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자수 미싱

申请号 KR1020167021851 申请日 2015-03-25 公开(公告)号 KR1020160136281A 公开(公告)日 2016-11-29
申请人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에가미신코; 리리콴; 이시자와마코토;
摘要 자수미싱은, 복수의침봉(3)을구비한침봉케이스(5)를가지며, 주축(主軸) 모터(제1 구동원)(60)에의해주축(6)을회전시키면, 상기침봉(3)이승강구동되고, 주지의꿰맴동작이행하여진다. 침봉케이스(5)에는, 각침봉(3)에각각대응하여승강봉(15)이지지되어있고, 각승강봉(15)은모터(제2 구동원)(16)에의해승강구동된다. 승강봉(15)의하단에, 주지의천 누름체(18)를대신하여, 피봉착재상에상기코드재(27)를안내하는코드안내체(20)를장착한다. 승강봉(15)의승강스트로크를변경함으로써, 코드재(27)의코드꿰맴또는루프(loop) 꿰맴을선택적으로행한다. 이것에의해, 간단한구성으로코드재의코드꿰맴및 루프꿰맴을선택적으로행하는것이가능하게된다.
权利要求
  • 재봉 바늘이 장착되는 복수의 침봉(針棒)을 옆으로 줄지어 수납한 침봉 케이스와, 여기서, 상기 침봉 케이스는, 각각 상기 복수의 침봉의 각각에 대응하여 각 침봉의 후방에 마련된 복수의 승강 부재를 더 수납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침봉 및 그것에 대응하는 상기 승강 부재를 소정의 가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상기 가동 위치에 위치된 1개의 상기 침봉에 걸려 상기 침봉을 승강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원과,
    상기 가동 위치에 위치된 1개의 상기 승강 부재에 걸려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원과,
    복수의 코드(cord) 안내체로서, 각각이 상기 복수의 승강 부재의 각각의 하단에 장착되고, 또한, 각 코드 안내체는, 피봉착재(被縫着材)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와, 재봉 바늘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피봉착재 상에 코드재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누름부의 저부에 마련된 도출 구멍을 구비하는 상기 코드 안내체와,
    개별의 코드재 공급원으로부터 조출(繰出)된 각 코드재를 상기 복수의 코드 안내체의 각각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코드재 공급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코드 안내체는, 대응하는 상기 승강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 부재는, 그 선단에, 상기 코드 안내체와 천 누름체 중 일방을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원에 의한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스트로크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코드 안내체에 의해 안내된 상기 코드재의 봉착(縫着) 양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스트로크 길이를 제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코드재를 상기 피봉착재 상을 따라서 장착하도록 봉착하고, 한편, 상기 승강 부재를 제로 보다도 큰 스트로크 길이로 승강 스트로크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코드재를 루프(loop) 모양으로 하여 상기 피봉착재 상에 봉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1개의 재봉 무늬의 재봉 도중(途中)에서,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스트로크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1개의 재봉 무늬의 도중에서 상기 코드재의 봉착 양식이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 코드 안내체는, 또한, 상기 도출 구멍으로 상기 코드재를 안내하기 위한 도입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 3개 이상의 상기 침봉, 상기 승강 부재, 상기 코드 안내체가 마련되어 있는 자수 미싱.

  • 说明书全文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자수 미싱{EMBROIDERY MACHINE ABLE TO SEW CORD MATERIAL}

    본 발명은, 피(被)가공물에 코드재(cord材)를 봉착(鋒着)하는 것이 가능한 자수(刺繡) 미싱에 관한 것이다.

    장식용 코드재를 피가공물에 봉착하는 방법에는, 코드재를 루프 상태로 하여 피가공물에 꿰매 붙이는 루프 꿰맴과, 코드재를 피가공물 상을 따라서 펴서 붙이도록 꿰매 붙이는 코드 꿰맴이 있다. 종래, 루프 꿰맴이나 코드 꿰맴을 행할 때에는 각각 전용의 안내 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들의 꿰맴을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변경하려면, 상기 안내 장치의 착탈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 효율이 좋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1에 있는 바와 같이, 루프 꿰맴과 코드 꿰맴에 겸용할 수 있는 안내 장치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특허 문헌 1의 안내 장치는, 미싱 헤드 프레임의 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미싱 헤드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침봉(針棒) 중, 상기 안내 장치가 장착된 단부에 위치하는 1개의 침봉을 사용하여, 코드재를 봉착하도록 구성된다. 이 안내 장치는, 루프 꿰맴을 할 때에, 침봉의 하강시에는,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루프 홀더가 하강함으로써 코드재의 루프를 형성하고, 침봉의 상승시에,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루프 홀더가 상승하여 코드재를 해방하도록 되어 있다. 루프 꿰맴에서의 루프의 높이는, 승강축의 상단에 나사 장착된 조정 볼트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조정한다. 또, 코드 꿰맴을 할 때에는, 루프 홀더를 대신하여 코드 홀더를 장착하고,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보다 코드 홀더 선단의 코드 누름부가 코드를 피봉착재 상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안내 장치는, 그 안내 장치 자체가 복잡한 메카니즘 기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메카니즘 기구를 가지는 안내 장치를, 미싱에 장착할 필요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 문헌 1의 안내 장치는, 미싱 헤드 프레임의 편단(片端)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코드재의 봉착에 사용할 수 있는 침봉은, 안내 장치를 장착한 단부에 위치하는 1개의 침봉에 한정된다. 이 종래의 구조에서는, 안내 장치는, 좌우 양단에 1개씩인 합계 2개까지 밖에 미싱 헤드 프레임에 장착하지 못하고, 그 결과, 최대라도 2종류의 코드재까지 밖에 봉착할 수 없었다. 또, 루프 꿰맴의 높이를 변경하려면, 조정 볼트를 돌리는 메카니즘적 조정 조작이 필요하여, 그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4-08082호 공보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코드재의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수 미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자수(刺繡) 미싱은, 재봉 바늘이 장착되는 침봉(針棒)과, 상기 침봉을 승강 구동하는 제1 구동원과, 상기 침봉에 대응하여 마련된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 구동하는 제2 구동원과, 상기 승강 부재에 장착되며, 피(被)봉착재 상에 코드재(cord材)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코드 안내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침봉을 구동하는 제1 구동원과는 다른 제2 구동원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승강 부재에, 코드 안내체를 장착하는 구성에 의해, 제2 구동원에 의해 승강 부재를 승강 구동함으로써, 침봉의 승강 구동과는 독립하여, 코드 안내체를 승강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동원을 제어하여, 이 코드 안내체의 승강 스트로크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코드재의 루프 꿰맴 및 코드 꿰맴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승강 부재의 승강 스트로크 길이를 제로로 하는 것에 의해, 코드재를 피봉착재 상을 따라서 붙이도록 봉착하는 「코드 꿰맴」을 행할 수 있고, 그 한편, 승강 부재를 제로 보다도 큰 스트로크 길이로 승강 스트로크시키는 것에 의해, 코드재를 루프 모양으로 하여 피봉착재에 봉착하는 「루프 꿰맴」을 행할 수 있다. 루프 꿰맴에서, 루프 높이는, 승강 부재의 스트로크 길이에 대략 비례한다. 따라서, 승강 부재의 승강 스트로크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메카니즘적인 조정을 행하지 않고, 봉착되는 코드재의 루프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자수 미싱은, 복수의 상기 침봉과, 상기 복수의 침봉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승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승강 부재 중 적어도 1개에, 상기 코드 안내체가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승강 부재 중 어느 것에도 코드 안내체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침봉의 각각을 이용하여, 코드재의 코드 꿰맴 또는 루프 꿰맴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침봉의 수만큼, 여러 종류의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코드 안내체는, 상기 승강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 부재는, 그 선단에, 상기 코드 안내체와 천 누름체 중 일방을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침봉을 승강 구동하는 제1 구동원과는 별도로 승강 부재를 승강 구동하는 제2 구동원을 구비한 통상의 자수 미싱에서, 기존의 천 누름체를 대신하여 코드 안내체를 장착하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코드재의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코드 안내체는, 장착된 상기 승강 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침봉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저부에 마련되며, 상기 피봉착재 상에 상기 코드재를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재봉 바늘이 삽입 통과되는 도출 구멍과, 상기 도출 구멍으로 상기 코드재를 안내하기 위한 도입 구멍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드 안내체는, 통상의 자수봉에서 이용하는 천 누름체로서의 기능성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코드재의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수 미싱을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다두(多頭) 자수(刺繡) 미싱의 자수 헤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자수 미싱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자수 미싱의 일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침봉 주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6은 도 1의 자수 미싱에서의 코드재의 공급로의 일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자수 미싱에서의 코드재의 꿰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로서, (a)는 코드 꿰맴, (b)는 루프 꿰맴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코드 꿰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루프 꿰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의 (a)~(d)는 루프 꿰맴의 샘플 무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다두(多頭) 자수(刺繡) 미싱 중 1개의 자수 헤드(4)의 정면도이다. 본체 프레임(1)의 정면에 장착된 미싱 암(2)의 전면(前面)에, 침봉(針棒) 케이스(5)가 좌우 방향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침봉 케이스(5)에는, 복수(도면에서는 6개)의 침봉(3)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침봉(3)은, 축방향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하단에는 침 고정부(11)에 의해서 재봉 바늘(12)이 장착되어 있다.

    침봉 케이스(5)에는 슬라이드축(8)이 관통 마련되어 있고, 슬라이드축(8)을 모터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침봉 케이스(5)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침봉 케이스(5)의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서, 6개의 침봉(3) 중 어느 하나가 가동 위치에 위치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시키는 침봉(3)이 선택된다.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3)의 하부에 대응하여, 주지의 가마(釜)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마는 미싱 테이블(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가마의 상부를 침판(針板)(13)이 덮는다. 침판(13)에는, 상기 선택된 침봉(3)의 재봉 바늘(12)이 삽입 통과할 수 있는 침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미싱 암(2)에는 주축(主軸)(6)이 관통 장착되어 있고, 주축 모터(제1 구동원)(60)(도 3 참조)에 의해 주축(6)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의해, 미싱 암(2) 내의 도시하지 않은 캠 기구 등을 매개로 하여, 침봉 구동체(7)(도 3 참조)가 승강한다.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3)은, 침봉 구동체(7)에 캐치(catch)되어, 침봉 구동체(7)의 승강 운동에 의해서, 그 축방향을 따라서 승강 구동된다.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3)(그 선단의 재봉 바늘(12))이 승강함으로써, 주지의 꿰맴 동작이 행하여진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봉 케이스(5)에는, 각 침봉(3)의 후방에 각각 승강봉(15)(승강 부재)이 지지되어 있다. 승강봉(15)은, 침봉(3)과 마찬가지로, 그 축방향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 승강봉(15)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암(2)에 마련된 모터(16)(제2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즉, 모터(16)에는,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가 연계(連繫)되어 있고, 모터(16)를 왕복 회전 구동하면, 미싱 암(2)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천 누름 구동체(17)가, 상기 링크 기구를 매개로 하여 승강한다. 그리고, 침봉 케이스(5)에 구비되는 복수의 승강봉(15) 중,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3)에 대응하는 승강봉(15)이, 천 누름 구동체(17)에 캐치되고, 상기 천 누름 구동체(17)의 승강 운동에 의해서, 그 축방향을 따라서 승강 구동된다.

    복수의 승강봉(15) 각각의 하단에는, 주지의 천 누름체(18), 또는 본 발명에 관한 코드 (cord)안내체(20)가 장착된다. 천 누름체(18)는 통상의 자수 재봉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코드 안내체(20)는 코드재(27)를 꿰매 붙일 때에, 피봉착재 상에 상기 코드재(27)를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코드 안내체(2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봉(15)의 하단부에 장착된 장착 부재(21)에, 나사(2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코드 안내체(20)는, 침봉(3)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컵 모양의 누름부(20a)를 구비한다. 이 누름부(20a)의 저부에는, 코드재(27)를 피봉착재 상으로 안내하는 도출 구멍(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부(20a)의 후방벽부에는, 코드재(27)를 도출 구멍(20b)으로 안내하는 도입 구멍(20c)이 형성되어 있다. 도출 구멍(20b)은, 코드재(27)의 봉착시에 재봉 바늘(12)이 통과하는 구멍이기도 하다.

    한편, 통상의 천 누름체(1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봉(15)의 하단부에 장착된 장착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나사(24)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천 누름체(18)를 승강봉(15)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는, 코드 안내체(20)를 승강봉(15)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21)와는 형상이 약간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자수 미싱은, 침봉 케이스(5)에 구비되는 복수의 승강봉(15) 전부에 천 누름체(18)를 마련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복수의 승강봉(15) 중, 코드재(27)의 봉착에 사용하는 임의의 침봉(3)에 대응하는 승강봉(15)에 대해서, 천 누름체(18)를 대신하여 코드 안내체(20)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봉 케이스(5)의 상부에는, 윗실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조정대(調整台)(14)가 배치된다. 또, 침봉 케이스(5)에는 주지의 천칭(天秤)(19)이 침봉(3)의 갯수와 동일한 수만큼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코드재(cord材)(27)의 공급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 미싱 본체의 양 다리부의 후부(後部)에, 코드재(27)를 감아 건 실패(25)를 유지하는 지승판(支承板)(26)이 걸쳐져 있으며, 이 지승판(26) 상에 1개 또는 복수의 실패(25)가 유지된다. 이 실패(25)로부터 조출(繰出)하여 상부로 끌어올린 코드재(27)를 전방으로 편향하기 위한 편향 바(28)가, 미싱 테이블(10)에 고정된 스테이(3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향 바(28)에는, 복수의 실패(25)로부터 조출한 코드재(27)가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렬(整列) 부재(32)가 장착되어 있다. 정렬 부재(32)는, 스테인리스 등의 선재(線材)를 굴곡하여 형성된다. 편향 바(28)의 전방에는, 각 자수 헤드(4)마다 복수의 실 텐션 디스크(31)가, 본체 프레임(1)의 후면의 하우징에 장착된 스테이(3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실 텐션 디스크(31)는, 코드재(27)에 텐션을 부여한다. 스테이(33)에는, 각 실 텐션 디스크(31)의 근방에 매달음체(體)(35)가 고정되어 있고, 매달음체(35)의 선단과 중간부에는 코드재(27)를 통과하는 루프가 형성되어 있다. 침봉 케이스(5)의 하단부에는, 각 침봉(3)의 후방에 대응하여, 코드재(27)를 통과시키는 가이드 구멍(36)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코드재(27)의 봉착(鋒着)시에, 코드재(27)를 꿰맴 위치에 공급하는 공급 순서를 설명한다. 작업자는, 지승판(26) 상의 실패(25)로부터 조출한 코드재(27)를, 성가 실패(25)의 상부의 정렬 부재(32)에 아래로부터 통과하여 편향 바(28)에 걸고, 상기 편향 바(28)의 전방의 실 텐션 디스크(31)에 통과시킨 후, 매달음체(35)에 마련된 2개의 루프에 통과시켜, 상기 코드재(27)의 봉착에 사용하는 침봉(3)에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36)에 통과시킨다.

    작업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재(27)를 가이드 구멍(36)에 통과시킨 후, 그 코드재(27)를, 상기 가이드 구멍(36)에 대응하는 침봉(3)의 침 고정부(11)에 형성된 실 구멍(11a)에 위로부터 통과시키고, 다음으로, 상기 침봉(3)에 대응하는 승강봉(15)의 장착 부재(21)에 마련된 실 걸림부(21a)에 위로부터 통과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실 걸림부(21a)에 통과시킨 코드재(27)를, 코드 안내체(20)의 도입 구멍(20c)에 통과시킴으로써 컵 모양의 누름부(20a) 내로 안내되고, 상기 컵 모양의 누름부(20a)의 저면의 도출 구멍(20b)으로부터 밖으로 인출한다. 이것에 의해, 코드재(27)는 침봉(3)의 하부 위치로 안내된다.

    자수 미싱은, 코드재(27)를 피자수포(被刺繡布)(s)(피봉착재)에 봉착할 때, 대응하는 승강봉(15)의 승강 스트로크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코드재(27)의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의 (a)는, 코드재(27)를 피자수포(s) 상을 따라서 붙이도록 봉착하는 「코드 꿰맴」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의 (b)는, 코드재(27)를 루프 모양으로 하여 피자수포(s) 상에 봉착하는 「루프 꿰맴」의 모습을 나타낸다. 또, 도 7의 (a), (b)에서, 재봉실(윗실, 아랫실)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코드 꿰맴을 행하는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침봉(3)(도 8에는 미도시)의 꿰맴 동작에 관계되지 않으며, 코드 안내체(20)를 스트로크시키지 않고(즉 승강봉(15)의 스트로크를 제로로 하여), 코드 안내체(20)를 하사점(下死点)에 위치시킨다. 코드 안내체(20)가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코드재(27)는, 코드 안내체(20)의 누름부(20a)의 저면에 의해 피자수포(s) 상에 밀어 붙여진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20a)의 저면에 의해 코드재(27)를 피자수포(s) 상에 밀어 붙여진 채로, 상기 꿰맴 동작에 의한 코드재(27)의 꿰맴을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코드재(27)는, 피자수포(s) 상을 따라서 붙여지도록 피자수포(s)에 봉착된다.

    한편, 도 7의 (b)에 나타내는 루프 꿰맴을 행하는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침봉(3)(도 9에는 미도시)의 꿰맴 동작의 1스트로크마다 동기(同期)하여, 코드 안내체(20)를 하사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사이에서 스트로크시키면서, 상기 꿰맴 동작에 의한 코드재(27)의 꿰맴을 진행한다. 즉, 코드 안내체(20)가 하사점 위치에 내려진 상태에서는, 코드재(27)는, 누름부(20a)의 저면에 의해 피자수포(s) 상에 밀어 붙여져 있고, 이 상태에서 침봉(3)의 꿰맴 동작에 의해 피자수포(s)에 꿰매 붙여진다. 다음으로, 코드 안내체(20)가 소정의 높이까지 오른 후에 하사점 위치까지 내림으로써, 코드재(27)는, 상기 소정의 높이 왕복분(分)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여분으로 피자수포(s) 상에 조출된다. 이 여분으로 조출된 코드재(27)에 의해 「루프」가 형성된다. 도 9는, 코드 안내체(20)가 소정의 높이까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코드 안내체(20)가 다시 하사점 위치에 내려진 상태에서, 코드재(27)가 피자수포(s)에 꿰매 붙여진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루프 꿰맴이 행하여진다. 또, 도 7의 (b)에서는, 루프가 피자수포(s) 상에 세워지도록 그려져 있지만, 이 도면은 루프 꿰맴의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루프 꿰맴을 겹침으로써 코드재(27)가 형성하는 루프는 반대로 꿰매어져 버린다. 본 명세서에서 「루프 높이」는, 개념으로서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자수포(s) 상에 세워지는 1개의 루프의 높이이지만, 실제는, 피자수포(s) 상에 조출된 1개의 루프의 길이에 상당한다.

    루프의 높이는,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에 대응한다. 즉,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를 크게 하면, 이것에 대략 비례하여 루프 높이가 크게 된다.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루프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0은, 루프 높이에 따른 재봉 무늬의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일례로서,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 6밀리미터(도 10의 (d)), 11밀리미터(도 10의 (c)), 15밀리미터(도 10의 (b)) 및 21밀리미터(도 10의 (a))이고, 각각 코드재(27)를 루프 꿰매었을 때의 샘플 무늬를 나타낸다. 이들 무늬는 소정 스티치 길이의 러닝(running) 스티치를 나선 모양으로 뻗게 한 것이다. 도 10에 분명한 바와 같이,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를 크게 할수록, 1루프분(分)의 코드재(27)의 꿰맴마다 조출되는 코드재(27)의 길이가 커지기 때문에, 루프 높이가 커지고, 루프 높이가 클수록, 꿰매진 부분이 부풀어 오르게 되어, 입체감이 자아내어진다.

    작업자는, 도시(圖示) 외의 조작 패널로부터 설정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승강봉(15)의 승강 스트로크)을 변경할 수 있다. 도시 외의 조작 패널에서의 설정에 따라, 도시 외의 제어장치가 모터(16)의 왕복 구동량을 제어하여,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를 제어한다.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는, 적당한 스트로크 범위(예를 들면 0~25밀리미터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경폭(예를 들면 0.1밀리미터)마다 설정할 수 있다.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는, 꿰맴을 개시하기 전에, 코드재(27)의 봉착에 사용하는 침봉(3)마다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 꿰맴의 도중에서 일단 자수 미싱을 멈추고, 사용중의 침봉(3)에 대응하는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를 그 자리에서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메카니즘적 조정 조작을 행하지 않고 간단히,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를 변경하며, 그것에 의해,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의 선택과, 루프 꿰맴을 헹하는 경우의 루프 높이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의 선택은, 모터(16)의 제어에 의한 코드 안내체(20)의 스트로크 길이의 변경만에 의해 보다 실현되므로,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 겸용의 코드 안내체(20)라도 메카니즘적 구조는 매우 심플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코드재(27)의 코드 꿰맴 및 루프 꿰맴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수 미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수 미싱에 의하면, 침봉(3)에 대응하는 승강봉(15)마다 코드 안내체(20)를 장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1개의 침봉 케이스(5)에 구비되는 복수의 침봉(3)마다, 각각 개별의 코드재(27)를 코드 꿰맴 또는 루프 꿰맴에 의해 봉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우측 단부의 침봉으로부터 순서대로 침봉(3a, 3b, 3c, 3d, 3e, 3f)으로 하면, 3개의 침봉(3a, 3c, 3e)에 대응하는 3개의 승강봉(15)에 코드 안내체(20)가 장착되어 있고, 3개의 침봉(3b, 3d 및 3f)에 대응하는 3개의 승강봉(15)에 천 누름체(18)가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3개의 침봉(3a, 3c, 3e)마다, 소재, 색, 굵기 등이 다른 3종류의 코드재(27)를, 코드 꿰맴 또는 루프 꿰맴 중 어느 하나이고, 또한, 루프 꿰맴의 경우는 루프 높이를 설정하여, 봉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침봉 케이스(5)에 구비되는 6개 전부의 승강봉(15)에 코드 안내체(20)를 장착하면, 소재, 색, 굵기 등이 다른 최대 6종류의 코드재(27)를, 봉착할 수 있다.

    또, 승강봉(15)에 코드 안내체(20)를 장착한 상태에서, 그 승강봉(15)에 대응하는 침봉(3)을 이용하여 통상의 자수 꿰맴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코드 안내체(20)가 누름부(20a)의 저면에 의해 피자수포를 누르는 것에 의해, 코드 안내체(20)를 통상의 천 누름체(18)와 동등하게 기능시킨다. 따라서, 오로지 코드재(27)의 코드 꿰맴 또는 루프 꿰맴을 행하는 경우에는, 모든 침봉(3)에 대응하여 코드 안내체(20)가 장착되어 있어도, 통상의 자수 꿰맴을 행하는 것에 문제없다. 다만, 피자수포의 두께나 자수 형태에 따라서는, 코드 안내체(20)를 천 누름체로서 대용하는 구성에서는, 자수 꿰맴의 실행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통상의 자수 꿰맴을 행하는 침봉(3)에 대응하는 코드 안내체(20)를 통상의 천 누름체(18)로 변경하면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코드 안내체(20)를 승강봉(15)에 장착하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승강봉(15)은, 막대 모양으로 한정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부재이면 좋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