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申请号 KR1020070028140 申请日 2007-03-22 公开(公告)号 KR100916496B1 公开(公告)日 2009-09-08
申请人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发明人 힐렌브란드베른드; 빈데르베른드;
摘要 본 발명의 니들 홀더(7)는 특히 산업용 소우잉 머신(sewing machine)용으로 제공되고, 여기에서 소우잉 머신의 니들은 서로 다른 니들 게이지를 가지며, 양호하게는 서로 다른 원통형 생크 또는 축은 이들이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지되거나 유지된다. 이러한 점은 그립퍼 위치 및/또는 니들 가드 위치의 조정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소우잉 니들(4)과 그립퍼(6)사이의 상대 위치의 조정을 허용한다.
니들 홀더, 소우잉 머신, 니들 게이지, 원통형 생크, 그립퍼, 니들 가드
权利要求
  • 산업용 소우잉 머신(1)에서 소우잉 머신(1)용 니들 홀더(7)로서,
    상기 니들 홀더(7)는 니들 바아(2)상의 소우잉 니들을 홀딩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소우잉 니들(4)을 수용하도록 셋업되며,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니들 홀더(7)의 홀딩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 홀더(7)상에 제공되는 조정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장치는 제 1 캠(73)을 구비하는 편심 조정 장치(64)이며, 상기 제 1 캠은 니들 바아(2)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축(7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30)는 니들 가드(11)에 대하여 또는 그립퍼(6)에 대하여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상대 위치 조정을 위하여 셋업되며, 상기 그립퍼는 소우잉 머신(1)에 속해 있으며 또한 상기 소우잉 니들(4)에 의하여 안내되는 쓰레드를 그립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30)는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대향 접촉 수단(31)과, 상기 대향 접촉 수단(31)에 대하여 상기 소우잉 니들(4)에 장력을 가하는 클램핑 장치(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홀더는 지지 장치(19)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이것이 상기 소우잉 니들(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유지되며, 또한 상기 소우잉 니들(4)을 유지하기 위하여 셋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30)는 몇몇의 니들 홀딩 위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여기에서 상기 소우잉 니들(4)은 소우잉 니들(4)의 소우잉 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들 운동 방향(8)에 대하여 평행하게 각각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30)는 수동적인 조정을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30)는 계단식 위치 조정을 위하여 셋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30)는 연속적인 위치 조정을 위하여 셋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조정 장치(64)는 제 2 캠(74)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캠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73)과 제 2 캠(74)은 이들이 동일한 방향 또는 대향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바아(2)와 니들 홀더(7)사이에 안내 장치(70)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70)는 니들 바아(2)의 종방향(7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방향을 구비하는 선형 안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바아(2)는 슬릿(69)을 가지며, 상기 니들 홀더(7)는 안내 섹션(66)을 가지는 니들 수용 요소(8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안내 섹션(66) 및 슬릿(69)은 안내 장치(7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30)는 작동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드라이브는 전기적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조절될 수 있는 드라이브(6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
  • 说明书全文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Needle holder for sewing machine}

    도 1은 소우잉 머신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a는 도 1에 따른 소우잉 머신의 소우잉 니들을 서로 다른 스케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니들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니들 홀더와 선택기 축을 가지는 니들 바아의 수직 단면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니들 홀더의 다른 수직 단면도로서, 단면의 평면은 도 2에 따른 단면의 평면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있는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니들 홀더의 수평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의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니들 홀더의 수평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의 다른 변경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니들 홀더의 정면도.

    도 9는 도 7에 따른 니들 홀더의 수평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의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에 따른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의 다른 변경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는 도 1에 따른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의 다른 변경된 실시예의 저부로 부터 대각선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니들 홀더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는 도 12에 따른 니들 홀더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따른 니들 홀더의 저부로 부터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

    본 발명은 소우잉 머신(sewing machine)용 니들 홀더(needle holder), 특히 산업용 소우잉 머신용 니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소우잉 머신에서, 니들 홀더, 스티치 플레이트(stitch plate), 그립퍼 및 니들 가드(needle guard)는, 특히 높은 소우잉 속도와 많은 수의 스티치로써 소우잉(sewing)이 발생될 때에 신뢰성 있는 스티칭(stitching)을 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되어야만 한다. 상기 니들에 대한 그립퍼 위치 조정이 부적절하다면, 그립퍼 및 니들 가드에 대한 손상은 물론 잘못된 스티칭, 니들 및 쓰레드(thread)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소우잉 니들의 두께에서, 이들은 바느질될 재료의 견지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소우잉 머신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소우잉 니들을 사용할 필요가 제기된다.

    아이(eye)의 근처에서, 상기 소우잉 머신의 니들은 길쭉한 홈(furrow)을 가지며, 소우잉 재료를 통하여 가압되는 쓰레드(thread)를 픽업하기 위하여 스티치가 형성될 동안에 상기 길쭉한 홈의 내로 그립퍼(gripper)를 가라앉힌다. 서로 다른 두께의 니들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길쭉한 홈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길쭉한 홈의 베이스 또는 저부는 사용되는 각각의 서로 다른 소우잉 니들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진다.

    DE 103 34 023 A1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니들의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소우잉 니들을 사용할 때에, 상기 그립퍼 위치는 각각 사용되는 니들 두께에 적용될 필요가 없다. 상기 길쭉한 홈의 영역에서 큰 니들 직경을 가지는 니들에서, 상기 DE 103 34 023에 기재된 기술의 사용은 상기 니들 축의 영역에서 니들 단면과 비교하여서 작은 니들 단면으로 된다. 이러한 점은, 특히 큰 니들 직경(Nm)을 가지는 니들의 경우에 파손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가정용 소우잉 머신에서, 니들은 그립 조정을 피하기 위하여 평탄한 영역을 가지는 생크(shank)를 구비한다. 서로 다른 게이지를 가지는 소우잉 머신의 니들(서로 다른 공칭 직경(nominal diameter)을 가진 니들)에서, 상기 평탄한 영역은 서로 다른 두께의 니들이 사용될 때 그립퍼 조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산업용 소우잉 머신에서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생크를 가지는 니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니들 홀더는 모든 소우잉 니들의 중심축을 균일하게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게이지의 소우잉 니들에 적용시키기 위한 그립퍼의 조정은 많은 양의 작업을 포함하고, 또한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수직으로 정렬된 그립퍼 축을 가지는 록크스티치 머신(lockstitch machine)에서, 상기 그립퍼와 니들 가드의 연속적인 조정은 특히 복잡하게 되고, 따라서 정지 시간을 발생시키고 많은 셋업 노력(setup effort)을 발생시킨다.

    DE 특허 872 147는 슬라이드 베어링에서 수직으로 시프트될 수 있는 니들 바아를 가지는 소우잉 머신을 기재하고 있다. 이것의 하단부에서, 상기 니들 바아는 소우잉 니들을 부착하기 위한 클램프 스크류를 가진 니들 홀더를 지지한다. 상기 니들 바아의 시프트가능한 슬라이드 베어링은 조정 스크류에 의하여 바람직한 공간 위치내로 올 수 있는 안내 요소상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니들의 조정을 허용한다. 그러나, 상기 니들의 어떠한 연속적인 조정도 숙련된 지식이 요구되고, 또한 소우잉 머신 하우징의 내부에 대한 접근도 요구된다.

    DE 특허 856 828 및 US 특허 3 713 407에서, 이들 각각은 소우잉 니들의 생크를 수용하는 포켓 보어(pocket bore)를 가지는 이것의 하부 단부상에 제공되는 니들 바아를 포함하는 소우잉 머신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보어(threaded bore)가 상기 포켓 보어에 횡방향으로 있다. 따라서, 상기 니들 바아에 대한 소우잉 니들의 위치가 형성된다.

    GB 특허 1050003은 조정가능한 안내부에 지지되는 니들 바아를 포함하는 소우잉 머신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니들 바아와 소우잉 니들사이의 연결은 종래의 클램프 스크류에 의하여 간단하게 성취된다. 상기 니들 바아 안내부의 조정은 소 우잉 머신의 내부에 대한 접근과, 숙련된 지식을 요구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산업용 소우잉 머신에서 그립퍼(gripper)의 연속적인 조정이 요구되지 않고 소우잉 머신상에 서로 다른 게이지의 니들 사용을 허용하는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니들 홀더에 의해서 성취된다.

    상기 니들 홀더는 니들을 홀딩 위치(holding position)에 유지하기 위하여 소우잉 니들의 수용을 위한 홀딩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 장치는 소우잉 니들에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니들 바아에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조정 장치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께의 니들은 상기 니들의 길쭉한 홈의 저부가 한쪽에 위치되고, 또한 상기 소우잉 니들과 서로 작용하는 상기 그립퍼에 대하여 동일한 상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 위치되는 것이 보장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니들 위치의 조정은 상기 그립퍼 위치의 조정보다 훨씬 더 쉽다. 상기 니들은 상기 소우잉 머신 테이블상에 쉽게 접근가능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니들 위치의 조정은 예를들면 상기 니들이 변경될 때에 쉽게 성취된다.

    상기 니들의 횡방향 조정의 결과로서, 상기 조정은 한정된 제로(zero)의 위치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서로 다른 스티치 구멍 위치를 가지는 스티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잠재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스티치 플레이트는 보다 덜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서도 쉽게 성취된다.

    또한, 소우잉 머신은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니들은 소우잉 재료의 운송을 보장하는 의미로 포함되어 있는 보어내로 가라앉는다. 이러한 소우잉 머신은 스티치 구멍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보어는 니들 변경이 불필요함으로써 위치 적용을 하게 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니들 홀더에서, 상기 소우잉 머신의 니들은 실질적인 니들 바아에 대하여 시프트가능한 방법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니들 바아위에서 상기 소우잉 니들은 유지되어 소우잉 작동 동안에 수직으로 업 다운되게 이동되고, 따라서 상기 니들은 상기 그립퍼를 향하여 또는 그것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그립퍼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조정 장치는 클램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클램장치로써 상기 소우잉 니들의 생크(shank)는 조정가능한 위치를 가진 대향 접촉 수단(abutment means)에 대하여 장력을 가진다. 상기 대향 접촉 수단의 위치적인 조정은, 상기 소우잉 니들을 각각의 바람직한 위치에 위치시켜 클램프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계단식으로(in step) 또는 연속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상기 조정 장치는 조정가능한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소우잉 니들은 상기 요소(이 경우에, 상기 요소는 대향접촉 수단을 나타낸다)에 대하여 대향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요소는 소우잉 니들(이 경우에, 상기 요소는 홀딩 수단을 나타낸다)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요소는 상호 변경가능한 심(interchangeable shim)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모든 대체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에 적합가능하다.

    이상적인 상태를 고려하여서, 어떠한 니들 게이지에 대해서도 적절한 니들-대-그립퍼 거리(needle-to-gripper distance)를 조정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미리 규정된 게이지(pre-specified guage)를 가지는 니들이 어떻든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것은 상기 니들 홀더가 대응되는 니들 게이지를 가지는 니들용 조정 위치를 허용할 때에 충분하다. 또한, 예를 들면 0.1mm 내지 0.2mm의 스텝으로 조정 선택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0.2mm의 미리 규정된 크기를 가지는 결합 크기를 구비한 기계적인 조정 장치가 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니들은 몇몇 그룹으로, 예를 들면 4개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룹 1은 80,90,100의 직경 Nm을 가지는 니들을 포함한다. 그룹 2는 110,120,130의 직경 Nm을 가지는 니들을 포함한다. 그룹 3은 Nm 140,150,160의 니들을 포함한다. 그룹 4는 예를 들면 Nm 180,190,200의 니들을 포함한다. 4개 위치의 기계적인 조정은 그룹 1 내지 4의 각각의 기본적인 니들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음으로써, 각각의 조정 위치는 상기 그룹들중의 각각에 허여된다. 계속하여, 이러한 점은 실질적인 적용의 주 부분에서 발생되는 어떠한 정확성의 요구도 고려한다.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조정 장치는 편심 조정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즉 2개의 캠을 포함하는데, 상기 캠들은 상기 니들 바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편심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들 바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방향을 미리 규정하는 선형 안내 장치(linear guide device)와 조합되는 것이다. 상기 편 심 조정장치와 상기 선형 안내 장치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슬림한(slim) 조정 장치가 발생되는데, 상기 장치는 니들 홀더의 외부 형상위로 돌출하지 않는 외부 형상을 가진다. 그 결과, 상기 조정 장치와 상기 소우잉 머신의 다른 요소사이의 충돌은 크게 방지된다. 이것은 존재하는 기계 디자인에서 상기 조정 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보다 쉽게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조정을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절한 수동적인 조정 장치는 양호하게는 스텝된(stepped) 조정 장치이다. 따라서, 에러가 있는 조정은 쉽게 방지된다. 작업자는 정확한 결합 단계 또는 조정 단계를 선택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상기 조정은 선택기 축(selector shaft), 증분적인 전진(incremental advance), 일련의 연결 또는 적절한 심의 사용에 의해서도 성취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자 수단에 의해서, 즉 피에조 기술(piezo technology)(피에조 드라이브 또는 서보 모터)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소우잉 니들과 그립퍼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적인 이용성 또는 그 제어는 상기 바람직한 기계적인 셋팅이 재생가능한 방법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이상적인 경우로서, 각각의 니들 게이지는 상기 소우잉 니들 또는 조정 장치의 하나의 위치에 정확하게 부여되는데, 이것은 적절한 그립퍼의 거리가 유지되는 것을 성취하게 한다. 전자적인 제어가 사용된다면, 연속적인 조정의 선택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부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도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로 부터 명백하게 된다.

    상기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소우잉 머신(1)에 속해 있는 테이블(3)의 니들 바아(2), 소우잉 니들(4), 푸트(foot)(5) 및 그립퍼(6)를 포함하는 소우잉 머신(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시된 그립퍼(6)는 수평 회전축을 가지는 교체 그립퍼(alternating gripper)(6)이다. 교체 그립퍼(6)의 설명은 예로서 선택되는데, 따라서 동일한 것이 회전 그핍퍼에 적용된다. 상기 소우잉 니들(4)은 니들 홀더(7)에 의하여 상기 니들 바아(2)에 부착된다. 상기 니들 바아(2)는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도 1에서 화살표 8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및-전방 이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것은 소우잉 니들(4)의 종방향을 따라서 선형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소우잉 니들(4)은 니들 바아(2)와 이것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정렬된다. 상기 소우잉 니들(4)은 이것의 상단부에서, 생크로서 언급되고 소우잉 니들(4)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원통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생크는 소우잉 니들(4)의 나머지에 대하여 동심으로 정렬되고, 사용되는 소우잉 니들(4)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소우잉 머신과 이것의 니들 바아(2)에 부여되는 모든 소우잉 니들(4)은 이들의 게이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생크 직경을 가진다.

    상기 푸트는 소우잉 니들(4)에 의하여 관통될 수 있는 슬릿(60)을 가진다. 상기 푸트(5)아래에 있는 상기 재료 운송 수단은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스티치 구멍 플레이트(9)는 푸트(5)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소우잉 니들(4)에 의하여 관통되는 개구(10)를 구비한다. 팁(6a)과 니들 가드(needle guard)(11)를 가지는 이동가능한 그립퍼(6)는 상기 스티치 구멍 플레이트(9) 아래에 위치되고, 이것은 상기 소우잉 니들(4)이 리턴의 하부점 영역에서 이동할 때에 상기 니들 팁의 프랭크(flank)에 대향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소우잉 니들(4)의 횡방향 운동을 안정화시킨다. 실질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는 상기 소우잉 니들(4)의 횡방향 운동은 소우잉 상태, 즉 소우잉 프로세스의 작용이다. 상기 소우잉 니들이 어떠한 횡방향 운동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운동이 니들 가드(11)에 의하여 균등하게 된다면, 상기 그립퍼(6)가 쓰레드를 그립하는 것이 보다 쉽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그립퍼(6)는 니들 아이(13)를 통하여 이동하는 쓰레드(thread)를 그립하기 위하여 상기 소우잉 니들(4)상에 제공되는 길쭉한 홈(12)내로 들어가게 된다.

    도 1a는 소우잉 니들(4) 그 자체를 도시한다. 이들의 아이(13)는 니들의 팁(14)에 근접하게 된다. 니들 슬롯(15) 또는 쓰레드 홈은 상기 아이(13)에서 종결된다. 상기 니들의 길쭉한 홈(12)은 니들 슬롯에 대향된 측부상에 위치된다. 상기 소우잉 니들(4)과 그립퍼(6)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그핍퍼(6)의 팁(6a)은 상기 길쭉한 홈(12)내로 가라앉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길쭉한 홈과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의 압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니들 홀더(7)는 서로 다른 두께와 균일한 원통형 생크를 가지는 소우잉 니들의 부착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니들 바아(2)상의 이들의 위치선정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서로 다른 니들 두께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게이지를 가지는 니들의 길쭉한 홈(12)의 저부는 상기 그립퍼(6)에 대하여 균일한 위치로 있다. 도 2는 상기 니들 홀더(7)의 그 자체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상기 니들 홀더는 이것 의 상부쪽에서 쓰레드된 포켓 보어를 가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평행인 평면(paralled epiped)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연장부(61)는 상기 니들 바아(2)에 제공되는 한쪽 측부가 스텝된 보어(stepped bore)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니들 바아(2)와 니들 홀더(7)를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스크류(16)가 사용된다.

    상기 니들 홀더(7)는 내부 공간(17)을 둘러싸고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딩 요소(18)는 이것이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종방향에 대한 횡방향에서는 물론 상기 니들 바아(2)의 종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지된다. 도 2에서, 상기 조정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상기 슬라이딩 요소(18)는 상기 소우잉 니들(4)용 지지 장치(19)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요소는 니들 홀더(7)의 하부쪽에 제공되는 슬릿(21)을 통하여 연장되는 스트립(20)을 가진다. 상기 니들 홀더(7)로 부터 돌출되는 단부는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생크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 보어(22)이다. 이들 포켓 보어(22)를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된 보어(23)는 상기 소우잉 니들(4)을 제 위치에 록킹하기 위한 클램프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요소(18)는 특히 압축 스프링(24)의 형상을 가지는 스프링 수단의 형상을 구비하는 텐션 수단에 의하여 조정 장치에서 미리 장력이 가해지고, 또한 대향접촉 수단(25)에 가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대향 접촉 수단은 2개 이상, 즉 4개의 평탄한 측방향 표면에 의하여 적절하게 형성되는 결합 위치를 가지는 선택기 축(26)이다. 회전축(27)으로 부터 이들 측방향 표면의 거리는 서로 다르다. 상기 선택기 축(26)은 상기 니들 바아(2)와 소우잉 니들(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축중의 일단부가 상기 니들 홀더(7)로 부터 돌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선택기 휠(28)의 디자인을 가지는 수단은 상기 단부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택기 축(26)의 기본적으로 평탄한 측방향 표면은 상기 회전축(27)에 대하여 평행하며, 다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슬라이딩 요소(18)의 평탄한 측방향 표면(29)에 평행하다.

    상기 압축 스프링(24), 또는 어떠한 적절한 텐션 수단 및, 상기 대향접촉 수단(25)은, 상기 니들 바아(2)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요소(18)의 횡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30)를 형성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소우잉 니들(4)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조정 장치(3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대략 평행한 평면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선택기 축(26)의 4개의 거의 평탄한 측면은 상기 회전축(27)으로 부터 소정의 거리로 정렬되며, 상기 거리는 각각으로 부터 0.2mm 다르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차이는 매우 과장된 방법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니들 홀더(7)는 80의 직경 Nm 내지 200의 직경 Nm을 가지는 소잉 니들을 지지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예를 들면, Nm 80 내지 Nm 100의 니들은 제 1 그룹에 속하고, Nm 110 내지 Nm 130의 니들은 제 2 그룹에 속하며, Nm 140 내지 Nm 160의 니들은 제 3 그룹에 속하며, Nm 180 내지 Nm 200의 니들은 제 4 그룹에 속한다. 작업자는 상기 4개의 그룹중 하나로 부터 적절한 소우잉 니들을 선택하고, 따라서 상기 선택기 축(26)의 결합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4개 그룹의 니들에 대한 선택기 축의 위치는, 예를 들면 상기 니들 홀더(2)의 외부상에 또는 상기 선택기 휠(28)상에 제공되는 마크(mark)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단 조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소우잉 니들은 포켓 보어(22)에 클램프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스티치 구멍 플레이트(9)는 적용되거나 또는 변화될 수 있다. 그립퍼 조정은 필요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상기 니들을 변경하고 상기 조정 장치(30)를 조정한 이후에, 소우잉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조정 장치(30)가 지지 장치(19)를 요구하지 않는 상기 니들 홀더(7)의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며, 따라서 위의 설명에 대하여 부가의 참고가 이루어지며, 동일한 참고 번호로 적용가능하게 제공된 것들이 사용되며, 반대에 대한 어떠한 것도 언급되지 않는다.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용 프리즘(receiving prism)(31)은 상기 니들 홀더(7)의 내부 공간(17) 내부에 지지된다. 이것의 원주상에서, 상기 프리즘은 양호하게는 평탄한 대향 접촉면(32)에 의하여 경계지워지는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컷아웃(cutout)을 가지며, 상기 대향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일단부가 대향접촉하며, 상기 단부는 상기 내부 공간(17)내로 보어를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대향접촉면(32,33)은 예를 들면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향된다. 상기 대향 접촉면(32,33)에 대향하여, 상기 니들 홀더(7)의 하우징은 클램프 스크류(35)가 안착되는 나사 보어(34)를 가진다. 이러한 스크류는 대향 접촉 수단, 즉 상기 프리즘(31)에 대하여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축 또는 생크를 클램프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상기 프리즘(31)이 니들 홀더(7)에서 축(36)에 의하여 회전축(27)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즘(31)이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은 소우잉 니들(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니들의 단부는 니들 홀더(7)로 부터 돌출하여서, 상기 선택기 휠(28)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축(36)은 스프링(37) 또는 어떠한 다른 적절한 텐션 수단의 힘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축(36)의 프리즘(31) 또는 선택기 휠(28)은 결합 장치(38)와 부가적으로 관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핀(39)으로 구성되는 가장 간단한 경우에, 상기 결합 장치는 축(36) 주위에 위치되는 서로 다른 결합 구멍(62)에 부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즘(31)은 4쌍의 대향 접촉면을 가진다. 도 6에서,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축은 상기 대향 접촉면(32,33)에 대하여 대향접촉한다. 대향 접촉면의 부가의 쌍은 상기 대향 접촉면, 즉, 40,41 또는 42, 43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 6은 단지 3쌍의 대향 접촉면을 도시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러한 4쌍의 대향 접촉면을 가진다. 상기 대향 접촉면의 각각의 쌍은 소우잉 니들(4)의 축에 대한 서로 다른 대향 접촉 위치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대향 접촉면은 회전축(27)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위치된다.

    상기 니들 게이지가 변경된다면, 상기 클램프 스크류(35)는 먼저 해제되고, 상기 소우잉 니들(4)이 제거된다. 그 다음, 상기 선택기 휠(28)은 보어의 바깥쪽으로 상기 핀(39)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핀이 해제되자마자, 상기 선택기 휠(28)은 사용될 니들 게이지에 대응되는 원하는 결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선택기 휠(28)이 해제된다면, 상기 스프링(37)은 축(36)을 이것의 원래 위치내 뒤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핀(39)은 적절한 서로 다른 보어(62)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결합 위치를 고려하여서, 서로 다른 대향 접촉면의 쌍은 클램프 스크류(35)에 대면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다음, 상기 바람직한 니들 게이지를 가지는 소우잉 니들(4)은 상기 각각의 대향 접촉면과 클램프 스크류(35)사이의 중간 공간내로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 스크류(35)는 조여지게 된다. 그리고, 소우잉 작동이 시작되거나 또는 연속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부가의 결합 위치를 가지는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후에 설명되는 특정의 특징을 제외하고, 상기 도면의 설명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적용가능하고,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상기 니들 홀더(7)의 내부 공간(17)은 결합 인서트(슬라이드)(44)를 가지고, 상기 결합 인서트는 상기 클램프 스크류(35)에 대면하는 하나의 측부위에서, 프리즘형 시트의 열(row)(45,46,47,48,49,50)을 구비한다. 이들은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지만, 이들이 상기 소우잉 머신 니들을 위하여 상기 니들 바아(2)에 대한 횡방향 위치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는 바람직한 값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된다. 이것과는 다르게, 상기 슬라이드(44)는 내부 공간(17)의 대략 원통형 보어내로 결합하기 위하여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클램프 스크류(35)에 대향된 상기 니들 홀더(7)의 측부상에서, 상기 니들 홀더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직선의 에지(52)를 가지고 대향된 측부상에서 치형 에지(toothed edge)(53)를 가지는 윈도우(51)를 구비한다. 상기 치형 에지(53)는 대략 반원형 컷아웃의 열로 구성되고, 상기 컷아웃의 열에는 상기 슬라이드(44)의 후방쪽으로 부터 이격되게 연장되는 도그(dog)(54)가 안착된다. 상기 도그는 도 8의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에서 치형들사이의 대응되는 공간 바깥쪽으로 피봇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44)는 이것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피봇된다. 상기 니들 홀더(7)로부터 돌출하는 도그(54)는 바람직한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44)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단 대략적인 축방향 위치가 선택된다면, 소우잉 니들(4)은 대략 선택된 시트(45 내지 50)내로 상기 개구(22)를 통하여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44)위의 클램프 스크류(35)에 의하여 제 위치에 조여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부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니들 홀더(7)는 슬라이드(55)에 의하여 상기 니들 바아(2)상에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이 슬라이드의 컷아웃의 스태거된(staggered) 측방향 표면(56)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의 컷아웃은 니들 바아(2)상에 횡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방법으로 지지된다. 상기 측방향 표면(56)의 각각의 스텝은 니들 그룹과 관련된다. 도 10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는 4개의 스텝을 도시한다. 상기 니들 바아(2)에 대한 니들(4)의 보다 정확한 조정 또는 위치선정이 바람직하다면, 몇몇의 스텝이 제공된다. 적절한 스크류(57,58,59)는 각각 적용되는 시프팅 위치에서 상기 니들 홀더를 제 위치에 클램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장점은 이것의 슬림한 형상과 작은 무게이다. 연속적인 조정이 허용된다면, 상기 측방향 표면(56)은 웨지형 표면(wedge-shaped surface)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수동적인 조정은 조금 더 복잡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정은 배향 마크의 사용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 실시예는 이후에 설명되는 특정의 특징을 제외하고 상술된 설명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소우잉 니들을 수용하는 지지 장치(19)는 니들 홀더(7)내에 또는 그 위에 제공된다. 상기 지지 장치(19)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작동 드라이브(63)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는, 예를 들면 전기 모터, 피에조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다. 이것은 트랜스미션을 거쳐서 상기 지지 장치(19)의 바람직한 조정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상기 트랜스미션은 나사 스핀들(58)과, 상기 스핀들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핀들 너트(59)로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 너트는 상기 지지 장치(19)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스핀들 너트(59)의 선형 위치의 작동 드라이브(6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이러한 점은 원격 제어로, 양호하게는 연속적으로, 상기 니들 바아(2)의 종방향 축에 대한 상기 소우잉 니들(4)의 종방향 축 위치를 조정하게 한다.

    도 12는 니들 위치의 조정을 위한 조정 장치의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장치는 니들 바아(2)와 니들 홀더(7)사이에서 작동가능하게 된다. 도 12에서, 상기 니들 바아(2)는 소우잉 머신(1)의 니들 바아(2)상에 장착되는 어뎁터가 또한 될 수 있다. 상기 조정 장치는 니들 바아(2)의 하단부상에 위치되고 상기 니들 바아(2)의 보어(80)에 의하여 수용되는 편심 조정 장치(64)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도 14로 부터, 상기 편심 조정 장치(64)는 니들 바아(2) 또는 이것의 보어(80)의 직경보다 훨씬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연장부(65)를 가지는 니들 수용 요소(81)를 구비한다. 상기 니들 바아 또는 어뎁터(2)는 이것의 저단부상에서 슬릿(69)을 가지는데, 여기에서 상기 니들 수용 요소(81)의 안내 섹션(66)은 이동가능한 방법으로 유지된다. 상기 안내 섹션(66)은 2개의 평행한 평면 프랭크(flank)(67,68)를 가진다. 상기 니들 바아(2)의 슬릿(69)은 안내 섹션(66)상으로 연장되고, 최소의 놀림(minimal paly)을 나타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안내 섹션(66)과 함께 상기 슬릿(69)은 측방향 안내부로서 설계되는 선형 안내 장치(70)를 형성하는데, 즉 이것은 상기 니들 바아(2)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있는 안내 방향을 형성한다. 상기 종방향은 니들 바아(2)의 운동방향과 일치하고, 도 14에서 화살표 71로 표시된다.

    상기 니들 바아(2)는 원통형 벽(72)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80)을 가진다. 상기 내부 공간 또는 보어(80)는 니들 바아(2)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편심으로(도시하지 않음)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벽(72)은 이것의 원주상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게이지 또는 두께를 가진다. 상기 연장부(65)는 내부 공간(80)내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65)상에는 캠(73)이 안착되는데, 상기 캠은 원통형의 편심 보어를 가진다. 상기 캠(73)은 연장부(65)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최소의 놀림을 나타낸다. 원통형으로 발생되는 표면의 중심축은 연장부(65)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러한 점은 특히 도 15로 부터 명백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캠(74)은 상기 캠(73)상에 안착된다. 상기 캠(74)은 제 1 캠(73)의 원통형 발생 표면상에 최소의 놀림으로 안착되고, 그것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원통형 보어를 가진다. 상기 캠(74)은 이것의 보어를 통하여 중심에 대해 편심으로 정렬되어 있는 원통형 외부 발생 표면을 가진다. 제 2 캠의 외부 원통형 발생 표면은 최소의 놀림으로 상기 니들 바아(2)의 상기 벽(72)에 대해 대향 접촉한다.

    상기 제 2 캠(74)은 조정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반경방향 보어(75)를 가지거나,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76)이 영구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핀은 니들 바아(2)에 제공되는 슬릿(77)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슬릿은 예를 들면 130°또는 180°의 미리 규정된 각도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편심 조정장치(64)는 상기 니들 바아(2)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점을 성취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65)상에 안착되는 예를 들어 링(78)으로 설계되는 유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니들 바아(2)의 보어(80)는 이것의 단부(83)상에서 내향으로 향하는 숄더(shoulder)(79)로서 형성되는 스텝을 가진다. 2개의 캠, 즉 내부 캠(73)과 외부 캠(74)은 상기 숄더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대향접촉한다. 상기 캠(73)은 숄더(79)와 유지 수단(78)사이에서 인장되며, 여기에서 상기 유지 수단(78)은 척킹 장치, 즉 스크류로써 상기 연장부(65)에 장착된다. 이러한 결과, 상기 니들 수용 요소(81)는 상기 니들 수용 요소가 잃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 바아(2)상에 유지된다. 상기 척킹 장치에 대한 접근은 보어(80)를 통하여 발생된다. 축방향에서, 상기 외부 캠(74)은 핀(76)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된다.

    상술된 편심 조정 장치(64)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니들 바아(2)에 대한 상기 니들 홀더(7) 또는 니들 수용 요소(81)의 조정은 상기 선형 안내 장치(70)에 의하여 형성되는 안내 방향으로만 운동을 할 수 있다. 조정을 위하여, 상기 외부 캠(74)은 핀(76)상의 캠 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니들 바아(2)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74)의 회전은 캠(73)의 강요된(즉, 역방향) 회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점은 상기 선형 안내 장치(70)의 결과로서, 상기 캠(74)의 회전축이 선형 경로상에서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축은 캠의 외부 발생면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이러한 것에 대향하여서, 상기 내부 캠(73)은 상기 연장부(65)에 대하여 회전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은 이것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표면, 즉 이것의 보어 벽의 대칭축과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캠(74)의 편심 보어축은 아치형 경로 위를 이동한다. 상기 내부 캠(73)의 발생되는 표면의 경로는 동일함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2개의 캠(73,74)의 역방향의 회전을 강요한다. 상기 외부 캠(74)의 회전은 내부 캠(73)의 발생 운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운동은 대응되는 회전 운동이 된다. 상기 2개의 캠(73,74)의 2개의 회전 운동의 중첩은 상기 안내 장치(70)에 의하여 실시되는 조합된 운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니들 홀더(7)의 조정에 이어서, 새롭게 조정되는 위치는 록킹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위하여 고정된다. 상기 록킹 수단은, 예를 들면 공지된 스크류로 설계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 바아(2) 또는 어뎁터(2)의 하단부(83)는 나사 구멍을 가진다. 상기 니들 홀딩 요소(7)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수단은 스크류 나사부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스크류의 단부는 프랭크(67 또는 68)에 대하여 가압하고, 따라서 니들 홀딩 요소의 안내 섹션을 제 위치에 클램프시킨다. 따라서, 상기 니들 홀더(7)의 새롭게 조정되는 위치는 넌-포지티브 연결(non-positive)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니들 홀더(7)는 특히 산업용 소우잉 머신에 제공되고, 여기에서 서로 다른 니들 게이지를 가지고 양호하게는 서로 다른 원통형 생크 또는 축을 가지는 소우잉 머신의 니들은 이들이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유지된다. 이러한 점은, 그립퍼 위치 및/또는 니들 가드 위치의 조정이 요구되지 않고, 상기 소우잉 니들(4) 또는 소우잉 니들(4)의 길쭉한 홈(12)의 저부와, 그립퍼(6)사이의 상대 위치 조정을 허용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