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바지 주름성형 탈색장치

申请号 KR2020070002332 申请日 2007-02-08 公开(公告)号 KR2020080003285U 公开(公告)日 2008-08-13
申请人 정홍국; 최이동; 发明人 정홍국; 최이동;
摘要 본 고안은 청바지(Jean) 등의 직물 바지의 특정부위에 주름 성형을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마모 또는 탈색된 모양(worn look)으로 가공하기 위한 청바지 주름 성형 탈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청바지의 양 허벅지 사이로 이어지는 주름과 무릎을 굽힐 때 형성되는 주름을 청바지를 입어서 형성되는 것과 같이 주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힙과 연결되는 허벅지와의 굽힘 구성과 무릎의 구힘구성 그리고 힙과 무릎의 돌출작용을 할 수 있는 구성을 형성시켜 이러한 굽힘 및 돌출로 발생하는 주름이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실지 착용으로 형성되는 주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주름성형
权利要求
  • 기체(10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0)의 회전으로 하체부를 회전함과 하체부에는 무릎과 힙이 돌출되고 하체부에 입혀지는 청바지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하는 청바지 주름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하체고정부재(20)에 힙부재(21)와 하향된 힙출입실린더(22)를 구성시켜 컵형상의 양측 힙(23)이 승하강 구성함과,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허벅지연동실린더(30)에는 연동암(31)으로 양 허벅지(32)에 고정된 연동간(33)을 힌지구성하고 허벅지(32)에 고정된 고정간(34)은 상기 하체고정부재(20)에 힌지 구성함과,
    허벅지(32)내측에 상향된 무릎실린더(41)와 무릎(42)을 구성하고 무릎실린더(41)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가이드(43) 및 허벅지(32)내측의 종아리굽힘실린더(44)가 허벅지(32)에 수평으로 축설치된 축봉(45)에서 돌출된 굽힘연동암(46)을 연동하여 이 축봉(45)에 고정된 굽힘간(47)에 고정된 종아리(40)의 굽힘을 할 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바지 주름성형 탈색장치.
  • 说明书全文

    청바지 주름기{Folder for blue jeans}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예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설명도로 (a)는 허벅지를 모은 상태이고 (b)는 허벅지 벌림 상태의 작동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무릎 절곡과 돌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기체 10;회전축 11;피니언

    12;전실린더 13;랙 20;하체고정부재

    21;힙부재 22;힙출입실린더 23;힙

    30;허벅지연동실린더 31;연동암 32;허벅지

    33;연동간 34;고정간 40;종아리

    41;무릎실린더 42;무릎 43;안내가이드

    44;종아리 굽힘실린더 45;축봉 46;굽힘연동암

    47;굽힘간

    본 고안은 청바지(Jean) 등의 직물 바지의 특정부위에 주름 성형을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마모 또는 탈색된 모양(worn look)으로 가공하기 위한 청바지 주름 성형 탈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바지는 유행에 따라 부분적으로 탈색시켜 오래되고 낡은 빛이 바랜 듯한 느낌을 강조하는 복고풍의 제품과 청바지를 브러시로 연마하여 특정 부위가 닳아빠진 듯 낡고 탈색되어 복고적인 분위기를 살린 "빈티지 진(Vintage jean)" 이라는 타입의 청바지가 애용되고 있다.

    즉, 청바지를 오래 기간 착용한 사용으로 탈색과 특정한 부위의 주름이 형성시켜 오래되고 낡은 듯하게 보이게 하는 제조공법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가공은 직물에 염색 등의 특수 처리로 새 의류가 낡고 바랜 듯한 듯이 보이도록 재가공하게 되며 이때의 탈색 또는 연마 기술로서는 돌 세척(stone washing) 방법이 잘 알려져 있으며, 돌 세척 방법은 미합중국특허 제4,954,138호(STONE TO FINISH STONE WASHED JEANS)에 서술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돌 세척 방법은 화산석을 이용하여 염색된 의류를 세척하는 기술로서, 화산석의 대량 사용에 따른 세척기계가 손상되고 마모되는 문제점과 더욱, 대량으로 사용한 화산석으로부터의 슬러지 또는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함께 얇은 합판에 고무를 바지 형태와 유사하게 접착시킨 후 상기 합

    판을 청바지 속에 넣고 공기를 흡착하여 청바지 내부 면에 밀착시키고, 샌드기를 이용하여 청바지 표면을 탈색 및 마모시키는 방법이 있다.

    다른 기술은 바지 가랑이가 끼워진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면 바지 가랑이가 부풀려지면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청바지의 표면을 연마하여 바지 전체 또는 소정부위를 마모시켜 탈색하는 작업이 있다.

    그리고 성형판 위에 청바지를 입혀 놓은 상태에서 샌딩 및 화학 처리를 수행하게 되므로, 가공 후 만들어지는 청바지 주름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인위적이어서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등록번호 제 20-0207463호에서는 실제로 청바지를 사람이 입어서 닳은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연마를 할 수 있도록 인체와 유사한 마네킹을 구성하고 이 마네킹 몸통을 앞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통부에 결합된 양 허벅지를 몸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네킹의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네킹에 입혀진 바지의 앞부분에 주름을 형성하고 이때에 만들어지는 주름진 직물 표면에 화학 약품을 분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마 표백된 바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종래에 비하여 향상된 기술로 인체와 극히 유사한 마네킹을 사용하여 소정부위의 주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특징이 발휘되고 있으나, 상기 마네킹에 입혀진 바지가 허벅지의 벌림 이동만으로는 소망하는 자연스러운 주름의 형성이 어렵고 이때의 주름은 인체의 소정부위 즉, 바지와 몸통부가 만나는 접속부 위치인 생식기 앞부분만의 주름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의 주름부 허리 양측부와 무릎부위의 주름성형이 불가능한 폐단을 야기하며 또한 습기를 가진 바지가 마네킹에 밀착되어 다리의 이동에 따른 주름형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0-0338000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마네킹 하체부에 가열된 공기를 급기하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힙, 무릎부에 대응되는 승강판을 구성시켜 승강판의 승하강으로 돌출과 그에 따른 주름이 형성되도록 한 바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은 실린더 또는 리프트로 연동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몸통부와 허벅지, 종아리부가 일체로 구성됨으로 이 절곡부에서 주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지 않는 단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청바지의 양 허벅지 사이로 이어지는 주름과 무릎을 굽힐 때 형성되는 주름을 청바지를 입어서 형성되는 것과 같이 주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힙과 연결되는 허벅지와의 굽힘 구성과 무릎의 구힘구성 그리고 힙과 무릎의 돌출작용을 할 수 있는 구성을 형성시켜 이러한 굽힘 및 돌출로 발생되는 주름이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실지 착용으로 형성되는 주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예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설명도로 (a)는 허벅지를 모은상태이고 (b)는 허벅지 벌림상태의 작동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및 도 5는 본고안의 무릎 절곡과 돌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0)에 피니언(11)을 구성시켜 회전실린더(12)에 연결된 랙(1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이 회전축(10)의 끝단에 하체고정부재(20)를 고정시켜 인체의 하체와 유사한 하체마네킹을 구성한다.

    상기 하체고정부재(20)에는 몸통부를 형성하는 힙부재(21)와 하향된 힙출입실린더(22)를 구성시켜 컵형상의 양측 힙(23)이 힙부재(21)에서 돌출되는 승하강 구성을 한다.

    그리고 하체고정부재(20)와 수평으로 구성되는 허벅지연동실린더(30)에는 연동암(31)으로 양 허벅지(32)에 고정된 연동간(33)을 힌지구성하고 이 허벅지(32)에 고정된 고정간(34)은 상기 하체고정부재(20)에 힌지구성시켜 허벅지연동실린더(30)의 작동으로 상기 양 허벅지(32)를 벌어지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허벅지를 형성하는 허벅지(32)에 종아리부를 형성하는 종아리(40)를 연결구성하되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32) 내측에서 상향된 방향으로 구성되는 무릎실린더(41)와 이 무릎실린더(41)로 승하강되는 무릎(42)을 구성하고 무릎실린더(41)가 일정한 거리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가이드(43)에 안내시켜 무릎(42)이 일정한 거리 및 각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허벅지(32) 내측에 종아리굽힘실린더(44)를 구성시켜 허벅지(32)에 수평으로 축설치된 축봉(45)에서 돌출된 굽힘연동암(46)을 전후로 연동시켜 이 축봉(45)에 고정된 굽힘간(47)에 고정된 종아리(40)를 승하강으로 굽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허벅지와 힙부재는 상부측과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과 그 길이는 양 320mm 정도로 유지하는 힙라인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인체에 근접한 형상 및 크기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미설명부호 는 101은 건조 또는 스팀발생기이며 는 102는 닥트를 도시한 것이며 조작컨트롤 판넬은 생략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의 본 고안 사용예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도 2의 본 고안 작동상태의 평단면도 및 도 4의 본 고안 측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할 청바지 즉, 새 청바지(일점 쇄선표기)에 오랜 사용으로 형성된 마모, 탈색된 주름을 가공하기 위하여 새 청바지를 본 고안의 종아리(40)와 허벅지(32) 및 힙부재(21)까지 위치되도록 착용시킨다.

    이때에 착용하는 청바지는 전체전인 색상과 유연성 및 주름 성형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약품처리된 상태 또는 완전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청바지를 착용시킨다.

    이와 같은 착용상태에서 청바지의 힙과 허벅지 사이의 절곡부에 주름을 형성할 때 미도시된 조작컨트롤을 조작하여 하체고정부재(20)와 수평으로 구성되는 허벅지연동실린더(30)를 연동하면 즉, 도 2와 3에서 상기 허벅지연동실린더(30)를 연 동하면 그 로드가 전진하고 이 로드에 체결된 연동암(31)이 이동하면서 연동암(31)에 힌지된 연동간(33)을 전진 이동시키고 이 연동간(33)에 고정된 허벅지(32)를 밀어내어 이동함으로 허벅지(32)가 벌어지도록 연동된다.

    이때 상기 허벅지(32)는 하체고정부재(20)와 고정간(34)으로 고정됨으로 이 고정간(34)의 축점을 기점으로 상기 연동간(33)이 회전이동하면서 허벅지(32)가 벌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허벅지 벌림은 주름형성과 자연미등을 고려하여 허벅지 벌림 폭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면서 작업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힙에서 양 허벅지(32)를 외측으로 벌려 허벅지와 힙을 연결하는 부위에 착용자가 청바지를 입고 앉거나 움직일 때에 형성되는 주름과 같이 주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름형성을 보다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해서 도 4에서와 같이 힙출입실린더(22)를 더 조작하면 이 힙출입실린더(22)의 로드에 구성된 한 쌍의 힙 모양의 컵형상 힙(23)이 하강되어 청바지의 힙 부분을 팽팽히 당겨 상기 주름이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이러한 높낮이를 조절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주름을 형성한다.

    그리고 무릎에 대한 주름형성은 도 4와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40)굽힘 정도를 먼저 설정한다.

    이때 미도시된 조작컨트롤에 의하여 종아리굽힘실린더(44)을 연동시키면 이 로드가 연동하고 그 단부에 힌지된 축봉(45)의 굽힘 연동암(46)을 이동시켜 상기 축봉(45)을 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축봉(45)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 종아리(40)를 고정한 굽힘간(47)이 회동하면서 종아리(40)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켜 무릎부에 보다 자연스러운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때에도 주름의 자연미를 높이기 위하여 종아리(40)의 굽힘각을 조절함과 함께 무릎(42)을 돌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조작컨트롤로 조작되는 무릎실린더(41)를 연동하면 이에 의해 승하강 되는 만곡 캡형상의 무릎(42)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무릎 돌출을 조절시키고 이러한 돌출에 따라 무릎의 이면부에 주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주름을 형성한 상태에서 공지와 같이 샌딩 또는 화학 처리등을 수행하게 되므로, 가공 후 만들어지는 청바지에 주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탈색등이 보다 자연스럽게 성형된다.

    청바지의 뒷면을 작업할 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조작컨트롤로 회전실린더(12)를 가동하면 이 로드에 형성된 랙(13)이 연동하고 이 랙(13)과 연동되는 피니언(11)이 회전하면서 그 회전축(1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 회전축상에 고정된 하체고정부재(20)와 이 하체고정부재(20)에 고정된 하체부 전부가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바지의 앞부분 또는 뒤부분의 작업이 간단하고 그 조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미설명된 건조 또는 스팀발생기(101)와 닥트(102)는 공지와 같이 스팀을 제공하여 건조 또는 주름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분 고안의 전술한 내용은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좁게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변경 및 수정에 의한 구조도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그 범주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인체의 하체를 모방한 종아리와 허벅지 및 힙을 구성하고 각 골절부는 인체와 같이 굽힘과 굽힘각의 조절이 가능도록 구성시켜 사용에서 형성되는 주름을 그대로 형성함으로 청바지에 보다 자연스러운 주름성형으로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힙과 무릎의 돌출을 조절하여 주름이 많고 적음 또는 크거나 작은 주름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과 주름성형이 용이하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는 특징 및 작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생산가로 제작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는 고안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