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

申请号 KR1020080027963 申请日 2008-03-26 公开(公告)号 KR100889274B1 公开(公告)日 2009-03-17
申请人 유지현;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发明人 유지현; 전두환;
摘要 An apparatus for sanforizing textile having a high contractible yarn is provided to offer the textile without a shrinkage problem by drying the textile completely with steam. An apparatus for sanforizing textile having a high contractible yarn comprises the followings: a heated vapor supplying unit(12) having a vapor spraying tank(30) spraying steam into a net belt side on a net belt(24) of a conveyer(18) conveying the textile(A) having the high contractible yarn; a drying unit(14) drying the conveyed textile on a lower part of the heated vapor supplying unit; and a residue steam removing unit(16) removing the steam remained on the dried textile in turns.
权利要求
  • 삭제
  • 삭제
  •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A)을 이송시키는 콘베이어(18)의 망벨트(24)를 사이에 두고 150~230℃의 고온스팀을 망벨트(24)측으로 분사하는 증기분사탱크(30)들이 상하로 구비된 가열증기공급부(12)를 설치하고, 가열증기공급부(12)의 하류부에는 고온스팀이 침투되어진 이송중의 원단(A)을 건조하는 건조부(14)와 건조된 원단(A)에 남은 잔류스팀을 제거하는 잔류스팀 제거부(16)가 차례로 설치되게 구성하되,
    상기 가열증기공급부(12)는 콘베이어(18)의 망벨트(24)를 사이를 두고 배기팬(38)이 장치된 배기덕트(36)를 갖는 상하부 커버케이싱(32)(34)이 상하에 설치되게 하고, 각 상하부 커버케이싱(32)(34)내에는 다수 증기분사탱크(30)들이 설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증기분사탱크(30)는 본체박스(42)의 내실을 전자밸브(58)가 부설된 격판(44)으로 분리하여서 일측내실(46)에는 스팀주입관(52) 및 스팀배출관(54)과 함께 가열체(50)가 내장설치되게 하고, 타측내실(48)의 바닥부에는 고온스팀 분사잔공(60)들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
  • 说明书全文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APPARATUS FOR SANFORIZING TEXTILE HAVING STRETCH YARN}

    본 발명은 직물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축사나 고무사와 같은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을 위한 수축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축사나 고무사와 같은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에는 폴리우레탄을 주 성분으로 하여 신축성이 큰 섬유사로 제직하여서 된 탄성섬유 스판덱스직물이나 일반 직물원단에 고수축성원사로 자수를 놓아서 된 자수원단 등이 있다.

    스판덱스직물이나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자수원단은 가공하기 이전까지는 줄어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을 그 상태로 봉제하여 완성품을 만들어 놓게 되면 다림질이나 세탁 등에 의한 옷감의 수축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봉제 이전에 미리 원단을 수축시키는 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원단의 예비 수축가공을 위해 통상적으로 방축가공기가 사용된다. 통상적인 방축가공기는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에 스팀을 스프레이하여 원단에 수분이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수축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축가공기는 고수축성 원사를 갖는 원단에 적용하여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수축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게되어서 봉제후 완제품을 만들어 놓은 상태에서도 수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수축성 원사를 갖는 원단이 완제품으로 제조될 시 수축문제가 없을 만큼 충분히 사전 수축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A)을 이송시키는 콘베이어(18)의 망벨트(24)를 사이에 두고 150~230℃의 고온스팀을 망벨트(24)측으로 분사하는 증기분사탱크(30)들이 상하로 구비된 가열증기공급부(12)를 설치하고, 가열증기공급부(12)의 하류부에는 고온스팀이 침투되어진 이송중의 원단(A)을 건조하는 건조부(14)와 건조된 원단(A)에 남은 잔류스팀을 제거하는 잔류스팀 제거부(16)가 차례로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축사나 고무사와 같은 고수축성 원사를 갖는 원단이 완제품으로 제조될 시에도 수축문제가 없을 만큼 사전에 충분히 수축가공이 되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10)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기분사탱크(30)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수축성 원사를 갖는 원단(A)이 완제품으로 제조될 시에도 수축문제가 없을 만큼 사전에 충분히 수축가공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지 스팀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팀을 이용하되 그 스팀을 가열하여 스팀의 온도가 150~230℃가 되는 고온스팀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 그 고온스팀이 고수축성 원사를 갖는 원단(A)에 균일하게 침투 분사되도록 하며, 그후 상기 원단(A)이 최대한 건조되게 함과 아울러 잔류스팀도 제거되도록 구현한다.

    도 1에 도시된 수축가공장치(10)를 참조하면,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A)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18)에는 망상의 망벨트(24)가 벨트체결되며, 그 망벨트(24)는 다수의 콘베이어 롤러(22)들에 의해서 구동된다. 콘베이어(18)의 인입부에는 공급롤러(20)가 설치되어서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A)을 콘베이어(18)의 망벨트(24)상에 안착되도록 해준다.

    또 수축가공장치(10)에는 콘베이어(18)의 이송방향을 따라가며 가열증기공급부(12)와 건조부(14) 및 잔류스팀제거부(16)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콘베이어(18)의 망벨트(24)를 사이에 두고 150~230℃의 고온스팀을 망벨트(24)측으로 분사하는 증기분사탱크(30)들이 상하로 구비된 가열증기공급부(12)가 설치되게 구성하고, 가열증기공급부(12)의 하류부에는 고온스팀이 침투되어진 이송중의 원단(A)을 건조하는 건조부(14)와 그 건조된 원단(A)에 남은 잔류스팀을 제거하는 잔류스팀 제거부(16)가 차례로 설치되게 구성한다.

    상기 가열증기공급부(12)는 콘베이어(18)의 망벨트(24)를 사이를 두고 배기팬(38)이 장치된 배기덕트(36)를 갖는 상하부 커버케이싱(32)(34)이 상하에 설치되게 하고, 각 상하부 커버케이싱(32)(34)내에는 다수 증기분사탱크(30)들이 설치되게 구성한다.

    상기 증기분사탱크(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박스(42)의 내실을 전자밸브(58)들이 부설된 격판(44)으로 분리하여서 상부측에 위치한 일측내실(46)과 하부측에 위치한 타측내실(48)로 구획 구성한다. 상기 일측내실(46)에는 스팀주입관(52) 및 스팀배출관(54)과 함께 가열체(50)가 내장설치되고, 격판(44)의 전자밸브(58)들을 통해 일측내실(46)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타측내실(48)은 그 바닥부에 고온스팀 분사잔공(60)들을 형성함으로써 타측내실(48)의 고온스팀이 고온스팀 분사잔공(60)들을 통해서 망벨트(24)측으로 분사되게 한다.

    증기분사탱크(30)의 일측내실(46)에 연결된 스팀주입관(52)을 통해서 외부로부터의 스팀이 일측내실(46)에 주입되어지고, 일측내실(46)에 연결된 스팀배출관(54)의 타단에는 스팀트랩(56)이 설치된다. 스팀트랩(56)은 스팀배출관(54)내의 스팀이 일부 응결하여 물이 되면 자동으로 응축수만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증기분사탱크(30)의 일측내실(46)에 설치된 구성요소중 가열체(50)는 바람직하게 히터파이프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히터파이프는 제어기(미도시됨)의 제어하에 200~300℃의 온도로 발열을 하여서 일측내실(46)에 주입된 스팀이 150~230℃의 고온스팀이 되도록 가열시켜준다.

    일측내실(46)의 챔버온도는 온도센서(미도시됨)에 의해서 감지되고 제어기에 의해서 외부로 표시되며, 작업자는 자신이 원하는 챔버온도가 되도록 히터파이프와 같은 가열체(50)의 가열온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챔버온도가 되면 외부 개방스위치(미도시됨)를 눌러서 제어기의 제어하에 전자밸브(58)들이 개방되게 제어한다. 격판(44)의 전자밸브(58)들이 개방되면 일측내실(46)의 고온스팀이 전자밸브(58)들을 통해서 타측내실(48)로 이동되며, 그후 그 고온스팀은 타측내실(48)의 바닥부에 형성된 고온스팀 분사잔공(60)들을 통해서 망벨트(24)측으로 분사되어진다.

    이제 작업자가 탄성섬유 스판덱스직물이나 일반 직물원단에 고수축성원사로 자수를 놓아서 된 자수원단 등과 같이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A)을 수축가공장치(10)의 공급롤러(20)로 투입을 하게되면,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A)은 콘베이어(18)의 망벨트(24)에 안착되어서 하류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망벨트(24)에 의해서 이송되는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A)에는 망벨트(24)의 상하에 위치한 가열증기공급부(12)의 증기분사탱크(30)로부터 분사되는 150~230℃의 고온스팀이 그 섬유조직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되어진다. 고온스팀의 온도가 150~160℃일 때에는 대략 5kg/cm 3 의 압력을 가진다.

    고온스팀의 온도가 230℃정도까지 되는 경우에는 고수축성원사가 자수된 자카드원단이나 폴리에스터원단에 적용할 수 있으며, 커튼지와 같이 다소 뻣뻣한 질감을 갖으면서 자중에 의해 내려뜨려지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가열증기공급부(12)를 통과한 원단(A)은 망벨트(24)에 얹혀서 하류부의 건조부(14)에 이송되어지며, 건조부(14)는 열풍건조를 통해서 습윤상태의 원단(A)을 건조시킨다. 건조부(14)를 통과한 원단(A)은 망벨트(24)에 얹혀서 하류부의 잔류스팀 제거부(16)에서 원단(A)에 남아 있는 잔류스팀이 제거되어진다. 잔류스팀 제거부(16)는 원단(A)에 내재된 잔류스팀을 진공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과정을 마친 고수축성 원사를 갖는 원단(A)은 완제품으로 제조될 시에도 수축문제가 없을 만큼 사전에 충분히 수축가공이 되어지며, 일반 직물원단에 고수축성원사로 자수를 놓아서 된 자수원단은 고수축성 원사의 수축으로 직물원단 상에 입체문양이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고축사나 고무사와 같은 고수축성 원사를 갖는 원단을 사전 수축가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증기분사탱크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축가공장치 (12)-- 가열증기공급부

    (14)-- 건조부 (16)-- 잔류스팀 제거부

    (18)-- 콘베이어 (20)-- 공급롤러

    (22)-- 콘베이어롤러 (24)-- 망벨트

    (30)-- 증기분사탱크 (44)-- 격판

    (46)-- 일측내실 (48)-- 타측내실

    (50)-- 가열체 (52)-- 스팀주입관

    (54)-- 스팀배출관 (56)-- 스팀트랩

    (58)-- 전자밸브 (60)-- 고온스팀 분사잔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