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ARATUS FOR MAKING CREASES OF TUBE FABRIC IN RIBBON LOOM

申请号 KR20060003415 申请日 2006-01-12 公开(公告)号 KR100722224B1 公开(公告)日 2007-05-21
申请人 KIM JUNG SOK; 发明人 KIM JUNG SOK;
摘要 본 발명은 고공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튜브직물에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제직할 수 있도록 한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폭직물(2)과 튜브직물(3) 및 탄성사(4)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를 제직하도록 구성된 세폭직기(10)에 있어서, 상기 세폭직기(10)의 제직부 전방 양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프레임(11)에 고정되는 베어링박스(20); 상기 베어링박스(20)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구동축(30); 상기 구동축(3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프레임(11)에 고정되는 하부롤러바(40); 상기 하부롤러바(40)에 축(50a)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롤러바(50); 상기 상,하부롤러바(50)(4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침 순간 경사(5)를 당겨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하는 상,하부당김롤러(60)(70); 상기 구동축(30)에 연결되어 상,하부당김롤러(60)(70)를 구동시키는 모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폭직기,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权利要求
  • 세폭직물(2)과 튜브직물(3) 및 탄성사(4)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를 제직하도록 구성된 세폭직기(10)에 있어서, 상기 세폭직기(10)의 제직부 전방 양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프레임(11)에 고정되는 베어링박스(20); 상기 베어링박스(20)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구동축(30); 상기 구동축(3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프레임(11)에 고정되는 하부롤러바(40); 상기 하부롤러바(40)에 축(50a)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롤러바(50); 상기 상,하부롤러바(50)(4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침 순간 경사(5)를 당겨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하는 상,하부당김롤러(60)(70); 상기 구동축(30)에 연결되어 상,하부당김롤러(60)(70)를 구동시키는 모터(80)를 포함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0)과 모터(80)에는 타이밍벨트(T1)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31)(8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0)과 상부롤러바(50)에는 타이밍벨트(T2)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32)(51)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롤러바(50)(40)에는 서로 치합되는 기어(52)(4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롤러바(50)와 상부당김롤러(60)에는 타이밍벨트(T3)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53)(61)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롤러바(40)와 하부당김롤러(70)에는 타이밍벨트(T4)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43)(7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바(50)에는 텐션조절볼트(90)가 관통하는 볼트공(50b)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롤러바(40)에는 텐션조절볼트(90)가 체결되는 암나사(40b)가 형성되며, 상기 텐션조절볼트(90)에는 스프링(91)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바(50)의 상부에는 베어링홀더(54)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홀더(54)에는 상부당김롤러(5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롤러베어링(55)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당김롤러(60)(70)의 외주면에는 경사(5)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널링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80)는 속도조절이 가능한 인버터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폭직기(10)의 바디크랭크(12)에는 개구 시 경사(5)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바디침 시 경사(5)의 텐션을 느슨하게 하는 텐션조절부재(1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부재(100)는 바디크랭크(12)에 연결되어 전후로 왕복수평 운동하는 제1레버(110)와, 상기 제1레버(110)에 링크(120)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레버(130)와, 상기 제2레버(130)에 연결되어 전후로 왕복회전 운동하는 작동로드(140)와, 상기 작동로드(140)에 고정되어 경사(5)의 텐션을 조절하는 한쌍의 조절봉(1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 说明书全文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apparatus for making creases of tube fabric in ribbon loom}

    도 1은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a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가 늘어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가 늘어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7a,7b,7c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당김롤러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부재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안전벨트 2 : 세폭직물

    3 : 튜브직물 4 : 탄성사

    5 : 경사 10 : 세폭직기

    11 : 프레임 12 : 바디크랭크

    20 : 베어링박스 30 : 구동축

    31,32 : 타이밍기어 40 : 하부롤러바

    40b : 암나사 42 : 기어

    43 : 타임기어 50 : 상부롤러바

    50a : 축 50b : 볼트공

    51,53 : 타이밍기어 52 : 기어

    54 : 베어링홀더 55 : 롤러베어링

    60 : 상부당김롤러 61 : 타이밍기어

    70 : 하부당김롤러 71 : 타이밍기어

    80 : 모터 81 : 타이밍기어

    90 : 텐션조절볼트 91 : 스프링

    100 : 텐션조절부재 110 : 제1레버

    120 : 링크 130 : 제2레버

    140 : 작동로드 150 : 조절봉

    T1,T2,T3,T4 : 타이밍벨트

    본 발명은 폭이 좁은 세폭직물을 제직하는 세폭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 하게는 고공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튜브직물에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제직할 수 있도록 한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폭직기로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는 고층건물 또는 고가시설을 축조하거나 시공하는 등의 고소작업중 부주의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사고시 충격력을 흡수,완화시켜 작업자의 허리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는 도 1과 도 2a,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간격을 두고 평직으로 엮어져 제직되는 세폭직물(2)과, 상기 세폭직물(2)들 사이에 적정간격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이 빈 상태로 제직되는 튜브직물(3)과, 상기 튜브직물(3)에 내장되는 탄성사(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의 세폭직물(2)과 튜브직물(3)은 적정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되도록 제직되고, 상기 튜브직물(3)에는 탄력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주름이 형성되며, 평상 시 튜브직물(3)은 도 1과 도 2a에서와 같이 주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의 일측 세폭직물(2)은 작업현장의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측 세폭직물(2)은 작업자의 허리벨트 등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소작업중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따른 충격력에 의해 튜브직물(3)과 탄성사(4)가 도 2b에서와 같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면서 추락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므로 추락상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세폭직기는 구조적으로 제직 시 경사의 텐션이 일정하게 유지 되었기 때문에,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의 제직 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고공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무사가 내장된 튜브직물로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튜브직물에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제직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튜브직물에 주름을 한층 더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 개구운동 시에는 경사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바디침운동 시에는 경사의 텐션을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폭직물과 튜브직물 및 탄성사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직하도록 구성된 세폭직기에 있어서, 상기 세폭직기의 제직부 전방 양측 상부에 베어링박스를 각각 배치하여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양측 베어링박스에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축설하며,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롤러바를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하부롤러바에 상부롤러바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상,하부롤러바에 바디침 순간 경사를 당겨서 튜브직물에 주름을 형성하는 상,하부당김롤러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구동축에 상,하부당김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연결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본 발명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는 도 1 내지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폭직물(2)과 튜브직물(3) 및 탄성사(4)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를 제직하도록 구성된 세폭직기(10)에 있어서, 상기 세폭직기(10)의 제직부 전방 양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프레임(11)에 고정되는 베어링박스(20); 상기 양측 베어링박스(20)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구동축(30); 상기 구동축(3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프레임(11)에 고정되는 하부롤러바(40); 상기 하부롤러바(40)에 축(50a)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롤러바(50); 상기 상,하부롤러바(50)(4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침 순간 경사(5)를 당겨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하는 상,하부당김롤러(60)(70); 상기 구동축(30)에 연결되어 상,하부당김롤러(60)(70)를 구동시키는 모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폭직기(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벨트,신발끈,가방끈,묶음끈,층격흡수용 안전벨트(1) 등과 같이 폭이 좁은 직물을 제직하는 것으로, 이러한 세폭직기는 경사(5)를 직물의 조직에 따라 상하 2구분하고 정지상태 후 폐구하는 연속적인 개구운동과, 캠에 의해 형성된 개구안으로 위사를 넣는 위입운동과, 개구안에 위입운동의 결과로 유입된 씨실을 제직선까지 밀어서 경사(5)와 위사의 조직을 완성시키는 바디침운동과, 개구,위입,바디침운동의 결과로 이루어진 직물을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제직선을 일정한 위치가 되도록 유지시켜주는 동시에 직기의 회전에 따른 권취량에 위사밀도를 결정하고 균일한 위사밀도를 유지하게 하는 권취운동과, 제직 시 경사(5)를 송출하는 송출운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폭직기(10)에는 프레임(11)과 바디크랭크(12)가 구비된다.

    즉, 세폭직기(10)는 경사(5)를 개구시키는 종광과, 개구된 경사(5)속으로 위사를 공급하는 캐리어와, 캐리어를 통해 공급되는 위사를 받아 제직하는 니들과, 위입된 위사를 직전까지 밀어주는 바디(13)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박스(20)는 도 1에서와 같이 세폭직기(10)의 제직부 전방 양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베어링박스(20)는 세폭직기(10)의 프레임(11)에 볼트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양측 베어링박스(20)는 구동축(3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구동축(30)은 양측 베어링박스(20)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상,하부당김롤러(60)(7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축(30)에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타이밍기어(31)(32)가 각각 축설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기어(31)(32)에는 타이밍벨트(T1)(T2)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하부롤러바(40)는 프레임(11)에 볼트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동축(30)과 하부당김롤러(7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롤러바(40)의 중앙부에는 축(40a)이 구비되고, 하부롤러바(40)의 후방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텐션조절볼트(90)가 체결되는 암나사(40b)가 형성되며, 하부롤러바(40)의 전방에는 구동축(30)에 끼워지는 지지부(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롤러바(40)의 축(40a)에는 기어(42)와 타이밍기어(43)가 축설되고, 상기 타이밍기어(43)에는 타이밍벨트(T4)가 연결된다.

    상기 상부롤러바(50)는 하부롤러바(40)에 축(50a)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당김롤러(6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롤러바(50)의 후방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텐션조절볼트(90)가 관통하는 볼트공(50b)이 천공되고, 상기 상부롤러바(50)의 축(50a)에는 타이밍기어(51)(53)와 기어(52)가 각각 축설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기어(51)(53)에는 타이밍벨트(T2)(T3)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기어(52)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하부롤러바(40)의 기어(42)가 치합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바(50)의 전방이 하부롤러바(4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축(50a)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 6에서와 같이 상부롤러바(50)는 축(50a)을 중심으로 그 후방부가 상부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당김롤러(60)와 하부당김롤러(70)는 상,하부롤러바(50)(40)의 후방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침 순간 경사(5)를 강제로 당겨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하부당김롤러(60)(70)의 외주면에는 경사(5)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널링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당김롤러(60)(70)에는 타이밍기어(61)(71)가 각각 축설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기어(61)(71)에는 타이밍벨트(T3)(T4)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상부당김롤러(60)와 하부당김롤러(70)는 도 7c에서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하부당김롤러(60)(70)는 튜브직물(3)의 제직 시 바디침 순간에만 경사(5)를 강제로 당겨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이격된다. 이때, 상기 세폭직물(2)의 두께는 튜브직물(3)의 두께보다 약간 얇기 때문에, 즉 상,하부당김롤러(60)(70)의 간극이 세폭직물(2)의 두께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세폭직물(2)의 제직 시에는 상,하부당김롤러(60)(70)가 경사(5)를 당기지 않으며, 또한 상기 상,하부당김롤러(60)(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직물(3)의 제직 시 바디침운동 순간에만 경사(5)를 강제로 당겨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하고 개구운동 또는 위입운동 시에는 경사(5)를 당기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바(50)에는 텐션조절볼트(90)가 관통하는 볼트공(50b)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롤러바(40)에는 텐션조절볼트(90)가 체결되는 암나사(40b)가 형성되며, 상기 텐션조절볼트(90)에는 스프링(91)이 장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텐션조절볼트(90)로 상부당김롤러(60)와 하부당김롤러(70)의 간극과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터(80)는 구동축(30)에 연결되어 상,하부당김롤러(60)(7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8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타이밍기어(81)가 축설된다. 이때, 상기 모터(80)는 속도조절이 가능한 인버터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이밍기어(81)에는 타이밍벨트(T1)가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30)과 모터(80)에는 타이밍벨트(T1)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31)(8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0)과 상부롤러바(50)에는 타이밍벨트(T2)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32)(51)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롤러바(50)(40)에는 서로 치합되는 기어(52)(4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롤러바(50)와 상부당김롤러(60)에는 타이밍벨트(T3)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53)(61)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롤러바(40)와 하부당김롤러(70)에는 타이밍벨트 (T4)로 연결되는 타이밍기어(43)(71)가 구비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터(80)를 구동시키면 상,하부당김롤러(60)(70)가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또한 모터(80)는 속도조절이 가능한 인버터모터로 이루어지므로 상,하부당김롤러(60)(70)의 구동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바(50)의 상부에는 베어링홀더(54)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홀더(54)에는 상부당김롤러(5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롤러베어링(55)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롤러베어링(55)은 상부당김롤러(50)와 소정간극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롤러베어링(55)은 상부당김롤러(60)가 상부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과 도 4a,4b에서와 같이, 상기 세폭직기(10)의 바디크랭크(12)에는 개구운동 시에는 경사(5)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바디침운동 시에는 경사(5)의 텐션을 느슨하게 제어하는 텐션조절부재(1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재(100)는 바디크랭크(12)에 연결되어 전후로 왕복수평 운동하는 제1레버(110)와, 상기 제1레버(110)에 링크(120)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레버(130)와, 상기 제2레버(130)에 연결되어 전후로 왕복회전 운동하는 작동로드(140)와, 상기 작동로드(140)에 고정되어 경사(5)의 텐션을 조절하는 한쌍의 조절봉(1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폭직기(10)의 바디크랭크(12)는 주지된 바와 같이 바디(13)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바디크랭크(12)는 전후로 왕복운동을 수행하고, 바 디크랭크(12)에는 제1레버(130)의 선단부가 베어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바디(13)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제직 시 개구내에 위입된 위사를 직전까지 밀어 넣어주는 것으로, 이러한 바디(13)는 전후로 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바디침운동을 하도록 연속반복 작동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100)의 제1레버(110)는 바디크랭크(12)에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전후로 왕복수평 운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레버(110)의 선단부는 바디크랭크(120)에 베어링으로 연결되고, 제1레버(110)의 후단부는 링크(120)의 하부에 축으로 연결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100)의 링크(120)는 제1레버(110)와 제2레버(130)를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링크(120)의 중앙부는 프레임(11)에 축으로 연결되고, 링크(120)의 하부에는 제1레버(110)의 후단부가 축으로 연결되고, 링크(120)의 상부에는 제2레버(130)의 선단부가 축으로 연결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100)의 제2레버(130)는 제1레버(110)에 링크(120)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레버(130)의 선단부는 링크(120)의 상부에 축으로 연결되고, 제2레버(130)의 후단부에는 작동로드(140)의 선단부가 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레버(130)는 제1레버(110)와 연동하여 전후로 왕복수평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100)의 작동로드(140)는 제2레버(130)에 연결되어 전후로 왕복회전 운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로드(140)의 중앙부는 프레임(11)에 축으로 연결되고, 작동로드(140)의 선단부는 제2레버(130)의 후단부에 축으로 연결되고, 작동로드(140)의 상측에는 한쌍의 조절봉(150)이 이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한쌍의 조절봉(150)은 작동로드(140)에 고정되어 경사(5)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텐션조절부재(100)의 조절봉(150)은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한쌍의 조절봉(150) 사이로 경사(50)가 배치된다. 이때, 개구운동 시에는 도 8b,9b에서와 같이 한쌍의 조절봉(150)이 경사(5)를 누르기 때문에 경사(5)의 텐션은 팽팽하게 유지되고, 한편 바디침운동 시에는 도 8a,9a에서와 같이 한쌍의 조절봉(150)이 경사(5)를 누르지 않기 때문에 경사(5)의 텐션은 느슨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텐션조절부재(100)에 의해 바디침 시 경사(5)의 텐션이 느슨해지므로, 이때 상기 상,하부당김롤러(60)(70)가 느슨해진 경사(5)를 강제로 용이하게 당길 수 있으므로 튜브직물(3)에 주름을 한층 더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세폭직기(10)로 세폭직물(2)과 튜브직물(3) 및 탄성사(4)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를 제직함에 있어서, 즉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의 제직 시 모터(80)를 구동시키면 타이밍기어(81)-타이밍벨트(T1)-타이밍기어(31)를 통해 구동축(30)이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구동축(30)이 구동하면 타이밍기어(32)-타이밍벨트(T2)-타이밍기어(51)를 통해 기어(52)와 타이밍기어(53)가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그리고 기어(52)가 구동하면 이에 치합 된 기어(42)가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기어(42)가 구동하면 타이밍기어(43)가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이밍기어(53)가 구동하면 타이밍벨트(T3)-타이밍기어(61)를 통해 상부당김롤러(60)가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또한 타이밍기어(43)가 구동하면 타이밍벨트(T4)-타이밍기어(71)를 통해 하부당김롤러(70)가 연동하여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이때 동시에 구동하는 상부당김롤러(60)와 하부당김롤러(70)는 바디침 순간에만 경사(5)를 강제로 당기도록 적정간극을 두고 이격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상,하부당김롤러(60)(70)는 동시에 구동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직물(3)의 제직 시 바디침운동 순간에만 경사(5)를 강제로 당겨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당김롤러(60)(70)의 간극은 세폭직물(2)의 두께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세폭직물(2)의 제직 시에는 경사(5)를 당기지 않고, 또한 상,하부당김롤러(60)(70)는 개구운동 또는 위입운동 시에는 경사(5)를 당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직물(3)의 제직 시 바디침운동 순간에만 상,하부당김롤러(60)(70)가 경사(5)를 강제로 당겨 튜브직물(3)에 주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특히 고공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의 튜브직물(3)에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제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폭직기(10)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를 제직함에 있어서는, 제직 시 구동하는 바디크랭크(12)에 연결된 텐션조절부재(100)가 작동하면서 개구운동 시에는 경사(5)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바디침운동 시에는 경사(5)의 텐션을 느슨하게 제어하게 된다.

    즉, 제직 시 바디크랭크(12)에 베어링으로 연결된 텐션조절부재(100)의 제1레버(110)가 연동하여 전후로 왕복수평 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레버(110)에 링크(120)로 연결된 제2레버(130)가 연동하여 전후로 왕복 수평 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레버(130)에 연결된 작동로드(140)가 전후로 왕복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작동로드(140)에 고정된 한쌍의 조절봉(150)이 전후로 왕복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개구운동 시에는 도 8b,9b에서와 같이 한쌍의 조절봉(150)이 경사(5)를 누르기 때문에 경사(5)의 텐션은 팽팽하게 유지되고, 한편 바디침운동 시에는 도 8a,9a에서와 같이 한쌍의 조절봉(150)이 경사(5)를 누르지 않기 때문에 경사(5)의 텐션은 느슨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조절부재(100)에 의해 바디침 시 경사(5)의 텐션이 느슨해지므로, 이때 상기 상,하부당김롤러(60)(70)가 느슨해진 경사(5)를 강제로 용이하게 당길 수 있으므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1)의 튜브직물(3)에 주름을 한층 더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는 고공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직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튜브직물에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제직할 수 있으며, 또한 개구운동 시에는 경사의 텐션이 팽팽하게 유지되고 바디침운동 시에는 경사의 텐션이 느슨하게 조절되므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튜브직물에 주름을 한층 더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