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플리트 제품용직물

申请号 KR1020057019390 申请日 2004-04-07 公开(公告)号 KR100720961B1 公开(公告)日 2007-05-23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오자키 플리츠; 发明人 오자키요시유키;
摘要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과의 경계가 두드러지도록, 직물에 부분적으로 플리트 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한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제공한다. 경사(2) 및 위사(3)의 한쪽을 양플리트성 실로 하고, 다른쪽을 난플리트성 실로 한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의 일부를, 경사(2) 및 위사(3)에 대해 경사지게 한 주름선(4)을 따라 겹쳐 포개고, 경사(2) 또는 위사(3)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4) 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한 후,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을 펼쳐서 세탁한다. 겹쳐 포갬 부분의 한쪽면의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만 유효한 플리트가 형성되고, 또 한쪽면의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는 유효한 플리트는 형성되지 않아,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의 플리트는 세탁 공정에 의해 지워져서 비플리트 부분(5b)이 되고,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으로 형성된 플리트는 주름선까지 확실히 형성된 플리트 부분(5a)이 된다.
플리트, 양플리트성, 난플리트성, 실, 세탁, 경사, 위사, 주름, 직물, 레이온, 아크릴.
权利要求
  • 경사 및 위사의 어느 한쪽을 양플리트성 실로 하고, 다른쪽을 난플리트성 실로 한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겹쳐 포개고, 상기 경사 또는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상기 주름선 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한 후, 상기 직물을 펼쳐서 세탁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상기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상기 경사 및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이 바뀌도록 꿰매 맞춘 후,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접어 포개고나서 상기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반복하여 접어 포개고나서 상기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반복하여 접어 포개고나서 상기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선의 경사는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선의 경사는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선의 경사는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선의 경사는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 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 경사 및 위사중 어느 한쪽을 양플리트성 실로 하고, 다른쪽을 난플리트성 실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로서, 복수매의 상기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상기 경사 및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이 바뀌도록 꿰매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
  • 삭제
  • 삭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난플리트성 실이 레이온사, 아크릴사 또는 천연섬유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
  • 说明书全文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MEHOD OF MANUFACTURING PLEATED PRODUCT AND FABRIC FOR PLEATED PRODUCT USED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직물에 부분적으로 플리트 가공을 한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천에 주름을 세우는 가공으로서, 플리트 가공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플리트 가공은 블라우스, 원피스나 스커트 등의 의복에 행해져, 알맞은 음영을 의복에 표현할 수 있는 이외에,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치수적으로 여유가 없는 의복을 몸에 입은 경우라도 불편한 느낌이 들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플리트 가공을 설비한 의복을 만드는 경우, 평평한 면에 미리 플리트 가공한 천을 소정의 형상 및 치수로 재단하거나, 미리 소정의 형상 및 치수로 재단한 천에 플리트 가공을 행하거나 하여, 봉제를 행한다. 또는, 일본 특개평 5-93364호 공보 제2쪽 우측 컬럼 및 도 2(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칭한다.)에 기재된 바와 같이, 봉제전이 아니라, 봉제후에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방법도 있다.

    또, 특허문헌 1에는, 부분적인 플리트 가공은, 좌측부분의 플리트 가공을 행하고 나서 플리트 기계를 반전하여 T-셔츠를 일단 꺼내고, 우측부분을 앞으로 하여 플리트 기계에 다시 걸어서 행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중앙이 평탄한 플리트형을 사용하면, 플리트 기계를 반전시키지 않고, 부분적인 플리트 가공을 행할 수 있다는 기재도 있다.

    그런데, 플리트 기계의 반전이나, 중앙이 평탄한 플리트형을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의 경계가 두드러지게 가공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가공은 종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의 경계가 플리트형의 가장자리의 끼워넣기의 상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과의 경계가 두드러지게 되도록, 직물에 부분적으로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은, 경사 및 위사의 어느 한쪽을 양(良)플리트성 실로 하고 다른쪽을 난(難)플리트성 실로 한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진 주름선, 바람직하게는 45° 경사진 주름선을 따라 접어 포개고, 경사 또는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 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한 후, 직물을 펼쳐서 세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리트 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경사 및 위사의 어느 한쪽을 양플리트성 실로 하고, 다른쪽을 난플리트성 실로 한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접어 포갬으로써, 이 접어 포개진 부분에서는, 한쪽 면의 직물의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또 한쪽 면의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이 서로 일치한다. 즉, 이 플리트 제품용 직물이 접어 포개진 부분에서는, 한쪽 면의 직물에서는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고, 또 한쪽 면의 직물에서는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접어 포개진 상태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 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하면, 접어 포개진 부분의 한쪽면의 직물의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만 유효한 플리트의 주름이 형성되고, 또 한쪽면의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는 유효한 플리트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의 플리트의 주름은 다음 세탁 공정에 의해 지워져 비플리트 부분으로 되고,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으로 형성된 플리트의 주름은 주름선까지 확실히 형성된 플리트 부분이 된다. 이것에 의해,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의 경계가 주름선의 부분에서 두드러진 플리트 제품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반복하여 접어 포개고 나서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이 반복하여 접어 포갠 부분에 대해서는, 더욱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와,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접어 포개진 상태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 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의 경계가 주름선 부분에서 두드러지고,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이 번갈아 배치된 플리트 제품이 형성된다.

    또, 복수매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경사 및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이 바뀌도록 꿰매 맞춘 후,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접어 포개고나서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접어 포갰을 때, 이 겹쳐 포갬 부분의 각각의 면에,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부분과,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부분이 혼재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접어 포개진 상태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 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하면, 겹쳐 포갬 부분의 각각의 면에 유효한 플리트의 주름이 형성되는 부분과, 유효한 플리트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 양쪽이, 복수매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꿰매 맞춤 부분을 경계로 하여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의 경계가 주름선의 부분뿐만 아니라 이 꿰매 맞춤 부분에서도 두드러진 플리트가 형성된다.

    또한, 이 복수매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경사 및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이 바뀌도록 꿰매 맞춘 것에 대하여,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반복하여 접어 포개고나서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유효한 플리트 부분과 유효하지 않은 플리트 부분이 꿰매 맞춤 부분을 경계로 하여 번갈아 배치되고 또한, 반복하여 접어 포갠 부분에서는 유효한 플리트가 형성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 플리트의 주름이 하나의 면상에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플리트가 형성된다.

    또한, 주름선의 경사를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로 하면, 유효하지 않은 플리트 부분의 주름은 세탁에 의해 완전하게 지워지지만, 이 경사는 반드시 45°로 할 필요는 없다. 경사가 45°가 아닌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은 플리트 부분의 주름은 완전히 지워지지 않고, 가볍게 플리트가 남은 상태로 된다. 또한 경사가 45°가 아닌 경우라도, 접어 포개고나서 플리트 가공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에서 플리트의 방향이 달라, 그 경계는 확실히 두드러지게 된다. 또, 유효한 플리트 부분에 확실히 형성된 플리트와 유효하지 않은 플리트 부분에 형성된 가벼운 플리트의 경계가 그 플리트의 강약에 의해 주름선의 부분에서 확실히 두드러지게 된다.

    여기에서, 양플리트성 실이란, 통상 플리트를 형성하는 직물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플리트를 형성하기 쉬운 실을 말한다. 한편, 난플리트성 실이란 플리트를 형성하기 어려운 실을 말한다. 플리트를 형성하기 어려운 실로서는, 레이온사, 아크릴사 이외에, 면사, 마사나 모사털 등의 천연섬유의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1) 경사 및 위사 어느 한쪽을 양플리트성 실로 하고, 다른쪽을 난플리트성 실로 한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진 주름선을 따라 겹쳐 포개고, 경사 또는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 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한 후, 직물을 펼쳐서 세탁함으로써, 종래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온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의 경계가 주름선의 부분에서 두드러진 플리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을 1장의 천에 혼재시키고, 또한 그 경계를 두드러지게 한 생동감이 있는 플리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2)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진 주름선을 따라 반복하여 접어 포개고나서 플리트 가공을 행함으로써,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을 한장의 천에 번갈아 혼재시키고, 또한 그 경계를 두드러지게 한 플리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3) 복수매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경사 및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이 바뀌도록 꿰매 맞춘 후,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진 주름선을 따라 접어 포개고나서 플리트 가공을 행함으로써,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을 한장의 천에 혼재시키고, 또한 그 경계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진 주름선 위뿐만 아니라, 꿰매 맞춤 부분에서도 두드러지게 한 생동감이 있는 플리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4) 또한, 이 복수매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을 경사 및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이 바뀌도록 꿰매 맞춘 것에 대하여,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지게 한 주름선을 따라 반복하여 접어 포개고나서 플리트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플리트의 주름을 하나의 면상에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고, 또한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을 한장의 천에 번갈아 혼재시켜, 더욱 그 경계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경사진 주름선 위뿐만 아니라, 꿰매 맞춤 부분에서도 두드러지게 한 생동감이 있는 플리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5) 주름선의 경사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로 함으로써 유효하지 않은 플리트 부분의 주름을 완전하게 지우고,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에서 플리트의 유무에 의해 그 경계를 두드러지게 한 생동감이 있는 플리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6) 상기 주름선의 경사를,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로 하지 않는 경우, 유효하지 않은 플리트 부분의 주름을 완전히 지우지 않고, 비플리트 부분에 가볍게 플리트를 남긴 상태로 하면서, 플리트 부분과 비플리트 부분에서 플리트의 방향 및 강약에 의해 그 경계를 두드러지게 한 생동감 있는 플리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A는 도 3의 깊이측의 플리트 부분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앞쪽의 비플리트 부분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8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8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4D, 도 14E, 도 14F, 도 14G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도 15E, 도 15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은, 경사(2)와 위사(3)가 1대1로 교차하고 있는 평직의 천이다. 경사(2)는 큐프라(구리암모니아 레이온)이나 비스코스 레이온 등의 레이온사이다. 레이온사는 플리트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성질(난플리트성)을 갖는다. 한편, 위사(3)는 일반적인 플리트 가공 제품에 자주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이다. 폴리에스테르사는 플리트를 형성하기 쉽다는 성질(양플리트성)을 갖는다.

    이러한 플리트 제품용 직물(1)에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플리트 가공을 행한다. 도 2부터 도 7은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2부터 도 7에서 최종적으로 플리트를 형성하는 부분을 플리트 부분(5a)으로 나타내고, 최종적으로 플리트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비플리트 부분(5b)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트 제품용 직물(1)에 있어서 비플리트 부분(도 2 우측 상방의 직각 이등변 삼각형 부분)(5b)을 경사(2) 및 위사(3)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4)을 따라, 플리트 부분(5a)의 앞쪽으로 접어 포갠다. 도 3은, 겹쳐 포갠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 이후의 도면에서는, 경사(2) 및 위사(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도면의 종방향으로 경사(2), 횡방향으로 위사(3)가 각각 통과하고 있는 것에 변화는 없다.

    도 4A, 도 4B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의 겹쳐 포갬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4A는 도 3의 깊이측의 플리트 부분(5a)의 경사(2)와 위사(3)의 교차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도 3의 앞쪽의 비플리트 부분(5b)의 경사(2)와 위사(3)의 교차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름선(4)을 따라 접어 포개진 부분에서는, 도 4A의 면(플리트 부분(5a))의 경사(2)(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과 도 4B의 면(비플리트 부분(5b))의 위사(3)(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이 일치하고, 도 4A의 면(플리트 부분(5a))의 위사(3)(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과 도 4B의 면(비플리트 부분(5b))의 경사(2)(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이 일치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겹쳐 포갬 상태에서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의 플리트 부분(5a)의 위사(3)가 지나가는 방향에, 주름선(4)위까지 플리트 부분(5a) 및 비플리트 부분(5b) 모두에 플리트 가공을 행한다. 도 5의 종방향의 실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산(6a)를, 종방향의 파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골(6b)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겹쳐 포갬 부분을 펼쳐서 세탁한다. 세탁은, 단순한 물세탁, 물에 비누나 합성세제 등의 각종 세제를 사용하여 행하는 론드리, 또는, 휘발성 용제를 사용하는 드라이 클리닝중 어떤 것이라도 좋다.

    플리트 가공시,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의 겹쳐 포갬 부분에서는, 깊이측의 플리트 부분(5a)의 위사(3)(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산(6a)·골(6b)의 형성 방향(도 5 및 도 6의 횡방향)이 일치하고, 앞쪽의 비플리트 부분(5b)의 경사(2)(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산(6a)· 골(6b)의 형성방향(도 5의 횡방향 및 도 6의 종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겹쳐 포갬 부분의 깊이측의 플리트 부분(5a)의 위사(3)(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만 유효한 플리트가 형성되어 있고, 앞쪽의 비플리트 부분(5b)의 경사(2)(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는 유효한 플리트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세탁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플리트 부분(5b)의 경사(2)(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의 플리트는 지워져서 사라진다. 한편, 겹쳐 포갬 부분의 깊이측의 플리트 부분(5a)의 위사(3)(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형성된 플리트는 주름선(4)까지 확실히 산(6a)·골(6b)이 형성된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을 사용하고, 이 일부를 경사(2) 및 위사(3)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4)을 따라 겹쳐 포개고, 위사(3)가 지나가는 방향에 주름선(4)위까지 플리트 가공을 행한 후, 이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을 펼쳐서 세탁함으로써, 플리트 부분(5a)과 비플리트 부분(5b)의 경계가 주름선(4)의 부분에서 두드러진 플리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플리트의 형성은 봉제전에 행해도, 봉제후에 행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1)로서 평직물의 천을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능직이나 주자직 등, 경사(2)와 위사(3)를 일정한 규칙으로 교차시켜서 만드는 것이면 어떠한 직조 방법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2)를 난 플리트성의 실로 하고, 위사(3)를 양플리트성의 실로 하고 있지만, 반대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의 플리트 부분(5a)의 경사(2)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플리트 가공을 행하면, 동일하게 비플리트 부분(5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어 포갬 방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플리트 부분(5a)의 앞쪽이 아니라, 플리트 부분(5b)의 깊이측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11)은,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1)과 같이, 경사(12)와 위사(13)가 1대1로 교차하고 있는 평직의 천이다. 단,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1)과 상이한 것은, 경사(12)를 양플리트성의 폴리에스테르사로 하고 위사(13)을 난플리트성의 레이온사로 한 점이다.

    도 9부터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가공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9부터 도 12에서 최종적으로 플리트를 형성하는 부분을 플리트 부분(15a, 15b)으로 나타내고, 최종적으로 플리트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비플리트 부분(15c)으로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트 제품용 직물(11)에 있어서 플리트 부분(15a, 15b)을 경사(12) 및 위사(13)에 대해 45°경사지게 한 주름선(14a, 14b)을 따라, 비플리트 부분(15c)의 앞쪽에 접어 포갠다. 도 10은 겹쳐 포갬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0 이후의 도면에서는, 경사(12) 및 위사(1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도면의 종방향으로 경사(12), 횡방향으로 위사(13)가 각각 통과하고 있는 것에 변함은 없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겹쳐 포갬 상태에서 플리트 제품용 직물(11)의 비플리트 부분(15c)의 위사(13)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14a, 14b)위까지 플리트 부분(15a, 15b) 및 비플리트 부분(15c) 모두에 플리트 가공을 행한다. 도 11의 종방향의 실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산(16a)을, 종방향의 파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골(16b)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겹쳐 포갬 부분을 펼쳐서 세탁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트 부분(15a, 15b)의 경사(12)(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형성된 플리트는 주름선(14a, 14b)까지 확실하게 산(16a)·골(16b)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비플리트 부분(15c)의 위사(13)(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의 플리트는 지워지지 않게 된다.

    플리트 부분(15a, 15b)의 경사(12)(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산(16a)·골(16b)의 형성방향이 일치하고, 비플리트 부분(15c)의 위사(13)(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산(16a)·골(16b)의 형성방향이 일치하고 있고, 플리트 부분(15a, 15b)의 경사(12)(양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만 유효한 플리트가 형성되고, 비플리트 부분(15c)의 위사(13)(난플리트성 실)가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서는 유효한 플리트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 10의 겹쳐 포갠 후의 상태에서 플리트 제품용 직물(11)의 비플리트 부분(15c)의 경사(12)가 지나가는 방향(도 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름선(14a, 14b) 위까지 플리트 부분(15a, 15b) 및 비플리트 부분(15c) 모두에 플리트 가공을 행한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트 부분(17a)과 비플리트 부분(17b, 17c)이 역전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4D, 도 14E, 도 14F, 도 14G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도 14G에 도시하는 플리트 제품용 직물(21)은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1)과 동일하게 도면의 수평방향의 경사(도시 생략.)를 난플리트성의 레이온사로 하고, 도면의 수직방향의 위사를 양플리트성의 폴리에스테르사로 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먼저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22a)을 따라, 플리트 제품용 직물(21)의 일부(23a)를 도면의 앞쪽의 우측 상방을 향해서 접어 포갠다. 다음에,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22b)을 따라, 플리트 제품용 직물(21)의 일부(23b)를 도면의 앞쪽의 좌측 하방에 접어 포개고, 또한 도 14C, 도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22c, 22d)을 따라, 반복 플리트 제품용 직물(21)의 일부(23c, 23d)를 도면의 앞쪽의 우측 상방, 좌측 하방에 차례로 접어 포갠다.

    그리고, 도 1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겹쳐 포갬 상태에서 플리트 제품용 직물(21)의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주름선(22a, 22b, 22c, 22d)까지 모두 플리트 가공을 행한다. 동 도면의 종방향의 실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산(24a)을, 종방향의 파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골(24b)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 후에, 도 14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겹쳐 포갬 부분을 모두 펼쳐서 세탁한다.

    이것에 의해, 도 14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트 부분(25a, 25b, 25c)과 비플리트 부분(26a, 26b)이 번갈아 배치되고, 이것들의 경계가 주름선(22a, 22b, 22c, 22d)의 부분에서 두드러진 플리트 제품이 형성된다. 도 14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복하여 접어 포갠 부분에 대해서는,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부분(플리트 부분(25a, 25b, 25c))과,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부분(비비플리트 부분(26a, 26b))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시형태 4)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도 15E, 도 15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31)은, 도 1의 플리트 제품용 직물(1)을 그 경사와 위사가 지나가는 방향이 번갈아 바뀌도록 3×3매 배치하고, 꿰매 맞춘 것이다. 또한, 도 15A∼도 15F에는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만을 도시하고 있다.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은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먼저,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32a)을 따라, 플리트 제품용 직물(31)의 일부(33a)를 도면의 앞쪽의 우측 상방에 접어 포갠다. 다음에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및 위사에 대해 45° 경사지게 한 주름선(32b)을 따라, 플리트 제품용 직물의 일부(33b)를 도면의 앞쪽의 좌측 하방에 접어 포갠다.

    그리고,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겹쳐 포갬 상태에서 도면의 횡방향으로, 주름선(32a, 32b)까지 모두 플리트 가공을 행한다. 동 도면의 종방향의 실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산(34a)을, 종방향의 파선은 플리트의 주름의 골(34b)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 후, 도 15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겹쳐 포갬 부분을 모두 펼쳐서 세탁한다.

    이것에 의해, 도 15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트 부분(35, 36)과 비플리트 부분(37, 38)이 번갈아 배치되고, 또한 동일면상의 플리트 부분(35, 36)의 주름이 다른 방향에 형성된 플리트 제품이 형성된다. 또한, 이 플리트 제품에서는, 그 경계가 주름선(32a, 32b) 위뿐만 아니라, 꿰매 맞춤 부분(39)에서도 두드러진 것으로 된다. 플리트 가공의 형성방향이 동일하여도,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이 동일면상에서 상이하기 때문이며, 더욱 반복하여 접어 포갠 부분에 대해서는, 양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부분(플리트 부분(35, 36))과, 난플리트성 실이 지나가는 방향과 플리트의 주름의 형성방향이 일치하는 부분(비플리트 부분(37, 38))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블라우스, 원피스나 스커트 등의 의복에 플리트 가공을 행한 플리트 제품의 제조에 유용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