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직기

申请号 KR1019990045425 申请日 1999-10-19 公开(公告)号 KR1020010037753A 公开(公告)日 2001-05-15
申请人 김견목; 发明人 김견목;
摘要 PURPOSE: Provided is a circular loom capable of shortening weaving time by installing a shuttle and a weft bobbin placed in the shuttle radially toward a main shaft to plac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warp threads and increasing a number of the shuttle as much as a distance between shuttles is extended. Thereby productivity is promoted by increasing weaving time by half or more. CONSTITUTION: This circular loom comprises a main shaft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frame to rotate in the specified direction; a cam upper plate and a cam lower plate; a cam wheel; an upper circular rail and lower circular rail(41) form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m upper plate; an inner warp thread guide frame and an outer warp thread guide frame equipped on an outer circular surface for guiding many strands of warp threads(71); a plurality of shuttles(6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ircular rail and running on the circular rail by a push lever(16) of the main shaft; and each shuttle and weft bobbin(73) displaced radially toward the main shaft.
权利要求
  • 틀체(10)의 상부 중앙으로 입설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주축(11)이 구비되고,
    상기 틀체(10)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주축(11)을 회전안내하는 캠상판(21)과 캠하판(22)이 구비되며, 상기 캠상판(21)과 캠하판(22)의 사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캠휠(20)이 구비되고,
    상기 캠상판의 상부에 상기 주축(11)과 동심원을 이루며 주축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형성된 상부원형레일(40)과 하부원형레일(4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원형레일(40)(41)과 상기 주축(11)의 사이에 자루직물(70)의 직경을 결정하는 사이즈링(5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다수가닥의 경사(71)를 상기 상,하부원형레일(40)(41)의 사이를 거쳐 상기 사이즈링(50) 쪽으로 안내하는 내측경사안내틀(30)과 외측경사안내틀(31)이 상기 상,하부원형레일(40)(41)의 외주연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원형레일(40)(4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푸시레버(16)에 의해 원형레일(40)(41)상을 주행하는 다수개의 셔틀(60)이 구비되고 상기 각 셔틀(60)은 상기 사이즈링(50) 쪽으로 향하는 위사(72)가 감긴 위사보빈(73)이 내장되며 상기 각 셔틀(60)과 위사보빈(73)은 주축(11)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사와 나란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형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셔틀(6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상,하부원형레일(40)(41)과 구름접촉되는 다수개의 셔틀바퀴(61)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원형레일(40)(41)에는 상기 사이즈링(50) 쪽으로 축소 경사진 내측경사부(43)와 상기 내측경사안내틀(30) 쪽으로 축소 경사진 외측경사부(4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셔틀바퀴(61)는 내측경사부(43)와 외측경사부(44)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하도록 상기 각 셔틀(60)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 셔틀(60)이 주축(11)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형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셔틀(60)은 주행 반대방향으로 위사보빈(73)을 인출하기위한 출입구(62)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62)의 중앙에는 위사보빈(73)으로부터 풀리는 위사(72)가 경사(71)와 나란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위사안내롤러(63)가 구비되며 상기 셔틀(60)의 선단에는 상기 위사안내롤러(63)로부터 풀리는 위사를 상기 사이즈링(50) 쪽으로 안내하여 경사(71)와 직조되도록 하는 위사안내레버(6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형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셔틀(60)은 상하측으로 벌어진 경사(71)의 사이를 지나가도록 주행방향쪽에 유선형돌기(68)가 형성되고, 상기 셔틀(60)의 주행반대방향 쪽에는 주축(11)의 각 푸시레버(16)에 형성된 푸시롤러(17)와 구름접촉하여 상기 셔틀(60)이 주행되도록하는 셔틀롤러(6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형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휠(20)에 형성된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은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사인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마다 상기 각 셔틀(60)이 놓이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캠홈(23)(24)에 끼워져 상기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을 따라 동일선상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내,외측경사안내틀(30)(31)을 승강시키는 캠핀(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형직기.
  • 说明书全文

    원형직기{Circular loom}

    본 발명은 원형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원형레일 사이에서 주행하는 각 셔틀과 셔틀 내부의 위사보빈을 경사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하부원형레일에서 셔틀간의 간격이 늘어나도록 하고 이 늘어난 공간으로 다른 셔틀을 더 배치하여 위사의 수를 늘림으로써, 단위시간당 위사의 감기는 량이 증가되어 단위시간당 위사의 감기는 량이 증가되어 자루직물의 직조시간이 단축되도록한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직기는 자루직물(tubular fabric)을 만드는데 가장 실용적인 제직기중의 하나로 인정되어 왔는데 이 자루직물은 곡물, 설탕, 비료 및 합성수지 알맹이 등과 같은 과립의 운반용 부대 또는 저장용 부대를 만드는 직조기계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대표적인 원형직기는 미국 특허 제3,871,413호에 서술되어 있는 원형직기 또는 영국의 페어베른 로오슨 기계회사(Fairbairn Lawson Machinery, Ltd)에서 제작, 판매해 오고 있는 원형직기가 잘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원형직기는 짝수개의 셔틀이 상,하부원형레일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것을 따라 움직이며 각각의 셔틀에 설치된 위사보빈으로부터 나온 위사가 원형직기 중앙의 사이즈링 쪽으로 감기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경사안내틀에 의해 각 셔틀의 위와 아래쪽으로 연속 개구되는 경사와 위사가 짜여져 관상의 자루직물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원형직기용 셔틀과 위사보빈은 상,하부원형레일의 사이에 경사와 직교되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위사가 경사와 나란한 방향으로 풀어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동일한 직경의 상,하부원형레일 상에서 셔틀의 개수가 한정된다. 각 셔틀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소폭직기의 경우 대부분 4개의 셔틀을 배치하면 셔틀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더 이상 셔틀을 늘릴수가 없게된다.

    따라서 위사의 개수가 4개로 한정되어 단위시간당 위사의 감기는 량을 증가시키지 못함으로 직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셔틀의 회전을 늘려 경사의 개구시간을 단축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셔틀을 빨리 회전시키면 캠 및 캠바퀴에 고열이 발생되고 셔틀을 안내하는 셔틀바퀴가 쉽게 마모되며 위사와 경사에 무리가 발생되어 끈어질 우려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부원형레일의 직경을 크게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셔틀의 개수가 늘어나도록 할수 있으나 이는 전체적으로 장치가 커져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또한 재료비가 증가되는 등의 불합리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원형레일에서 주행하는 셔틀과 셔틀 내부에 설치된 위사보빈이 경사와 나란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주축을 향해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각 셔틀간의 간격이 늘어나도록 하고 늘어난 간격만큼 셔틀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경사에 감기는 위사의 개수가 늘어나 단위시간당 위사의 감기는 량이 증가되어 직조시간을 단축할수 있는 원형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부원형레일 사이에 설치된 각 셔틀의 개수를 증가시켜 경사에 감기는 위사의 수를 늘려 줌으로써, 상,하부원형레일의 직경을 크게할 필요가 없으며 셔틀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자루직물의 직조시간을 단축할수 있는 원형직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원형직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원형직기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셔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셔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셔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셔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셔틀과 캠휠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셔틀과 캠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캠홈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틀체

    11 : 주축

    12 : 메인모터

    13 : 감속기

    14 : 구동기어

    15 : 종동기어

    16 : 푸시레버

    17 : 푸시롤러

    18 : 권회드럼

    20 : 캠휠

    20a : 캠안내축

    21 : 캠상판

    22 : 캠하판

    23 : 상부캠홈

    23a : 산부분

    23b : 골부분

    24 : 하부캠홈

    24a : 골부분

    24b : 산부분

    25 : 캠바퀴

    26 : 캠핀

    27 : 슬리브

    30 : 내측경사안내틀

    31 : 외측경사안내틀

    32 : 경사승강봉

    33 : 경사안내핀

    34 : 경사구멍

    40 : 상부원형레일

    41 : 하부원형레일

    42 : 레일지지봉

    43 : 내측경사부

    44 : 외측경사부

    50 : 사이즈링

    51 : 사이즈조절레버

    60 : 셔틀

    61 : 셔틀바퀴

    62 : 출입구

    63 : 위사안내롤러

    64 : 위사안내레버

    65 : 셔틀롤러

    66 : 보빈축

    67 : 스프링

    68 : 유선형와이어

    70 : 자루직물

    71 : 경사

    72 : 위사

    73 : 위사보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사보빈이 내장된 셔틀이 경사와 나란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주축을 향해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상,하부원형레일의 사이에서 그 선단이 주축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부원형레일은 돌출된 각 셔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레일폭이 커지도록 구비되며 각 셔틀은 상부에 4개 하부에 4개씩의 셔틀바퀴가 설치되어 셔틀이 처짐없이 상,하부원형레일을 주행할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각 셔틀에 내장된 위사보빈으로부터 풀리기 시작하는 위사는 경사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위사가 경사와 나란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위사안내롤러가 셔틀에 구비된다. 그리고 각 셔틀과 위사보빈이 경사와 나란한 방향으로 놓여 주축을 향하고 있음으로 이들 각 셔틀간의 간격이 늘어나게 되고 이 늘어난 간격만큼 다른 셔틀을 더 배치할수 있다. 셔틀이 증가되면 경사에 감기는 위사의 개수가 늘어나게되고 늘어난 위사의 개수만큼 자루직물의 직조시간이 단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원형직기의 정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원형직기의 평단면도 이다. 원형직기는 틀체(10)의 상부 중앙으로 주축(11)이 구비되고 주축(11)은 틀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캠상판(21)과 캠하판(22)의 중앙으로 형성된 베어링(21a)(22a)에 의해 지지된다. 캠상판(21)과 캠하판(22)은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캠안내축(20a)에 의해 주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지며 틀체(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주축(11)은 캠상판(2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캠상판(21)과 캠하판(22)의 사이에 캠휠(20)이 주축(11)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캠휠(20)은 주축(11)이 회전되는 동안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사인곡선과 같은 일정한 파형을 같는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이 캠휠(20)의 중앙으로부터 상하측으로 대칭되도록 한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캠상,하판(21)(22)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캠안내축(20a)과 각 캠홈(23)(24)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캠핀이 구비되고 이들 캠핀과 연결된 상태로 승강되는 다수개의 내측경사안내틀(30)과 외측경사안내틀(31)이 캠상판(21)의 상측으로 구비된다.

    캠상판(21)의 상부에는 주축(11)과 동심원을 이루며 원통형의 하부원형레일(41)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이 하부원형레일(41)의 상부에 상부원형레일(40)이 구비된다. 상부원형레일(40)은 다수개의 레일지지봉(42)을 통하여 하부원형레일(41)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들 레일지지봉(42)의 사이사이로 경사(71)가 통과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하부원형레일(40)(41)의 사이에 위사를 공급하는 셔틀(60)이 주행할수 있도록 구비된다. 셔틀(60)은 경사(71)와 나란하도록 상,하부원형레일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주축(11)의 중심을 향해 구비되며 8개의 셔틀(60)이 주축(11)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부원형레일(40)의 상측에는 자루직물(70)의 직경을 조절하는 사이즈조절레버(51)와 사이즈링(50)이 구비된다. 사이즈조절레버(51)는 상부원형레일(40)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이들 각 레버(51)의 선단에 사이즈링(50)이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자루직물(70)을 구성하는 경사(71)와 위사는 사이즈링(50) 밑에서 자루직물(70)로 직조된다.

    주축(11)의 상단에는 각 셔틀(60)을 주행시키는 푸시레버(16)가 셔틀의 개수만큼 구비되며, 틀체(10)의 상부에는 사이즈링(50)으로부터 직조되는 자루직물(70)을 별도의 권회장치 쪽으로 안내하는 권회드럼(18)이 구비된다. 그리고 틀체(10)의 내부에는 메인모터(12)가 구비되고 메인모터(12)와 연결된 감속기(13)의 구동기어(14)가 주축(11) 하단의 종동기어(15)와 치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 셔틀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셔틀의 평면도 로서, 틀체(10)의 상부에 고정된 하부원형레일(41)의 상측에 상부원형레일(40)이 구비되고 각 원형레일(40)(41)의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레일지지봉(42)이 형성된다. 이들 레일지지봉(42)은 경사(71)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71)가 사이즈링(50) 쪽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 셔틀(60)은 원형레일(40)(41)의 사이에서 주행할수 있도록 상부에 4개 하부에 4개씩의 셔틀바퀴(61)가 구비된다.

    셔틀(60)은 주행하는 반대방향으로 위사(72)가 감긴 위사보빈(73)을 인출할수 있는 출입구(62)가 형성되고 출입구(62)의 일측에는 푸시레버(16) 선단의 푸시롤러(17)와 구름접촉하는 셔틀롤러(65)가 구비된다. 주축(11)이 회전되는 동안 푸시레버(16)가 함께 회전되면 푸시레버(16) 선단의 푸시롤러(17)와 구름접촉하는 셔틀롤러(65)를 통하여 셔틀(60)이 원형레일(40)(41)의 사이에서 주행된다.

    셔틀(60)에는 출입구(62)의 중앙으로 위사안내롤러(63)가 구비된다. 위사안내롤러(63)는 위사(72)가 경사(71)와 나란한 방향으로 풀리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위사보빈(73)으로부터 풀리기 시작하는 위사는 경사(7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풀리게 된다. 이처럼 경사와 수직한 방향으로 풀리는 위사(72)가 위사안내롤러(63)를 거치면서 경사와 나란하게 풀려진다. 또한 셔틀(60)의 선단에는 위사안내롤러(63)를 거친 위사를 사이즈링(50) 쪽으로 안내하는 위사안내레버(64)가 구비되며, 위사안내롤러(63)는 롤러지지봉(63a)을 통하여 셔틀(6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셔틀(60)의 출입구(62) 쪽에 형성되어 위사안내롤러(63)가 경사(71)에 간섭받지 않도록하는 유선형와이어(68)가 구비된다. 유선형와이어(68)는 셔틀(60)이 회전될 때 벌어진 경사(71)가 닫히면서 롤러(63)에 걸리지 않도록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 셔틀의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 셔틀의 측면도로서, 셔틀(60)의 출입구(62) 내부 양측에 위사보빈(73)을 설치하기위한 보빈축(66)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의 보빈축(66)은 스프링(67)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셔틀(60)의 상하측으로 형성된 각 셔틀바퀴(61)는 상,하부원형레일(40)(41)의 표면과 접하는 경사(71)를 타고 넘어가도록 구비되며 각 셔틀(60)의 주행방향쪽의 전면에는 상하측으로 벌어지는 경사(71)에 간섭되지 않고 이들 벌어지는 경사(71)의 사이로 지나갈수 있도록 유선형돌기(68)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 셔틀과 캠휠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 셔틀과 캠휠의 단면도 로서, 주축(11)에 결합된 캠휠(20)의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상하측으로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이 구비된다. 이들 캠홈(23)(24)은 사인곡선의 형태를 이루며 서로 최대한 벌어진 산,골부분(23a)(24a)과 서로 최대한 근접된 골,산부분(23b)(24b)을 갖는다.

    이들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은 각각 4개씩 구비되며 이들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각각의 셔틀(60)이 원형레일(40)(41)상에 배치된다. 산부분과 골부분의 합이 8개 임으로 셔틀(60)이 8개 구비되며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에서 사이즈링(50) 쪽의 경사(71)가 벌어져 사이즈링에 감기는 위사(72)가 열리게 되고 산부분과 골부분의 사이에서 각 경사승강봉(32)의 길이차이로 인하여 사이즈링에 감기는 위사(72)가 경사에 의해 닫혀지면서 위사와 경사가 연속적으로 직조된다.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에는 캠핀(26)을 갖는 캠바퀴(25)가 각각 구비되며 각 캠핀(26)은 원형레일(40)(41)의 외주연으로 배치된 내측경사안내틀(30)과 외측경사안내틀(31)의 경사승강봉(32)과 연결된다. 그리고 각 캠핀(26)은 캠상판(21)과 캠하판(22)을 지지하는 캠안내축(20a)의 외주연으로 결합되는 슬리브(27)에 연결되어 그 승강이 안내된다.

    내측경사안내틀(30)과 외측경사안내틀(31)에는 다수개의 경사안내핀(33)이 형성되고 이들 각 경사안내핀(33)은 경사(71)가 통과하는 경사구멍(34)을 갖는다. 주축(11)의 회전으로 캠휠(20)이 회전되면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의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을 따라 캠바퀴(25)가 주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캠핀(26)이 슬리브(27)를 따라 캠안내축(20a)의 상하측으로 승강된다. 캠핀(26)이 승강되면 이와 경사승강봉(32)을 통하여 연결된 내측경사안내틀(30)과 외측경사안내틀(3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된다. 각 경사안내틀(30)(31)이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동안 경사(71)가 연속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 벌어진 틈사이로 각 셔틀(60)이 주행하면서 자루직물(70)이 직조된다.

    상부원형레일(40)과 하부원형레일(41)은 경사(71)가 최대한 벌어지도록 그리고 셔틀바퀴(61)가 안정적으로 주행할수 있도록 중앙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내측경사부(43)와 외측경사부(44)를 갖는다. 상,하부원형레일(40)(41)에 각각 형성된 내측경사부(43)는 주축(11)을 향해 모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하부원형레일(40)(41)에 각각 형성된 외측경사부(44)는 내측경사안내틀(30) 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셔틀(60)에 형성된 각 셔틀바퀴(61)는 이들 경사부(43)(44)에 직각을 이루며 구름접촉 되도록 셔틀(60)의 상부와 하부쪽으로 각각 경사지며 벌어지게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모터(12)가 회전되면 감속기(13)와 구동,종동기어(14)(15)를 통하여 주축(11)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주축(11)이 회전되는 동안 주축(11)에 연결된 캠휠(20)과 푸시레버(16)가 함께 회전되고 이과정에서 캠휠(20)의 캠홈(23)(24)을 따라 내,외측경사안내틀(30)(3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면서 경사(71)를 연속적으로 벌려준다. 그리고 회전중인 각 푸시레버(16)에 의해 해당 셔틀(60)이 원형레일(40)(41)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속적으로 벌어지는 경사(71)의 사이를 지나가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셔틀(6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71)와 나란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주축(11)을 향해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셔틀(60)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원형레일(40)과 하부원형레일(41)을 주행할수 있는 셔틀바퀴(61)가 구비된다. 이들 셔틀바퀴(61)는 상부에 4개 하부에 4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셔틀바퀴(61)는 원형레일(40)(41)에 형성된 경사부(43)(44)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름접촉되도록 상부와 하부쪽으로 경사져 있다.

    셔틀(60)의 상부에 형성된 각 셔틀바퀴(61)는 상부로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각 셔틀바퀴(61)는 하부로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원형레일(40)과 하부원형레일(41)에 형성된 각 경사부(43)(44)에 이들 경사진 셔틀바퀴(61)가 구름접촉되는 동안 셔틀(60)은 주축(11)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으며 오직 원형레일(40)(41)의 정해진 트랙을 따라 주축(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주축(1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푸시레버(16)는 각 셔틀(60)의 후방 정위치에 놓이도록 구비되며 이들 푸시레버(16)의 선단에는 셔틀(60)의 셔틀롤러(65)와 구름접촉하는 푸시롤러(17)가 구비된다. 따라서 주축과 함께 회전되는 푸시레버(16)에 의해 푸시롤러(17)가 셔틀롤러(65)를 밀어주면 셔틀(60)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경사(71)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개의 경사보빈으로부터 풀려져 나오며 이들은 원형레일(40)(41)의 외주연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내,외측경사안내틀(30)(31)의 경사구멍(34)으로 끼워진 뒤 원형레일(40)(41)의 사이를 통과하여 사이즈링(50) 쪽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사이즈링(50)을 통과한 경사(71)는 권회드럼(18)을 통하여 자루직물(70)을 권회하는 권회장치 쪽으로 안내된다.

    위사(72)가 감긴 위사보빈(73)은 원형레일(40)(41)의 사이를 주행하는 각 셔틀(60)의 내부에 보빈축(66)을 통하여 설치되며 위사보빈(73)으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위사는 위사안내롤러(63)를 거치면서 경사(71)와 나라하도록 그 방향이 틀어지고 위사안내레버(63a)에 의해 사이즈링(50) 쪽으로 향한다. 원형레일(40)(41)에 설치된 각 셔틀(60)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위사(72)들은 사이즈링(50)을 거쳐 권회드럼(18) 쪽으로 향하는 각 경사(71)에 지그재그 형태로 짜지면서 자루직물로 제조된다.

    셔틀(60)이 경사(71)의 벌어진 틈사이로 지나가는 동안 셔틀(60)의 외주면이 벌어진 경사(71)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60)의 주행방향의 전면에 유선형돌기(68)가 형성된다. 이 유선형돌기(68)는 상하측으로 벌어진 경사의 사이로 셔틀(60)이 지나가는 동안 경사들이 셔틀(60)의 외주면을 타고 넘어갈수 있도록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다.

    도 9는 캠홈(23)(24)을 전개한 전개도로서, 캠홈(23)(24)의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 마다 셔틀(60)이 위치된다. 위사(72)가 경사(71)의 외주면에 감기는 과정에서 산,골부분(23a)(24a) 및 골,산부분(23b)(24b)에서는 위사(72)가 노출되고 산부분과 골부분의 사이에서 위사가 닫히면서 이들 위사와 경사가 서로 짜지면서 직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캠홈(23)과 하부캠홈(24)에 각각 설치된 캠바퀴(25)들은 캠핀(26)을 통하여 캠안내축(20a)에 끼워진 슬리브(27)와 연결된다.

    따라서 캠휠(20)의 회전으로 캠홈(23)(24)이 회전되는 동안 각 캠바퀴(25) 쪽으로 산,골부분(23a)(24a)과 골,산부분(23b)(24b)이 지나가게 되며 이과정에서 캠바퀴(25)들은 캠핀(26)과 슬리브(27)를 통하여 캠안내축(20a)을 따라 승강된다. 캠핀(26)이 승강되는 동안 이와 경사승강봉(32)을 통하여 연결된 내,외측경사안내틀(30)(3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되고 이들 안내틀(30)(31)에 형성된 경사구멍(34)으로 끼워진 경사(71)들이 연속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각 셔틀(60)로부터 풀려져 나온 위사(72)들이 이들 경사(71)의 외주면을 따라 직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원형레일의 사이로 주행되는 셔틀이 주축을 향하도록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이들 셔틀에 내장된 위사보빈이 경사와 나란하도록 함으로써, 상,하부원형레일의 직경을 크게하지 않고도 각 셔틀의 간격을 넓혀줄수 있다. 이처럼 셔틀 간격을 크게하면 셔틀간에 다른 셔틀을 더 배치할수 있음으로 그만큼 위사의 수가 늘어나게 되어 단위시간당 위사의 감기는 량이 증가되어 자루직물의 직조시간이 단축된다.또한 주축방향으로 향하는 셔틀의 상측과 하측에 다수개의 셔틀바퀴를 설치하여 셔틀이 원형레일의 사이에서 주행할수 있도록 하되 각 원형레일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셔틀이 궤도를 벗어나지 않고 주행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사가 경사에 정확하게 감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경사와 나란하게 셔틀의 내부에 내장된 위사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위사는 경사와 수직한 방향으로 풀어짐으로 이를 경사와 나란한 방향으로 풀어지도록 하는 위사안내롤러를 설치하여 위사와 경사의 직조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원형레일의 직경을 크게하지 않고도 위사의 개수를 늘려줄수 있음으로 자루직물의 직조시간을 배이상 늘려줄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