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에서 야생동물 이동로가 형성된 제방용 블럭

申请号 KR1020080049963 申请日 2008-05-27 公开(公告)号 KR1020090123728A 公开(公告)日 2009-12-02
申请人 민승기; 发明人 민승기;
摘要 PURPOSE: A block for a bank in which a moving way of a wild animal is formed in a river is provided to make wild animals move freely and safely for alive. CONSTITUTION: A block for a bank in which a moving way of a wild animal is formed in a river is composed of the steps of projecting a supporting wall(68) keeping the equal interval in the upper side(89), forming an upper plate integrally, forming a moving section between support walls, forming an extension portion and a railing(80) by enlarging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projecting upwardly, and forming a road(74) moving the upper plate.
权利要求
  • 하천(62)의 가장자리의 비탈면(69)이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하상용 가장자리의 바닥면(51)에서 양측으로 내,외벽면(54)(55)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주면서 상측면(89)을 형성하여서 내측공간(65)을 형성하여 주는 동시에 외벽면(55)의 상측으로 유입구(57)를 형성하는 하천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89)의 양측으로 돌출리브(89')를 형성하여 주면서 조립구(82)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면(89)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벽체(68)를 돌출하여서 이동구간(78)을 형성하면서 상판(81)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상판(81)의 양측모서리에서 확대되는 확대부(78)와 난간(80)을 돌출하여서 이동구간로 제공하는 도로(95)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돌출리브(89')의 조립구(82)에 고정되는 경사이동로(66)를 조립하여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야생동물 이동로가 형성된 제방용 블럭.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81)의 하측면에는 요홈부(90)가 형성되는 격자빔(75)을 형성하여서 주고,
    상기 경사이동로(66)에는 보조 이동로(67)를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야생동물 이동로가 형성된 제방용 블럭.
  • 说明书全文

    하천에서 야생동물 이동로가 형성된 제방용 블럭{omitted}

    본 발명은 하천이나 유수지 및 저수지에서 일측에 구성된 제방에서 야생동물의 안정적인 이동통로용으로 구축하는 바, 상세하게는 하천수의 이송로와 도로가 형성되는 제방에서 구축되는 위치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서식을 위하는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 하천에서 야생동물 이동로가 형성된 제방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등의 가장자리에 구축되는 제방은 구축 하는 데는 막대한 량의 토석이 소요되어서 구축하는 공기 및 비용의 과도한 소비가 필요하므로 하천 이송용 블록을 제공하였으나, 이는 하천에서 블록을 건너가면서 야산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천에서부터의 벽면에 대한 높이를 통과하는데 매우 어려우며, 또한 제방용 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이동로의 통과가 지나가는 차량 등에 대하여 안전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이동구간을 제공하기 발명이다.

    또한, 하천의 가장자리에 구축하여서 하상을 구획하는 제방은, 토석을 쌓아서 구축하는데, 이는 하천의 길이에 따라 제방을 구축하기 위하여서는 과량의 토석이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토석 및 운반비용의 과다가 소요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국지적인 폭우 등으로 쏟아지는 홍수의 이송을 위하면서 효과적인 제방의 역할을 하도록 제방용 블록을 제공하여 주었지만, 이는 소정의 크기로 제공되는 블록의 외측벽면에 대한 야생동물의 이동로의 역할이 어려운 것이다.

    또한, 산업의 고도화로 인하여 블록 형태의 하수의 이송용 제방에서는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이동하는데 안전적이지 못하여서 생태계의 교란 현상까지 염려되는 문제로 발전이 되고 있는 것이다.

    즉, 현대 사회에서 산업화에 따른 지역의 개발로 인하여, 특히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개설이 야생동물의 서식구간을 건너가면서 구획되므로, 이에 따른 야생동물의 생태계의 위협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공되는 제방용 블록에서는 일측에 유입구의 형성과 동시에 내측공간으로 배수공간을 형성하여 주며, 또한 상측면의 가장자리를 양측으로 확대하면서 난간의 형성으로 도로와 같은 이동로를 형성하여서,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천의 안전을 위하여 가장자리에는 제방을 구축하여서 장마와 같은 폭우에서도 안전적인 치수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후의 온난화로 인하여 기후변화에 의하는 폭우 등의 발생을 위하여서는 안전적인 치수관리를 위하여, 종래에 대부분 사용되어온 토사 등으로 성토하여 구축된 제방을 단명이 4각형으로 형성된 블록을 제공하여 주되, 상기 블록의 일측으로 유입구를 형성하면서 내측공간으로 이송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블록의 상측면에는 양측방향으로 확대하면서 벽체를 형성하여서 차량의 이동용 도로와 이에 대한 안전용 난간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도로는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관통으로 구축되는 경우가 많은 바, 이에 따라 로드킬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여서, 더욱이 생태계의 균형적인 파괴로 연결되는 우려가 높은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하천의 가장자리인 제방의 위치에서 돌출되는 벽면의 유입부로 개방되면서 하천의 홍수의 넘쳐흐르는 물을 유입하여 유도하는 내측공간이 형성되는 배수공간으로 제공하는 블록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도로에 있어서, 하천에서 블록을 건너가면서 야산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천에서부터의 벽면에 대한 높이를 통과하는데 매우 어려우며, 또한 제방용 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이동로의 통과가 지나가는 차량 등에 대하여 안전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이동구간을 제공하기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주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천(62)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하상(71)용 가장자리의 비탈면(69)에서, 양측으로 내,외벽면(54)(55)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주면서 상측면(89)을 형성하여서 내측공간(65)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내측벽면(54)의 상측부에는 소정의 간격인 유입부(57)을 형성하면서 제방의 길이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외벽면(54)(55)의 상측으로는 상측면(89)을 형성하여 주는 블록(50)을 제공하되, 본 발명의 요부인 야생동물의 이동구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면(89)에서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벽체(68)을 돌출하여 주면서 상판(81)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지지벽체(68) 사이의 강격은 이동구간(78)을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상판(81)의 양측 가장자리를 확대하면서 상측으로 돌출하여서 확대부(78)와 난간(80)을 형성하여서 상판(81)을 이동하는 도로(74)로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야생동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동로와 도로가 형성하는 제방을 제공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1은 본 발명에 제공되는 블럭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로서 야생동물 이동로가 도시된 구조이며, 도3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로서 상판의 격자빔을 보인 구조이며, 도4은 도3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5,6은 본 발명의 요부 인 블록을 비탈면에서 사용된 구조를 보인 상태도이다.

    고로, 본 발명의 요부인 비탈면(69)이 형성되면서 도로 와 제방 등이 개설되는 하천(62)의 가장자리에서 폭우 등에 의하여 하천수가 불어나서 홍수가 방생하면, 이에 대한 하천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하천(62)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하상(71)용 가장자리의 비탈면(69)에서, 양측으로 내,외벽면(54)(55)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주면서 상측면(89)을 형성하여서 내측공간(65)을 형성하여 주는 하수용 블 록(50)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공되는 블록(50)을 하천(62)의 가장자리의 비탈면(69)에다 하천수의 유도를 위하는 제방의 목적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여서 구축하여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하천(62)에서 비탈면(69)을 이동하면서 서식을 하고 있는 야생동물의 이동에는 상기 블록(50)을 형성하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내측벽면(54)의 높이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측면(89)의 양측 가잘자리로 돌출되는 확대부(78)와 난간(80)으로 개설되는 도로(74)와 이를 지나는 차량의 이동에 의한 로드킬에 대한 위험으로, 야생동물이 용이하게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여서, 서식하는데 막대한 지장이 발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블록(50)의 크기는 제방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하천수의 배수역할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높이와 폭이 각각 2m 정도로 제공하므로 야생동물의 이동에는 어려운 여건의 제공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야생동물이 서식이나 생존을 위하여, 상기 블록(50)을 안정적으로 건너면서 이동하기 위하는 블록을 제공하기 위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면,

    하천(62)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하상(71)용 가장자리의 비탈면(69)에서, 양측으로 내,외벽면(54)(55)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 주면서 상측면(89)을 형성하여서 하천수가 홍수가 발생하여서 잉여물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는, 상기 내측벽면(54)의 상측부에는 소정의 간격인 유입부(57)을 형성하면서 제방의 길이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외벽면(54)(55)의 상측으로는 상측면(89) 을 형성하여 주는 블록(50)을 제방의 역할을 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제공하되, 본 발명의 요부인 야생동물의 안전적으로 이동하는 이동구간(78)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면(89)에서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벽체(68)을 돌출하여 주면서 상판(81)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지지벽체(68) 사이의 간격은 이동구간(78)을 형성하� �� 준다.

    여기서 설명되는 지지벽체(68)와 폭의 크기는 야생동물이 자유로히 이동하도록 높이와 폭을 각각 1m정도의 크기를 유지하여서 제공을 하면, 상기 지지벽체(68)는 도로(74)를 형성하는 상판(81)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주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50)을 서로 연결하여서 내측공간(65)이 서로 연통이 되면서 배수의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상판(81)이 연결하여서 도로(74)의 역할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81)의 양측 가장자리를 확대하면서 상측으로 돌출하여서 확대부(78)와 난간(80)을 형성하여서 상판(81)을 이동하는 도로(74)로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야생동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동로와 도로가 형성하는 제방을 제공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저수지용 제방에서 하수 이송용 블록에서 안정적으로 벽면을 이동하는 경사이동로의 제공과 이울러 도로를 형성하는 건너는 구간을 안정적으로 이동로의 형성과 아울러 도로에 대한 이동 차량의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 싱측면에 형성되는 도로에서 이동하는 차량 등이 고 중량의 하중일 경우, 이에 대한 안정적인 하중을 견듸기 위1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구가 형성되도록, 상측면(89)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벽체(68)를 돌출하여서 이동구간(78)을 형성하면서 상판(81)을 형성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이에 대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실시예1]

    상기 설명되는 상측면(89)의 양측 가장자리의 길이를 다수개로 등간격으로 분리가 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벽체(68)를 돌출하여서 이동구간(78)을 형성하면서 상판(81)을 형성하여 주는 상판(81)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격자빔(75)을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격자빔(75)의 구성은 상기 설명되는 폭방향으로 구성되는 지지벽체(68)의 몸체에다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돌출되면서 서로 교차되는 간격마다 요홈부(90)가 형성되도록 제공한다.

    또한 여기서 돌출되는 격자빔(75)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설명되는 이송구간(78)의 높이에서 상측으로 1/4 정도로 유지되어서 야생동물의 이동구간이 넉넉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이동구간(78)에 야생동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면(89)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돌출리브(89')를 형성하여 주면서 간헐적으로 조립구(82)를 형성하여 주되, 상기 돌출리브(89') 의 조립구(82)에 맞추어서 상측이 조립되는 경사이동로(66)을 경사지는 상태로 하천(62)의 하상으로 경사지게 고정하여서 야생동물이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조립구(82)에는 이에 적절한 크기의 볼트 및 너트로 조립하여 주며, 이에 따른 경사이동로(66)의 조립구간은 야생동물이 주로 이동하는 이동로에 맞추어서 소정의 폭을 유지하는 크기로 제공하여 준다.

    또한 상기 경사이동로(66)의 조립은 하상(71)의 깊이에 따라 깊은 하천(62)에서의 고정을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보조이동로(67)을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연결로 고정하여서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제공되는 블럭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

    도3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절개된 사시도

    도4은 도3에서 BB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예의 적용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예의 적용 상태의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제방 51. 바닥면 54. 내측벽면 55. 외측벽면

    57. 유입 58. 유도벽 62. 하천 65. 내측공간

    66. 경사이동로 68. 지지벽체 69. 비탈면 71. 하상

    74. 도로 77. 돌출리브 79. 고정리브 80. 난간

    81. 상판 82. 조립구 85. 배수로 89. 상측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