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 귀이개

申请号 KR2020130002372 申请日 2013-03-29 公开(公告)号 KR200467956Y1 公开(公告)日 2013-07-12
申请人 주재현; 发明人 주재현;
摘要 본 고안은 귀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를 밝게 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귓속을 소제(掃除)할 때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귓속 내부를 밝게 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부주의로 인한 고막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광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를 밝게 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구조의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귓속 내부를 밝게 조명함으로써 별도로 내부에 발광장치를 장착하지 않아도 귓속을 소제(掃除)할 때 귀속 내부를 밝게 조명하는 것이 가능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부주의로 인한 고막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权利要求
  • 전자기기의 발광장치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을 집광하여 출사하는 집광커버;
    상기 집광커버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기 집광커버를 상기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밴드;
    상기 집광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집광커버를 통해 출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 및
    일측부가 상기 광섬유의 타측단과 체결되고 타측부에는 청소편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통해 전달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귀이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커버는,
    상기 전자기기의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구; 및
    상기 입사구와 연통하여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광섬유로 출사하는 출사구를 포함하되,
    상기 집광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출사구로 굴절시켜 집광하기 위하여 일정한 곡률 또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귀이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커버는,
    상기 전자기기의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구; 및
    상기 입사구와 연통하여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광섬유로 출사하는 출사구를 포함하되,
    상기 집광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출사구로 반사시켜 집광하기 위하여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 집광커버의 출사구의 입구측에는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출사구 측으로 집광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사구 측으로 볼록한 집광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귀이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밴드는 상기 집광커버의 양측부에 형성된 밴드걸이에 결합되되, 탄성 재질 또는 직물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귀이개.
  • 说明书全文

    발광 귀이개{LUMINESCENCE EAR SWAB}

    본 고안은 귀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를 밝게 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귓속을 소제(掃除)할 때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귓속 내부를 밝게 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부주의로 인한 고막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광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이개는 귀가 가렵거나, 혹은 귓속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귀지 등이 쌓여 있을 경우, 외이도 즉 귓속을 후벼 제거하는 도구를 말한다. 이러한 귀이개는 보통 직경이 작은 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단에는 귓속의 피부를 긁어 피부에 붙어 있는 귀지를 용이하게 걷어낼 수 있도록 주걱 형상의 청소편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귓속은 내경이 작아 깊은 곳까지 외부의 빛이 유입되지 않아 어둡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귓속에 잔존하는 귀지의 위치를 인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감각에 의지하여 귀지를 제거할 수밖에 없어 귀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귓속을 소제하는 과정에서 귓속의 표피 조직과 고막 등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8-025102호(공개일 : 1998. 07. 2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068543호(공개일 : 1999. 09. 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7566호(등록일 : 2004. 07. 1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0634호(등록일 : 2000. 08. 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0121호(등록일 : 2005. 03. 1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44765호(공개일 : 2010. 04. 30) 등에 귓속을 밝게 비추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귀이개 등이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귀이개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조명)장치, 예를 들면 비교적 소형화가 용이하면서 소비 전력이 낮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귓속을 밝게 조명함으로써 귀이개를 이용하여 귓속을 소제할 때 귀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귓속의 표피 조직과 고막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비교적 소형의 귀이개 내에 LED와 같은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 등을 내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증가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전자소자의 사용으로 인해 고장이 빈번하고 고장 발생시 수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더욱이, 건전지가 모두 방전되는 경우 건전지를 재구매하여 교체해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KR 20-1998-025102 U, 1998. 07. 25.

    KR 10-1999-0068543 A, 1999. 09. 06.

    KR 20-0357566 Y1, 2004. 07. 19.

    KR 20-0200634 Y1, 2000. 08. 10.

    KR 20-0380121 Y1, 2005. 03. 19.

    KR 10-2010-0044765 A, 2010. 04. 30.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내부에 별도로 발광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면서 귓속 내부를 밝게 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부주의로 인한 고막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광 귀이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발광장치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을 집광하여 출사하는 집광커버와, 상기 집광커버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기 집광커버를 상기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밴드와, 상기 집광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집광커버를 통해 출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와, 일측부가 상기 광섬유의 타측단과 체결되고 타측부에는 청소편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통해 전달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귀이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광커버는 상기 전자기기의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구와, 상기 입사구와 연통하여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광섬유로 출사하는 출사구를 포함하되, 상기 집광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출사구로 굴절시켜 집광하기 위하여 일정한 곡률 또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광커버는 상기 전자기기의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구와, 상기 입사구와 연통하여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광섬유로 출사하는 출사구를 포함하되, 상기 집광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출사구로 반사시켜 집광하기 위하여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 집광커버의 출사구의 입구측에는 상기 입사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출사구 측으로 집광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사구측으로 볼록한 집광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밴드는 상기 집광커버의 양측부에 형성된 밴드걸이에 결합되되, 탄성 재질 또는 직물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를 밝게 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구조의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귓속 내부를 밝게 조명함으로써 별도로 내부에 발광장치를 장착하지 않아도 귓속을 소제(掃除)할 때 귀속 내부를 밝게 조명하는 것이 가능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부주의로 인한 고막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가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귀이개가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광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광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밴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밴드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들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가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귀이개가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10)는 발광장치(21)가 구비된 전자기기(20), 예를 들면 휴대폰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 후 발광장치(21)로부터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귓속 내부를 밝게 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귀이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의 일례로 카메라 렌즈(22)와 나란하게 발광장치(21)가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귀이개(10)는 발광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기능, 구조 및 형상을 갖는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이들로부터 조사된 빛을 사용하여 귓속을 소제할 때 귓속 내부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이개(10)는 전자기기(20)의 발광장치(21)를 덮도록 결합되어 발광장치(21)로부터 발산된 빛을 집광하여 출사하는 집광커버(11)와, 집광커버(11)를 전자기기(20)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밴드(12)와, 집광커버(11)를 통해 집광된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13)와, 일측부가 광섬유(13)에 체결되고 타측부에 청소편(14a)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대(14)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광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집광커버(11)는 몸체의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발광장치(21)로부터 발산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구(11a)와, 입사구(11a)와 연통되어 입사구(11a)를 통해 입사된 빛이 출사되는 출사구(11b)를 포함한다.

    입사구(11a)는 도 3과 같이 집광커버(11)의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출사구(11b)는 도 4와 같이 입사구(11a)와 대향하도록 집광커버(11)의 몸체 상부로부터 연장된 원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집광커버(11)는 입사구(11a)가 발광장치(21), 바람직하게는 발광장치(21)의 LED 소자를 보호하는 커버를 완전히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21)의 LED 소자로부터 발산된 빛은 입사구(11a)로 입사된 후 출사구(11b)를 통해 출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커버(11)의 내측면(11c)은 입사구(11a)를 통해 입사된 빛을 출사구(11b) 측으로 굴절시켜 집광하기 위하여 일정한 곡률 또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혹은 집광커버(11)의 내측면(11c)에는 입사구(11a)를 통해 입사된 빛을 출사구(11b) 측으로 반사시켜 집광하기 위하여 반사판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출사구(11b)의 입구측(11d)에는 입사구(11a)를 통해 입사된 빛을 출사구(11b) 측으로 집광시키기 위하여 입사구(11a) 측으로 볼록한 집광렌즈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밴드(12)는 전자기기(20)의 다양한 구조, 형상, 크기, 그리고 두께와 무관하게 전자기기(20)의 몸체에 집광커버(11)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 재질(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광커버(11)의 양측부(좌우측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밴드(12)가 감겨 결합되는 밴드걸이(11e, 11f)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따라, 결합밴드(12)의 양측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걸이(11e, 11f)에 감겨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밴드(12)는 탄성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천 또는 가죽과 같은 직물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방식을 통해 집광커버(11)의 밴드걸이(11e, 11f)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밴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밴드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밴드(32, 42)는 벨크로 체결방식(도 5참조) 또는 똑딱이 체결방식(도 6참조)으로 집광커버(11)의 밴드걸이(11e, 11f)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밴드(32, 42)는 다양한 구조의 전자기기(20)에 집광커버(11)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측부가 밴드걸이(11e, 11f)에 감긴 상태에서 일정 힘으로 잡아당겨 결합밴드(32, 42)를 조임으로써 집광커버(11)를 발광장치(21),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장치(21)와 카메라 렌즈(22)를 모두 덮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결합밴드(12)는 집광커버(11)와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밴드(12)는 집광커버(11)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13)는 일측단이 집광커버(11)의 출사구(11b)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타측단은 지지대(14)의 일측부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집광커버(11)의 출사구(11b)를 통해 출사되는 빛은 광섬유(13)로 전달되고, 집광커버(11)로부터 전달된 빛은 광섬유(13)를 통해 지지대(14)로 전달된다.

    광섬유(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코어(13a)와, 코어(13a)를 덮는 클래딩(13b)과, 클래딩(13b)을 덮는 피복층(13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광섬유(13)는 도 1과 같이 굴절률이 높은 매질인 코어(13a)와, 코어(13a)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매질인 클래딩(13b) 간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일측단으로 입사되는 빛을 코어(13a)와 클래딩(13b) 사이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연속적인 전반사를 이용하여 광섬유(13)의 타측단을 통해 지지대(14)로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13)의 타측단에는 지지대(14)의 일측부가 체결되고, 지지대(14)의 타측부에는 실질적으로 귀속의 귀지를 제거하는 청소편(14a)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4)는 베어링 등과 같은 매개체를 사이에 두고 광섬유(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13)로부터 전달된 빛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내부에 홀(14b)이 마련된 원통 구조 또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편(14a)은 일측부가 지지대(14)의 홀(14b)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거나, 혹은 지지대(14)의 사출성형공정시 함께 사출성형되어 지지대(14)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편(14a)은 지지대(14)의 홀(14b)을 통해 유입되는 빛을 타측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지지대(14)의 홀(14b)과 연통하는 홀(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으며, 타측부는 귓속에 존재하는 귀지를 안정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대략 주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그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대(14)와 청소편(14a)은 그 내부로 유입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여 귓속을 밝게 조명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귀이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밴드(12)를 이용하여 집광커버(11)의 입사구(11a)가 전자기기(20), 예를 들면 휴대폰의 후면에 설치된 플래시용 발광장치(21)를 덮어 밀폐하도록 집광커버(11)의 하부를 휴대폰의 후면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집광커버(11)가 휴대폰의 후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휴대폰을 조작하여 플래시용 발광장치(21)의 LED 소자를 구동시켜 빛을 발산하도록 한다. 발광장치(21)의 LED 소자로부터 발산된 빛은 집광커버(11)의 입사구(11a)를 통해 집광커버(11)의 몸체 내부로 입사된 후 출사구(11b)를 통해 광섬유(13)의 일측단으로 입사된다.

    광섬유(13)의 일측단으로 입사된 빛은 코어(13a)와 클래딩(13b) 간의 굴절률 차이에 기인하여 코어(13a)와 클래딩(13b) 사이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연속적인 전반사를 통해 광섬유(13)의 타측단으로 전달되고, 광섬유(13)의 타측단으로 전달된 빛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대(14)와 청소편(14a)을 통해 외부로 조명되어 귓속 내부를 밝게 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부주의로 인한 고막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 귀이개 11 : 집광커버
    11e, 11f : 밴드걸이 12 : 결합밴드
    13 : 광섬유 13a : 코어
    13b : 클래딩 13c : 피복층
    14 : 지지대 14a : 청소편
    14b : 홀 20 : 전자기기
    21 : 발광장치 22 : 카메라 렌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