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 및 평직 라벨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030053983 申请日 2003-08-05 公开(公告)号 KR1020050015242A 公开(公告)日 2005-02-21
申请人 여상도; 发明人 여상도;
摘要 PURPOS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icro weave label and a plain weave label is characterized by using a satin weaving machine, increasing productivity, maximizing operation rate and increasing quality. CONSTITU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lain weave label is as follows: supplying source of electricity to a satin weaving machine; preparing operation of the satin weaving machine; preparing melt yarn as one warp in case that a user selects a plain weave; dividing the warp into two; weaving the plain weave joined with many melt yarns in a fixed width at equal intervals to form the double-ply plain weave; and then passing the double-ply plain weave through a heat plate to manufacture the separated double-ply plain weav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icro weave label is as follows: finishing yarn; manufacturing the label out of warp and weft having 40-50denier; making a punching card and a card for weaving the label; and then weaving the label and a base material with a high density gear having 89-94 of density to manufacture the label having 76-82 of density.
权利要求
  • 주자직 기계에 전원을 공급하고 가동준비를 하는 단계;
    사용자가 평직을 선택한 경우에는, 일정수의 경사중에서 하나를 융해사로 준비하는 단계;
    이후 경사를 둘로 겹으로 나누고 직조하여 일정폭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융해사가 직조되어 연결된 두겹 평직을 제직하는 단계; 및
    이후 융해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겹 평직을 열판을 통과시켜 분리된 2겹 평직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 및 평직라벨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해사는 대략 30∼33㎜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평직라벨의 제조방법.
  • 직물사를 가공하여 약 40∼50데니어의 경사 및 위사로 된 라벨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라벨 제직용 조직도(펀칭카드, 문지)를 만드는 단계와,
    밀도가 대략 76∼82개의 라벨을 만들기 위해 89∼94개의 고밀도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라벨과 기재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 라벨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 및 평직 라벨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UPERFINE AND PLANE WEAVE LABEL SATIN WEAVE MACHINE}

    본 발명은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평직라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자직 기계를 이용하여 평직라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경사를 이중구조인 두겹으로 만든 다음, 제직시에는 두겹의 직물이 붙어 있어야 하므로 융해사를 사용하여 상부조직과 하부조직을 부착시켜 제직하고, 라벨의 제직 후에는 기계하부의 열판을 이용하여 융해사를 용융 분리시킴으로써 단일겹을 이용한 제조방식에 비해 생산량도 증대시키면서 기계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극세직(極細織)라벨의 경우에는 경사의 개수와 위사의 밀도를 두배로 높여 제직함으로써 동일한 양을 생산하면서도 보다 우수한 품질의 극세직 라벨을 제조할 수 있는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평직라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은 회사를 대표하는 브랜드명과 로고 등을 나타내는 상표로서,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얼굴에 해당된다. 라벨은 크게 주자직 기계에서 생산되는 주자직 라벨과, 평직 기계에서 생산되는 평직, 능직, 이중직 라벨의 2종류로 구별된다.

    주자직이라는 용어는 사전에서 찾아보면, 주자직이란 직물 조직의 하나로서 경사(經絲)나 위사(緯絲)가 직물표면에 많이 나타나게 하는 조직이고, 평직(平織) ·능직(綾織)과 함께 직물의 삼원조직(三原組織)의 하나이며, 직물조직을 구성하는 일단위인 일완전조직(一完全組織:1-repeat)에 있어서 경사는 단 한 번씩 위사(緯絲)와 교착하는 까닭에, 평직이나 능직에 비하여 직물의 표면이 매우 반드럽고 광택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일완전조직이 너무 커지면 실의 뜨는 부분이 너무 길어지므로 일반적으로 5매주자(五枚朱子) 또는 8매주자(八枚朱子)가 많이 쓰인다(이상 두산세계대백과사전참조).

    도 1 은 일반적인 평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되어 직조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 는 주자직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경사 및 위사의 개수가 평직에 비해 두배이상 많으며(보통 직조방식에서 있어서도 위사가 경사 5매씩 걸러서 직조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런데, 현재 대부분의 라벨업체에서는 주자라벨의 제조시에 주자직 기계를 사용하고 평직, 능직, 이중직 라벨의 제조시에는 평직기계를 사용하여 라벨을 제조한다. 즉, 주자직 기계에서는 평직라벨을 제조할 수 없고 평직기계에서는 주자직 라벨을 제조할 수 없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평직라벨의 주문량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라벨업체에서는 평직 라벨기의 가동률은 높은 반면에, 고가인 주자직 라벨기는 주문량이 제한되어 있어 종종 가동이 중단됨으로써 전체적인 기계의 가동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업체에 따라서는 그와 반대되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주자직 기계를 이용하여 동일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생산성을 증대시킨 평직 라벨을 생산함으로써 기계의 가동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평직라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주자직 기계를 이용하여 동일 생산량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향상된 고품질의 극세직 라벨을 생산할 수 있는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 라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평직라벨의 제조방법은 주자직 기계에 전원을 공급하고 가동준비를 하는 단계; 사용자가 평직을 선택한 경우에는, 일정수의 경사중에서 하나를 융해사로 준비하는 단계; 이후 경사를 둘로 겹으로 나누고 직조하여 일정폭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융해사가 직조되어 연결된 두겹 평직을 제직하는 단계; 및 이후 융해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겹 평직을 열판을 통과시켜 분리된 2겹 평직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 라벨의 제조방법은 직물사를 가공하여 약 40∼50데니어의 경사 및 위사로 된 라벨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라벨 제직용 조직도(펀칭카드, 문지)를 만드는 단계와, 밀도가 대략 76∼82개의 라벨을 만들기 위해 89∼94개의 고밀도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라벨과 기재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평직라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주자직 라벨기를 이용하여 평직라벨과 극세직 라벨을 제조함으로써, 주자직 기계의 가동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2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였다.

    도 3 은 직조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하여 주자직 기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카드(J/Q)라고 불리는 기계(20)가 있고, 상기 자카드(20)의 하방으로 일정폭(W)의 제품을 직조하게 된다. 상기 자카드(20)의 하방에 다수개의 실이 끼워지는 일종의 스풀(spool)이 있다. 이 스풀을 통해 다수개의 실중에서 특정의 실을 들어올려주어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직조함과 동시에 무늬도 패터닝하게 된다. 상기한 자카드 기계에 대한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중요한 하나의 특징으로서 경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실중에서 하나는 일정온도에서 녹아 없어지는 융해사(30)로 만든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는 라벨을 윗겹과 아랫겹으로 나누어 이중으로 제직함으로써 가동률이 낮은 주자직 기계를 평직 기계로 사용함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켜 가동률을 높이는 방법을 예시함과 동시에,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주자직 기계에서 경사의 굵기를 줄여 단위 셀당 차지하는 경사의 갯수를 2배로 높이고, 위사의 밀도 역시 2배로 높임으로써, 셀의 크기를 약 1/4정도로 줄여 결과적으로 단위 밀도를 증대시킴으로써 기존방법과 동일한 양을 생산하면서도 품질이 뛰어난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먼저, 제 1실시예에서는 경사를 윗겹과 아랫겹으로 나누어 이중으로 제직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때, 통상적인 방법으로 경사를 2겹으로 나누어서 생산하게 되면, 윗겹과 아랫겹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용융되는 융해사(30)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특정 온도(가령, 80℃)에서 용융되는 융해사(30)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라벨의 생산과정에서는 이러한 융해사(30)를 일정 간격, 약 33㎜으로 삽입하여 윗겹과 아랫겹을 부착시켜 라벨 제직작업을 실시한다.

    제조 후에는 라벨을 윗겹과 아랫겹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융해사(30)를 용융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주자직 기계의 하단에 열판(후술하는 도 6b에서의 R2참조)을 장착한 다음, 제직된 라벨을 상기 열판에 통과시켜 용해사(30)를 용해시킨다. 이때, 열판의 온도는 대략 100℃정도로 유지되므로, 80℃에서 용융되는 용해사가 녹으면서 윗겹과 아랫겹이 분리되어 2겹의 평직라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라벨기계(통상적으로 신직기)에서는 제직 부위에 열칼을 사용하여 원하는 폭만큼 재단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윗겹과 아랫겹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칼(일반적으로 컷팅칼)을 이용하여 만든 재단칼을 사용하고 초음파 컷팅기를 이용하여 별도로 폭을 나눈다.

    이와 같이, 주자직 기계를 이용하여 경사를 둘로 나누어 이중으로 제직하되, 윗겹과 아랫겹이 분리되어 서로 다른 밀도가 이루어지므로 제직이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는 융해사(30)를 넣어 위, 아래를 붙여 제직한 다음, 완성된 라벨을 다리미 형태의 열판을 통과시킴으로써 용해사가 용융되도록 한다. 그로 인해 윗겹과 아랫겹이 분리되면서 2개의 평직 라벨이 얻어지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라벨의 밀도를 증대시켜 동일한 양을 생산하면서도 보다 우수한 품질의 라벨을 제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자직 기계에서 경사의 굵기를 줄여 평직 기계에서의 경사의 갯수를 2배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위사의 밀도 역시 종래에 비해 거의 2배에 가까운 76∼82개의 밀도로 제직함으로써, 보다 섬세하고 정교한 라벨의 제직을 가능케 하였다.

    즉, 종래의 라벨에 비하여 밀도가 조밀하고 질감 및 미감이 우수한 고밀도의 라벨 제조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라벨원사의 굵기를 종래에 비해 약 1/2로 하고 위사의 밀도를 약 2배로 높여 제직하였다.

    통상, 평직기계에서 라벨을 제직하는 경우, 경사의 굵기는 100데니어(dennier)이며, 주자직 기계에서 라벨을 제직하는 경우에는 70∼100데니어를 사용하는 한편, 조직의 밀도는 평직의 경우, 27∼28, 주자직의 경우 30∼31개, 이중직인 경우 46∼54개의 기어로 제직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위사의 밀도를 2배로 높이기 위하여 40∼50데니어의 원사를 사용하고, 밀도기어를 고밀도 기어(한국기계기준 89∼94개)를 사용하여 라벨의 밀도는 1㎤당 76∼82개의 밀도를 넣음으로써 위사의 밀도 역시 종래의 2배로 높아지게 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섬세하게 정교한 평직라벨이 제직된다.

    도 8 은 일반적인 주자직 기계에 의해 제직된 주자직 라벨,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해 주자직 기계에서 제직된 극세직 라벨, 도 10 은 일반적인 평직기계에 의해 제직된 평직라벨,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주자직 기계에서 제직된 평직라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제품을 대비하여 보면 품질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고밀도 평직라벨을 제직하는 경우에는 먼저, 위사, 경사를 가공하여 약 40∼50데니어의 라벨원사로 라벨원단을 직조함과 동시에, 라벨 제직용 조직도(펀칭카드, 문지)를 만든 다음, 라벨의 상부에는 기재를 배치한다. 이때, 라벨원단 상에는 기재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돌출된다.

    다음에, 라벨원단과 기재는 서로 밀도 76∼82개인 고밀도 라벨기어를 이용하여 재직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감이나 미감면에서 우수한 고품질의 라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극세직 및 평직 라벨 제조방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주자직 기계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자직을 위한 많은 수의 경사를 절반으로 나누어 이중으로 직조를 실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자직 기계를 이용하여 만약 평직라벨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단 주자직 기계에서 경사를 둘로 나누는 작업부터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카드 기계를 운전하면 결국 둘로 나누어진 부분중 한 부분은 윗겹이 되고 나머지는 아랫겹이 되어 두겹의 평직라벨이 제조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된 두겹의 평직라벨은 직조 과정에서 윗겹(A)과 아래겹(B)이 서로 붙어있는 상태가 된다. 즉 일정폭(W)의 평직 라벨은 일정 간격을 융해사(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로는 완전한 2겹의 평직라벨을 완성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도 6b에서와 같이 롤러(R1)를 통해 두겹의 평직을 끌어당겨 열판(R2)(일종의 롤러 형태로서 그 내부에서 열을 롤러 표면에 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을 통과시키면 이 과정에서 상기 융해사(30)가 녹아 없어지게 되므로 결국 최종 롤러(R3)에는 두겹의 평직만이 감겨진다(도 6c).

    한편,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자직 기계를 이용한 평직라벨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주자직 기계에 전원을 공급하고 가동준비를 한다(S1). 이후 사용자가 주자직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 만약 주자직을 선택한 경우에는 1겹 주자직을 제조하게 된다(S5).

    한편, 상기 단계 S3에서, 사용자가 주자직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평직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 이때 만약 사용자가 평직을 선택한 경우에는, 일정수의 경사중에서 하나를 융해사(30)로 준비한다(S12). 이후 경사를 둘로 겹으로 나누는 과정을 수행하고(S14). 이하 제직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제직과정을 통해 일정간격 융해사(30)가 직조된 두겹 평직(A,B)이 제직된다(S18). 이후 제직되고 융해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겹 평직이 열판(R2)(일종의 롤러로서 그 내부에서 일정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을 통과하게 되고(S18), 계속 진행하여 분리된 2겹 평직이 생산된다(S20).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자직 기계를 이용하여 평직라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경사를 이중으로 하여 두겹으로 만든 다음, 융해사를 사용하여 상부조직과 하부조직을 부착시켜 제직하고, 라벨의 생산 후에는 열판을 이용하여 융해사를 용융 분해시키는 방식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단일겹에 의한 라벨제조에 비해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주자직 기계를 평직 라벨제조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가동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의 수와 위사의 밀도를 2배 정도로 하여 제직하는 빙식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생산량은 동일하지만 고품질의 극세직 라벨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직라벨을 이용하는 경우에 주자직 기계의 가동률을 높여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평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주자직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일반적인 주자직 기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카드기계 및 경사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서의 특징인 융해사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경사의 개수를 절반으로 나누어 두 겹의 평직을 제직하기 위한 경사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자직 기계를 이용하여 제직된 2겹의 평직이 서로 융해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자직 기계에서 각각의 롤러에 감겨 이송되는 2겹 평직을 나타낸 도면,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자직 기계에서 최종적으로 감김롤러에 감겨진 상태의 분리된 2겹 평직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자직 기계에서의 주자직과 2겹 평직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은 일반적인 주자직 기계에 의해 제직된 주자직 라벨의 평면사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해 주자직 기계에서 제직된 극세직 라벨의 평면사진,

    도 10 은 일반적인 평직기계에 의해 제직된 평직라벨의 평면사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해 주자직 기계에서 제직된 평직라벨의 평면사진이다.

    *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2: 열판(롤러), 20: 자카드 기계,

    30: 융해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