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프 회수장치

申请号 KR2019990015793 申请日 1999-08-03 公开(公告)号 KR200166162Y1 公开(公告)日 2000-02-15
申请人 서삼봉; 发明人 서삼봉;
摘要 본 고안은 제지공장에서 폐기물과 같이 배출되는 생산성 원료인 펄프를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원가를 절감시키도록 하는 펄프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최종 처리된 펄프는 탱크에 저장되고 슬럿지는 배출시키는 펄프생산라인에서 슬럿지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콘(corn)형태를 갖는 크리너콘과, 크리너콘 하부에 연결고정되고 일측에서 수압을 가하여 슬럿지에 와류를 발생시켜 펄프를 회수시키는 회전가압식 시린더와,
시린더 하부에 연결고정되고 무거운 슬럿지를 배출시키는 노즐관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 지는 것으로, 배출 슬럿지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벼운 펄프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회수되게 하고 무거운 슬럿지는 노즐관을 통하여 배출되게 한 것이다.
权利要求
  • 배출관(1)으로 최종 처리된 원료가 가압배출되어 자장되는 펄프생산라인에서, 배출관(1)의 직하방으로 결합고정되고 폐기물이 배출되는 콘형태의 크리너콘(10)과,
    상기 크리너콘(10) 하부에 결합고정되고 일측에서 수압을 가하여 폐기물에 와류를 발생시켜 생산성원료인 펄프를 크리너콘(10)으로 회수시키는 회전가압식 시린더(20)와,
    상기 회전가압식 시린더(20) 하부에 연결고정되고 무거운 슬럿지를 배출시키는 콘 형태의 노즐관(30)을 구비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회수장치.
  • 제 1 항에서,
    회전가압식 시린더(20)는 크리너콘(10)의 하부와 노즐관(30)의 상부가 결합고정되고 상,하부가 관통된 와류발생홀(21)과, 상기 와류발생홀(21)과 일부분이 서로 관통되고 수압을 가압시키는 가압홀(22)과,
    상기 가압홀(22)의 중심부를 벗어난 일측에서 관통되게 뚫려지고 수압관(24)에서 수압을 공급하는 관통홈(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회수장치.
  • 说明书全文

    펄프 회수장치{Pulp recovery apparatus}

    본 고안은 제지공장에서 폐기물과 같이 배출되는 생산성 원료인 펄프를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원가를 절감시키도록 하는 펄프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지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지기계를 가동하였을 때 1분당 약 180ℓ의 슬럿지가 배출되고 이를 1일 8시간을 가동시켰을 경우 약 86.4톤의 슬럿지가 배출되고 있다.

    상기된 배출 슬럿지를 분석해 보면 순수 슬럿지 뿐만 아니고 사용가능한 생산원료인 펄프가 20톤 가량 포함되어 있다.

    이같이 마지막 제품 생산과정에서의 슬럿지 배출시 원재료가 함께 배출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나 배출되는 원재료 중 상당량을 회수하여 사용토록 하므로써 자원낭비를 줄이는 한편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지공장의 최종 펄프 생산라인에서 슬럿지와 함께 배출되는 사용가능한 원료(펄프)를 상당량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슬럿지 배출라인 하단에서 고압의 수압으로 슬럿지에 와류를 형성시켜 가벼운 사용가능한 원재료는 상부로 올라가 회수저장되게 하고 무거운 슬럿지는 하방으로 배출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최종 처리된 펄프는 탱크에 저장되고 슬럿지는 배출시키는 펄프생산라인에서, 슬럿지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콘(corn)형태를 갖는 크리너콘과, 크리너콘 하부에 연결고정되고 일측에서 수압을 가하여 슬럿지에 와류를 발생시켜 펄프를 회수시키는 회전가압식 시린더와, 시린더 하부에 연결고정되고 무거운 슬럿지를 배출시키는 노즐관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 지는 것으로, 배출 슬럿지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벼운 펄프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회수되게 하고 무거운 슬럿지는 노즐관을 통하여 배출되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리너콘 20 : 회전가압식시린더 21 : 와류발생홀

    22 : 가압홀 23 : 관통홈 24 : 수압관

    30 : 노즐관

    본 고안은 전처리 과정에서 처리된 펄프는 배출관(1)에서 가압이송되어 후단의 저장탱크에 저장시키고, 배출관(1)에는 직하부로 슬럿지를 배출하는 크리너콘(10)을 설치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콘(10) 하부에 일측에서 수압을 가하여 와류를 발생시키는 회전가압식 시린더(20)를 설치 고정시키며,

    상기 회전가압식 시린더(20) 하부에 슬럿지를 배출시키는 콘형태의 노즐관(30)을 설치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 진다.

    여기서 회전가압식 시린더(20)는 크리너콘(10)의 하부와 노즐관(30)의 상부가 결합고정되고 상,하부가 관통된 와류발생홀(21)과, 상기 와류발생홀(21)과 일부분이 서로 관통되고 수압을 가압시키는 가압홀(22)과, 상기 가압홀(22)의 중심부를 벗어난 일측에서 관통되게 뚫려지고 수압관(24)에서 수압을 공급하는 관통홈(23)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 진다.

    본 고안은 전처리 과정에서 처리된 펄프는 슬럿지와 함께 물에 화공약품 등과 섞여서 배출관(1)을 통하여 가압되어 이송되게 되고 배출관(1)으로 이송되는 펄프 및 슬럿지중 고비중 물질인 슬럿지는 크리너콘(10)으로 낙하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때 크리너콘(10)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은 슬럿지뿐만 아니라 사용가능한 생산원료인 펄프도 함께 배출되며 그 양은 1일 약 20톤 가까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슬럿지와 함께 배출되는 생산성 원료인 펄프를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본 고안을 실시하였을 경우 1일 약 5.2톤의 원재료를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크리너콘(10) 하부에 회전가압 시린더(20)를 결합고정시키고 그 하부에 노즐관(30)을 결합고정시킨 것으로 회전가압 시린더(20)의 수압관(24)으로 가압된 물을 공급한다.

    수압관(24)으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면 고압의 물은 관통홈(23)에서 가압홀(22)로 유입되어 가속되어 진다.

    가압홀(22)은 중심을 벗어난 일측에 관통홈(23)이 뚫려져 있어 상기 관통홈(23)으로 물이 공급되면 가압홀(22) 내부에서 회전되며 가속되어진다.

    가압홀(22)에서 가압된 물은 가압홀(22)과 관통된 와류발생홀(21)로 유입되면서 크리너콘(10)에서 와류발생홀(21)로 배출되는 폐기물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와류발생홀(21)에서 수압으로 와류를 발생시키게 되면 비중이 가벼운 펄프는 와류를 타고 상부의 크리너콘(10)으로 유입되어 저장탱크로 저장되게 되고 비중이 높은 슬럿지는 와류를 타고 노즐관(30)으로 유입되어 배출되어 진다.

    즉 회전가압 시린더(20)에서 폐기물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벼운 펄프를 상승시킴으로써 저장탱크로 회수되게 하고, 무거운 슬럿지는 그냥 배출되게 한 것으로, 슬럿지와 함께 배출되는 펄프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회전가압 시린더(20)의 하부에 결합고정된 노즐관(30)은 콘형태로 제작하여 폐기물이 그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 정체되었다가 배출되게 하므로써 폐기물에 와류를 발생시켜 펄프회수가 가능토록 한다.

    본 고안은 폐기물로 처리되는 생산성 원료를 회수하여 사용토록 한 것으로, 펄프의 회수로 자원낭비를 줄여 원목 수입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생산원가를 하락시킬 수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