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직기를 이용한 식생포대제작용 자루직물의 제직장치

申请号 KR1020030080241 申请日 2003-11-13 公开(公告)号 KR1020050046217A 公开(公告)日 2005-05-18
申请人 박종석; 发明人 박종석;
摘要 본 발명은 원형직기를 이용한 식생포대제작용 자루직물의 제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루직물의 제직과 동시에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꼬임사가 경사방향에 등간격으로 제직되게 하므로서 식생포대의 제작이 신속용이하도록 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휠외주면에 종광승강을 위한 상하부 안내홈외에 별도의 보조안내홈을 구성하고, 상기 보조안내홈에 의해 별도의 보조종광이 승강되게 하되, 상기 보조종광에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 꼬임사가 끼워져 구성되게 하므로서 원형 직기를 이용한 포대직물의 제직시 제직과 동시에 기능성꼬임사가 일체로 제직되게 한 것이다.
权利要求
  • 캠휠이 회전하여 캠휠 외주면에 구성된 상하부 안내홈에 의해 종광이 승강하면서 경사가 개구되고, 개구된 경사사이로 위사가 위입되어 자루직물이 제직되게 한 원형직기용 제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캠휠(100) 외주면에 구성된 상하부 안내홈(110)(120)외에 또다른 보조안내홈(130)을 구성하고, 상기 보조안내홈(130)에 접동롤러(131)를 설치한 다음 접동롤러(131)에 의해 보조종광(135)이 승강되게 하고, 상기 보조종광(135)에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꼬임사(C)가 끼워져 구성되게 하므로서 제작과 동시에 기능성꼬임사가 일체로 제직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를 이용한 식생포대 제작용 자루직물의 제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캠휠(100) 외주면에 구성되는 보조안내홈(130)에는 낮은부분(137)과 높은부분(136)의 비율이 1:3의 비율로 구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를 이용한 식생포대 제작용 자루직물의 제직장치.
  • 说明书全文

    원형직기를 이용한 식생포대제작용 자루직물의 제직장치{Weaving device of textile for manufacturing vegetation burlap bag by using circular loom}

    본 발명은 원형직기를 이용한 식생포대제작용 자루직물의 제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루직물의 제직과 동시에 경사방향에 등간격으로 초목류나 잔디씨와 같은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 꼬임사가 직조되게 하여 식생포대의 제작이 신속용이하도록 하므로서 양산가능케 할 뿐 아니라 견고성이 우수한 양질의 식생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식생포대란 도로절개지의 경사면이나 하천 주변의 유수지 및 제방 등에 설치하여 토양의 침식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흙주머니이다.

    다시 설명하면 식생포대내에 흙을 채워 넣고 밀봉한 다음 상기 식생포대를 필요한 장소에 조적하여 토양의 침식이나 유실을 방지케 하는 것이다.

    이때 식생포대를 구성하는 경사 혹은 위사에는 초목류나 잔디씨와 같은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 꼬임사가 등간격으로 직조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능성꼬임사에 매입된 식물종자가 발아하여 식생포대내에 채워진 토양에 잔디와 같은 식물들이 용이하게 토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식생포대를 신속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수단이 미흡하여 양산에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다시 설명하면 직기로 제직한 원단을 이용하여 식생포대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단을 제단하고, 제단된 단부의 조직이 붕괴되지 않도록 처리한 다음 봉재하여 식생포대를 제조하게 되므로 식생포대의 제조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뿐 아니라 봉재부가 취약하여 취급도중 봉재부의 조직이 봉괴되면서 터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형직기를 이용하여 자루형태로 직물을 제직한 다음 폭방향으로 절단하고 일측단부를 접어 봉재하므로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원형직기를 이용하여 식생포대를 제직하고자 할 때에는 캠의 구조상 종광의 승강을 위한 캠의 안내홈이 상하대칭형으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어 개구를 위한 경사의 승강운동이 매번 반복하여 승강되므로 평직형태로 제직이 된다.

    따라서 매개구시마다 경사가 승강하게 되므로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꼬임사가 많은 마찰을 받게 되어 기능성꼬임사내에 매입된 식물종자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될뿐 아니라 평직으로 제직이 되므로 식생포대제조시 기능성꼬임사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1/2정도가 되므로 식생포대의 취급시 걸림, 마찰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특히 식생포대외부로 노출되는 기능성꼬임사에 매입된 식물종자는 식생포대내에 채워진 토양과는 격리되어 있어 식물종자의 발아에 장애가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원형직기를 이용하여 식생포대제조용 자루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경사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시되는 기능성꼬임사가 직물내측면으로 많이 노출되게 하여 식생포대로의 사용시 기능성꼬임사에 매입된 식물종자가 토양과 직접 접촉될 수 있게 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취급도중 걸림이나 마찰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않게 구성한 양질의 식생포대제작용 자루직물의 제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휠이 회전하여 경사가 끼워진 종광이 승강하면서 개구가 되고, 개구된 경사사이로 셔틀(shuttle)이 주행하면서 위사가 위입되게 하므로서 자루직물이 제직되게 한 통상의 원형직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캠휠의 외주면에 상하대칭형으로 구성된 안내홈을 구성하되, 상하안내홈외에 별도의 보조안내홈을 구성하고, 상기 보조안내홈에 의해 보조종광이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보조종광에는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꼬임사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보조종광은 일반종광이 여러번 승강운동할 때 한번 하강하였다가 상승상태를 유지케하므로서 자루직물에 제직되는 기능성꼬임사의 대부분은 내측면에 많이 노출되게 함과 동시에 셔틀의 주행시 셔틀과의 마찰 및 경사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식생포대제조용 자루직물 제직을 위한 제직장치부분의 요부구성도이고, 도6는 본 발명장치에 사용되는 캠휠의 전개구성도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주요기술요지는 캠휠(100) 외주면에 상부안내홈(110)과 하부안내홈(120) 및 보조안내홈(130)이 차례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각 안내홈(110)(120)(130)에 종광을 승강시킬 수 있는 개구장치들이 연결구성된다.

    먼저 캠휠(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5는 본 발명 캠휠(100)의 측면구성도이고, 도6은 캠휠(100)의 전개도로서 캠휠(100) 윗쪽으로부터 상부안내홈(110)과 하부안내홈(120) 및 보조안내홈 (130)이 차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안내홈(110)과 하부안내홈(120)에는 높은부분(116)(126)과 낮은부분(117)(127)이 교호로 각각 구성되게 하되, 상부안내홈 (110)의 높은부분(116)과 낮은부분(117)은 하부안내홈(120)의 낮은부분(127) 및 높은부분(126)과 각각 대칭형으로 2회 반복구성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캠휠(100) 외주면에 구성되는 상부안내홈(110)과 하부안내홈(12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캠휠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캠휠(100) 외주면에 상하부안내홈(110)(120)외에 별도의 보조안내홈(130)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안내홈(130)에도 높은부분(136)과 낮은부분(137)이 형성되게 하되, 낮은부분(137)은 한곳에만 형성되게 하고 나머지는 높은부분(136)으로 구성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낮은부분(137)과 높은부분 1:3의 비율이 되게한다.

    이때 상하부안내홈(110)(120)에 구성되는 높은부분과 낮은부분의 반복횟수는 3회, 4회 등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조안내홈 (130)에 구성되는 낮은부분과 높은부분의 비율은 1:5 혹은 1:7의 비율로 하면된다.

    상기에서 낮은부분(137)은 상하안내홈(110)(120)에 형성된 낮은부분(117) (127) 중 한 곳과 일치되게 한다.

    상기 캠휠(100)에 구성된 각 안내홈(110)(120)(130)에는 접동롤러(111)(121) (131)가 끼워져 각 안내홈을 따라 접동되게 하고, 상기 각 접동롤러(111)(121) (131)는 상부브라켓(112)과 하부브라켓(122) 및 보조브라켓(132)에 결합구성되게 한다.

    상기 각 브라켓(112)(122)(132)에는 상부종광틀연결봉(113)과 하부종광틀연결봉(123) 및 보조종광틀연결봉(133)을 연결구성하되, 상기 각 종광틀연결봉(113) (123)(133)에는 상부종광(115)이 설치된 상부종광틀(114)과, 하부종광(125)이 설치된 하부종광틀(124) 및 보조종광(135)이 설치된 보조종광틀(134)이 각각 연결구성되게 한다.

    동시에 상하부종광틀(114)(124)에 구성된 상하부종광(115)(125)에는 경사(A)가 끼워져 있고, 보조종광틀(134)에 구성된 보조종광(135)에는 식물종자가 매입된 기능성꼬임사(C)가 끼워지게 한다.

    이때 기능성꼬임사(C)는 경사(A)방향에 2∼6cm간격으로 배시되게 하되, 상기 간격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직을 위하여 원형직기를 작동시키면 캠휠(100)이 회전하게 되고 캠휠(100)의 회전에 의해 상하부종광(115)(125)에 끼워진 경사(A)는 교호로 승강하면서 개폐가되므로 제직되는 경위사는 1/1(1 Up/1 Down)형식의 평직형태로 제직이 진행되고, 동시에 기능성꼬임사(C)는 1/3(1 Up/3 Down)형식으로 제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캠휠(100)이 회전하면 상부안내홈(110)과 하부안내홈 (120) 및 보조안내홈(130)에 끼워진 접동롤러(111)(121)(131)가 안내홈을 따라 접동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안내홈(110)(120)에 끼워진 접동롤러(111)(121)는 높은부분(116) (126)과 낮은부분(117)(127)을 따라 접동하면서 승강하게 되며, 상기에서 상부안내홈(110)에 끼워진 접동롤러(111)가 높은부분(116)에 위치하게 되면 하부안내홈 (120)에 끼워진 접동롤러(121)는 낮은부분(127)에 위치하게 되면서 경사(A)는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도2 참조) 그 사이로 샤틀에 의해 위사(B)가 위입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상부안내홈(110)에 끼워진 접동롤러(111)가 낮은부분(117)에 위치하게 되면 하부안내홈(120)에 끼워진 접동롤러(121)는 높은부분(126)에 위치하게 되면서 경사(A)는 상기와는 반대로 개구되고(도1 참조) 동시에 위사(B)가 위입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접동롤러(111)(121)가 상하부안내홈(110) (120)에 구성된 높은부분(116)(126)과 낮은부분(117)(127)의 중간부(118)(128)에 위치하게 되면 경사(A)는 나란한 선상을 유지하는 폐구상태가 된다.(도3 참조)

    위에서와 같이 접동롤러가 상하부안내홈을 따라 접동하면서 상하부종광틀 (114)(124) 및 상하부종광(115)(125)이 승강하면서 개구된 경사사이로 위사(B)가 위입되고, 위입완료되면 경사는 폐구되었다가 다시 개구되면 운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경위사의 조직형태는 1/1의 평직형태로 제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조안내홈(130)에 끼워진 접동롤러(131)는 주로 높은부분(136)에 위치하면서 보조종광(135)에 끼워진 기능성꼬임사(C) 역시 상승한 상태로 윗쪽에 위치하게되므로(도1 참조) 위입된 위사(B)는 기능성꼬임사(C) 아랫쪽에 위치하게 되며 접동롤러(131)가 낮은부분(137)에 위치하게 되면 보조종광(135)도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기능성꼬임사(C)역시 하강하면서(도3 참조) 기능성꼬임사(C) 윗쪽으로 위사(B)가 위입이 되어 결국 기능성꼬임사(C)는 도7에서와 같이 1/3의 조직형태로 제직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부안내홈(110)(120)에 끼워진 접동롤러(111) (121)에 의해 상하부종광(115)(125)이 4회 승강할 때 보조안내홈(130)에 끼워진 접동롤러(131)에 의해 보조종광(135)은 1회 승강하게 되므로 도7에서와 같은 조직형태로 제직이 이루어지게 된다.(자루직물형태로 제직된 상태에서 표면에 배시된 조직상태임)

    상기에서와 같은 조직형태로 도8에서와 같이 자루직물(W)이 제직되면 자루직물(W)에 배시되는 기능성꼬임사(C)의 대부분은 내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자루직물(W)을 이용하여 도9에서와 같이 식생포대(W')로 제작사용하고자 할 때 제작이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기능성꼬임사(C)가 토양이 충진된 식생포대(W')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식물종자의 발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취급도중 외부요인에 의해 기능성꼬임사(C)가 손상되거나 찢어져 식물종자가 소실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캠휠(100) 외주면에 구성되는 보조안내홈(130)의 위치는 상하부안내홈(110)(120) 아랫쪽이나 윗쪽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상하부안내홈(110)(120)에 구성되는 높은부분과 낮은부분의 반복횟수(본고안 도면에는 4회로 도시되어 있음)와 보조안내홈(130)에 구성되는 낮은부분과 높은부분의 비율(본고안에서는 1:3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조정하면 포대직물에 배시되는 기능성꼬임사(C)의 부침을 조정할 수 있다.

    다시 설명 하면 상하부안내홈(110)(120)에 구성되는 높은부분과 낮은부분의 반복횟수를 3회, 4회 등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조안내홈(130)에 구성되는 낮은부분과 높은부분의 비율은 1:5 및 1:7로 설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기능성꼬임사(C)의 부침을 1/5(1 Up/5 Down), 1/7(1 Up/7 Down) 등 다양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절개지의 경사면이나 하천주변의 유수지 및 제방등에 설치하여 토양의 침식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식생표대를 제작함에 있어서, 식생포대 제작을 위한 직물을 원형직기를 이용하여 제직된 포대직물을 이용케하되, 원형직기의 캠휠에 별도의 보조안내홈을 구성하여 포대직을의 제직시 종자식물이 매입된 기능성꼬임사가 등간격으로 배시되게 하므로서 식생표대의 제작이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포대형태의 직물을 그대로 이용하게 되므로 측부에는 재봉선이 없어 견고성이 그 만큼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장치의 요부측면구성도로서 일부경사와 기능성꼬임사가 상승하여 개구된 상태도.

    도 2 : 본 발명장치의 요부측면구성도로서 일부경사와 기능성꼬임사가 하강하여 개구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장치의 요부측면구성도로서 경사와 기능성꼬임사가 폐구된 상태도.

    도 4 : 본 발명장치에 사용되는 캠휠의 일부와 접동롤러부분의 상세도.

    도 5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캠휠의 측면구성도.

    도 6 : 도5의 전개구성도.

    도 7 : 본 발명장치로 제직된 자루직물 조직도의 한 예시도.

    도 8 : 본 발명에서 제직된 자루직물의 개략사시도.

    도 9 : 본 발명에서 제직된 자루직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생포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경사 (B)--위사

    (C)--기능성꼬임사 (W)--자루직물

    (W')--식생포대 (100)--캠휠

    (110)--상부안내홈 (111)--접동롤러

    (112)--상부브라켓 (113)--상부종광틀연결봉

    (114)--상부종광틀 (115)--상부종광

    (116)--높은부분 (117)--낮은부분

    (118)--중간부 (120)--하부안내홈

    (121)--접동롤러 (122)--하부브라켓

    (123)--하부종광틀연결봉 (124)--하부종광틀

    (125)--하부종광 (126)--높은부분

    (127)--낮은부분 (128)--중간부분

    (130)--보조안내홈 (131)--접동롤러

    (132)--보조브라켓 (133)--보조종광틀연결봉

    (134)--보조종광틀 (135)--보조종광

    (136)--높은부분 (137)--낮은부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