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성형장치{Apparatus for forming wrinkles}
본 발명은 주름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지에 미려한 주름을 형성하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주름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을 이루는 섬유사는 신축성,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신축성, 탄력성을 가진 직물을 이용한 옷은 맵시에 영향을 끼쳐 옷을 선택하는 데에 큰 요인이 된다. 그리고, 직물의 통기성이 우수하면, 땀의 배출 등이 쉽게 되어 착용감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직물을 이용하여 의복을 제작하면 의복에 차별성이 있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탄력성 및 통기성은 섬유사의 재질에 크게 의존하게 되는 요인으로 신축성, 탄력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섬유사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한다. 하지만, 신축성, 탄력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섬유사의 개발은 매우 어려운 일로 많은 자본과 시간, 노동력 등이 투하되어 소기업 등에서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리고, 개발에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직물에 주름을 만들어 주름에 의하여 신축성 등을 개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성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주름성형이 이루어진 부분과 스프링 연결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의해서 사용되는 상태의 주름종이의 상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주름성형장치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성형기(1) 상부에 와이어 스프링(6) 지지롤러(5)(5')를 설치하고 사이에 다수의 요철을 갖는 주름 성형롤러(4)를 설치하며, 상단에는 다수의 볼트조임 방식 가압조절기(7)가 대응되고, 저부에는 각각의 롤러에서 공급되는 주름종이(B), 직물지(A), 주름종이(B')가 포개진 상태로 지나갈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가열롤러(2)가 설치된다. 가열롤러(2)의 축에는 체인기어와 감속기어가 설치되어 구동모터(10')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가열롤러(2) 저부에 위치하여 지지롤러(5), 주름 성형롤러(4), 지지롤러(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 스프링(6)이 설치된 고무롤러(3)의 구동은 별도로 구비된 다른 구동모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일측 아암(12)(12b)에 끼워진 롤의 주름종이(B)(B') 사이에 중앙부 아암(12a)에 끼워진 롤의 직물지(A)가 개재된 상태로 가열롤러(2)와 고무롤러(3)의 회전에 의하여 성형롤러(4)와 가열롤러(2) 사이를 통과 하면서 직물지(A)에 주름이 성형된다. 즉 주름종이(B)(B') 사이에 개재된 직물지(A)는 주름성형 롤러(4)와 가열롤러(2) 사이를 통과하면서 주름성형 롤러(4) 표면에 형성된 요철과 다수의 와이어 스프링(6)의 가압에 의하여 주름이 형성되는 동시에 가열롤러(2)의 고열이 함께 가압되어 주름무늬가 성형된다. 주름성형장치에 사용되는 주름종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성형 롤러(4)를 통과한 부분에서는 가로 주름이 형성되고, 주름성형 롤러(4)를 통과하지 않은 부분은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을 이룬다. 즉 직물지에 주름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 종이는 이전과 달리 '가로 주름'이 형성되어 가로 주름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주름성형장치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주름종이를 사용해왔기 때문에, 새로운 직물지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매번 새 주름종이를 구입하고, 주름종이 생산업자로부터 운반해 와야 하고, 한 번 사용한 주름종이는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는 물론 추가적인 비용 발생과 자원 오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새 주름종이를 구매하거나, 보관하는 데에 사용되는 비용은 물론, 사용한 주름종이를 폐기하는 데에도 비용이 발생해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환경오염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 사용되어 주름이 형성된 주름종이를 이용해서 직물지에 주름을 성형할 수 있는 주름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원을 절약해서 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직물지에 미려한 형태의 주름을 성형할 수 있는 주름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감겨진 직물지가 안착되는 직물지 롤러; 주름 형성시 상기 직물지의 상면에 접하는 제1주름종이가 설치되는 제1주름종이 롤러; 주름 형성시 상기 직물지의 하면에 접하는 제2주름종이가 설치되는 제2주름종이 롤러; 상기 제1주름종이, 상기 직물지 및 상기 제2주름종이가 순차적으로 포개진 상태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롤러; 상기 가열롤러 상측에 위치해서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기 직물지를 가압하는 칼날부; 및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에 위치해서 상기 직물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름종이는 이미 사용되어 주름이 형성된 기 사용 주름종이이고, 상기 제2주름종이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미 사용 주름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을 벗어나도록 향하게 형성된 팁과,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몸통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물지 롤러,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 및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조절부는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주름종이는 상기 주름성형장치를 이용해 상기 제2주름종이를 1회 사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롤러를 통과하는 주름종이를 회수하는 회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기는, 상기 가열롤러를 통과한 제1주름종이가 감기는 제1회수 롤러; 및 상기 가열롤러를 통과한 제2주름종이가 감기는 제2회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수기는 상기 제1회수 롤러에 설치되는 제1기어, 상기 제2회수 롤러에 설치되는 제2기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로 전달하는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미 사용되어 주름이 형성된 주름종이를 재사용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주름의 형태가 이전과 달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주름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가지 형태의 주름을 성형하여 평면적인 무늬에서 입체적인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켜 수요자의 패션요구를 충족하고, 여름용 의류로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 주름 때문에 신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통풍이 매우 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달라붙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 반복성이 적은 복잡한 형태의 주름 무늬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옷감 즉, 의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직물지에 주름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주름종이는 1회만 사용하고 폐기한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주름종이 중 하나는 재사용을 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주름종이의 원가를 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하고 난 주름종이를 폐기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도 종래 기술에 비해서 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보호가 중요한 이슈인 현대 사회에서 사용하는 자원의 양을 줄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사용하는 재료의 원가도 줄여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성형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주름성형이 이루어진 부분과 스프링 연결 구성도. 도 3은 도 1에 의해서 사용되는 상태의 주름종이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성형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도 4에서 회수기를 제외한 부분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서 회수기를 제외한 부분의 평면도. 도 7은 지지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칼날부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제1주름종이 롤러에 설치되는 속도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성형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직물지(A)에 주름을 성형하는 주름기(100)와 상기 주름기(100)에서 사용된 주름종이(C,C')를 회수하는 회수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회수기(200)에서 주름이 성형된 직물지(A)도 함께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주름이 성형된 직물지(A)를 회수하는 구조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주름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02)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2)에는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거치되는 제1암(110), 직물지(A)가 거치되는 제2암(120), 제2주름종이 롤러(132)가 거치되는 제3암(1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름기(100)는 주름이 성형된 상기 직물지(A), 상기 제1주름종이(B) 및 상기 제2주름종이(B')를 안내하는 안내암(1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안내암(150)은 상기 프레임(102)을 기준으로 상기 제2암(120) 및 상기 제3암(130)의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름종이는 주름종이를 제조해서 판매하는 제조자에 의해서 원통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판매되는 데, 판매되는 주름종이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얇고 하얀 새 종이이다. 직물지도 주름종이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감겨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제1주름종이(B)는 원통형으로 감겨서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에 마련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풀리면서 상기 제1주름종이(B)가 풀린다. 상기 제1암(110)에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안착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거치된다.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안착홈(111)에서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안착홈(111)에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는 별도의 베어링을 통해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직물지(A)는 원통형으로 감겨서 상기 직물지 롤러(122)에 마련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풀리면서 상기 직물지(A)가 풀린다. 상기 제2암(120)에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직물지 롤러(122)가 거치된다. 상기 직물지 롤러(122)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안착홈(121)에서 상기 직물지 롤러(122)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주름종이(B')는 원통형으로 감겨서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132)에 마련되고, 시계방향으로 풀리면서 상기 제2주름종이(B')가 풀린다. 상기 제3암(130)에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안착홈(13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132)가 거치된다.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132)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3안착홈(131)에서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132)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제1안착홈(111)과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 상기 제2안착홈(121)과 상기 직물지 롤러(122), 상기 제3안착홈(131)과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132)의 결합구조는 각각의 롤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면 어떠한 형태로 변형되더라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착홈들은 상기 롤러의 각각의 양단이 아닌 일단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02)의 내측에는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직물지(A) 및 상기 제2주름종이(B')가 순차적으로 포개진 상태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롤러(1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외에도 상기 주름기(100)는 상기 가열롤러(160) 상측에 위치해서 상기 직물지(A)를 가압하는 칼날부(180)와 상기 가열롤러(160)의 외주면에 위치해서 상기 직물지(A)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칼날부(180)와 상기 안내부(190)는 상기 프레임(102)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설치가 되는 구조를 도시하면 구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치구조는 생략한다. 상기 회수기(200)는 상기 안내암(150)을 통해서 배출되는 제1주름종이(B)를 감는 제1회수 롤러(210) 및 상기 제2주름종이(B')를 감는 제2회수 롤러(2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회수 롤러(210)의 일단에는 제1기어(212)가 설치되고, 상기 제2회수 롤러(220)의 일단에는 제2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기(2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40)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240)에는 모터 기어(242)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212)와 상기 제2기어(222) 및 상기 모터 기어(242)는 체인(232)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모터(24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체인(232)은 상기 제1기어(212) 및 상기 제2기어(222)에 기어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기어(212) 및 상기 제2기어(222)는 동일한 회전 속도로 주름종이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주름종이(B)는 이미 사용되어 형성된 기 사용 주름종이이고, 상기 제2주름종이(B')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미 사용 주름종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주름종이가 1회 밖에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주름종이를 재활용하여 직물지에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주름종이(B)는 본 발명의 주름기(100)를 이용해 상기 제2주름종이(B')를 1회 사용하고 나서 상기 제2회수 롤러(220)에 감긴 주름종이(C')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주름기(100)를 사용한 후 C'에 감긴 주름종이를 B의 주름종이로 사용해서 직물지에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회수기를 제외한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회수기를 제외한 부분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2), 상기 프레임(102)의 상측에 설치된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 상기 프레임(102)의 중간에 설치된 가열롤러(160), 상기 직물지(A)를 가압해서 상기 안내부(190)로 이동시키는 칼날부(180), 상기 칼날부(180)의 하측에 설치되는 안내부(19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2)은 평판 형태로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이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02)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롤러(160)는 상기 직물지(A),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제2주름종이(B')를 가열한다. 상기 가열롤러(160)는 상기 프레임(102)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04) 및 상기 구동모터(104)에 연결되는 구동 체인(106)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칼날부(180)와 상기 안내부(190)가 인접한 부분은 서로 이빨과 유사한 형태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서로 엊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지지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칼날부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도 7 및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칼날부(180)는 상기 직물지(A)에 주름을 형성하는 칼날(181)과 이 칼날(181)을 고정하기 위한 칼대(181a)를 포함한다. 상기 칼날부(180)는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롤러(160)로 안내되는 상기 직물지(A)에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180)는 상기 칼대(181a)를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지지롤러(18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롤러(182)는 조정캠 하우징(185)을 통해 칼대(181a)를 지지하고, 이들은 상기 칼날(181)을 지지하도록 프레임(102)에 부싱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칼대(181a)에 상하 요동을 일으키기 위해서, 상기 조정캠 하우징(185)의 내측에는 내부의 크랭크 캠(183)(184)이 상기 지지롤러(182)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조정캠 하우징(185)은 내부에 편심 장착된다. 내부 크랭크 캠(183)(18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182)의 중심에 대해 편심을 이루게 장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롤러(160)의 외주면 중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안내부(190)가 위치한다. 상기 안내부(190)는 상기 칼날(18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팁(192)과 상기 팁(192)이 설치되어 상기 가열롤러(160)를 둘러싸는 몸통(19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팁(192)은 상기 칼날(181)에 의해서 밀려진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직물지(A) 및 상기 제2주름종이(B')가 상기 몸통(194)과 상기 가열롤러(160)의 사이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롤러(160)의 외주면을 벗어나도록 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팁(192)은 상기 가열롤러(160)에 대해 접선방향이 아니라, 접선방향보다 상측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190)는 상기 가열롤러(160)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지는 않고, 상기 안내부(190)의 하단을 통해서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직물지(A) 및 상기 제2주름종이(B')가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2)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안내부(190)의 지지구조는 생략한다. 상기 제1주름종이(B)는 이미 1회 이상 사용되어 주름이 형성된 종이이기 때문에, 주름이 없는 종이에 비해서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주름이 없는 주름종이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상기 안내부(190)와 상기 가열롤러(160)의 거리는 주름이 없는 2개의 주름종이와 직물지의 두께를 합친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안내부(190)와 상기 가열롤러(160)의 거리를 멀리 떨어뜨릴 수록 형성되는 주름의 입체감은 떨어지기 때문에, 직물지의 종류나 형성하고자 하는 주름의 형상에 따라 그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제1주름종이 롤러에 설치되는 속도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속도 조절부(140)은 도 5 및 도 6에는 직접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주름기(100)의 제1주름종이 롤러(112)의 일단 또는 양단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양단에 설치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인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름기(100)에는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속도 조절부(140)는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와 마찰을 발생시켜 작은 힘에 의해서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비규칙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는 상기 제1안착홈(111)에서 거치되기 때문에, 상기 속도 조절부(140)가 없다면 작은 힘이 가해질 때에는 빠르게 회전했다가, 힘이 제거되면 속도가 늦어지는 형태로 비규칙적이면서 반복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주름종이(B)는 이미 1회 이상 사용되고, 다시 감겨진 기 사용 주름종이이기 때문에, 상기 제2주름종이(B')처럼 주름종이의 간격이 일정하고 밀집된 상태로 감겨있지 않다. 상기 회수기(200)를 이용해서 감겨진 주름종이일 경우에는 높은 비용이나 정밀한 장비를 이용해서 주름종이를 다시 감지 않기 때문에 비균일도가 더 크다. 따라서 동일한 종이이더라도 주름종이 롤러의 반경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상기 속도 조절부(140)는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의 외주면을 감싸는 마찰 부재(144), 상기 마찰 부재(144)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146), 상기 탄성 부재(146)의 일단을 상기 제1암(110)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44)는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에 직접 접촉되어 마찰을 발생시키는 데, 직사각형 형태의 끈이 벨트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마찰부재(144)의 끝을 고정하기 위한 핀(142)이 상기 제1암(11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 부재(146)는 상기 마찰 부재(144)가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에 일정한 수직 항력을 제공하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통상적인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탄성 부재(146)는 원하는 정도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암(110)에 고정되는 핀(14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핀(149)과 상기 탄성 부재(146)의 일단을 고정하는 볼트(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148)은 상기 탄성 부재(146)의 탄성을 조절하여 주름종이(B)가 용이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주름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제1안착홈(111)에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거치되고, 상기 제2안착홈(121)에 상기 직물지 롤러(122)가 거치되며, 상기 제3안착홈(131)에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132)가 거치된다. 상기 가열롤러(160)에는 상기 가열롤러(160)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직물지(A) 및 상기 제2주름종이(B')가 배치된다. 상기 가열롤러(160)는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직물지(A) 및 상기 제2주름종이(B')는 상기 안내부(190)의 상기 팁(192)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열롤러(160)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지지롤러(182)는 회전되고, 상기 지지롤러(182)에 축결합된 상기 크랭크 캠(183)(184)이 상기 지지롤러(182)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 캠(183)(184)은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크랭크 캠(183)(184)에 의해서 발생되는 직선 운동은 상기 조정캠 하우징(185)에 전달된다. 상기 조정캠 하우징(185)은 상기 칼날(18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칼날(181)은 상기 조정캠 하우징(185)을 따라 전후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칼날(181)은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직물지(A) 및 상기 제2주름종이(B')를 상기 안내부(190)의 몸통(194)과 상기 가열롤러(160)의 사이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제1주름종이(B), 상기 직물지(A) 및 상기 제2주름종이(B')는 가열롤러(160)의 외주면을 따라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가열롤러(160)는 열선이 설치되어 있어 열을 공급하고, 상기 가열롤러(160)의 열에 의해서 상기 안내부(190)와 상기 가열롤러(160)의 사이에 압축된 상기 직물지(A)에는 주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 상기 제2주름종이 롤러(132) 및 상기 직물지 롤러(122)는 상기 제1주름종이(B)가 상기 가열롤러(160) 및 상기 칼날(181)을 따라 이동되는 힘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기 칼날(181)은 상기 제1주름종이(B)를 단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는 단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큰 힘이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에 가해질 때에는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상기 가열롤러(160)에 공급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되다가, 작은 힘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가열롤러(160)에 공급되는 속도보다 느리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상기 제1주름종이(B')가 공급되는 적절한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되면 상기 제1주름종이(B')는 불필요하게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되어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주름종이(B)가 기 사용 주름종이인 경우인,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에 주름종이가 일관된 반지름과, 일관된 형상을 갖도록 감기기 어려운 경우에 발생되기 쉽다. 도 3에서와 같이, 주름종이 롤러에 감긴 주름이 없는 새 종이는 일관된 반지름과 두께를 갖는 반면에, 이미 가로 주름이 형성된 종이는 현실적으로 회수 롤러에 감길 때에 일관성을 갖기 어렵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속도 조절부(140)의 상기 마찰 부재(144)는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일정한 힘 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동되지 않도록 마찰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속도 조절부(140)에 의해서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줄여,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제1주름종이(B)가 공급되는 속도에 비해, 상기 제1주름종이 롤러(112)가 회전되는 속도가 빠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44)의 일단에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 부재(146)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탄성 부재(146)의 탄성계수 등이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속도 조절부(140)에 의해서 가해지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열롤러(160)에서 성형이 완료된 상기 직물지(A)는 상기 안내부(190)를 통해 상기 안내암(150)의 상면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직물지(A)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제1주름종이(B)는 상기 안내암(150)의 상면을 거쳐 상기 제1회수 롤러(210)에 감긴다. 상기 제2주름종이(B')는 상기 안내암(150)의 상면을 거쳐 상기 제2회수 롤러(220)에 감긴다. 상기 제1회수 롤러(210) 및 상기 제2회수 롤러(220)는 상기 모터(240)의 회전력을 상기 제1체인(232)을 통해서 전달받기 때문에 동일한 속도록 회전되어, 주름종이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 롤러(220)에 감겨진 주름종이(C)는 1회 사용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름성형장치의 제1주름종이 롤러(112)로 재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주름기 102: 프레임 112 : 제1주름종이 롤러 122 : 직물지 롤러 132 : 제2주름종이 롤러 140 : 속도 조절부 150 : 안내암 160 : 가열롤러 180 : 칼날부 190 : 안내부 200 : 회수기 210 : 제1회수 롤러 220 : 제2회수 롤러 240 : 모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