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申请号 KR1020130074613 申请日 2013-06-27 公开(公告)号 KR1020150001414A 公开(公告)日 2015-01-06
申请人 코웨이 주식회사; 发明人 가진성; 백주현; 이병필; 손태용; 최인규; 방상우; 김종민; 정한영; 김형곤; 김기철;
摘要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수건부재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로부터 이동된 압축수건부재에 물을 공급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물수건제조부; 및 상기 보관부에 연계되어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압축수건부재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물수건제조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权利要求
  • 적어도 하나의 압축수건부재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로부터 이동된 압축수건부재에 물을 공급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물수건제조부; 및
    상기 보관부에 연계되어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압축수건부재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물수건제조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구동부;
    를 포함하는 물수건 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가 보관되는 공간과 압축수건부재가 상기 물수건제조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구멍이 형성된 보관부재; 를 포함하는 물수건 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멍은 하나의 압축수건부재 만이 이동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는 물수건 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보관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 를 더 포함하는 물수건 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건제조부는 상기 보관부재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구멍에 대응되는 삽입구멍과 압축수건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압축수건부재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가 구비된 제조부재; 를 포함하는 물수건 제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부재의 일측은 개방되어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차단부재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물수건 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가 상기 이동구멍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보관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어 가압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물수건 제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스텝모터인 물수건 제조장치.
  •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물수건 제조장치;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와, 상기 물수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살균유닛; 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와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정수탱크;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와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냉수탱크;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전해조;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说明书全文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WET TISSU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이 흡수되면 팽창하여 물수건이 되는 압축수건부재에 물을 공급하여 물수건이 되도록 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물수건을 만들 수 있으며 다양한 물을 공급하여 물수건을 만들 수 있는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수건 제조장치는 물수건을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물수건 제조장치에서는 건조된 수건이 감겨 있는 상태에서 펴지도록 한다. 그리고, 펴진 수건이 물로 적셔지도록 수건에 물을 분사한다. 이후, 물로 적셔진 수건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물수건을 만들고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물수건을 만드는 종래의 물수건 제조장치의 경우에는 건조된 수건이 감기는 롤러와, 건조된 수건이 롤러로부터 펴지도록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및, 수건이 감기거나 펴지도록 롤러나 가이드 롤러에 연결되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필요하였다. 또한, 수건이 물로 적셔지도록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노즐에 연결된 물탱크 등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물로 적셔진 수건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도 필요하고, 완성된 물수건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 등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의 물수건 제조장치는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수건 제조장치를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도록 하고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물에 의해서 물수건을 만들도록 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물수건 제조장치는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도록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물이 흡수되면 팽창하여 물수건이 되는 압축수건부재가 식당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수건부재를 사용하여 물수건 제조장치를 만들면 물이 적셔진 수건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압축수건부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물수건 제조장치도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를 보관하고 이동되도록 하며, 물을 분사하여 물수건을 만든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구성이 복수개의 기어나 캠 등을 사용하여 비교적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포함된 종래의 물수건 제조장치는 댜앙한 물을 사용하여 물수건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살균 등의 다양한 기능의 물수건을 원하는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물수건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수처리장치 등에 물수건 제조장치가 용이하게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다양한 물로 물수건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물수건을 만들며 다양한 물을 공급하여 물수건을 만드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수건부재가 보관되는 보관부; 보관부로부터 이동된 압축수건부재에 물을 공급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물수건제조부; 및 보관부에 연계되어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압축수건부재 중 하나 이상이 물수건제조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관부는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가 보관되는 공간과 압축수건부재가 물수건제조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구멍이 형성된 보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멍은 하나의 압축수건부재 만이 이동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부는 보관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수건제조부는 보관부재 아래에 위치하며 이동구멍에 대응되는 삽입구멍과 압축수건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압축수건부재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가 구비된 제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부재의 일측은 개방되어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에는 차단부재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는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가 이동구멍 측으로 이동되도록 보관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에 연결되어 가압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스텝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여과부에 연결되는 전술한 물수건 제조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와, 물수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살균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와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정수탱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와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냉수탱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중 적어도 하나와 물수건제조부에 연결되는 전해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부에 보관되며 물이 흡수되면 팽창하여 물수건이 되는 압축수건부재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물수건제조부로 이동되도록 한 후 물을 공급하여 물수건을 만듦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물수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수건 제조장치가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 등에 물수건 제조장치가 용이하게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물로 물수건을 만들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에 살균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6은 정수나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7은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8은 산성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물수건을 만들며 다양한 물을 공급하여 물수건을 만드는 것을 기초로 한다.

    물수건 제조장치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200), 물수건제조부(300) 및, 이동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수건부재(T)가 보관될 수 있다. 보관부(200)에 보관되는 압축수건부재(T)는 물이 흡수되면 팽창하여 물수건(WT)이 될 수 있다. 압축수건부재(T)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흡수되면 팽창하여 물수건(WT)이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예컨대 부직포를 압축하여 만드는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200)는 보관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재(210)에는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T)가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수건부재(T)가 물수건제조부(3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관부재(210)의 이동구멍(211)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210)의 일측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210)에 보관된 압축수건부재(T)가 후술할 이동구동부(400)에 의해서 보관부재(210)의 이동구멍(211)으로 이동하면, 압축수건부재(T)는 자중에 의해서 이동구멍(211)을 통해 낙하하여 물수건제조부(3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부재(210)의 이동구멍(211)은 하나의 압축수건부재(T) 만이 이동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구멍(211)의 크기는 압축수건부재(T)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보관부재(210)의 이동구멍(21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압축수건부재(T)만이 이동되도록 하는 크기라면 어떠한 크기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200)는 덮개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재(220)는 보관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보관부재(2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덮개부재(220)를 보관부재(210)로부터 분리하여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T)를 보관부재(21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보관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덮개부재(220)가 보관부재(210)에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T)가 보관부재(210)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물수건제조부(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200)로부터 이동된 압축수건부재(T)에 물을 공급하여 물수건(WT)이 되도록 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물수건제조부(300)는 제조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조부재(310)는 보관부재(21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보관부재(210)의 이동구멍(211)에 대응되는 삽입구멍(311)이 제조부재(3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조부재(310)의 삽입구멍(311)은 보관부재(210)의 이동구멍(211) 아래에 위치하는 제조부재(3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부재(310)는 압축수건부재(T)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보관부재(210)의 이동구멍(211)으로부터 낙하된 압축수건부재(T)는 제조부재(310)의 삽입구멍(311)을 통해 제조부재(3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조부재(31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물공급부재(320)에 의해서 제조부재(310)에 삽입된 압축수건부재(T)에 물이 공급되어 압축수건부재(T)에 물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수건부재(T)가 팽창될 수 있다.

    제조부재(310)에 구비되는 물공급부재(320)는,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노즐일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부재(320)는 노즐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부재(310)에 삽입된 압축수건부재(T)에 물을 공급하여 압축수건부재(T)에 물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물공급부재(320)는 물의 공급을 위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물이 물공급부재(32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100)가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20)나 살균유닛(30), 정수탱크(40), 냉수탱크(50) 또는 전해조(60)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부재(32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유닛(30)에 의해서 살균된 살균수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40)에 저장된 정수나 냉수탱크(50)에 저장된 냉수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60)에서 생성된 알칼리수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60)에서 생성된 산성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20)나 살균유닛(30), 정수탱크(40), 냉수탱크(50) 또는 전해조(60)에 한정되지 않고,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부재(320)는 물수건제조부(300)의 제조부재(310)에 하나가 구비되고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물공급부재(320)에 다양한 물공급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물수건제조부(300)의 제조부재(310)에 복수개의 물공급부재(320)가 구비되고 각 물공급부재(320)가 각각의 물공급원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조부재(310)의 일측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방되어 배출구(3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수건부재(T)에 물이 흡수되어 팽창됨으로써 만들어진 물수건(WT)이 제조부재(310)의 배출구(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조부재(310)의 배출구(312)에는 차단부재(313)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압축수건부재(T)에 물이 흡수되어 팽창됨으로써 물수건(WT)이 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313)가 선회되어 제조부재(310)의 배출구(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수건부재(T)가 아직 팽창되지 않은 경우나, 물수건(WT)이 되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 경우에는, 차단부재(313)가, 예컨대 차단부재(313)에 구비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나 차단부재(313)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배출구(312)를 차단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배출구(312)를 통해 제조부재(310) 내부의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동구동부(400)는 보관부(200)에 연계되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200)에 보관된 압축수건부재(T) 중 하나 이상이 물수건제조부(30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구동부(400)는 가압부재(410)와 구동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압부재(410)는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T)가 이동구멍(211) 측으로 이동되도록 보관부재(2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4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210)에 형성된 관통구멍(212)을 관통하는 로드부와, 로드부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T)를 미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부재(4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압축수건부재(T)이 이동구멍(21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구동유닛(42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압부재(410), 즉 가압부재(410)의 로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1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동유닛(420)은 예컨대 스텝모터(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유닛(420)이 스텝모터인 경우에는 스텝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스텝모터와 가압부재(410)에 맞물린 하나 이상의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부재(41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410)의 적어도 일부가 스크류 형상이어서 스텝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부재(410)가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구동유닛(420)은 유압실린더일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압부재(41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수처리장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에 살균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6은 정수나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7은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8은 산성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여과부(20) 및, 전술한 물수건 제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에 유입된 물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를 거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여과부(2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22,23)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에 복수개의 정수필터(21,22,23)를 포함하는 경우에, 정수필터(21,22,23)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21,22,23) 중 하나의 정수필터(22)에는 드레인라인(LD)이 연결되어 정수필터(22)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이 드레인되도록 할 수 있다.

    물수건 제조장치(100)는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는 물수건 제조장치(100), 즉 물수건 제조장치(100)의 물수건제조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는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살균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유닛(30)은 여과부(20)와 물수건제조부(300), 즉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와 살균유닛(30)이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되고 살균유닛(30)과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도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되어, 살균유닛(30)이 여과부(20)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살균유닛(30)과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된 연결라인(LC)에는 유로전환밸브(V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유닛(30)으로부터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1)를 조작하면, 여과부(20)에서 여과되고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살균수가 물공급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관부(200)의 보관부재(210)로부터 이동되어 물수건제조부(300)의 제조부재(310)에 삽입된 압축수건부재(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재(320)에 의해서 공급된 살균수가 흡수됨에 따라 팽창되어 물수건(WT)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살균수로 적셔진 물수건(WT)을 사용하여 손 등의 부위가 살균되도록 닦을 수 있다.

    그러나, 살균유닛(30)이 여과부(20)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되어 살균수를 공급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살균유닛(30)의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살균유닛(30)에 유입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예컨대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거나 살균용 약품이 주입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정수탱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탱크(40)는 여과부(20)와 물수건제조부(300), 즉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살균유닛(30)과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C)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V1)와, 정수탱크(40)를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하여 여과부(20)와 정수탱크(4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탱크(40)와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8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C)에 유로전환밸브(V2)를 구비하고, 유로전환밸브(V2)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를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하여 정수탱크(40)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40)에 여과부(20)에서 여과되고 살균유닛(30)에 의해서 살균된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1)를 조작하고 정수탱크(40)로부터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2)를 조작하면, 여과부(20)에서 여과되고 살균유닛(30)에서 살균된 후 정수탱크(40)에 저장된 정수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관부(200)의 보관부재(210)로부터 이동되어 물수건제조부(300)의 제조부재(310)에 삽입된 압축수건부재(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재(320)에 의해서 공급된 정수가 흡수됨에 따라 팽창되어 물수건(WT)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정수로 적셔진 물수건(WT)을 사용하여 손 등의 부위를 닦을 수 있다.

    그러나, 정수탱크(40)가 여과부(20)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탱크(50)는 정수탱크(40)와 물수건제조부(300), 즉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50)는 정수탱크(4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a)이 형성된 격벽(51)에 의해서 구획되어 정수탱크(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V2)가 구비된 연결라인(LC)에 유로전환밸브(V3)가 구비되도록 하고 냉수탱크(50)와 유로전환밸브(V3)를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하여 냉수탱크(50)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40)에 여과부(20)에서 여과되고 살균유닛(30)에 의해서 살균된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1)를 조작하면, 정수탱크(40)로부터 냉수탱크(5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50)로부터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3)를 조작하면, 냉수탱크(50)에 저장된 냉수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관부(200)의 보관부재(210)로부터 이동되어 물수건제조부(300)의 제조부재(310)에 삽입된 압축수건부재(T)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재(320)에 의해서 공급된 냉수가 흡수됨에 따라 팽창되어 물수건(WT)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냉수로 적셔진 물수건(WT)을 사용하여 손 등의 부위를 닦을 수 있다.

    그러나, 냉수탱크(50)가 여과부(20)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냉수탱크(50)에는 저장된 물을 냉각하여 냉수로 만드는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나 열전모듈(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전해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해조(60)는 정수탱크(40)와 냉수탱크(50) 중 적어도 하나와 물수건제조부(300), 즉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탱크(40)와 전해조(60)가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되며 연결라인(LC)에는 유로전환밸브(V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V4)가 연결라인(LC)에 의해서 냉수탱크(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전해조(60)의 부분과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80)가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되고 연결라인(LC)에는 유로전환밸브(V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V5)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가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산성수가 배출되는 전해조(60)의 부분과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되고 연결라인(LC)에는 유로전환밸브(V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40)와 냉수탱크(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해조(60)에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4)를 조작하면, 정수탱크(40)에 저장된 정수와 냉수탱크(50)에 저장된 냉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전해조(6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60)의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부분으로부터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물, 즉 알칼리수가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5)를 조작하면, 전해조(60)에서 생성된 알칼리수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관부(200)의 보관부재(210)로부터 이동되어 물수건제조부(300)의 제조부재(310)에 삽입된 압축수건부재(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재(320)에 의해서 공급된 알칼리수가 흡수됨에 따라 팽창되어 물수건(WT)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알칼리수로 적셔진 물수건(WT)을 사용하여 손 등의 부위를 닦을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60)의 산성수가 배출되는 부분으로부터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전환밸브(V6)를 조작하면, 전해조(60)에서 생성된 산성수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관부(200)의 보관부재(210)로부터 이동되어 물수건제조부(300)의 제조부재(310)에 삽입된 압축수건부재(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재(320)에 의해서 공급된 산성수가 흡수됨에 따라 팽창되어 물수건(WT)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산성수로 적셔진 물수건(WT)을 사용하여 손 등의 부위를 닦을 수 있다.

    그러나, 전해조(60)가 정수탱크(40)와 냉수탱크(50) 중 적어도 하나와 물수건제조부(300)의 물공급부재(320)에 연결되어 알칼리수나 산성수를 공급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전해조(60)에서 알칼리수나 산성수를 생성하는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기분해에 의해서 알칼리수나 산성수를 생성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70'은 온수탱크를 나타내며, 온수탱크(70)는 연결라인에 의해서 정수탱크(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탱크(40)에 저장된 정수가 온수탱크(7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70)에는 히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에 의해서 온수탱크(70)에 공급되어 저장된 정수가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온수가 될 수 있다. 또한, 온수탱크(70)와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80)가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70)에 저장된 온수는 물배출부재(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산성수가 배출되는 전해조(60)의 부분에 연결된 연결라인(LC)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V6)에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레인라인(LD)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로전환밸브(V6)를 조작하여 전해조(60)에서 생성된 산성수를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물수건을 만들 수 있으며,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 등에 물수건 제조장치가 용이하게 포함되도록 할 수 있고, 다양한 물로 물수건을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수건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처리장치 20 : 여과부
    21,22,23 : 정수필터 30 : 살균유닛
    40 : 정수탱크 50 : 냉수탱크
    51 : 격벽 51a : 통과구멍
    60 : 전해조 70 : 온수탱크
    80 : 물배출부재 100 : 물수건 제조장치
    200 : 보관부 210 : 보관부재
    211 : 이동구멍 212 : 관통구멍
    220 : 덮개부재 300 : 물수건제조부
    310 : 제조부재 311 : 삽입구멍
    312 : 배출구 313 : 차단부재
    320 : 물공급부재 400 : 이동구동부
    410 : 가압부재 420 : 구동유닛
    T : 압축수건부재 WT : 물수건
    LC : 연결라인 LD : 드레인라인
    V1,V2,V3,V4,V5,V6 : 유로전환밸브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