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

申请号 KR2020140009547 申请日 2014-12-24 公开(公告)号 KR2020160002316U 公开(公告)日 2016-07-04
申请人 전일련; 发明人 전일련;
摘要 본고안은홀더지지대의지지력과복원력을상승시킨크래들에관한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크래들의롤러를이용하여보빈을지지하는지지력을상승시키고, 홀더지지대를작동한후, 원위치로의복원력을상승시킨크래들에관한것으로써, 크래들의홀더지지대를작동시킴에있어상기홀더지지대에대한원위치복원력을상승시키고, 원위치로복원된홀더지지대가지지하는보빈에대한지지력을상승시킬수 있도록크래들의회전축부재와홀더지지대를상호연결하며상기홀더지지대를일 측방향으로회전가능토록하는회전축을중심으로회전축부재방향과홀더지지대방향으로일정간격이격된부분에각각의걸림고리를구성한후, 상기회전축부재의걸림고리와홀더지지대의걸림고리를상호연결하는완충부재를연결하여홀더지지대의지지력과복원력을상승시킨크래들을제공함에주안점을두어, 크래들에대한별도의구매와상관없이일반적으로사용되고있는크래들에직접연결또는구성으로사용할수 있고, 종래에사용되고있는크래들의완충에따른구조보다현격히간략한구조로인해구조를간단히하였으며, 구조를간단히하였음에도완충에따른보빈의지지력과작동후 복원되는홀더지지대의복원력을상승시킬수 있도록하여사용자로하여금별도의크래들구매에따른비용부담을최소화시키고, 구조도간단히하여유지비용에대한비용을절감시킬수 있으며, 보빈에대한지지력과홀더지지대에대한복원력을상승시켜제품에대한불량률을최소화시킨홀더지지대의지지력과복원력을상승시킨크래들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판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되 일 측에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회전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에 구성된 고정축과 롤러에 상호 대응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홀더지지대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와 홀더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축이 구성된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성되되, 회전축부재(3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43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300)의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의 걸림고리(430)를 상호 연결하는 완충부재(6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300)의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의 걸림고리(430)는 크래들(100)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축부재(3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커버(340)를 구성하되 상기 회전축부재(30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330)가 커버(340)의 외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홀더지지대(4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커버(440)를 구성하되 상기 홀더지지대(40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430)가 커버(440)의 외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
  •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버(340, 44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330, 430)는 크래들(100)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


  • 说明书全文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 The cradle raising the bearing power of the holder support and restoring force. }

    본 고안은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들의 롤러를 이용하여 보빈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상승시키고, 홀더지지대를 작동한 후,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사기라 함은 정방기에서 뽑아진 실을 홑실이라고 하는데, 이 홑실을 두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으로 합쳐 꼬는 기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사기에서는 구동축 드럼의 상측에 크래들이 설치되어 상하로 회전되게 한 홀더지지대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권취보빈이 구동축 드럼의 상부에서 접촉되거나 분리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구동축드럼 상부에 재치시킨 권취보빈이 회동하는 수단으로 실이 권취되는 연사공정이 행해지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은 연사기의 일 측에 장착하게 되어 실이 감기는 보빈을 장착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보빈을 장착한 크래들은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사용하여 실이 감긴 보빈을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를 토대로 개선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크래들 구조를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247575호는 '카바링기의 심사공급 크래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카바링기에서 심사 공급 공정의 보빈을 지지하는 크래들에 있어서,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구성한 홀더지지대 선단부 내측에 보빈홀더를 볼트 결합으로 각각 고정하고 홀더지지대 후단부는 고정후레임에 각각 연결하되 일측 손잡이를 가진 홀더지지대는 고정후레인과 일정간극을 두고 외측에 탄성지지판으로 연결하고 내측은 받침구를 결합하며 타측 홀더지지대는 고정후레임에 형성한 간격조절구멍에 볼트 결합하고 고정후레임 후단에 회전축관을 부착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바링기의 심사공급 크래들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20-0266942호는 '연사기의 크래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사기의 권취보빈을 구동축드럼에 접촉 및 분리시키는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드럼의 전방에 보빈홀더가 구비된 홀더지지대를 전· 후진되게 구성한 크래들을 설치하되 크래들의 회전축부재에 연결된 홀더지지대에 탄성접촉부를 구성하여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접촉구가 고정안내대의 접촉면에 접촉되게 하고 고정받침대에 설치된 고정안내대의 접촉면은 전· 후방으로 편향된 경사곡면부를 형성하여 홀더지지대를 전· 후진상태로 탄성지지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의 크래들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크래들 구조는 장기간 사용 시 보빈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빈의 착탈을 위해 작동하는 손잡이가 구성된 부분이 파손이 되거나 다수의 작동으로 인해 회전하는 부분에 기름, 오일 등과 같은 부재를 칠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그로 인해 부재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이 고안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20-0471586호의 '보빈의 착탈이 용이하고 반영구적인 크래들 구조'를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크래들에 대한 교체를 함에 있어 구매자로 하여금 교체비용에 따른 부담감이 커지게 되고, 완충에 따른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에 따른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는 것에 대해 본원 출원인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홀더지지대에 대한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을 고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크래들의 홀더지지대를 작동시킴에 있어 상기 홀더지지대에 대한 원위치 복원력을 상승시키고, 원위치로 복원된 홀더지지대가 지지하는 보빈에 대한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크래들의 회전축부재와 홀더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홀더지지대를 일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축부재 방향과 홀더지지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각각의 걸림고리를 구성한 후, 상기 회전축부재의 걸림고리와 홀더지지대의 걸림고리를 상호 연결하는 완충부재를 연결하여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판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되 일 측에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회전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에 구성된 고정축과 롤러에 상호 대응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홀더지지대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와 홀더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축이 구성된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성되되, 회전축부재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와 홀더지지대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걸림고리와 홀더지지대의 걸림고리를 상호 연결하는 완충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에 의하면, 크래들에 대한 별도의 구매와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래들에 직접 연결 또는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크래들의 완충에 따른 구조보다 현격히 간략한 구조로 인해 구조를 간단히 하였으며, 구조를 간단히 하였음에도 완충에 따른 보빈의 지지력과 작동 후 복원되는 홀더지지대의 복원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크래들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구조도 간단히 하여 유지비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보빈에 대한 지지력과 홀더지지대에 대한 복원력을 상승시켜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시킨 고안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인 크래들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크래들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크래들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종래 사용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크래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우선, 본원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20-0471586호의 '보빈의 착탈이 용이하고 반영구적인 크래들 구조'에 대해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의 크래들 구조를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도 6은 일 측 끝부에 내부로 홈(13)이 형성된 회전축부재(10)를 구성하고, 고정축(61)과 롤러(62)가 구성된 홀더지지대(60)를 구성한 후, 상기 홀더지지대(60)의 일 측 끝부에 돌출뭉치(63)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뭉치(63)를 감싸는 완충뭉치(51)를 구성하며, 상기 완충뭉치(51)의 일 측을 회전축부재(10)에 형성된 홈(13)에 인입되도록 한 후, 상기 회전축부재(10)와 홀더지지대(60)가 완충뭉치(51)와 홈(13)으로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커버(40)를 구성하고, 상기 커버(40)와 홀더지지대(60)를 연결하는 회전축(64)을 구성한 것으로써,

    상기한 구성은 회전축(64)이 홀더지지대(60)에 구성되어 있어 상기 홀더지지대(60)가 회전축(64)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작동하게 됨에 따라 작동반경이 짧아지게 되고, 상기 홀더지지대(60)의 작동에 따른 완충역활을 하는 완충뭉치(51)와 홈(13)이 회전축(64)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완충에 따른 역할을 충분히 행해지지 않고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인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에 대해 설명하면,

    본 고안인 크래들(100)은 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판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되 일 측에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회전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에 구성된 고정축과 롤러에 상호 대응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홀더지지대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와 홀더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축이 구성된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성되되, 회전축부재(3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43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300)의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의 걸림고리(430)를 상호 연결하는 완충부재(600)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재(300)의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의 걸림고리(430)는 크래들(100)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축부재(3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커버(340)를 구성하되 상기 회전축부재(30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330)가 커버(340)의 외측에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홀더지지대(4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커버(440)를 구성하되 상기 홀더지지대(40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430)가 커버(440)의 외측에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커버(340, 44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330, 430)는 크래들(100)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인 홀더지지대의 지지력과 복원력을 상승시킨 크래들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본 고안에 적용되는 크래들(100)에 대해 설명하면, 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판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되 일 측에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회전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에 구성된 고정축과 롤러에 상호 대응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는 고정축과 롤러가 구성된 홀더지지대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와 홀더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축이 구성된다.

    상기한 크래들의 구성과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크래들의 구성과 구조 및 그 작동에 대해서 생략하겠다.

    이에 본 고안의 핵심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크래들(100)의 회전축부재(300)와 홀더지지대(400)를 상호 연결하되, 홀더지지대(400)의 작동을 위한 회전축(500)이 구성되는데, 본 고안의 핵심은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축부재(3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330)가 구성되고, 홀더지지대(4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의 외측에는 걸림고리(430)가 구성된다.

    상기한 각각의 걸림고리(330, 430)는 회전축부재(300)와 홀더지지대(4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며 구성되어 하기 설명하는 완충부재(600)가 걸림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완충부재(600)는 회전축부재(300)의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의 걸림고리(430)를 각각 연결하며 스프링과 같은 완충 가능한 부재를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최대한 완충과 탄성이 강한 부재 또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보빈에 대한 지지력과 홀더지지대(400)의 원위치 복원력을 상승시키도록 하였으며, 상기 걸림고리(330, 430)의 위치를 회전축(500)에서 멀리 구성 시, 상기한 지지력과 복원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300)의 걸림고리(330)와 홀더지지대(400)의 걸림고리(430)는 크래들(100)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지력과 복원력을 위하여 크래들(100)의 전면에 구성하거나 또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축부재(3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커버(340)를 구성하되 상기 회전축부재(30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330)가 커버(340)의 외측에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홀더지지대(40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커버(440)를 구성하되 상기 홀더지지대(40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430)가 커버(440)의 외측에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축부재(300)의 커버(340)와 홀더지지대(400)의 커버(440)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크래들에 상기한 각각의 커버(340, 440)를 결합시켜 각각의 걸림고리(330, 430)에 상기 완충부재(600)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커버(340, 440)에 구성되는 걸림고리(330, 430)는 크래들(100)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지력과 복원력을 위하여 크래들(100)의 전면에 구성할 수도 있지만,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크래들(100)에 대한 별도의 구매와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래들(100)에 직접 연결 또는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크래들의 완충에 따른 구조보다 현격히 간략한 구조로 인해 구조를 간단히 하였으며, 구조를 간단히 하였음에도 완충에 따른 보빈(700)의 지지력과 작동 후 복원되는 홀더지지대(400)의 복원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크래들(100)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구조도 간단히 하여 유지비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보빈(700)에 대한 지지력과 홀더지지대(400)에 대한 복원력을 상승시켜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시켰다.

    100 : 크래들
    200 : 고정판
    300 : 회전축부재
    310 : 고정축 320 : 롤러 330 : 걸림고리 340 : 커버
    400 : 홀더지지대
    410 : 고정축 420 : 롤러 430 : 걸림고리 440 : 커버
    500 : 회전축
    600 : 완충부재
    700 : 보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