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纺织;造纸 / 织造 / 机织织物;织造方法;织机 / 以外形分类的机织织物 /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申请号 KR1020100101444 申请日 2010-10-18 公开(公告)号 KR101055647B1 公开(公告)日 2011-08-10
申请人 (주)비젼텍스타일; 发明人 김동숙; 이수길;
摘要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ven fabric is provided to prevent twisting of a fabric and to express various patterns. CONSTITUTION: A method for fabricating a woven fabric comprises: a step of crossing and weaving an upper warp(11) and an upper weft to prepare an upper surface; a step of crossing and weaving a lower warp(21) and a lower weft(22) to prepare a lower surface; a step of crossing warp and the lower weft and crossing the lower warp and the upper weft to prepare a girth; and a step of crossing the upper weft(12) and the lower warp, and the lower weft and the upper warp to prepare a pattern side.
权利要求
  • 삭제
  •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로 구성되는 직물로 이루어진 바탕면을 갖되, 무늬는 한겹으로 형성되는 겹조직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겹조직부(30)는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의 상호교차 및 하부 직물(20)의 하부경사(21)와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의 상호 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테두리(31)와;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경사(21)의 상호교차 및,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가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의 상호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무늬면(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
  • 삭제
  • 상부 경사(11)와 상부 위사(11)를 교차시켜 상부 바탕면(10a)을 제직하고, 하부 경사(21)와 하부 위사(22)를 교차시켜 하부 바탕면(20a)을 제직하는 단계와;
    상부 바탕면(10a)과 하부 바탕면(20a)이 한 겹으로 제직되도록,
    상부 경사(11)를 하부위사(22)와 교차시키고, 하부 경사(21)를 상부 위사(12)와 교차시켜 테두리(31)를 제직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위사(12)를 하부 경사(21)와 교차시키고, 하부 위사(22)를 상부 경사(11)와 교차시켜 무늬면(32)을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무늬를 형성하는 겹조직부(30)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0)에 황토분말, 숯분말, 또는 은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성 물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The manufacturing method of textile and the textile}

    본 발명은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겹으로 제직되는 직물지의 제조시 별도의 자수 공정 없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직물지의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지는 자수사를 이용하여 자수무늬를 형성하거나, 날염 또는 직물지나 장식재를 부착함으로써 무늬를 형성하여 직물지의 장식효과를 증대시킨 뒤, 옷감이나, 침구류, 커튼 등의 원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직물지는 용도에 따라 홑겹으로 된 단일 직물이나 두장의 원단을 붙여 연결시켜 놓은 듯한, 이중직 또는 삼중직 등 다양한 형태의 원단도 선보이고 있다.

    한편, 침구류나 커튼 등은 두 장의 원단으로 구성되되, 앞면과 뒷면 모두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두 종류의 직물을 맞대어 연결시켜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연결을 위해 재봉을할 때 두 종류의 직물을 겹쳐놓은 상태에서 자수를 놓아 무늬 등을 형성하여 장식효과를 향상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두 종류의 직물에 자수무늬를 형성하는 것은 직물의 제직후 별도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제조시간이 증대되며, 두 종류의 직물을 맞대어 형성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직물이 틀어지는 경우 직물이 구겨지고 자수무늬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수무늬가 형성된 두 겹의 직물지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수 형성시 직물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려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늬가 테두리와 무늬면으로 구성되어 보다 다양한 형태로의 무늬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효과를 갖는 직물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직물 및 하부직물로 구성되는 직물로 이루어진 바탕면을 갖되, 무늬는 한겹으로 형성되는 겹조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겹조직부는 상부 직물의 상부경사와 하부 직물의 하부위사의 상호교차 및 하부직물의 하부경사와 상부 직물의 상부 위사의 상호 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테두리와;

    상부직물의 상부위사와 하부직물의 하부경사의 상호교차 및, 하부직물의 하부위사가 상부직물의 상부 경사의 상호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무늬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경사와 상부위사를 교차시켜 상부 바탕면을 제직하고, 하부경사와 하부위사를 교차시켜 하부 바탕면을 제직하는 단계와;

    상부 바탕면과 하부 바탕면을 한 겹으로 제직되도록 상부경사 또는 상부위사를 하부위사 또는 하부경사와 교차시켜 무늬를 형성하는 겹조직부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겹조직부의 무늬는 제직하는 단계는 상부경사를 하부위사와 교차시키고, 하부경사를 상부위사와 교차시켜 테두리를 제직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위사를 하부경사와 교차시키고, 하부위사를 상부경사와 교차시켜 무늬면을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겹조직부와 겹조직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황토분말, 숯분말, 또는 은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성 물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직물지는 직물지의 제직과 동시에 무늬가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자수공정없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고, 종래 두 겹의 직물이 겹쳐진 상태에서 자수무늬를 형성함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으며, 경사 및 위사의 종류 및 색상의 선정만으로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겹조직부를 통해 무늬를 형성하므로 직물지의 앞면과 뒷면에 모두 무늬 패턴이 형성될 수 있어 커튼이나, 이불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겹조직부가 각각의 경사 및 위사의 교차 위치 변경만으로 테두리와 무늬면으로 구성되어 입체적이면서도 보다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항균성 물질로 인하여 직물지를 통해 제조된 제품의 항균기능이 발산되어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상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
    도 2는 도 1의 직물지의 하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
    도 3은 도 1의 직물지의 측면을 보인 사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
    도 5는 도 1의 직물지의 겹조직부에서 테두리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직물내의 겹조직부에서 무늬면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상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직물지의 하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이며, 도 3은 도 1의 직물지의 측면을 보인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직물지의 겹조직부에서 테두리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는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로 구성되는 직물로 이루어진 바탕면(10a)(20a)을 갖되, 무늬는 한겹으로 형성되는 겹조직부(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탕면(10a)(20a)은 전체 직물지의 배경이 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은 각각 별도로 직조되어 서로 분리된 상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직물(10)의 상부 바탕면(10a)은 상부 경사(11) 및 상부 위사(12)의 상호 교차를 통해 제직되며, 상기 하부 직물(20)의 하부 바탕면(20a)은 하부 경사(21) 및 하부 위사(22)의 상호 교차를 통해 제직되는 것으로 별도의 경사 및 위사에 의해 각각 제직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은 각각을 이루고 있는 위사 또는 경사의 색상에 따라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이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겹조직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겹의 직물을 이루는 각각의 상,하부 경사 또는 상,하부의 위사가 서로 바뀌어 교차되어 한 겹의 직물로서 제직되어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모양이 형성될 수 도 있고, 이 밖에도 나타내고자 하는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겹조직부(30)는 테두리(31)와 무늬면(32)이 서로다른 방법으로 경사 또는 위사가 바뀌어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31)는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의 상호교차되어 제직되는 동시에 하부 직물(20)의 하부 경사(21)는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의 상호교차로 제직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직물내의 겹조직부에서 무늬면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늬면(32)은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경사(21)의 상호 교차로 제직되고, 동시에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가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의 상호 교차로 제직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을 이루는 각각의 위사 또는 경사가 서로 바뀌어 직물의 제직이 이루어짐에 따라 무늬 부분이 한 겹으로 형성된 겹조직부(30)로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을 이루는 각각의 경사 또는 위사를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직물지는 겹조직부(30)는 한겹으로 형성되고,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는 공간부(4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는 위사 또는 경사의 교차로 인해 상부 직물(10)의 외면과 하부 직물(20)의 외면 모두에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앞, 뒤의 구분없이 사용할 수 도 있고, 이에 따라 커튼이나 이불 등으로 제작하여 이용하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겹조직부(30)를 갖는 직물지는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0)에 항균성 물질이 더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균성 물질로는 황토분말이나 숯분말, 또는 은 나노 입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항균성 물질이 충진된 본 발명의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는 미려함은 물론 항균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인체에 이로운 영향을 준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먼저,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의 제직을 통해 상부 바탕면(10a) 및 하부 바탕면(20a)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 바탕면(10a)과 하부 바탕면(20a)은 각각 별도의 경사 및 위사로 제직되는 것으로, 상부 경사(11)와 상부 위사(12)를 서로 교차시켜 상부 바탕면(10a)을 제직하고, 하부 경사(21)와 하부 위사(22)를 서로 교차시켜 하부 바탕면(20a)을 제직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 바탕면(10a) 및 하부 바탕면(20a)을 형성하다가 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바탕면(10a)과 하부 바탕면(20a)이 한 겹으로 제직되도록 상부 경사(11) 또는 상부 위사(12)를 각각 하부 위사(22) 또는 하부 경사(21)와 교차시켜 무늬를 형성하는 겹조직부(30)를 제직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겹조직부(30)를 형성하면 상부 바탕면(10a)의 상부 경사(11) 또는 상부 위사(12)가 하부 바탕면(20a)의 하부 위사(22) 또는 하부 경사(21)와 교차 결합되어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이 연결되기 때문에 겹조직부가 한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경사 또는 위사의 위치 변경 및 색상차이를 통해 무늬가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직도되는 과정에서 바로 무늬가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두겹의 직물을 겹쳐놓은 상태에서 별도의 자수처리를 함에 따라 직물이 틀어지고, 그로 인해 자수무늬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겹조직부(30)의 무늬가 테두리(31)와 무늬면(32)으로 형성되되, 테두리(31)와 무늬면(32)이 입체적인 형태를 갖도록 하여 보다 미려한 무늬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겹조직부(30)의 무늬를 제직하는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사(11)를 하부 위사(22)와 교차시키고, 하부 경사(21)를 상부 위사(12)와 교차시켜 테두리(31)를 제직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와 같이 상부 바탕면(10a)의 상부 경사(11)와 하부 바탕면의 하부 경사(21)가 교차되는 위치를 바뀐상태로 제직하게 되면,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이 서로 연결되어 한 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테두리(31)의 제직이 이루어지면, 하부 바탕면(20a)을 이루는 하부 경사(21)와 상부 바탕면(10a)을 이루는 상부 위사(12)에 따라 테두리(31)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테두리(31)의 색상차이를 통해 테두리의 표현이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경사(21)를 상부 위사(12)와 교차시키면, 상부 바탕면(10a)의 외면측으로 하부 경사(21)가 돌출되게 제직될 수 있고, 하부 위사(22)와 상부 경사(11)의 교차시에도 상부 경사(11)가 상부 바탕면(10a) 측으로 돌출되게 제직될 수 있어 입체감이 있는 테두리(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위사(12)를 하부 경사(21)와 교차시키고, 하부 위사(22)를 상부 경사(11)와 교차시키는 무늬면(32)을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무늬면(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늬면(32)은 테두리(31)의 내부를 채우는 부분으로, 무늬면(32)의 표면이 상부 경사(11)와 하부 위사(22)의 상호교차에 의해 제직되므로 상기 무늬면(32)의 색상은 상부 경사(11)와 하부 위사(22)의 색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늬면(32)은 테두리(31)와 달리 하부 바탕면(20a)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직물지는 겹조직부의 형성으로 테두리는 다른면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입체적인 형태를 갖음은 물론, 별도의 자수공정 없이도 각각의 원사들의 교차위치 변경을 통하여 직물 제조시 한겹으로 이루어진 무늬가 형성될 수 있어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사의 재질이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무늬면 및 테두리 형성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무늬의 표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지는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 공간부(4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공간부(40)에는 황토분말이나 숯분말 또는 은나노입자 등의 항균 기능성을 갖는 항균성 물질을 충진시켜 항균효과를 갖는 직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항균성 물질이 충진된 직물지로 제조된 베개나 커튼, 이불 등은 항균효과로 인하여 보다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줄 수 있다.

    10: 상부 직물 10a: 상부 바탕면
    11: 상부 경사 12: 상부 위사
    20: 하부 직물 20a: 하부 바탕면
    21: 하부 경사 22: 하부 위사
    30: 겹조직부 31: 테두리
    32: 무늬면 40: 공간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