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들이 구비된 원단{Holes are provided in the fabric}
본 발명은 합성ㆍ면 섬유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수지필름 등 각종 원단에서의 통풍 기능 또는 시각적인 연출을 위한 구멍들이 구비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멍의 둘레 치장과 그 절단면을 보호시킨 구멍들이 구비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의류나 가방 또는 그 이외 신변용품들의 주재료 또는 부재료로 사용되는 합성ㆍ면 섬유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수지필름 등의 각종 원단에서 통풍 기능이나 시각적인 연출을 위해 구비되는 구멍들은 대략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이나 초음파 또는 레이저 등 소정의 가공공정을 통해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소정의 가공공정에 의한 구멍들이 구비된 원단들에서의 연출은 주로 구멍의 형상(원형,삼각형,사각형) 이나 그 구멍들의 배치 또는 배열을 이용한 것으로서, 그 연출 구성이 단조롭고 다채롭지 못하여 제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에서의 가공공정을 통해 원단에 구비되는 구멍에서 그 주연이 가공과정에서 합성 또는 면 섬유직물이나 부직포의 경우 보풀이 일어나고 있고, 또 그 단면에서 직물의 경우 풀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상기 원단들에서 가공된 구멍의 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들쑥날쑥해 외관성이 떨어지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의 절단부분 풀림이나 또는 구멍의 가공면 마무리 처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0-114651호
국내 특허 10-1043221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원단에 통풍 기능 또는 형상이나 배열ㆍ배치를 이용한 시각적인 연출을 위해 구비되는 구멍들 각기의 둘레 상에 부가적으로 반사기능이나 다채로운 색상연출에 의한 장식효과 또는 단면의 풀림방지와 외관성 향상을 위한 작용요소를 덧붙임으로써, 원단의 치장효과를 높이고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멍들이 구비된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ㆍ면 섬유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수지필름 등 각종 원단에서의 통풍 기능 또는 형상이나 배열ㆍ배치로 시각적인 연출을 위한 구멍들이 구비된 원단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원단은 통풍 기능이나 형상 또는 배열ㆍ배치를 이용해 시각적인 연출을 위한 구멍들이 구비되는 의류나 가방 또는 그 이외 신변용품들의 주재료 또는 부재료로 사용되는 원단으로서, 구멍들 각기의 둘레 상에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원단의 장식효과 또는 구멍 내연의 단면 풀림방지와 외관성 향상을 위한 작용요소를 갖추어서, 원단의 치장효과와 구멍의 절단면을 보호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멍들이 구비된 원단에 의하면, 각종 원단에 내부와의 통풍 기능 또는 외향에서의 형상이나 배열ㆍ배치를 이용한 시각적인 연출을 위해 구비되는 구멍들 각기의 둘레 상에 부가적으로 금속과 같은 반사기능이나 또는 필름이나 인쇄방식을 이용해 다채로운 색상연출에 의한 장식효과와, 그리고 구멍 단면의 풀림방지와 외관성 향상을 위한 작용요소를 덧붙임으로써, 원단의 치장효과를 높이고 제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단을 보여 주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확대 단면도. 도 3의 (a)(b)(c)는 본 발명 원단의 제조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원단의 일 실시 예로서, 의류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설명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멍들이 구비된 원단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통풍 기능과 원형ㆍ삼각형ㆍ사각이나 다각형상 또는 배열ㆍ배치를 이용해 시각적인 연출을 위한 구멍들이 구비되는 의류나 가방 또는 그 이외 신변용품들의 주재료 또는 부재료로 사용되는 합성ㆍ면 섬유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수지필름 등으로 이루는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은 상기에서와 같이 원단에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이나 초음파 또는 레이저 등을 이용한 소정의 천공 가공공정을 통해 구비되는 구멍들의 가공 부위 마감 처리와 치장효과를 얻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면에서 10은 원단이다. 이 원단(10)에 다양한 배열과 배치, 그리고 여러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멍들(12)의 둘레 상에 상기에서와 같은 가공부위의 마감처리와 치장효과를 얻게 하는 작용요소(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작용요소(20)는 원단(10)에 구비되는 구멍들(12) 각기의 둘레를 따라 소폭의 띠 형상으로 구비되는 접착층(14)를 이용해 열융착방식으로 구비될 것이다. 또 작용요소(20)는 통상의 수지필름을 이용하거나, 또는 옵세트나 그라비어 인쇄방식을 이용한 인쇄층으로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의 작용요소(20)가 수지필름의 경우는 재귀반사를 수행하거나, 또는 포일과 같은 금속성을 연출할 수 있으며, 인쇄층의 경우에서는 다채로운 색상을 이용한 색감연출로 치장성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멍들(12) 각기의 둘레 상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작용요소(20)는 상기에서와 같은 치장성 이외, 구멍(12)의 둘레를 피복하여 견고하고도 안정되게 보존시키어 구멍(12)내연의 단면 풀림방지와 상기와 같은 천공과정에서의 불규칙한 면처리의 최종 마감처리로 외관성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의 (a)(b(c)는 본 발명 일 실시 예로 작용요소(20)가 수지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에서의 원단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3의 (a)는 원단(10)에 소정의 배열로 구비되는 각기의 구멍(12) 둘레 상면에 접착층(14)이 도포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b)는 접착층(14) 상에 캐리어시트(30)가 이면에 구비되는 본 발명 작용요소(20)의 원단지를 적층시킨 후 가열프레스(40)로 가압시키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c)는 상기에서의 가열프레스(40)의 가압과정 후 작용요소(20) 원단지를 이탈시키어서 원단(10)의 접착층(12) 부분만 전사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원단 12 :구멍 14 :접착제 20 :작용요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