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싱

申请号 KR1020067009772 申请日 2005-01-27 公开(公告)号 KR100723545B1 公开(公告)日 2007-06-04
申请人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다지마이쿠오; 스즈키겐지;
摘要 요동되는 천칭(17)에 걸쳐진 재봉사(裁縫絲)를, 천칭보다 하류 또한 바늘대의 재봉 바늘보다 상류의 위치에서 보관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46, 48)를, 미싱 헤드에 설치한다.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에 의한 재봉사(T)의 유지에 의해, 천칭의 요동에 관계없이 이 천칭의 하류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의 선단은 바늘대에 장착된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에 통과되어 있다. 천칭이 요동하면, 요동에 따라 걸쳐진 재봉사가 팽팽히 당겨지거나 느슨해지거나 하나, 가동중지 중의 미싱 헤드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에 의해 천칭의 하류에서 재봉사가 유지되므로, 천칭이 요동하여도 바늘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재봉사가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이러한 간소한 구조로, 재봉사가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权利要求
  • 하단부에 장착된 재봉 바늘과 함께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구동에 동기(同期)하여 요동되는 천칭을 구비한 미싱 헤드를 구비하는 미싱으로서,
    상기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裁縫絲)를, 이 천칭보다 하류 또한 상기 바늘대의 재봉 바늘보다 상류의 위치에서 보관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상기 미싱 헤드에 설치하고,
    상기 바늘대의 움직임을 정지하여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을 중지(休止)할 때,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재봉사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천칭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이 천칭의 하류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실을 유지하지 않는 제 1 위치와 실을 유지하는 제 2 위치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변위하는 변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시에 이 변위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을 중지할 때 이 변위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 헤드에는, 이 미싱 헤드의 가동시에 상기 바늘대의 상하 움직임과 동기하여 상하로 구동되나, 이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시에 위쪽의 퇴피 위치로 퇴피 이동되는 누름 틀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위 부재는, 이 누름 틀체가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바늘대의 재봉사 도입구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 헤드는, 또한 상기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조립되어 그 축심 주위의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와, 이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어서 재봉 바늘의 침원(針元) 위치로 끈 형상 피봉제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봉제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는 옷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 제어하며, 상기 재봉 바늘의 침원으로의 끈 형상 피봉제 부재의 안내 방향이 적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이 끈 형상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옷감에 꿰매는 것인 미싱.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은, 복수의 상기 미싱 헤드를 구비하는 미싱.
  • 하단부에 장착된 재봉 바늘과 함께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구동에 동기하여 요동되는 천칭과, 상기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조립되어 그 축심 주위의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와, 이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어서 재봉 바늘의 침원 위치로 끈 형상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봉제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는 옷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 제어하며, 상기 재봉 바늘의 침원으로의 끈 형상 부재의 안내 방향이 적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이 끈 형상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옷감에 꿰매는 미싱 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 미싱으로서,
    상기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를, 천칭보다 하류에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상기 미싱 헤드에 설치하고,
    가동을 중지하는 미싱 헤드로서,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재봉사의 유지에 의해 상기 천칭의 하류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시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의 상하동과 동기하여 상하로 구동되는 한편,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시에 있어서 위쪽의 퇴피 위치로 퇴피되어 상하로 구동되지 않는 누름 틀체와, 상기 누름 틀체의 퇴피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를 유지하도록 상기 유지 부재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 说明书全文

    미싱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가동(稼動)중지 중의 미싱 헤드에 있어서의 재봉사(裁縫絲)의 유지 구조를 개량한 미싱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형상 피봉제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옷감에 꿰매는 것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多頭) 미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복수의 미싱 헤드의 일부만을 가동하고 나머지의 미싱 헤드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하여 다두 미싱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동중지 중의 미싱 헤드에 있어서의 각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으로부터 재봉사가 빠져 버리는 것을 간이한 구성으로 방지하도록 한 다두 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단부에 재봉 바늘을 포함하는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구동과 동기(同期)하여 요동되는 천칭(天秤)과, 상기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조립되어 그 축심 주위의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와, 이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어서 재봉 바늘의 침원(針元) 위치에 끈 형상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소정의 자수 데이터에 기초한 옷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 제어하며, 상기 재봉 바늘의 침원으로의 끈 형상 부재의 안내 방향이 적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이 끈 형상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옷감에 꿰매는 것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 미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 미싱으로서는,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만을 복수 구비한 미싱이나,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와 통상의 자수가 가능한 자수용 미싱 헤드를 교대로 구비한 미싱 등, 각종의 다두 미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류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복수의 미싱 헤드 중 일부만을 가동(稼動)하고, 나머지의 미싱 헤드에 대해서는 가동시키지 않게 가동을 중지하여 둔다고 하는 사용법을 하는 경우가 있다. 다두 미싱의 각 미싱 헤드에는 공통의 미싱 주축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미싱 주축의 회전에 의해 각 미싱 헤드의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끈 형상 부재를 옷감에 꿰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미싱 헤드의 일부의 가동을 중지하는 데는, 주지(周知)의 점프 기구에 의해 바늘대로의 미싱 주축의 회전 구동의 전달을 차단하여 바늘대가 미싱 주축의 회전에 맞추어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점프 상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을 중지시키는 미싱 헤드에 있어서는, 동시에 천칭의 동작도 중지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에 있어서는, 가동중지 중에 천칭이 요동되어 버리면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에 통과된 재봉사가 천칭에 당겨져서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자수용 미싱 헤드에 있어서 재봉 바늘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재봉사의 실 끝을 보관 유지하는 유지 부재가,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에서는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는 바늘대의 축심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체를 구비 하고 있으므로, 재봉사의 실 끝을 보관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재봉 바늘의 후방 등에 설치할 수 없고 재봉사의 실 끝이 보관 유지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에 통과된 재봉사가 요동된 천칭에 당겨져서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다.

    상기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 이 미싱 헤드의 천칭의 요동을 중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미싱이 특개평8-29963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기재된 다두 미싱에 의하면, 미싱 주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천칭축에 있어서 축선 둘레의 회전 및 축선에 따른 슬라이드가 가능한 상태로, 천칭의 보스(boss)부가 미싱 암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천칭은 미싱 주축에 고정된 천칭 캠의 회전에 연동하는 천칭 구동 암에 의해 천칭축의 축선 둘레에 요동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천칭축의 축상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평소에는 천칭의 보스부와 천칭 구동 암과의 상호의 기어가 맞물리는 위치로 되도록 가압되는 것에 의해, 천칭 구동 암으로부터 천칭으로 동력 전달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미싱 암에는 천칭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푸쉬 핀(pushpin)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푸쉬 핀을 수동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푸쉬 핀이 천칭과 맞닿아 천칭도 함께 슬라이드된다. 천칭이 슬라이드되면, 천칭의 보스부와 천칭 구동 암과의 상호의 기어의 맞물림이 어긋나서 천칭 구동 암으로부터 천칭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천칭이 중지되게 된다. 이때, 천칭은 천칭축에 대하여 소정의 요동 자세로 유지됨과 동시에, 푸쉬 핀은 슬라이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미싱 헤드의 가동을 중지할 때에는 푸쉬 핀을 조작 하여 천칭도 중지시키는 것에 의해,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에 통과된 재봉사가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에 통과된 재봉사가 빠지는 일이 없도록, 천칭의 요동도 중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칭의 요동을 중지하는 데는 천칭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거나, 천칭을 슬라이드시키는 푸쉬 핀을 구비하는 등의, 미싱 주축으로부터 천칭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 기구를 구비한다고 하면, 미싱 헤드의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미싱으로의 조립이 번잡하므로 비용이 들게 되어 사정이 좋지 못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천칭을 중지시키기 위한 푸쉬 핀의 조작을 수동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복수의 미싱 헤드를 중지시킬 때에는 중지 대상의 각 미싱 헤드의 푸쉬 핀을 각각 조작할 필요가 있어,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조작을 잊어버리는 것이 고려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각 미싱 헤드의 푸쉬 핀의 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미싱 헤드마다 푸쉬 핀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액추에이터의 설치에는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진 것으로, 가동중지 중의 미싱 헤드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유지 구조를 개량한 미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또, 간이한 구성에 의해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 재봉사를 유지함으로써, 천칭의 구동을 중지하지 않아도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에 통과시킨 재봉사가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한 다두 미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은, 하단부에 장착된 재봉 바늘과 함께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구동에 동기하여 요동되는 천칭을 구비한 미싱 헤드를 구비하는 미싱으로서, 상기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를, 이 천칭보다 하류 또한 상기 바늘대의 재봉 바늘보다 상류의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상기 미싱 헤드에 설치하고, 상기 바늘대의 움직임을 정지하여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을 중지할 때,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재봉사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천칭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이 천칭의 하류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천칭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전용의 차단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미싱 헤드의 구조가 간소하게 된다. 또, 유지 부재를, 천칭보다 하류 또한 상기 바늘대의 재봉 바늘보다 상류의 위치에 설치하기 때문에, 재봉 바늘의 주위에 회전체가 있어도 그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끈 형상의 피봉제 부재의 봉제용의 미싱 헤드에 적합한 간이한 재봉사 유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두 미싱은, 하단부에 장착된 재봉 바늘과 함께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구동에 동기하여 요동되는 천칭과, 상기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조립되어 그 축심 주위의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와, 이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어 재봉 바늘의 침원 위치로 끈 형상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봉제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는 옷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회전 제어하며, 상기 재봉 바늘의 침원으로의 끈 형상 부재의 안내 방향이 적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이 끈 형상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옷감에 꿰매는 미싱 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 상기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를, 천칭보다 하류에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상기 미싱 헤드에 설치하고, 가동을 중지하는 미싱 헤드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재봉사의 유지에 의해 상기 천칭의 하류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요동되는 천칭의 하류에 재봉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설치하여,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 있어서는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재봉사의 유지에 의해, 상기 천칭의 요동에 관계없이 이 천칭의 하류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즉,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는 하단부에 장착된 재봉 바늘과 함께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가 상하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천칭에 대해서는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의 선단은, 바늘대에 장착된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에 통과되어 있다. 천칭이 요동하면, 요동에 따라서 걸쳐져 있는 재봉사가 팽팽히 당겨지거나 느슨해지거나 하지만, 가동중지 중의 미싱 헤드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에 의해 천칭의 하류에서, 즉 재봉 바늘에 가까운 위치에서 재봉사가 유지되기 때문에, 천칭의 동작에 관계없이 바늘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재봉사가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천칭의 하류에 있어서 재봉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상기 미싱 헤드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 천칭의 동작을 중지시키지 않아도 재봉사가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천칭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전용의 차단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미싱 헤드의 구조가 간소한 다두 미싱을 제공할 수 있어, 다두 미싱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시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의 상하 움직임과 동기하여 상하로 구동되는 한편, 상기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시에 있어서 위쪽의 퇴피(退避) 위치로 퇴피되어서 상하로 구동되는 일이 없는 누름 틀체와, 상기 누름 틀체의 퇴피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천칭에 걸쳐진 재봉사를 유지하도록 상기 유지 부재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시에 있어서, 유지 부재에 의한 재봉사의 유지를 누름 틀체의 퇴피 위치로의 퇴피에 연동하여 행하는 것으로, 유지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해 개별의 액추에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유지 부재의 구동은 누름 틀체의 퇴피 동작에 수반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작업자가 유지 부재의 구동 조작을 일부러 행하지 않아도 재봉사는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에 적용하면, 재봉사를 보관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미싱 헤드의 가동중지 중에는 상기 유지 부재에서 천칭보다 하류의 위치에서 재봉사를 유지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천칭의 동작을 중지시키지 않아도 재봉사가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천칭을 중지시키기 위한 차단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미싱 헤드의 구조가 간소해져서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유지 부재에 의한 재봉사의 유지 동작을, 미싱 헤드를 중지시킬 때의 누름 틀체의 퇴피 위치로의 퇴피 동작에 연동하여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유지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별의 액추에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유지 부재를 조작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조작 망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두 미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배치되어 있는 미싱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미싱 헤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미싱 헤드의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미싱 헤드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재봉사를 유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가동중지 상태에 있는 미싱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누름 틀체가 봉제 위치에 있는 경우의 미싱 헤드의 일부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다두 미싱의 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두 미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외관도이다. 이 실시예 에서는,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H)를 복수(여기서는 8개) 구비한 다두 미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바로 앞쪽이 봉제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자가 실제로 위치하는 다두 미싱 전면(前面)에 상당한다.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있어서, 수평 방향(도면 X방향)에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긴 미싱 테이블(1)의 위쪽에는 상부 프레임(2)이 배치되어 있고, 이 상부 프레임(2)의 전면에는 이 상부 프레임(2)의 길이 방향(도면 X방향)에 따라 미싱 헤드(H)를 등간격마다 설치하고 있다. 각 미싱 헤드(H)의 하부에는 가마(3)를 지지한 가마 토대(4)가 각 미싱 헤드(H)에 대응하여, 미싱 테이블(1)과 대략 동일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또, 미싱 테이블(1)의 상면에는 피봉제물을 전장(展張) 유지하기 위한 봉제틀(5)이 실어 놓여져 있고, 봉제틀(5)은 테이블의 아래쪽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된다. 각 미싱 헤드(H)에는 공통의 미싱 주축(6)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미싱 주축(6)의 회전에 의해 미싱 헤드(H)의 재봉 바늘이 상하로 왕복 구동된다. 이 재봉 바늘과, 가마 토대(4)에 있어서 회전되는 가마(3)와의 협동에 의해, 봉제틀(5)에 전장 유지된 피봉제물에 대한 봉제가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미싱 헤드(H)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배치되어 있는 미싱 헤드(H)의 정면도, 도 3은 미싱 헤드(H)의 좌측면도, 도 4는 미싱 헤드(H)의 좌측면 단면도, 도 5는 미싱 헤드(H)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도 2 ~ 도 5에 나타낸 미싱 헤드(H)는, 누름 틀체(28)가 봉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이들 도 2 ~ 도 5에 나타낸 각 도면에 의해 미싱 헤드(H)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암(7)에는 미싱 주축(6)이 관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미싱 암(7)의 좌측면에는 바늘대(8)의 점프 제어를 위한 모터(22), 누름 틀 지지체(27)의 승강 구동을 위한 모터(41), 누름 틀 지지체(27)의 방향 제어를 위한 모터(4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4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듯이, 상기 바늘대(8)는 미싱 암(7)에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바늘대(8)는 중공(中空) 구조로 되어 있고, 이 바늘대(8)의 중간부 부근에는 재봉사(T)를 바늘대(8) 내에 통과시키기 위한 도입구(9)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바늘대(8)의 하부에는 도입구(9)를 거쳐서 바늘대(8) 내에 도입된 재봉사(T)를 바늘대(8) 내로부터 내기 위한 도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대(8)의 하단부에는 재봉 바늘(11)이 고정되어 있고, 이 바늘대(8)를 유지하기 위한 바늘대 잡이(12)가 바늘대(8)의 대략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바늘대(8)는, 상기 미싱 주축(6)의 회전을 구동원으로 하는 바늘대 구동 기구(13)에 의해 상하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바늘대 구동 기구(13)는, 상기 미싱 주축(6)에 고정된 바늘대 캠(14)의 회전을, 상기 미싱 암(7)에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 가이드 축(15)에 대한 승강 구동체(16)의 상하 동작으로 변환하고, 이 상하 동작이 상기 바늘대 잡이(12)를 통하여 바늘대(8)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승강 구동체(16)는 가이드 축(15)에 대하여 그 축선 주위의 회전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승강 구동체(16)의 측부에는 상하 방향에 소정의 길이를 가진 맞물림 면(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칭(17)의 보스부(18)는, 상기 미싱 암(7)에 미싱 주축(6)과 평행하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는 천칭축(19)의 축선 주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즉, 상기 천칭(17)은 미싱 주축(6)에 고정된 천칭 캠(20)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천칭 구동 암(21)에 의해, 천칭축(19)의 축선 주위에 요동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헤드(H)의 가동을 중지하기 위해 바늘대(8)를 점프 제어하는 점프 제어용의 모터(22), 즉 바늘대(8)로의 미싱 주축(6)의 회전 구동의 전달을 차단하여 바늘대(8)가 미싱 주축(6)의 회전에 맞추어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점프 상태」로 제어하는 모터(22)의 축에는, 구동 암(23)이 고정되어 있다. 이 모터(22)는 소정의 점프 신호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것이고, 상기 구동 암(23)을 도 5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바늘대(8)의 상사점 근처에 있어서 구동 암(2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 암(23)의 선단부에 의해 승강 구동체(16)의 맞물림 면(16a)이 가압되므로, 승강 구동체(16)가 가이드 축(15)의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그러면, 바늘대(8)의 바늘대 잡이(12)가 승강 구동체(16)로부터 개방되어서(도 4 참조) 미싱 주축(6)의 회전 구동의 전달이 차단되므로, 바늘대(8)는 점프 상태로 된다. 그리고, 구동 암(23)을 이 회동 위치에 유지해 두면, 바늘대(8)는 연속 점프 상태로 된다. 또한, 승강 구동체(16)의 맞물림 면(16a)의 상하 길이는, 바늘대(8)의 상하 스트로크의 전(全)범위에 있어서 구동 암(23)의 선단부와 항상 대향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도 4로 돌아와서, 바늘대(8)의 외주에는 지지통(24)이, 미싱 암(7)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 슬리브(25)의 내주면에 안내되어 바늘대(8)와의 상대적인 승강 동작 및 그 축선 주위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통(24)의 상단부에는 링(26)이 고정되고, 또한 지지통(24)의 하단부에는 누름 틀 지지체(2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누름 틀 지지체(27)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외측면에는 상하로 긴 키 홈(27a)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하부에는 누름 틀체(2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누름 틀체(28)에는, 후술의 보빈(34)으로부터 잇달아 공급되는 끈 형상 부재를 재봉 바늘(11)의 침원으로 유도하는 가이드(2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슬리브(25)의 외주에는, 회전통(30)이 그 축선 주위의 회전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통(30)의 상단부 외주에는 풀리(31)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누름 틀체(27)의 키 홈(27a)에 맞물리는 키 부재(32)가 고정되어 있다. 또, 회전통(30)의 외주에는 보빈 브래킷(33)이 고정되어 있고, 이 보빈 브래킷(33)에는 재봉사(T)에 의해 옷감에 꿰매지는 끈 형상 부재를 감아 두는 보빈(3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누름 틀 지지체(27)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기구에 대하여, 주로, 도 2,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24)의 링(26)에는 구동 암(35)의 선단부(포크부)가 상하 방향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있다. 이 구동 암(35)은, 미싱 암(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축(36)에 대하여 승 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승강 부재(37)에 대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이 가이드 축(36)의 축상에는 기본 승강 부재(38)가 승강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 부재(37)는 기본 승강 부재(38)에 블록(39)을 통하여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양자 사이에 있어서 가이드 축(36)의 축상에 설치된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승강 부재(37)가 블록(39)에 가압되는 방향(하부)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누름 틀 지지체(27)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기구의 구동원인 모터(41)의 축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레버(42)가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 레버(42)의 선단부는 미싱 암(7)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 암(44)의 일단부에 링크 부재(4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회동 암(44)의 타단부는 상기 기본 승강 부재(38)에 링크 부재(4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41)를 구동시키면, 회동 암(44)이 왕복 회동되어서 기본 승강 부재(38) 및 승강 부재(37)가 가이드 축(36)에 따라 승강하고, 구동 암(35)을 통하여 지지통(24)이 누름 틀 지지체(27)(누름 틀체(28))와 함께 승강되게 된다(도 2 참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모터(41)는 봉제시에 있어서는 회동 암(44)이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회동하도록 구동되고, 이 동작에 수반하여 누름 틀체(28)가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사점과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사점과의 사이를 승강 구동된다. 또, 봉제 종료시나 미싱 헤드(H)의 가동을 중지할 때에는,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회동 암(44)을 도 6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회동시켜서, 누름 틀체(28)를 도 6 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퇴피 위치에 퇴피시킨다.

    또한, 누름 틀체(28)는, 꿰매는 끈 형상 부재의 종류 등에 의해 하사점이 상승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누름 틀체(28)가 끈 형상 부재에 닿는 곳에서 승강 부재(37)의 하강이 정지하고, 기본 승강 부재(38)만이 스프링(40)의 탄성에 저항하여 하강하여 하사점의 상승을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누름 틀체(28)의 도 6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퇴피 위치로의 퇴피에 수반하여 재봉사(T)를 유지하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재봉사(T)를 유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미싱 헤드(H)의 정면도이나, 도 2와 달리 누름 틀체(28)가 퇴피 위치에 있는 경우, 즉 가동중지 상태에 있는 미싱 헤드(H)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미싱 헤드(H)의 일부 사시도이고, 누름 틀체(28)가 봉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 및 도 6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본 승강 부재(38)에는 맞물림 편(片)(3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싱 암(7)에는, 이 맞물림 편(38a)과 맞닿는 맞닿음 변(46b)을 갖는 회동 유지 부재(46)가 천칭(17)의 하류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이 회동 유지 부재(46)는 미싱 암(7)의 전면에 고정된 지지 부재(47)에 축 지지되어 있고, 회동 유지 부재(46)에는 재봉사(T)를 유지하기 위한 회동 유지편(4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동 유지 부재(46)는 도시하지 않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 도 9 또는 도 2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압되어 있고, 그 맞닿음 변(46b)이 기본 승강 부재(38)의 맞물림 편(38a)에 맞닿아서 도 9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동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미싱 암(7)에는 고정 유지 부재(48)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유지 부재(48)에는, 회동 유지 부재(46)의 회동 유지편(46a)에 의해 재봉사(T)를 끼워서 유지하기 위한 고정 유지편(4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 유지편(46a) 및 고정 유지편(48a)은, 바늘대(8)의 도입구(9)에 유도되는 재봉사(T)의 유지가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 유지 부재(46)가 천칭(17)의 하류에서, 즉 천칭(17)에 걸쳐진 재봉사(T)를 재봉 바늘(11)에 가까운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미싱 암(7)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기본 승강 부재(38)의 맞물림 편(38a)은, 누름 틀체(28)가 하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실선 위치에 위치하고, 상사점에 위치할 때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일점쇄선 위치에 위치한다. 즉, 봉제시에 있어서 맞물림 편(38a)은, 도 7에 나타내는 실선 위치(38a)와 일점쇄선 위치(38a')의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봉제시에 있어서 회동 유지 부재(46)는, 맞닿음 편(46b)이 맞물림 편(38a)에 받아들여져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7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회동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일 때는 재봉사(T)가 유지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봉제의 진행에 수반하여 재봉사(T)가 잇따라 공급된다. 한편, 봉제 종료시나 미싱 헤드(H)의 가동을 중지한 경우에는, 누름 틀체(28)가 퇴피되는 것에 수반한, 맞물림 편(38a)은 도 7에 있어서 2점쇄선(38a”)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맞닿음 변(46b)과 맞물림 편(38a)의 맞닿음이 어긋나고, 회동 유지 부재(46)는 그 회동 유지편(46a)이 고정 유지 부재(48)의 고정 유지편(48a)에 맞닿는 도 7에 있어서 2점쇄선(46”)으로 나타내는 회동 위치에 회동된다. 그러면, 회동 유지 편(46a)과 고정 유지편(48a)으로 재봉사(T)를 끼워서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봉제 종료시나 미싱 헤드(H)의 가동을 중지한 경우에는 재봉사(T)가 풀려나오지 않는다.

    또, 누름 틀 지지체(27)를 방향 제어하기 위한 모터(49)의 축에는 샤프트(50)가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50)의 하부는 미싱 암(7)에 고정한 베이스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50)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52)가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 풀리(52)와 상기 회전통(30)의 풀리(31)와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53)가 걸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49)를 구동시키면 회전통(30)이 왕복 회전하고, 키 부재(32)를 통하여 누름 틀 지지체(27) 및 가이드(29)가 방향 제어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을 행할 때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을 행할 때에는, 각 미싱 헤드(H)의 재봉 바늘(11)의 바늘 구멍에 재봉사(T)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보빈(34)을 세트한다. 재봉사(T)는 상부 프레임(2)의 위쪽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공급부로부터 잇따라 공급되고, 미싱 헤드(H)의 상부의 실 조절부를 통과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암(7)의 위쪽에 설치한 상부 실 통로(54), 미싱 암(7)의 전면에 설치한 중간 실 통로(55), 천칭(17)의 선단부의 순서로 통과한 후에, 바늘대(8)의 도입구(9)로부터 바늘대(8) 내를 통과하여 도출구(10)로부터 나와서, 재봉 바늘(11)의 바늘 구멍으로 통과한다. 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보빈(34)은 보빈 브래킷(33)에 세트함과 동시에, 끈 형상 부재를 보빈(34)으로부터 잇따라 공급하여 가이드(29)로 통과하여 재봉 바늘(11)의 침원으로 유도한다. 미싱의 기동(起動) 스위치를 조작하여 미싱을 운전시키면, 미싱 주축(6)이 회전되어 바늘대(8)(재봉 바늘(11))가 승강 구동됨과 동시에 천칭(17)이 요동된다. 누름 틀체(28)는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바늘대(8)의 승강 구동과 동기하여 도 6의 실선 위치와 일점쇄선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된다. 회전통(30)은 모터(49)에 의해 회전 제어되고, 보빈(34) 및 가이드(29)가 항상 꿰맴 진행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방향 제어된다. 그리고, 가마(3)가 바늘대(8)(재봉 바늘(11))의 승강 구동과 동기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봉제틀(5)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봉제틀(5)에 전장 유지된 피봉제물에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행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복수의 미싱 헤드(H)의 일부만을 가동시키고, 나머지의 미싱 헤드(H)의 가동은 중지시킬 때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지시키는 미싱 헤드(H)에 있어서는,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바늘대(8)를 연속 점프 상태로 함과 동시에,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누름 틀체(28)를 도 6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퇴피 위치에 퇴피시킨다. 누름 틀체(28)가 퇴피 위치로 퇴피되면, 기본 승강 부재(38)의 맞물림 편(38a)과 회동 유지 부재(46)의 맞닿음 변(46a)의 맞닿음이 어긋나고, 회동 유지 부재(46)가 그 회동 유지편(46a)과 고정 유지 부재(48)의 고정 유지편(48a)이 맞닿는 도 7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회동 위치에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 유지편(46a)과 고정 유지편(48a)으로, 바늘대(8)의 도입구(9)에 유도되는 재봉사(T)를 끼워서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다두 미싱에서는, 미싱 헤드(H)의 가동을 중지 할 때에 회동 유지편(46a)과 고정 유지편(48a)으로 바늘대(8)의 도입구(9)에 유도되는 재봉사(T)를 끼워서 유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가동중지 중의 미싱 헤드(H)에 있어서 천칭(17)이 요동하여도 재봉사(T)가 팽팽히 당겨져서 재봉 바늘(11)의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천칭(17)의 요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차단 기구를 일부러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미싱 헤드(H)의 구조가 간소하게 되어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재봉사(T)의 유지를 누름 틀체(28)의 퇴피 동작에 연동시켜서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재봉사(T)를 유지하기 위한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없이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조작의 망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H)만을 구비한 다두 미싱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으나,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H)와 자수용 미싱 헤드를 교대로 구비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이 가능한 미싱 헤드(H)에 대해서만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회동 유지 부재(46)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재봉사(T)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라이드 등 다른 형태에 의해 재봉사(T)를 유지하도록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도에 있어서, 56은 가마 토대(4)의 상부면에 고정된 주지의 바늘판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동중지 중의 미싱 헤드에 있어서의 재봉사의 유지 구조를 개량한 미싱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형상 피봉제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옷감에 꿰매는 것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 미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복수의 미싱 헤드의 일부만을 가동하고 나머지의 미싱 헤드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하여 다두 미싱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동중지 중의 미싱 헤드에 있어서의 각 재봉 바늘의 바늘 구멍으로부터 재봉사가 빠져 버리는 것을 간이한 구성으로 방지하도록 한 다두 미싱에 관한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