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형의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

申请号 KR1020040117663 申请日 2004-12-31 公开(公告)号 KR1020060079459A 公开(公告)日 2006-07-06
申请人 동굉산업 주식회사; 发明人 김윤태;
摘要 본 발명은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다양한 무늬 및 그림 등을 나타내고 있는 대형의 무대막을 제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무대막의 수작업시 체계적인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예품으로의 높은 가치를 얻을 수 있는 무대막을 제직할 수 있는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무늬가 포함되는 대형천을 수작업으로 제직하는 무대막 제직기에 있어서,
바닥체에 고정된 제 1 및 2 경사고정대에 경사의 양측단이 고정핀에 의해 각각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경사를 상면으로 밀착 지지하며, 하단에 구성된 이동바퀴를 통해 제 1 및 2 경사고정대의 사이를 이동하며, 일측면에서 상기 경사와 별도의 위사를 이용한 교차작업을 수행하여 제 1 경사고정대에서 시작하여 제 2 경사고정대에 도달함으로써 하나의 제직완성품을 제직하도록 한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제직기, 무대막, 경사, 위사, 삼각작업대
权利要求
  • 무늬가 포함되는 대형천을 수작업으로 제직하는 무대막 제직기에 있어서;
    바닥체에 고정된 제 1 및 2 경사고정대(20,22)에 다수 경사(11)의 양측단이 고정핀(19)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경사(11)를 상면으로 밀착 지지하며 상기 제 1 및 2 경사고정대(20,22)의 사이를 이동하는 삼각작업대(50)을 구성하여, 상기 삼각작업대(50)의 일측면에서 경사(11)와 위사(12)의 교차작업을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수행하여 제 1 경사고정대(20)측에서 시작하여 제 2 경사고정대(22)에 도달함으로써 하나의 제직완성품을 제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작업대(50)는 상측대(51)와 제 1 및 2 하측대(52,53)가 다수의 지지대(54)에 의해 상호 결합 구성되며, 하단에는 이동수단으로 다수의 이동바퀴(58)를 구성하고, 경사(11)와 위사(12)가 교차작업되는 일측면에 위치한 다수의 지지대(54)에 일측이 고정된 외팔대(56)를 구성하며, 상기 외팔대(56)의 타측에 고정된 눌림바(57)가 제 1 하측대(52)의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삼각작업대(50)의 이동에 따른 제직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경사(11) 및 제직완성품(60)이 용이하게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
  • 说明书全文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Stage curtain loom device the way of movabl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제직기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작업대의 요부구성도

    도 3 은 도 1 의 무대막 제직기의 A요소부의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공정상태를 보인 삼각작업대의 단면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경사 (12) : 위사

    (13) : 완성된 무대막 (19) : 고정핀

    (20) : 제 1 경사고정대 (22) : 제 2 경사고정대

    (50) : 삼각작업대 (51) : 상측대

    (52) : 제 1 하측대 (53) : 제 2 하측대

    (54) : 지지대 (56) : 외팔대

    (57) : 눌림바 (58) : 이동바퀴

    (60) : 제직완성품 (A) : 요소부

    (B) : 작업영역

    본 발명은 무대막 제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장 등에서 사용되는 무대막과 같이 전반적인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대형의 천을 제직하기 용이하도록 한 이동식 제직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연장 등의 특정장소에 사용되는 무대막은 경사와 위사를 이루는 실을 교차하여 일체로 된 하나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가 대략 20M 내지 30M 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요즘은 다양한 색상을 갖는 실을 통해 무대막 자체가 무늬나 그림을 포함하고 있어 극장 이미지로써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훌륭한 작품으로의 가치를 높여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무대막은 그 전반적인 작업이 수작업에 의존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이러한 높은 고가의 무대막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무대막을 제직하기 위한 기술력을 갖춘 인력은 물론 수공예의 무대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직하기 위한 제직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대막 제직공정의 체계화를 이루도록 하여 수예품으로의 가치를 높일 수 있게 한 이동식 무대막 제직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늬가 포함되는 대형천을 수작업으로 제직하는 무대막 제직기에 있어서;

    바닥체에 고정된 제 1 및 2 경사고정대에 다수의 경사의 양측단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경사를 상면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 1 및 2 경사고정대의 사이를 이동하며, 일측면에서 경사와 위사의 교차작업을 앉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 삼각작업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삼각작업대는 상측대와 제 1 및 2 하측대가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상호 결합 구성되며, 하단에는 이동수단으로 다수의 이동바퀴를 구성하고, 경사와 위사가 교차작업되는 일측면에 위치한 다수의 지지대에 일측이 고정된 외팔대를 구성하며, 상기 외팔대의 타측에 고정된 눌림바가 제 1 하측대의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삼각작업대의 이동에 따른 제직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경사 및 제직완성품이 용이하게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무대막 제직기의 개략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작업대의 구성도를, 도 3 은 도 1 의 A 요소부의 확대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공정상태를 보인 삼각작업대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무대막을 구성하게 되는 경사(11)를 고정하기 위한 평면의 작업공간에 설치된 제 1 및 2 경사고정대(20,22)를 통해 경사(11)의 양측단부를 고정핀(19)으로 고정하고, 상기 경사(11)와 교차되며 제직되는 위사(12)와 함께 제직작업이 수행되는 삼각작업대(5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2 경사고정대(20,22)의 사이에 위치되는 삼각작업대(50)는 상측대(51)와 제 1 및 2 하측대(52,53)가 다수의 지지대(54)에 의해 상호 결합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삼각작업대(50)는 전방의 지지대(54)에 상측이 고정되며, 하측에는 눌림바(57)를 구성하는 다수의 외팔대(56)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눌림바(57)는 제 1 하측대(52)의 전방에 위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삼각작업대(50)는 제직이 진행됨에 따라 제직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경사고정대(20)측에서 시작되어 제 2 경사고정대(22)측을 향해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으로 하단에 설치 구성되는 이동바퀴(58)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제직공정의 준비단계에서 설치되는 상기 경사(11)는 그 일측이 제 2 경 사고정대(22)에 고정핀(19)에 고정된 후, 상기 삼각작업대(50)의 제 2 하측대(53)의 아래를 통과하여, 상측대(51)의 상면에 지지되어 통과하게 되며, 다시 상기 전방에 위치한 눌림바(57)의 아래를 통과하게 된 후 상기 제 1 경사고정대(20)에 고정핀(19)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삼각작업대(50)의 상측대(51)에 거치되어 지나는 경사(11)가 대략 수직하방되는 전방 일측면을 제직 작업영역(B)로 하며, 작업자에 의해 작업완료된 제직완성품(60)은 상기 삼각작업대(5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눌림바(57)에 걸쳐져 슬라이딩되며 삼각작업대(50)를 지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영역(B)에서 작업자에 의해 일정구간의 제직이 완료된 후, 상기 삼각작업대(50)를 제 2 경사고정대(22)를 향해 일정구간 후퇴시킨 후 다시 새로운 작업영역(B)에 위치되는 경사(11)와 작업자에 의해 별도로 준비되는 위사를 통해 제직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상기 삼각작업대(50)를 일정구간 후퇴시키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대형의 무대막을 제직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무늬 및 그림 등을 나타내고 있는 대형의 무대막을 제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무대막의 특성상 수작업의 체계적인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예품으로의 높은 가치를 얻을 수 있는 무대막을 제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