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수성 직물 및 의료

申请号 KR1020137017715 申请日 2011-11-21 公开(公告)号 KR1020130137661A 公开(公告)日 2013-12-17
申请人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이와시타,겐지;
摘要 환경을 배려한 발수성 직물이며 우수한 발수성을 갖는 발수성 직물 및 상기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를 제공한다.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경사 또는 위사에 배치하여 직물을 얻은 후, 상기 직물에,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 농도가 0 내지 5ng/g인 불소계 발수제를 부착시킨다.
权利要求
  •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 농도가 0 내지 5ng/g인 불소계 발수제가 직물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발수성 직물이며,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단사 섬도가 1dtex 이하인,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에 있어서, 필라멘트수가 50개 이상인,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의 권축률이 13% 이상인,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에, 인터레이스의 개수 35 내지 90개/m로 인터레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의 커버팩터가 1500 내지 2800의 범위 내인,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직물에 캘린더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직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JIS L 1018에 의해 측정한 직물의 부품성이 1.30 이상인, 발수성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의 발수 구름 각도가 22도 이하인, 발수성 직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
  • 说明书全文

    발수성 직물 및 의료{WATER-REPELLENT WOVEN FABRIC AND GARMENT}

    본 발명은, 환경을 배려한 발수성 직물이며 우수한 발수성을 갖는 발수성 직물 및 상기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衣料)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포츠 의료, 캐쥬얼 의료, 우산 천 등의 분야에서 발수성을 갖는 포백(布帛)이 요구되고 있으며, 불소계 발수제 등의 발수제를 포백에 부착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최근에는 환경을 배려하기 위해, 생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화합물(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옥탄산이나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등)의 함유량이 작은 불소계 발수제를 포백에 부착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소60-946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1-700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47089호 공보

    본 발명자는, 퍼플루오로옥탄산(이하 「PFOA」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이나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이하 「PFOS」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등의 함유량이 작은 불소계 발수제를 부착시킨 포백은, 환경을 배려한 포백이지만 발수성의 관점에서 충분하지 못한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환경을 배려한 발수성 직물이며, 우수한 발수성을 갖는 발수성 직물 및 상기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PFOA나 PFOS 등의 함유량이 작은 불소계 발수제를 포백에 부여할 때, 포백으로서,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한 직물을 사용하면,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직물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우수한 발수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더욱 예의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 농도가 0 내지 5ng/g인 불소계 발수제가 직물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발수성 직물이며,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직물」이 제공된다.

    그 때, 상기 복합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단사 섬도가 1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사에 있어서, 필라멘트수가 5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사의 권축률이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사에, 인터레이스의 개수 35 내지 90개/m로 인터레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의 커버팩터가 1500 내지 28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에 캘린더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직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JIS L 1018에 의해 측정한, 직물의 부품성이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의 발수 구름 각도가 22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을 배려한 발수성 직물이며, 우수한 발수성을 갖는 발수성 직물 및 상기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발수성 직물에는, 퍼플루오로옥탄산(PFOA)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PFOS)의 합계 농도(즉, 발수제 1g에 포함되는, PFOA의 농도와 PFOS의 농도의 합계)가 0 내지 5ng/g(나노그램/그램)인 불소계 발수제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PFOA 및 PFOS의 합계 농도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계(LC-MS)로 측정했을 때에, 발수제 1g당 5ng/g 이하(바람직하게는 1ng/g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PFOA 및 PFOS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농도가 0ng/g, 특히 바람직하게는 PFOA의 농도 및 PFOS의 농도가 모두 0ng/g)이다. PFOA 및 PFOS의 합계 농도가 5ng/g보다도 큰 경우, 환경상 바람직하지 않다.

    PFOA 및 PFOS의 합계 농도가 0 내지 5ng/g(나노그램/그램)의 불소계 발수제로서는, N-메틸올기를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만으로 구성된 퍼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나 시판되고 있는 것 등이 예시된다.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는, 아사히 가라스(주)제의 불소계 발수 발유제인 아사히가드 E 시리즈 AG-E061, 스미또모 쓰리엠(주)제의 스카치 가드 PM3622, PM490, PM930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물에는,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포함하는 복합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사가 직물에 포함됨으로써,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직물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우수한 발수성이 얻어진다.

    여기서, 가연 권축 가공의 조건으로서는, 사조(

    )를 제1 롤러, 세트 온도가 90 내지 220℃(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90℃)인 열처리 히터를 경유하여 꼬기 장치에 의해 시연하는 방법이나, 상기 시연 후, 필요에 따라 또한 사조를 제2 히터 영역에 도입하여 이완 열처리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가연 가공 시의 연신 배율은, 0.8 내지 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연수(T/m)=(32500/√Dtex)×α의 식에 있어서 α=0.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특히, α=0.8 내지 1.2가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꼬기 장치로서는, 디스크식 혹은 벨트식의 마찰식 꼬기 장치가 실 걸기 쉽고 실 끊어짐도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핀 방식의 꼬기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합사가,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반듯이 정렬시킨 후, 인터레이스의 개수 35 내지 90개/m(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개/m)로 인터레이스 가공(교락 처리)이 실시된 것이면, 얻어지는 직물 표면에 있어서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기 쉽고, 그 결과, 우수한 발수성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합사에 이러한 인터레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면, 직물의 편직성도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인터레이스 가공(교락 처리)은 통상의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하여 처리한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 복합사에 있어서, 토크는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논토크(0T/m)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논토크로 하기 위해서는,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가연 권축 가공사를 합사할 때, 토크의 방향이 상이한 것 이외는 동일한 토크를 갖는 2종의 가연 권축 가공사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복합사에 있어서, 권축률이 13%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5%)이면,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직물 표면에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우수한 발수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상기 권축률이 13% 미만에서는 충분한 발수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복합사에 있어서,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을 직물 표면에 형성하는 데 있어서, 단사 섬도가 1dtex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dtex,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사 섬유 직경이 1㎛ 이하인, 나노파이버라고 칭해지는 초극세 섬유일 수도 있다. 상기 단사 섬도가 1dtex보다도 크면 충분한 발수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복합사의 총 섬도로서는 33 내지 220dtex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사의 필라멘트수로서는 50개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개)의 범위 내인 것이 우수한 발수성을 얻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우수한 발수성을 얻는 데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테레프탈산을 주된 산 성분으로 하고,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 즉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글리콜,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을 주된 글리콜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가 예시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에는, 필요에 따라 소량(통상 30몰% 이하)의 공중합 성분을 가질 수도 있다. 그 때, 사용되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2관능성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β-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 P-옥시벤조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세박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일 때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2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리콜 이외의 디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S일 때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의 디올 화합물 및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거나, 테레프탈산디메틸과 같이 테레프탈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거나 또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옥시드를 반응시키거나 하여 테레프탈산의 글리콜에스테르 및/또는 그 저중합체를 생성시키는 제1 단계의 반응과, 제1 단계의 반응 생성물을 감압 하에서 가열하여 원하는 중합도로 될 때까지 중축합 반응시키는 제2 단계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머티리얼 리사이클 또는 케미컬 리사이클된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락트산이나 스테레오컴플렉스 폴리락트산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에는, 필요에 따라, 광택 소거제(이산화티타늄), 미세 구멍 형성제(유기 술폰산 금속염),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난연제(삼산화이안티몬), 형광 증백제, 착색 안료, 대전 방지제(술폰산 금속염), 흡습제(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항균제, 그 밖의 무기 입자의 1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상기한 복합사가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어느 한쪽(바람직하게는, 경사 및 위사)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사는, 직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중량% 이상(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 조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편물의 경우, 우수한 발수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발수성 직물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사용하여 복합사를 얻는다. 그 때, 복합 방법으로서는, 인터레이스 가공이나 타슬란(등록 상표) 가공 등의 공기 혼섬, 복합 가연, 합연, 커버링 등 어느 것이든 좋다. 그 중에서도,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직물 표면에 형성되어 발수성을 얻는 데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 가공(교락 처리)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복합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다. 그 때, 직물의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의 삼원 조직, 변화 조직, 경이중직, 위이중직 등의 편이중 조직, 세로 빌로드 등이 예시된다. 층수도 단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일 수도 있다. 또한, 편직 방법은 통상의 직기(예를 들어, 통상의 워터 제트룸, 에어 제트룸, 레피아룸 등)를 사용한 통상의 편직 방법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직물에 발수 가공을 실시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퍼플루오로옥탄산(PFOA)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PFOS)의 합계 농도가 발수제 1g당 0 내지 5ng/g(바람직하게는 0ng/g)인 불소계 발수제를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제전제, 멜라민 수지, 촉매를 혼합하여 발수제의 농도가 3 내지 15중량% 정도인 가공제로 하고, 픽업률 50 내지 90% 정도로, 상기 가공제를 사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제로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패드법, 스프레이법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가공제를 직물 내부까지 침투시키는 데 있어서 패드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률이란, 직물(가공제 부여 전) 중량에 대한 가공제의 중량 비율(%)이다.

    또한, 상기 제전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기를 함유하는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기를 함유하는 폴리 양이온계 화합물과 디글리시딜에테르의 반응물 등이 바람직하다. 고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염, 황산화유, 술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아민염형, 제4급 암모늄염, 이미다린형 4급염 등의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형,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형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이미다린형 4급염, 알라닌형, 베타인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의 제전성 화합물일 수도 있다.

    단량체의 중합을 위한 열처리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의 온도에서 0.1 내지 30분간의 조건에서 건열 처리 및 습열 처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열 처리일 수도 있다. 이러한 증열 처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60℃의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가 사용된다. 그 때, 처리 시간으로서는 수초 내지 수십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증열 처리를 행한 후, 필요에 따라 수세나 탕세 혹은 환원 세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수 가공 공정의, 전공정 및 후속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한쪽 공정에서, 직물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면, 직물 표면이 연잎 형상으로 되기 쉬워, 우수한 발수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그 때, 캘린더 가공의 조건으로서는, 온도 13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95℃), 선압 200 내지 20000N/㎝(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N/㎝)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수 가공 공정의 전 공정 및 후속 공정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통상법의 염색 가공, 알칼리 감량 가공, 기모 가공을 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자외선 차폐제, 항균제, 소취제, 방충제, 축광제, 재귀반사제, 마이너스 이온 발생제 등을 부가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직물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정의하는 직물의 커버팩터 CF가 1500 내지 2800의 범위 내이면, 더욱 우수한 발수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단, DWp는 경사 총 섬도(dtex), MWp는 경사 직밀도(개/2.54㎝), DWf는 위사 총 섬도(dtex), MWf는 위사 직밀도(개/2.54㎝)이다.

    또한, 이러한 직물에 있어서, JIS L 1018에 의해 측정한, 직물의 부품성이 1.3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이면, 더욱 우수한 발수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발수성 직물에는, 퍼플루오로옥탄산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의 합계 농도가 0 내지 5ng/g인 불소계 발수제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수성 직물은 환경을 배려한 직물로 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복합사가 직물에 포함됨으로써, 상기 발수성 직물의 표면에 있어서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다. 그리고, 당해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에 의해 미소한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물방울이 직물 표면에 실렸을 때에 우수한 발수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로터스 효과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그 때, 발수성으로서는, 직물의 발수 구름 각도가 25도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2도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2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발수 구름 각도란, 수평판 상에 설치한 평면상의 피측정 시료에 0.2cc의 물을 살짝 적하하고, 이 평판을 등속도로 살짝 경사지게 하여, 물방울이 구르기 시작할 때의 각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의료는 상기한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이다. 본 발명의 의료는 상기한 직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환경을 배려한 의료이며, 또한 우수한 발수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의료에는, 다운 의료, 배드민턴 셔츠, 러닝 셔츠, 축구 팬츠, 테니스 팬츠, 농구 팬츠, 탁구 팬츠, 배드민턴 팬츠, 러닝 팬츠, 골프 팬츠, 각종 스포츠용 언더셔츠, 각종 스포츠용 이너웨어, 스웨터, 티셔츠, 져지, 트레이너, 윈드 브레이커, 재킷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직물은 환경을 배려한 직물이며 우수한 발수성을 갖고 있으므로, 의료뿐만 아니라, 우산 천, 레인 코트 천, 구두, 모자, 이불 천, 이불 커버 등에도 적절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각 측정 항목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토크

    시료(권축사) 약 70㎝를 옆으로 펴서, 중앙부에 0.18mN×표시 텍스(2mg/de)의 첫 하중을 맨 후, 양단을 반듯이 정렬시켰다.

    실은 잔류 토크에 의해 회전되기 시작하지만 첫 하중이 정지할 때까지 그 상태 그대로 유지하여, 연사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은 연사를 17.64mN×표시 텍스(0.2g/de)의 하중 하에서 25㎝ 길이의 연수를 검연기로 측정했다. 얻어진 연수(T/25㎝)를 4배로 토크(T/m)를 산출했다.

    (2) 인터레이스(교락)의 개수

    교락실을 8.82mN×표시 텍스(0.1g/de)의 하중 하에서 1m의 길이를 취하고, 제중 후, 실온에서 24시 방축 후의 결절점의 수를 판독하여, 개/m로 표시했다.

    (3) 권축률

    공시 사조를, 둘레 길이가 1.125m인 검척기 둘레에 둘러 감고, 건섬도가 3333dtex인 실패를 제조했다. 상기 실패를, 스케일판의 걸이 못에 현수하고, 그 하측 부분에 6g의 첫 하중을 부가하고, 또한 600g의 하중을 부가했을 때의 실패의 길이 L0을 측정했다. 그 후, 즉시, 상기 실패로부터 하중을 제거하고, 스케일판의 걸이 못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실패를 비등수 중에 30분간 침지하여, 권축을 발현시킨다. 비등수 처리 후의 실패를 비등수로부터 취출하고, 실패에 포함되는 수분을 여과지로 흡수 제거하고, 실온에 있어서 24시간 풍건했다. 이 풍건된 실패를, 스케일판의 걸이 못에 현수하고, 그 하측 부분에, 600g의 하중을 가하여, 1분 후에 실패의 길이 L1a를 측정하고, 그 후 실패로부터 하중을 분리하고, 1분 후에 실패의 길이 L2a를 측정했다. 공시 필라멘트사조의 권축률(CP)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했다.

    (4) 스트레치성

    JIS L 1096 B법에 의해 스트레치성(%)을 측정했다.

    (4) 직물의 두께

    JIS L1096에 의해 직물의 두께(mm)를 측정했다.

    (5)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

    JIS L1096에 의해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g/㎡)을 측정했다.

    (6) 직물의 부품성

    JIS L1018에 의해 직물의 부품성을 측정했다.

    (7) 커버팩터

    하기 식에 의해 직물의 커버팩터 CF를 산출했다.

    단, DWp는 경사 총 섬도(dtex), MWp는 경사 직밀도(개/2.54㎝), DWf는 위사 총 섬도(dtex), MWf는 위사 직밀도(개/2.54㎝)이다.

    (8) 발수성(발수 구름 각도)

    수평판 상에 설치한 평면상의 피측정 시료에 0.2cc의 물을 살짝 적하하고, 이 평판을 등속도로 살짝 경사지게 하여, 물방울이 구르기 시작할 때의 각도를 발수 구름 각도로 했다. 또한, 발수 구름 각도가 작을수록 발수성이 양호하며, 25도 이하를 합격으로 한다.

    (9) PFOA 및 PFOS의 농도

    다음 조건에서 PFOA 및 PFOS의 농도를 측정하여, ng/g로 표시했다.

    장치: LC-MS/MS 탠덤형 질량 분석계 TSQ-7000(서모 일렉트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LC-10Avp(시마즈 세이사꾸쇼)

    칼럼: 캅셀 팍(Capcell pak) C8 100mm×2mmi.d.(5㎛)

    이동층: A; 0.5mmol/L 아세트산암모늄, B; 아세토니트릴

    유속: 0.2mL/분

    시료 주입량: 3μL

    CP 온도: 220℃

    이온화 전압: 4.5kv

    이온 멀티: 1300v

    이온화법: ESI-네가티브(ESI-Negative)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사 장치로부터 280℃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조 56dtex/36fil을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배, 가연수 2500T/m(S 방향), 히터 온도 180℃, 사속 350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행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배, 가연수 2500T/m(Z 방향), 히터 온도 180℃, 실속 350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행했다.

    계속해서, 이들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가연 권축 가공사를 합사하여 인터레이스 가공(교락 처리)을 행하여, 복합사(66dtex/72fil, 권축률 16%, 토크 0T/m)를 얻었다. 인터레이스 가공은,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하여, 오버 피드율 1.0%, 압공압 0.3MPa(3kgf/㎠)로 50개/m의 인터레이스(교락)를 부여했다.

    계속해서, 상기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하여, 통상의 워터제트 룸 직기를 사용하여 평조직의 직물(상기 복합사만으로 구성되는 직물)을 직성했다.

    계속해서, U형 소프사를 사용하여 95℃에서 상기 직물을 확포 정련한 후,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온도 120℃에서 릴랙스 처리했다. 계속해서, 텐터를 사용하여 온도 190℃에서 상기 직물을 중간 세트했다. 계속해서,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온도 130℃에서 분산 염료에 의한 염색 가공을 행한 후, 하기한 발수 가공을 실시했다.

    발수 가공은 하기의 가공제를 사용하여, 픽업률 80%로 착액하고, 130℃에서 3분간 건조 후 170℃에서 45초간 열처리를 행했다.

    <가공제 조성>

    ·불소계 발수제 8.0wt%

    (아사히 가라스(주)제, 아사히가드 E 시리즈 AG-E061 PFOA: 1ng/g 미만, PFOS: 1ng/g 미만)

    ·멜라민 수지 0.3wt%

    (스미토모 가가꾸(주)제, 스미텍스 레진 M-3)

    ·촉매 0.3wt%

    (스미토모 가가꾸(주)제, 스미텍스 액셀러레이터 ACX)

    ·물 91.4wt%

    계속해서, 텐터를 사용하여 온도 170℃에서 상기 직물을 파이널 세트했다. 그리고, 롤 온도 150℃, 선압 300N/㎝로 상기 직물에 캘린더 가공을 행하여, 발수성 직물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발수성 직물에 있어서, 두께 0.15mm, 단위 면적당 중량 92g/㎡, 부품성 1.67, 경밀도 132개/2.54㎝, 위밀도 112/2.54㎝, 커버팩터는 1890, 위사 스트레치성 7%, 구름 각도 18도이었다. 상기 발수성 직물의 표면에 연잎 형상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수성 직물은 발수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 발수성 직물에는 상기한 발수제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수성 직물은 환경을 배려한 직물이었다.

    이러한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윈드 브레이커(스포츠 의료)를 봉제하고, 시험자가 상기 윈드 브레이커를 착용한 바, 상기 윈드 브레이커는 발수성이 우수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연 권축 가공사(56dtex/72fil, 권축률 14%, 토크 45T/m)를 복합사로 하지 않고 단독사로서 경사 및 위사에 배치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했다.

    얻어진 발수성 직물에 있어서, 두께 0.09mm, 단위 면적당 중량 75g/㎡, 부품성 1.16, 경밀도 148개/2.54㎝, 위밀도 120/2.54㎝, 커버팩터는 1900, 위사 스트레치성 4%, 구름 각도 26도이었다. 상기 발수성 직물은 환경을 배려한 직물이었지만, 발수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직물을 사용하여 윈드 브레이커(스포츠 의료)를 봉제하고, 시험자가 상기 윈드 브레이커를 착용한 바, 상기 윈드 브레이커는 발수성이 떨어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을 배려한 발수성 직물이며 우수한 발수성을 갖는 발수성 직물 및 상기 발수성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가 얻어져, 그 공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