을 포괄함(plane style or screwing style for rod or pipe)
    68connector. 연결구의 본체(main connector of 68)
    68sub(=68taper). 보조연결구 곧 테이퍼(taper):나선을 통하여 길이 조절
    68fence 중간벽(fence on a middle of connector)=조절기(dial)
    68subfence. 테이퍼 중간벽(fence of taper)=조절기(dial)
    68fence p&d. 중간벽의 요철(p&d of fence)
    68cover. 커버(cover on a side of connector)
    68hold(=68threshold). 커버의 안전걸림턱(fence of threshold in cover to do a role of fasten)
    68sub hold. 테이퍼의 안전걸림턱(threshold of taper to do a role of fasten)
    68ex. 위의 68의 외경(external diameter of 68)
    68excon. 외경로드형 연결구의 본체(main connector for external screwing rod type)
    68incon. 내경파이프형 연결구의 본체(main connector for internal screwing pipal type)
    68excon taper. 외경로드형 보조연결구(taper for external screwing rod type)
    68incon taper. 내경파이프형 보조연결구(taper for internal screwing pipal type)
    68locker. 파이프형의 잠금기구(locker tool to fasten connecting with rubbers)
    68lock goma 1. 라커속의 양 끝이 겹쳐진 패킹 고무(flexible rubber in locker)
    68lock flex. 위의 68lock goma 1의 중심에 들어가는 구불어진 막대(flexible inner)
    68lock goma 2. 라커속의 내경이 여러 겹으로 갈라진 고무(flexible rubber 2 in locker)
    68left exscrew. 연결구의 외경왼나선(external screw part of connector by left or anti-watch direction):도면 표시는 left로 함축
    68left inscrew. 연결구의 내경 왼나선(internal screw part of left or anti-watch direction):도면 표시는 left로 함축
    68right exscrew. 외경오른나선 :도면 표시없음(external screw part of connection by right or watch direction)
    68right inscrew. 내경오른나선 :도면 표시없음(internal screw part of connection by right or watch direction)
    *참고.이하 연결구의 순서도에 대한 부호 설명.
    68M flow. 연결구의 연결 순서 a,b,c,d,e(proclaiming diagram of connection with flowing of a,b,c,d,e)
    68M interval length. 연결구의 연결 길이(connecting length of interval between two pipes)
    *참고.이하 접이식 프레임의 부호 설명.
    69conbase. 접이식 패널의 받침대 하단(lower base part of folder to support panel)
    69base bolt. 받침대 하단의 홈에 들어가는 볼트(bolt for hole of lower base part)
    69base hole. 받침대 하단의 홈(hole of lower base part)
    69base arm. 받침대 하단의 원통형 팔(hose forming arm of lower base part)
    69packing. 패킹식 받침대 하단(lower base part by packing)
    70arm1. 받침대의 팔1(arm1 of supporter):위의 69packing의 내부(innering)와 또다른 팔(arm)이 연결되거나 또는 양 끝이 구부러진 모양(with flexible ending part to bend in a 69packing's hole with another arm or bended edges to do a fixed arm with non of 70arm2)
    70arm2. 받침대의 팔2(arm2 of supporter)
    70conhole. 팔1과 팔2를 이어주는 볼트의 홈(holes to connect between supporting arm1 and arm2)
    70conbolt. 팔1과 팔2를 이어주는 볼트(bolt to holes between supporting arm1 and arm2)
    70connut. 너트(nut)
    70safe. 팔2의 하단 받침대(safer to keep the arm2 from dropping down)
    70packing. 패널과 팔2를 연결하여주는 패킹부(packing folder part with packing hole)
    *참고.이하 일체형 페이스너 또는 볼트.
    71dial bolt. 발(leg)형 일체형 볼트(legging all in one bolt with dial):101M dialing pitch
    71(=91FM1). 위 71dial bolt의 페이스너 또는 볼트 로드(fastener rod or bolt rod of 71 dial bolt )
    71thorugh. 볼트가 통과하는 연결 덮개(body cover for throughing of bolt)
    71cover. 통과홈에 덮는 뚜껑(cover for through hole of head)
    71full. 판넬이나 벽등의 홈을 메꾸어주는 풀러(fuller for fulling of hole on wall or sleeve)
    72washer. 와셔(washer)
    73legging nut. 안쪽의 발모양의 페이스너 또는 너트(legging fastener or nut inside)
    73base. 안쪽에 들어가는 발의 기반(base of legging nut inside)
    73leg. 내부 너트의 발(leg of nut inside)
    73step. 발(leg)의 끝부분 곧,벽등에 지지하는 받침 1,2,3,... (step of supporting 1,2,3,...)
    73leg hole. 발이 회전하게 될 홈(pin hole for leg's pin)
    73hook. 발의 후크 장치(hook of leg)로서 73leg hole을 대치할 수 있음
    73hook spring. 후크장치 안쪽의 인장스프링(tension spring of hook in base)
    73pin. 발이 회전하게하는 핀(pin of leg to roll)
    73nut. 핀의 너트(nut of pin)
    73sus. 발의 회전을 멈추게하는 걸림장치 및 임계벽(suspension threshold to do stop a rolling )
    73tension. 발이 되돌아오게하는 인장스프링(tension spring of leg)
    73through. 페이스너의 지름보다 큰 통과홈(through hole for fastener)
    *참고.이하 회전축 관련 부호 설명.
    74rotate axis. 회전축(shaft or axis of rotation)
    74axle. 주축(main axle as a long shaft for rotating)
    74pipal lock hole. 파이프및 프레임이 기어의 바퀴에 잠기어지는 부분(wheel's lock hole of frame or pipe): 13,64-67참조
    74pipal lock. 파이프및 프레임이 기어의 바퀴에 잠기어지는 연결대(locking connector of frame or pipe): 15,64-67참조
    74screw. 단면이 원형인 로드가 들어갈 때의 나선홈(screwed hole for rod)
    74housing. 다각형 단면의 로드가 들어갈 때의 하우징(housing for polygonal rod)
    74pin. 다각형 하우징에서의 고정핀(screw pin of fasten)
    74pin holes. 고정핀이 들어갈 연결홈들(connecting holes)
    74lead lines. 잠금의 위치를 알려주는 안내선(guide lines to know a remained length in a fastening area)
    74pin nut. 고정핀의 너트(screw nut)
    74rubber ring. 위 하우징이나 홈등의 연결시의 보조링(rubber packing ring for waterproof)
    75geared wheel. 기어의 바퀴(geared cog wheel)
    75wheel housing. 다각형 단면의 샤프트가 들어갈 때의 하우징(housing for polynomial rod and others connection of)
    75space. 수평이동판의 기어없는 부분의 들어간 곳(spacing part without gear of horizontal geared board)
    75alternative. 수평이동판 대신 축의 공회전하는 곳(alternative spacing part without gearing in axis)
    75geared board. 수평이동판(transit board with geared horizontal)
    75roller. 수평지지대 상단에 개별적으로 있는 로울러(roller on cubic supporter)
    76conveyor system.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76geared belt. 컨베이어 시스템의 벨트(geared belt of conveyor system)
    77bearing. 바퀴의 축의 외부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 to connect axis of wheel)
    77spiring ring. 위 베어링과 대상체의 회전시 마찰을 줄이는 보조링(spiring ring for soft roll)
    78. 외부베아링과 연결된 미니 폴1(mini pole 1)
    78cover. 베아링이 들어갈 수 있는 외부 둥근 커버(rounding cover of connection with mini pole 1)
    78screw. 미니 폴1의 하단 나선(screw part of pole 1)=32screw
    78nut. 너트(bolt nut of mini pole 1)=33nut
    78washer. 와셔(bolt washer of mini pole 1)=34washer
    78hole. 미니 폴1의 수평지지대 홈(horizontal supporter's holes for mini pole 1's)=35hole
    79. 입방형 수평지지대(quadrangular figure's horizontal supporter)
    79hole. 미니 폴1을 위한 홈(hole for mini pole 1)
    *참고.이하 이동용 폴(일부 예외)의 부호 설명.
    80. 이동용 폴(roving pole of transit)
    81. 지지도구의 자리를 안착되게 하는 지지볼트(rack bolt)
    81screw pin. 핀형의 가느다란 지지볼트(narrow rack bolt):폴1용
    81h. 위 81이 들어갈 홈(hole)
    81pin hole. 위 81screw pin이 들어갈 홈(hole):폴1용
    82(=82nut). 위 81의 너트(nut)
    82pin nut. 위 81screw pin의 너트(nut):폴1용
    83ring. 와이어로프를 위한 고리(ring for wire rope)=1 or 1another ring 1,2
    84tie. 와이어로프등을 임시로 묶어주는 밴드(band or banding tie on wire rope,etc,.)=46
    84binding. 위 84tie를 제외한 임시로 묶어주는 여러 가지 도구(another band or banding supplies)
    85supporting cup. 지지도구(supporting tool)로서 밑면이 없는 컵
    85supporter. 받침대(supporter,subsidiary supporting bar)
    85fasten. 지지도구의 잠금볼트와 지지도구 속의 너트(supporting tool's fastener and nut)
    86sub. 여분용 실린더(subsidiary cylinder)
    86sub2. 여분용 실린더(소)(subsidiary cylinder-small)
    87fasten. 잠금실린더 (cylinderic fastener)
    87fastener. 잠금실린더의 잠금볼트 (cylinderic fastener's bolt)
    88. 하단의 이동받침대(lower connecting supporter)
    89fastener. 이동받침대와 폴을 고정시켜주는 잠금장치의 볼트(fastening bolt of supporter to lock pole)
    90. 하단의 발(tripod,four legs)
    90wheel. 위의 90의 바퀴(wheel)
    *참고.이하 개방형 프레임의 동력 전달에 대한 부호 설명.
    93wheel. 회전판(wheel of rotation)
    93connector. 연결막대(connecting bar between wheel and geared board)
    93start. 연결막대의 초기각도(angle of attaching by a bar)
    93pin roll. 회전핀(roll pin)
    93allowance. 93wheel의 부분적 공회전으로 인한 75geared board의 공차 부분(space length of allowanced in geared board)
    93wheel roll. 회전판의 톱니로 된 연결축(centerring geared roll of wheel)
    94chain. 두 톱니바퀴식 연결축을 연결하는 체인(chain between two geared rolls)
    94geared pulley. 연결체인에 연결된 도르래(geared pulley connected of chain)
    95Magnet. 고정자석(magnet of fixing) A,B
    95still. 고정자석 A와 붙어 있는 고정판이나 로드(still board or rod of fixation)
    95still 2(=95moving). 아래의 유압실린더속에 위의 95still 옆으로 들어가는 압축스프링용 로드(moving rod with compression spring)
    95cylinder. 유압 실린더홀(oil compression cylinder hole)
    95rail. 아래의 97이 이동하는 레일(rail to move on the rod or system).
    95roller. 아래의 97하단에 있는 회전장치(roller of 97 to move on doing).
    96electronic. 전기자석(magnet of action by eletric power)
    97. 수평이동장치(movable rod or system especially in covered)
    97compre .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 or pressure spring)
    98compre air. 공기식 완화장치(air pressure regulator)
    99Magnet. 막대자석(magnet:1,2,3):1,2,3
    99rotate. 회전하는 막대자석(magnetics of rotate)
    100roll line1. 수평이동및 하단으로 이동하기전의 열림이동 임계선(suspensioning roll line 1 to move up the axis with magnetics)
    100roll line2. 수평이동및 하단으로 이동하기전의 담힘이동 임계선(suspensioning roll line 2 to move down the axis with magnetics)
    101displaying. 자석을 통한 실제 이동도구 양식의 예(reality of moving Magnetic system)로서의 시스템(system of Magnetic transit and moving)
    101spindle. NC 이동양식의 도구이며 여기에는 톱니회전막대(geared spindle),삼각추모양 등의 회전기어(conical or triangle pendulum's geared axis)및 전자제어장비(computer numerical control)등이 포함되며 도면 부호 설명은 필요치 않아 생략함.
    101object. 가공의 대상체(object to toolings or to procession)
    101supportes. NC장치에서의 받침대(supporting system of NC=numerical control)
    101moves. NC제어에서의 이동도구(movable tooled system by NC=numerical control)
    101laser. 화상카메라의 위치를 잡기위한 레이저의 거리 측정(estimates lengths by laser ray to locate each webcam)
    101laser tool. 거리 측정용 레이저의 도구(estimation tool of laser ray to estimate each webcam)*도면 없음
    101mm nano. NC제어에서의 mm와 micro,nano 등의 크기를 인식하는 화상 카메라(webcam for scrutiny of mm,micro or nano with NC system)
    101 poly. 컴퓨터 제어 수치및 각종 도면에 필요한 내접 다각형의 공식과 도면(modulings of formular to draw all perfect polygonal diagrams in a circle)
    101M sum. 무한등비급수의 공비의 역수를 이용한 유한및 무한급수(infinite claculating series to finite answered results with processed geometric sections by inversed ratio)
    101angle. 위에서의 화상카메라의 위아래 기울어진 각도(angle of frontal slopes)
    101turn angle. 위에서의 화상카메라의 좌우 변경된 각도(angle of turning inclinations)
    101NC drawing. 허수와 제곱근을 이용한 원의 모든 구간마다의 좌표 구하는 공리(diagram theory or modulings of formular to mark all coordinates on a circle with the i of imaginary number and rooted ordinating in a two dimensions)
    101NC. 화상제어에서의 수상기(displayer to watch of NC=numerical control)
    101watch into. 미세 확대용 화면(screen of watching into mm,micro or nano displaying watches and estimates)
    101horizon. 화면에서의 수평선(horizontal line on screen)
    101vatical. 화면에서의 수직선(vatical line on screen)
    101scale line. 마이크로 또는 나노등의 단위에 따른 원형 또는 사각등의 라인(circle linings or rectagular linings,etc,. by scale of micro or nano concepted)
    101changeable. 유무선 좌표 변환 방식 또는 그 변환장치(wire keyboard box or cursorings or wireless to find coordinates with methods by)
    101NT ball. 위 좌표변환장치의 마우스 볼(mouse ball of 101changeable)
    101NT simple. 눈금만큼의 이동(moves on per scale)
    101NT overs. 눈금을 몇칸 넘어 조금 많이 이동(mored moves on with some scales)
    101NT pause. 일시정지(stop temporarily)및 해지(move on possible with second click or other functioning key)
    101NT go on. 다시 이동(moves again)
    101NT emergency. 비상정지(emergency stop)=NC전체 기능 정지(key to total NC function)
    101handle. 위 변환장치의 핸들(handle of moving)
    102. 자석잠금장치(Magnetic rotation lock)
    102supporter. 위 95Magnet A,B와 아래의 102Magnet의 지지대(supporter of fixed Magnets and rotating locker)
    102rolling. 회전장치(rolling tool)
    102housing. 회전장치의 회전홈(housing of rolling tool)
    102steps. 위 잠금장치의 단계별 요철(p&d for locking by stepping grades)
    102Magnet. 회전하는 잠금장치의 고정자석(magnet of rotating locker)
    102rotate. 위 잠금장치의 잠금 부분(locking area of rotating locker):left & right
    102MY Magnet. 이동용 회전잠금장치의 더블 Y형 자석(rotationing double Y Magnet mover)
    102MY case. 위 자석이 들어 있는 케이스(case of rotationing double Y Magnet)
    102MY rolling. 위 케이스의 회전장치 박스(rolling box)
    102MY hole. 위 회전장치가 회전하는 홈(hole of roll with rolling box)
    102G Magnet. 수평이동판(75geared board)에 붙어 있는 잠금용 자석:1,2,3,4(Magnets for stopper:1,2,3,4)
    102Y Magnet. 입방형 수평지지대(79)에 붙어 있는 잠금용 Y형 자석(Y Magnets for stopper)
    *참고.이하 처마 시설에 대한 설명 부호.
    104eaves. 처마용 프레임(frame for eaves)
    104fasten. 처마용 프레임에 들어가는 페이스너(fastener for frame of eaves)
    104nut. 프레임속에 들어가는 위 104fasten의 너트(nut for fastener in frame)
    104hole. 위 너트가 들어가는 홈(hole in frame for nut and fastener)
    104bridge. 양쪽의 처마용 수평지지대(24eaves)들을 연결하여주는 엘브(elb of connecting both eaves' through curved hole of a beam)
    104corner. 빔을 에워싼 처마용 프레임(cornered frame of eaves)
    104corner lower. 위 코너용 처마 프레임의 아래로 구부러진 하단(lower curved part of cornered frame)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