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127026902 申请日 2010-08-02 公开(公告)号 KR1020130018263A 公开(公告)日 2013-02-20
申请人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发明人 하나타토모히로; 이시카와무츠미; 사사키노부요시;
摘要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서 이용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을 제조함에 있어서 대폭적인 설비 개조를 하지 않아도 기존 설비의 소규모적인 개조로 충분한 생산성이 우수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복수의 1차 원단 롤(JR)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S11, S1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는 적층 공정(51),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약액을 분무상태로 부여하는 제1차 약액분무 공정(40A, 40B), 그 후에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해 도포하는 제2차 약액도포 공정(53A, 53B),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55), 및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공정(56)을 가지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이다.
权利要求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페이퍼 제품용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공정,
상기 연속시트 각각에 대하여 약액을 분무상태로 부여하는 제1차 약액분무 공정,
그 후에 각각의 연속시트에 대하여 약액을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해 도포하는 제2차 약액도포 공정,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 및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약액분무 공정이 상기 적층 공정의 다음이면서 상기 슬릿 공정 전에 행해지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공정과 상기 제1차 약액분무 공정 사이에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가지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약액도포 공정과 상기 슬릿 공정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 컨택트 엠보싱을 실시하는 컨택트 엠보싱 공정을 가지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약액의 부여가 노즐식 분무 방식에 의한 것인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약액의 부여가 로터 댐프닝 분무 방식에 의한 것인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의 청구항에 의해 얻어진 상기 2차 원단 롤을 다수 준비하고, 그 롤들을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서 라인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각 2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복수의 2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동시에 그 이송 과정에서 접으면서 겹쳐 쌓고, 그 후 소정 매수의 적층시트를 소정 길이 절단하여 티슈페이퍼 다발로 하고 이 적층을 수납박스 내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说明书全文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ORIGINAL FABRIC ROLL FOR TISSUE PAPER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ISSUE PAPER PRODUCT}

본 발명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공급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티슈페이퍼의 박스포장 제품은 일반적으로 인터폴더(접는 설비)에 의해 연속하는 복수의 티슈페이퍼를 접으면서 겹쳐 쌓아 소정 길이로 절단하거나 하여 티슈페이퍼 다발을 얻고 티슈페이퍼 다발을 수납박스(티슈 카톤) 내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인터폴더의 예로는 하기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멀티스탠드식(다련식) 인터폴더나 하기 특허문헌 3, 4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로터리식 인터폴더 등이 알려져 있다.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방법의 종래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 초지 설비에서 박엽지를 초조하여 감아서 1차 원단 롤(일반적으로 점보 롤이라고도 함)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 1차 원단 롤을 플라이머신에 세팅하고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온 1차 연속시트를 겹쳐서 감는 동시에 슬릿(폭 방향으로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플라이로 이루어지는 2차 원단 롤을 제조한다.

플라이머신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은 플라이머신에서 꺼내진 후 필요한 수만큼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세팅된다. 이어서 2차 원단 롤에서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어 접기기구부에 이송하고 여기에서 접으면서 겹쳐 쌓고, 그 후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티슈페이퍼 다발로 한 다음 수납박스 내에 수납한다.

이러한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다른 접는 설비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비해 다수(통상 80~100기)의 접기기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티슈페이퍼 제품에 보습제 등의 약액(통상 "로션 약액"이라고도 함)이 도포된 것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5~7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제조방법이나 설비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로션 약액을 함유시킨 티슈페이퍼 제품은 주로 로터리식 인터폴더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5). 그러나 로터리식 인터폴더는 가공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접기와 재단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공보 4052048호(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121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0750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37668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24770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22034호

특허문헌 6: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25103호

특허문헌 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4564호

특허문헌 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5780호

특허문헌 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83127호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약액이 부여된 티슈페이퍼 제품을 로터리식 인터폴더에 비해 생산성이 높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생각했다.

그러나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플라이머신이나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와는 별도로 약액부여 공정을 마련하면 원단이송 작업이 필요하고 많은 설비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액부여 공정을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 내에 마련하면 약액을 부여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라인과 약액을 부여하지 않는 티슈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라인을 따로 설치해야 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서 이용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을 제조함에 있어서 대폭적인 설비 개조를 하지 않아도 기존 설비의 소규모적인 개조로 충분한 생산성이 우수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과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란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페이퍼 제품용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공정,

상기 연속시트 각각에 대하여 약액을 분무상태로 부여하는 제1차 약액분무 공정,

그 후에 각각의 연속시트에 대하여 약액을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해 도포하는 제2차 약액도포 공정,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 및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제1차 약액분무 공정이 상기 적층 공정의 다음이면서 상기 슬릿 공정 전에 행해지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적층 공정과 상기 제1차 약액분무 공정 사이에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가지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상기 제2차 약액도포 공정과 상기 슬릿 공정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 컨택트 엠보싱을 실시하는 컨택트 엠보싱 공정을 가지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상기 제1차 약액의 부여가 노즐식 분무 방식에 의한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상기 제1차 약액의 부여가 로터 댐프닝 분무 방식에 의한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의 청구항에 의해 얻어진 상기 2차 원단 롤을 다수 준비하고, 그 롤들을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서 라인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각 2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복수의 2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동시에 그 이송 과정에서 접으면서 겹쳐 쌓고, 그 후 소정 매수의 적층시트를 소정 길이 절단하여 티슈페이퍼 다발로 하고 이 적층을 수납박스 내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조방법에서의 슬릿 공정에서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제조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은 그 후단에서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다수 세팅된다. 이어서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세팅된 2차 원단 롤에서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어 접기기구부에 이송하고 여기에서 접으면서 겹쳐 쌓은 후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티슈페이퍼 다발로 한 다음 수납박스 내에 수납한다.

본 발명에서는 1차 원단 롤로부터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이른바 플라이머신 내에 제1차 약액분무 공정 및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한 제2차 약액도포 공정을 도입하여 연속시트에 약액을 도포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대폭적인 설비 개조를 하지 않아도 기존에 설치된 초지설비 및 플라이머신의 소규모적인 개조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므로 투자설비비가 적어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 내에 약액부여 또는 도포 공정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플라이머신 내에 약액분무 공정 및 약액도포 공정을 도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액을 도포한 티슈페이퍼 제품과 약액을 도포하지 않는 티슈페이퍼 제품 간의 전환은 단순히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약액도포의 유무에 따라 전환하면 되므로 생산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 내에 약액도포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적층연속시트의 수만큼의 다수의 약액도포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렇게 하면 설비비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그 설치 공간의 확보도 곤란해지고 또한 각 도포장치에서 도포량의 정확한 관리는 실질적으로 무리가 있다. 이 형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설비비 및 도포량 관리 등의 점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져오는 것이다.

그런데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의한 티슈페이퍼의 제조 공정에서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가공능력에 맞추어 플라이머신의 가공능력을 설계하기 때문에 플라이머신의 가공속도는 700~1100m/분으로 고속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경우에는 플라이머신 내의 약액분무 공정 및 약액도포 공정의 생산속도도 마찬가지로 700~1100m/분 정도의 고속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속의 플라이머신에서 예를 들어 약액을 그라비아, 플렉소, 롤 도공 등의 전사방식으로 도포하는 경우, 주로 고속으로 주행하는 시트와 쇄판 롤의 마찰로 종이가루가 대량 발생하고 도공 약액 안에 혼입되어 그 농도가 변화하여 도포량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특히 대상인 시트에 약액을 어느 정도 많은 도포량으로 도포하려고 하는 경우, 1회의 도포로 목적으로 하는 도포량을 얻고자 하면 예를 들어 플렉소 인쇄의 예에서는 아닐록스 롤의 라인수를 많게 하고 셀 용적률을 높게 해야 하는데, 이러한 아닐록스 롤의 사용조건은 도공 약액 안에 혼입된 상기 종이가루에 의해 아닐록스 롤의 쇄판의 막힘 현상을 한층 더 초래하기 쉬워지므로, 그 결과 도포량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안정된 운전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약액을 2회로 나누어 시트에 부여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1회당 도포량을 줄여, 결과적으로 아닐록스 롤의 막힘 현상을 피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약액 복수 회 도포의 형태는 이론적으로는 아닐록스 롤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시트와 쇄판 롤의 마찰 개소가 2개소로 증가하므로 종이가루의 발생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어, 현실적으로는 아닐록스 롤의 막힘 현상을 피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약액을 2회로 나누어 시트에 부여하는 형태는 1회째 도포한 폭방향 도포의 불균형을 2번째 도포의 불균형으로 상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폭방향으로 불균형이 적은 도포 형태가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전사 방식에 의한 도포에서는 쇄판 롤과 압동 롤로 시트를 압착하는 형태로 약액을 도포하므로 시트의 섬유간극이 줄어들어 제품으로 했을 경우 부피가 잘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향은 약액을 2회로 나누어 시트에 부여하는 형태에서는 더 두드러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1차 약액분무 공정과 제2차 약액도포 공정 2회 도포를 하고 있다. 1회째 도포한 폭방향 도포의 불균형을 2번째 도포의 불균형으로 상쇄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폭방향으로 불균형이 적은 도포 형태가 된다.

게다가 제1차 약액부여를 약액분무에 의해 하도록 하고 있다. 약액분무에서는 시트의 압착형태에서의 마찰이 생기지 않고 종이가루의 발생이 없으며 안정된 도포가 가능하다. 또한 섬유간극이 줄어드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피가 큰 티슈페이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1회째 약액분무에 의해 적당한 수분을 가지게 되어 종이가루는 억제되어 2회째 전사식 도포에서 종이가루의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제2차 약액도포 공정에서 약액도포는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해 행해지게 되어 있다. 플렉소 인쇄 방식은 플렉소 쇄판 롤이 수지제이며 가공속도가 고속이라 해도 크레이프지의 요철에 대응하여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나, 아닐록스 롤의 라인수나 셀 용량, 플렉소 쇄판 롤의 라인수나 정점면적률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폭넓은 약액의 점도에 대응하여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차 약액도포 공정에서의 약액도포는 특히 닥터 챔버를 이용한 플렉소 인쇄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닥터 챔버 형식은 아닐록스 롤(전사용 오목 롤)의 표면에 직접 약액을 도공하고 피막을 만드는 것으로, 약액에 종이가루나 에어가 혼입되기 어려워 약액의 물성이 안정되기 쉬운 특징이 있으며 또한 아닐록스 롤에서 전사되는 약액이 균일하기 때문에 저량 도포인 경우에도 적합하게 도포할 수 있다.

그라비아 인쇄 방식은 플렉소 인쇄 방식과 비교하여 롤이 금속제이기 때문에 도포량 조정의 간편성이 뒤떨어지지만 거의 같은 도포량 및 폭방향에서 도포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그라비아 인쇄 방식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차 약액도포 공정에서 약액도포를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대신에 롤 도공 방식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폭방향 도포량의 불균형을 일으켜 목표로 하는 제품 품질을 얻기 어렵다. 또 처음에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한 약액도포 공정, 그 후에 약액분무 공정을 마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제1차 약액도포로 판이 시트에 접하기 때문에 종이가루가 판에 막히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도 1은 초지한 후 1차 원단 롤을 얻는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며, 라인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며, 라인을 횡단시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며, 라인 본체만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는 접힌 티슈페이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티슈페이퍼 다발을 수납상자에 수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는 수납박스에 수납된 티슈페이퍼가 꺼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도이다.
도 7은 접기판에 관한 부위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2차 연속시트(티슈페이퍼)의 접기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2차 연속시트(티슈페이퍼)의 접기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2차 연속시트(티슈페이퍼)의 접기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나타내는 약액도포수단 주변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컨택트 엠보싱 수단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에 컨택트 엠보싱을 부여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약액공급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약액공급장치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약액공급장치의 그 외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약액공급장치의 그 외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나타나는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에서 이용되는 닥터 챔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이고, (A)는 2개의 도입부와 1개의 도출부를 가지는 구조를 나타내고, (B)는 3개의 도입부와 2개의 도출부를 가지는 구조를 나타내고, (C)는 도입부 및 도출부가 각각 같은 수 존재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12에 나타내는 약액도포수단을 다른 것으로 치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적층 연속시트(티슈페이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 약액도포 전 MD 방향 단면도, (B) 약액침투 공정 전 상면도, (C) II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본 도.
도 25는 적층 연속시트(티슈페이퍼)의 표면 요철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는 약액도포 전, (B)는 약액도포 후.
도 26은 약액침투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티슈페이퍼의 MMD치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도 1에서 나타내는 약액분무수단 주변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9는 약액분무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30은 약액분무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31은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 제1차 약액분무수단에 의한 약액분무상태의 부분확대 개략설명도이다.
도 32는 그라비아 약액도포수단예의 개략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방법]

1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조정된 지료를 헤드박스(301)로부터 와이어 파트(311)에 공급하여 습지(W)를 형성하고(포밍 공정), 이 습지(W)를 프레스 파트(321)의 펠트(322)에 전송한 후 한 쌍의 탈수 롤(323, 324)에 의해 협지하여 탈수한다(탈수 공정). 이어서 이 탈수된 습지(W)를 양키 드라이어 후드(332)로 일부 덮인 양키 드라이어(331)의 표면에 부착하여 건조시키고 닥터 블레이드(333)에 의해 박리하여 건지(S1)로 한다(건조 공정).

그리고 이 건지(S1)를 안내 롤(343, 344)에 의해 안내시키면서 와인딩 드럼(342)을 가지는 제1 권취수단(341)에 의해 건지(S1)의 이면이 1차 원단 롤(JR)의 축측에 대향하도록 건지(S1)를 감음으로써 1차 원단 롤(통칭 "점보 롤")(JR)을 형성한다(제1권취 공정). 또한 건지(S1)(후술하는 1차 연속시트(S11, S12))의 이면은 양키 드라이어(331)의 실린더와 접하고 있던 면의 반대측 면(드라이어 반대면)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초지할 때에는 지료에 예를 들어 분산제, 건조지력 증강제, 습윤지력 증강제, 유연제, 박리제, 접착제, 가성소다 등의 pH 조정제, 소포제, 방부제, 슬라임 컨트롤제, 염료 등의 적절한 약품을 첨가할 수 있다.

닥터 블레이드(333)에 의해 박리된 건지(S1)에 대해 캘린더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평활화 처리를 할 수도 있다.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상기한 제조설비·방법 등으로 제조된 1차 원단 롤(JR)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1)(플라이머신(X1))에 반입하고 적어도 2개 이상 1차 원단 롤(JR, JR)을 세팅한다.

플라이머신(X1)은 이 1차 원단 롤(JR, JR)에서 풀려나온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도시한 예에서는 2플라이로 적층한 연속시트(S2)로 하는 플라이 수단(51)을 가지고 있다.

도시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플라이 수단(51)은 한 쌍의 1차 원단 롤(JR)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S11, S12)의 표면이 각각 적층 연속시트(S2)의 표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1차 연속시트(S11, S12)의 이면이 각각 적층 연속시트(S2)의 표면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1차 연속시트(S11, S12) 중 어느 일방의 이면이 적층 연속시트(S2)의 표면이 되고 타방의 표면이 적층 연속시트(S2)의 표면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1차 연속시트(S11, S12)(건지(S1))의 표면은 건조시에 양키 드라이어(331)의 광택이 나는 면에 접하고 있는 점에서 이면에 비해 보풀이 잘 일지 않고 매끄럽기 때문에 1차 연속시트(S11, S12)(건지(S1))의 표면이 각각 적층 연속시트(S2)의 표면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플라이 수단(51)의 후단에는 플라이 수단(51)으로부터 나오는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약액을 도포하는 한 쌍의 제1차 약액분무수단(40A, 40B), 그 하류에 제2차 약액도포수단(53A, 5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2차 약액도포수단(53A, 53B)의 후단에는 병설된 복수의 커터로 이루어지고 제2차 약액도포수단(53A, 53B)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수단(55)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수단(55)의 후단에는 슬릿수단(55)에 의해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형성하는 권취수단(5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권취수단(56)은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S2)를 2차 원단 롤(R)에 안내하기 위한 2개의 와인딩 드럼(56A)를 가지고 있어서 이 2개의 와인딩 드럼(56A)이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에 접하여 적층 연속시트(S2)를 안내하고 있다.

(캘린더 수단)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1)에는 적층 연속시트(S2)를 캘린더 처리하는 캘린더 수단(52)을 1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캘린더 수단(52)에서 캘린더의 종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면의 평활성 향상과 종이두께 조정의 이유로부터 소프트 캘린더 또는 칠드 캘린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캘린더는 우레탄고무 등의 탄성재를 피복한 롤을 이용한 캘린더이며, 칠드 캘린더는 금속 롤로 이루어지는 캘린더를 말한다.

캘린더 수단(52)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복수 설치하면 가공속도가 빠르더라도 충분히 평활화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는 한편, 공간적으로 불리해진다.

2개 이상의 캘린더 수단(52)을 설치하는 경우, 수평 방향, 상하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병설할 수 있으며 이 설치 방향을 섞어서 배치해도 된다. 수평 방향으로 병설하면 끼인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병설하면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끼인각도란 롤의 축중심에서 보았을 때 시트가 접하고 있는 공간(축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원호의 일부)의 각도를 의미하고 있다(이하 동일).

캘린더 처리 조건에서의 캘린더 종별, 닙선압, 닙수 등도 제어요인으로 하여 초지하도록 하고, 이 제어요인들은 요구하는 티슈페이퍼의 품질, 즉 종이두께나 표면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캘린더 수단(52)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라이 수단(51)의 후단이면서 제1차 약액분무수단(40A, 40B)의 전단이 바람직하다. 제2차 약액도포수단(53A, 53B)의 후단이면서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의 전단으로 할 수 있지만, 약액이 도포된 섬유의 간극을 압착하게 되어 부피를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다.

(약액분무수단)

제1차 약액분무수단(40A, 40B)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나중에 도시하면서 설명하는 노즐식 분무 방식에 의한 경우 외에 로터 댐프닝 분무 방식에 의한 경우여도 된다.

이 중 노즐식 분무 장치에서 분무용 노즐의 형식으로는 환형으로 분무하는 중공원추형 노즐, 원형으로 분무하는 충원추형 노즐, 정사각형으로 분무하는 충각추형, 충구형 노즐, 부채형 노즐 등을 들 수 있으며, 약액이 건지(S2)의 폭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무되도록 노즐지름, 노즐수, 노즐 배열 패턴, 노즐 배치수, 혹은 분무거리, 분무압력, 분무각도 및 분무액의 농도, 점도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노즐식 분무 장치에서 무화(霧化)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1유체 방식 또는 2유체 방식의 2 종류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1유체 분무 방식은 분무하는 약액에 대해 압착공기를 이용하여 직접 압력을 가하여 노즐로부터 무적분사하거나 또는 분출구 부근의 노즐 측면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노즐 내로 공기를 흡인하여 무적분사하는 방식이다. 또 2유체 분무 방식은 노즐 내부에서 압착공기를 분무하는 액체와 혼합, 미립화하는 내부 혼합형, 노즐 외부에서 압착공기를 분무하는 액체와 혼합, 미립화하는 외부 혼합형, 미세무화된 무적입자를 서로 충돌시켜 무적입자를 더욱 균질화·미립자화하는 충돌형 등의 방식을 들 수 있다.

한편 로터 댐프닝 도포장치에 대해서는 고속회전하는 원반 위에 분무하는 액을 송출하고 원반의 원심력에 의해 액을 미세무적화하는 장치이며, 원반의 회전수 변경에 의해 무적입자 지름을 제어하고 원반 위에 대한 송액량 변경에 의해 분무액량(부여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로터 댐프닝 도포장치는 적은 양의 분무액량을 무적의 비산을 억제하면서 종이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분무속도나 스프레이 입자 지름 등의 조정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약액을 건지(S2) 표면에 균일하게 분무 부여하기 위해서는 무화된 약액의 무적입자 지름은 가능한 한 미소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적이 너무 미세해지면 분무한 공기가 튀거나 건지(S2) 표면에 수반되는 공기 등에 의해 무적이 밀려서 특히 건지(S2)의 주행속도가 빠른 경우 등에서는 무적이 건지(S2)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분무 부여 방식에서는 분무거리, 분무압력, 분무각도, 분무속도를, 그리고 2유체 방식의 경우에는 분무용 약액과 압착공기의 혼합비 및 약액의 농도나 점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부여 조건에 적합한 입자 지름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분무시에 수반공기의 영향이 큰 경우에는 수반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인장치나 방해판(정류판) 등의 설치 및 분무노즐 선단에 고전압을 가하여 무적입자를 대전시켜서 안료 도피지에 대한 무적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하전전극(정전 분무 방식) 등을 추가해도 된다.

건지(S2) 표면에 도포되지 않고 미스트로서 부유하고 있는 무적입자는 흡인·회수하여 다시 분무할 수 있다.

도 28에는 노즐식 분무 방식, 특히 2유체 방식의 약액분무수단(40A, 40B)의 예를 나타냈다. 이 약액분무수단(장치)(40A, 40B)은 중심에 약액 통로(40a), 그 주위에 에어 통로(4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약액 통로(40a)의 선단에서 분출된 약액을 에어 통로(40b)에서 토출된 에어에 의해 미세무화하는 것으로, 거의 원추형상으로 약액을 분무하도록 한 것이다. 부호 40c는 외부의 보호 케이싱이며, 종이가루 등으로부터 노즐을 보호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퍼지 에어 통로(40d)를 통과하는 에어에 의해 노즐을 청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약액분무수단(40A, 40B)은 건지(S2)의 폭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무한 약액이 튀거나 건지(S2) 표면에 수반되는 공기 등에 의해 무적이 밀려서 특히 건지(S2)의 주행속도가 빠른 경우 등에서는 무적이 건지(S2)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필요하다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유체 방식 또는 2유체 방식의 약액분무수단(분무 노즐)(40A, 40B)의 주위로부터, 케이싱(40e)에 형성한 에어 공급로(40f)에서 분출시키는 에어에 의해 약액분무수단(분무 노즐)(40A, 40B)으로부터의 분무 약액을 둘러싸면 약액을 건지(S2)에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도 30에는 로터 댐프닝 도포장치(40X)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덮개수납실(40p) 내에 회전 로터(40o)를 형성하고 그 회전 로터(40o)의 분출구(40q)로부터 약액을 건지(S2)에 분무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제1차 약액분무수단(40A, 40B)에서의 건지(S2)에 대한 약액의 부여량은 0.5~1.5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2g/㎡이다. 제2 약액도포수단(53A, 53B)에서의 약액의 부여량도 0.5~1.5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2g/㎡이다. 따라서 1플라이에 대해 합계로 1.0~3.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플라이의 제품을 얻는 경우에는 2플라이 합계로 2.0~6.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5~5.0g/㎡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차와 제2차 사이에서 약액부여량의 밸런스를 상기 비율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제1차 약액분무수단(40A, 40B)과 제2 약액도포수단(53A, 53B) 사이에서 도포량에 차이가 있어도 도포 후에 2차 원단 롤(R)로 하여 보관되고 나서 접기가공될 때까지의 시간(8시간 이상) 내에 플라이 상호가 접하고 있는 점에서 점점 약액이 침투 확산되어 양자의 약액부여량이 균등화되어 플라이 간의 부여량 차는 작아진다.

(약액)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액은 친화성을 위하여 제1차 약액분무수단(40A, 40B) 및 제2차 약액도포수단(53A, 53B)에서 공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차 약액도포수단(53A, 53B)에 의해 약액을 고속도포하는 관점에서 점도가 40℃에서 1~700mPa·s, 특히 50~400mPa·s(40℃)인 것이 바람직하다. 1mPa·s보다 작으면 아닐록스 롤이나 쇄판 롤 등의 롤 위에서 약액이 비산되기 쉬워지고, 반대로 700mPa·s보다 크면 각 롤이나 연속시트에 대한 도포량을 컨트롤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약액은 특히 수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성분으로서 폴리올을 70~90%, 수분을 1~15%, 기능성 약품을 0.01~22%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유도체 등의 다가 알코올, 소르비톨,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토오스, 말티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를 포함한다.

기능성 약제로는 유연제, 계면활성제, 무기 및 유기 미립자 분체, 유성 성분 등이 있다. 유연제, 계면활성제는 티슈에 유연성을 주거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한다. 무기 및 유기의 미립자 분체는 표면을 매끄러운 촉감으로 한다. 유성 성분은 활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으며, 유동 파라핀,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약제로서 폴리올의 보습성을 유지시키는 약제로서 친수성 고분자 겔화제,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케라틴, 가수분해 실크,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 세라마이드 등의 1종 이상으로 임의의 조합 등의 보습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약제로서 향료, 각종 천연추출물 등의 에몰리엔트제, 비타민류, 배합성분을 안정시키는 유화제, 약액의 발포를 억제하고 도포를 안정시키기 위한 소포제, 곰팡이방지제, 유기산 등의 소취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 비타민 C, 비타민 E의 항산화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상기 성분 중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약액의 점도, 도포량을 안정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약액도포시의 온도는 30℃~60℃, 바람직하게는 35℃~5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연속시트(S2)를 구성하는 각 1차 연속시트의 크레이프율에 차이를 두는 경우 크레이프율이 높은 쪽인 1차 연속시트측(도시한 예에서는 1차 연속시트(S11) 측)에 더 많은 약액을 도포하는 것도 제안된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2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2개의 제2차 약액도포수단 중 1차 연속시트(S11)에 직접 약액을 도포하는 제2차 약액도포수단(53B)이 타방의 제2차 약액도포수단(53A)보다 많은 약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약액도포수단(53A, 53B) 상호간에 도포량에 차이가 있어도 도포 후에 2차 원단 롤(R)로 하여 보관되고 나서 접기가공될 때까지의 시간(8시간 이상) 내에 플라이 상호가 접하고 있는 점에서 점점 약액이 침투 확산되어 양자의 약액부여량이 균등화되어 플라이 간의 부여량 차는 작아진다.

도 24(A)는 약액도포 전의 2플라이로 적층된 적층 연속시트(S2)의 단면도이다(MD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도). 2플라이로 적층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에 약액을 도포할 때 양면의 약액량에 차이를 두고 도면 중에서는 1차 연속시트(S11)의 측에 약액을 많이 도포한다. 약액을 도포한 후 적층 연속시트(S2)가 완전히 신장되기 전에 컨택트 엠보싱(CE)에 의해 적층을 일체화하고 슬릿수단(55)에 의해 제품 폭으로 커트한다(도 24(B)). 그 후 적층 연속시트(S2)를 권취수단(56)으로 감고, 약액을 침투시키기 위해 정치된다.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으로 약액이 도포된 적층 연속시트(S2)를 구성하는 1차 연속시트(S11, S12)는 주로 MD 방향으로 신장된다. 그 때, 보다 많은 약액이 도포된 1차 연속시트(S11)가 타방의 1차 연속시트(S12)보다 신장율이 커지지만, 1차 연속시트(S11, S12)는 컨택트 엠보싱(CE)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신장된 1차 연속시트(S11)의 표면에 주름이 생긴다(24(C)). 적층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크레이프율에도 차이를 두어 1차 연속시트(S11)에 크레이프율이 높은 원지를 사용하면 1차 연속시트(S11)와 1차 연속시트(S12)의 신장율에 더욱 차이를 줄 수 있다.

크레이프는 양키 드라이어(115)로 원지를 건조시킨 후 닥터 블레이드(117)에 의해 양키 드라이어(115)로부터 박리한 다음 드라이어 스피드와 권취 스피드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이 크레이프는 양키 드라이어(115)에 대한 종이의 점착에 의해 형상을 조정하는데, 이 점착에 약간의 불균일이 있거나 섬유원료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미크로적인 시야에서 보면 입체적으로 크레이프 형상에는 약간의 불균형이 존재한다. 이 불균형은 크레이프율이 커질수록 현저해진다.

이 크레이프의 불균형과 함께 약액을 도포했을 때의 신장에도 불균형이 생기고 이것이 3차원적으로 미세한 파형으로 형성된다. 이 파형은 원단 시즈닝시에는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현재화(顯在化)되지 않지만, 제품으로 가공하고 재단한 후에 복원하여 현재화한다. 시트에 대한 약액의 도포량이 많을수록 크레이프가 클수록 크레이프 형상의 변화, 시트의 파형은 크고, 반대로 시트에 대한 약액의 도포량이 적을수록 크레이프가 작을수록 크레이프 형상의 변화, 시트의 파형은 작다. 이 때문에 도포량뿐만 아니라 크레이프율을 바꾸는 것에 의해 부피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품질에 대하여, 크레이프율이 다른 1차 연속시트(S11, S12)를 적층하여 제품화한 경우, 약액도포를 하지 않으면 제품인 티슈페이퍼는 양면에서 벌크감이 상이한 것이 된다(도 25(A)). 그러나 표면의 요철이 보다 큰(크레이프율이 높은) 1차 연속시트(S11)에 의해 많은 약액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1차 연속시트(S11)는 1차 연속시트(S12)보다 높은 신장율로 신장하지만 컨택트 엠보싱에 의해 MD 방향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도시생략) 1차 연속시트(S11)는 파형이 생기고 적층시트의 부피가 증가한다(도 25(B)).

약액도포량에 차이를 두는 것에 의해 제품의 양면에서 촉감, 사용감이 다를 우려가 있지만, 2차 원단 롤(R)을 다음 공정(접기가공 등)에 제공하기 전에 롤 상태로 정치시키는 것에 의해 약액도포량이 다른 1차 연속시트(S11, S12)의 표면이 서로 대립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약액 침투 공정, 도 26), 연속시트 간의 약액 성분이 조금씩 전이하고(도면 중 회색 화살표), 그 차이는 시즈닝 중에 점점 경감된다. 그리고 도 26 중의 흰색 화살표는 약액성분의 침투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으로는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이 이용된다. 이 때 시트의 가공속도는 100~1100m/분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350~1050m/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450~1000m/분으로 한다. 100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낮고, 반대로 1100m/분 이상이면 도포 불균일이 많이 생기고 약액의 비산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플렉소 인쇄 방식의 경우, 플렉소 쇄판 롤의 라인수는 10~60개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5~4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20~35개으로 한다. 라인수가 10개 미만이면 도포 불균일이 많이 생기고 반대로 라인수가 60개를 초과하면 종이가루로 막히기 쉬워진다. 아닐록스 롤의 라인수는 10~300개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5~20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0개로 한다. 라인수가 10개 미만이면 도포 불균일이 많이 생기고 반대로 라인수가 300개를 초과하면 종이가루로 막히기 쉬워진다. 아닐록스 롤의 셀 용량은 10~100cc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5~70cc, 특히 바람직하게는 30~60cc로 한다. 셀 용량이 10cc 미만이면 원하는 도포량을 얻을 수 없고 반대로 셀 용량이 100cc를 초과하면 약액의 비산량이 많아진다.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은 가공속도가 고속이라 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의 전후에 배치되는 수단(도 11의 예에서는 캘린더 수단(52) 및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은 서로 근접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야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적층 연속시트(S2)를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직접 이송하여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S2)를 통과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약액도포의 유무를 용이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내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1)에서는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도 11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연속시트(S2)를 캘린더 수단(52)으로부터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 직접 이송하여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S2)를 보내기만 하면 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1>

여기에서는 플렉소 인쇄 방식에서의 닥터 챔버 형식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닥터 챔버 형식이 되는 약액도포부(53A)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닥터 챔버(61A)가 회전가능한 아닐록스 롤(63A)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 닥터 챔버(61A)로부터 아닐록스 롤(63A)에 약액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아닐록스 롤(63A)과 접하고 적층 연속시트(S2)의 일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A)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 아닐록스 롤(63A)로부터 쇄판 롤(64A)에 약액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게다가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이 쇄판 롤(64A)과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A)로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쇄판 롤(64A)로부터 적층 연속시트(S2)에 약액을 도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A)가 후술하는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의 롤러(54A)와 대향하고 상기한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한 닥터 챔버(61A)에 대해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도시생략) 및 이 닥터 챔버(61A)로부터 약액을 되돌려보내기 위한 배출 공급 펌프(도시생략)가 닥터 챔버(61A)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닥터 챔버 형식이 되는 약액도포부(53B)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닥터 챔버(61B)가 회전가능한 아닐록스 롤(63B)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 닥터 챔버(61B)로부터 아닐록스 롤(63B)에 약액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아닐록스 롤(63B)와 접하고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 아닐록스 롤(63B)로부터 쇄판 롤(64B)에 약액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게다가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이 쇄판 롤(64B)과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B)로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쇄판 롤(64B)로부터 적층 연속시트(S2)에 약액을 도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B)가 롤러(54A)와 대향하지 않고 상기한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지 않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한 닥터 챔버(61B)에 대해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도시생략) 및 이 닥터 챔버(61B)로부터 약액을 되돌려보내기 위한 배출 공급 펌프(도시생략)가 닥터 챔버(61B)에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에 약액도포부(53A) 및 약액도포부(53B)로부터 약액이 각각 도포되는데, 이 때 약액도포부(53A)에 의한 롤러(54A)와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측의 도포량을 약액도포부(53B)에 의한 다른 면측의 도포량에 대해 적게 하면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양면의 합계 도포량을 2.5~5g/㎡로 하고 다시 플라이원단 롤인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의 도포량을 2차 원단 롤(R)의 내주면의 도포량보다 적게 하는 경우 종이의 양면에 대한 약액의 합계 도포량 중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에 대한 도포량은 전체의 20% 이상 50% 미만이 좋지만, 구체적인 값은 2차 원단 롤(R)의 매끄러움과 품질의 밸런스, 시트의 두께나 약액의 침투성, 전이성에 따라 최적조건이 다르므로 상기 범위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면당 도포량을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플렉소판의 라인수를 15~40개 정도, 정점면적률을 20~40% 정도의 약액이 비산하지 않을 정도로 성글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포 직후에는 도트무늬가 남아 순간적으로 도포부분과 미도포부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하면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판이 수지이며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위생용 박엽지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인쇄압으로 조정가능해지므로 적층 연속시트(S2)에 주름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가공속도가 고속이라 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연속시트(S2)를 700m/분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900m/분 이상의 속도로 반송하면서 약액이 되는 약액을 후술하는 범위의 도포량으로 도포할 때에도 도포가 균일하고 사행 없이 적층 연속시트(S2)를 감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 부수되는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의 조건으로는 이하의 것이 있다.

2롤 플렉소 형식의 제2차 약액도포수단에서는 약액 탱크 등의 도포장치 내에서 순환하는 약액에 포함되는 종이가루나 에어의 여과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닥터 챔버 형식의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으로 한 경우 종이가루 등이 적어지므로 여과장치의 부하가 경감된다. 그리고 닥터 챔버(61A, 61B) 등의 도포장치 내에서 약액의 온도를 컨트롤하고 약액 점도를 안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닥터 챔버(61A, 61B)에 연결되는 중간 탱크 및 배관에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조업 중에 적층 연속시트(S2)의 폭방향의 수분율로 도포량을 관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적외선 검사기 등을 이용하여 항상 폭방향의 수분량과 불균형을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쇄판 롤(64A 및 64B)에 접하여 다수의 브러시를 가지는 브러시 롤(69A 및 69B)을 형성하여 항상 쇄판 롤(64A 및 64B)도 부착하려고 하는 종이가루를 긁어내도록 하면 쇄판 롤(64A 및 64B) 및 아닐록스 롤(63A 및 63B)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조업이 가능해진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구조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시한 약액공급장치(100)는 상기한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을 구성하는 닥터 챔버 형식의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2개의 약액도포부(53A, 53B)의 일방에 대한 것으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약액공급장치(100)의 좌우 방향을 X축 방향, 상하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약액공급장치(100)는 약액(L)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110)와, 저장 탱크(110) 내의 약액(L)을 밀어내는 압출부(120)와, 압출부(120)에서 밀려나온 약액(L)을 저장하는 닥터 챔버(130)와, 닥터 챔버(130)에 저장되는 약액(L)의 일부를 탱크(110)에 끌어들이는 인입부(140)와, 닥터 챔버(130)에서 공급되는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의 표면에 전사시키는 약액 전사부(150)과, 적층 연속시트(S2)를 둘레면에 감아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닥터 챔버(61A, 61B)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닥터 챔버(130)가 되고, 상기한 탄성 롤(65A, 65B)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운동부(160)가 된다.

저장 탱크(110)는 내부에 약액(L)을 저장하는 탱크이며, 후술하는 압출부(120)의 압출호스(121)와 인입부(140)의 인입호스(141)가 액층 내에 삽입되어 있다.

압출부(120)는 예를 들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된 압출호스(121)와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약액(L)을 밀어내어 닥터 챔버(130)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122)와 공급 펌프(122)에 의한 약액(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밸브(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출호스(121)는 일단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되고 타단이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와 접속된 호스이며, 저장 탱크(110) 내의 약액(L)을 반송하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공급 펌프(122)는 압출호스(121)에 장착되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저장 탱크(110) 내의 약액(L)을 닥터 챔버(130)에 가압송급한다. 조정 밸브(123)는 공급 펌프(122)에 의해 밀려나오는 약액(L)의 유량을 밸브의 개폐로 조정한다.

인입부(140)는 예를 들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된 인입호스(141)와 저장 탱크(110)에 약액(L)을 끌어들이는 흡인 펌프(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입호스(141)는 일단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닥터 챔버(130)의 도출부(133)와 접속된 호스이며, 도출부(133)에서 도출되는 약액(L)을 저장 탱크(110)에 반송하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흡인 펌프(142)는 인입호스(141)에 장착되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도출부(133)에서 도출되는 약액(L)을 흡인시켜 저장 탱크(110)(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닥터 챔버(61A, 61B)에 대해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약액(L)을 밀어내어 닥터 챔버(130)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122)가 되고, 상기한 닥터 챔버(61A, 61B)로부터 약액을 되돌려보내기 위한 배출 공급 펌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 탱크(110)에 약액(L)을 끌어들이는 흡인 펌프(142)가 된다.

닥터 챔버(130)는 후술하는 아닐록스 롤(151)에 인접 배치되어 약액(L)을 저장하는 본체부(131)와, 압출부(12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도입부(132)와, 인입부(14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도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31)는 닥터 챔버(130)의 본체부분이며, 저장부(131a)와 블레이드(131b, 13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31a)는 아닐록스 롤(151) 측의 단부가 개구되고 도입부(132) 및 도출부(133)와 연결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약액(L)을 아닐록스 롤(151)에 공급한다. 그리고 아닐록스 롤(151)에 대한 공급량이 일정해지도록 도입부(132)로부터 저장부(131a)에 도입되는 약액(L)의 일부가 도출부(133)를 통하여 도출됨으로써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아닐록스 롤(63A, 63B)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닐록스 롤(151)이 되게 된다.

블레이드(131b, 131c)는 아닐록스 롤(151)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아닐록스 롤(151)에 눌린 상태로 약액(L)의 폭을 좁힌다.

도입부(132)는 일단이 본체부(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압출부(120)의 압출호스(121)에 접속되어 압출부(12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관형 조인트이며, 공급 펌프(122)에 의해 공급된 약액(L)을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에 도입할 수 있다.

도출부(133)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133a)와 구멍부(133b)와 튜브(13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인트(133a)는 일단이 본체부(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인입부(140)의 인입호스(141)에 접속되어 인입부(14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관형 조인트이다.

구멍부(133b)는 조인트(133a)의 상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분이다.

즉, 조인트(133a)에 구멍부(133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인트(133a) 내의 약액(L)은 외기와 접촉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입부(132)에서 도입한 약액(L)의 일부를 배출(도출부(133)으로부터 도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 흡인 펌프(142)로 약액(L)을 흡인해도 상기 구멍부(133b)에 의해 약액(L)이 외기와 접촉하여 내압을 외기압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구멍부(133b)는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이 억제되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본체부(131)의 상면에 저장부(131a)에 연통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튜브(133c)는 구멍부(133b)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방으로 늘어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튜브형 부재이다. 그 때문에 도입부(132)에서 도입한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 약액(L)이 구멍부(133b)를 통해 그 튜브(133c) 내로 유입되는지 아닌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튜브(133c) 내로 유입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저장부(131a)에 저장되는 약액(L)의 양이 과다해져 있다는(아닐록스 롤(151)에 대해 약액(L)이 과공급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다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그 과다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튜브(133c)는 내부가 공동이고 상단측이 외기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멍부(133b)의 작용을 상쇄해 버리는 일은 없다.

약액 전사부(150)는 예를 들어 닥터 챔버(130)에서 약액(L)이 공급되는 아닐록스 롤(151)과 아닐록스 롤(151) 및 후술하는 회전운동부(160) 사이에 형성된 쇄판 롤(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한 쇄판 롤(64A, 64B)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쇄판 롤(152)이 된다.

아닐록스 롤(151)은 닥터 챔버(130)의 블레이드(131b, 131c)와 맞닿도록 형성되며, 닥터 챔버(130)의 저장부(131a)의 개구에서 공급되는 약액(L)이 둘레면에 흡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닐록스 롤(151)은 원주형을 이루며, XY 평면에 직교하는 축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둘레면에 흡착된 약액(L)은 회전운동에 의해 쇄판 롤(152)에 전사시킬 수 있다.

쇄판 롤(152)은 둘레면이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원주형을 형성하며, 좌우 단부의 둘레면(도 14에 나타내는 점 P1, 점 P2)이 아닐록스 롤(151) 및 회전운동부(160)에 권취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둘레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며 XY 평면에 직교하는 축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쇄판 롤(152)은 좌단에서 맞닿는 회전운동부(160)가 r1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r2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우단에서 맞닿는 아닐록스 롤(151)을 r1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즉, 쇄판 롤(152)은 아닐록스 롤(151)의 둘레면에 흡착된 약액(L)을 점 P2에서 취득하고 r2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점 P1까지 반송하여 적층 연속시트(S2)에 전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아닐록스 롤(151)에 의해 흡착된 약액(L)이 아닐록스 롤(151)의 둘레면 위에 층형으로 불균일하게 남아 버리는 경우에도 쇄판 롤(152)의 둘레면에 이송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S2)에 약액(L)을 균일하게 전사할 수 있다.

회전운동부(160)는 쇄판 롤(152)에 인접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으로부터 구동력이 부여됨으로써 XY 평면에 직교하는 축둘레(예를 들어 도 14의 r1 방향)로 회전운동하는 원주형 부재이며, 둘레면에서 적층 연속시트(S2)를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운동부(160)는 r1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공급되는 적층 연속시트(S2)를 둘레면에 감는 동시에 쇄판 롤(152) 및 아닐록스 롤(151)을 회전운동시켜 점 P1 위치까지 반송한 시점에서 쇄판 롤(152)에서 약액(L)을 전사시킬 수 있다.

단 회전운동부(160)의 회전운동의 방향은 도 14에서 r1 방향으로 하였지만 r2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해도 물론 된다. 이 경우 아닐록스 롤(151) 및 쇄판 롤(152)은 도 14와는 역방향(즉, 아닐록스 롤(151): r2 방향, 쇄판 롤(152): r1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약액공급장치(100)에 의한 약액(L)의 순환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급 펌프(122)를 구동시키고 저장 탱크(110)에서 약액(L)을 밀어내어 압출호스(121) 및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를 통해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에 공급한다.

이어서 회전운동부(160)를 회전운동시켜 아닐록스 롤(151)에 저장부(131a)에 있는 약액(L)을 공급하고 쇄판 롤(152)을 통해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 위에 전사시킨다.

그리고 흡인 펌프(142)를 구동시키고 도출부(133)를 통해 저장부(131a)에 있는 약액(L)의 일부를 저장 탱크(110)를 향해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이 때 도출부(133)의 조인트(133a) 내에서 구멍부(133b)를 통한 외기 접촉에 의해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이 억제된다.

또 상기 순환시에 약액(L)이 튜브(133c) 내로 유입된 것이 확인된 경우,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유량을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약액공급장치(100)에 의하면, 약액(L)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110)와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약액(L)을 닥터 챔버(130)의 본체부(131)에 압출호스(121)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 펌프(122)와 닥터 챔버(130)의 본체부(131)에 저장된 약액(L)을 흡인시켜 저장 탱크(110)(외부)에 인입호스(141)를 통해 배출시키는 흡인 펌프(142)를 구비하고, 닥터 챔버(130)는 압출호스(121)와 본체부(131)를 연결하고 공급 펌프(122)에 의해 공급된 약액(L)을 본체부(131)에 도입하는 도입부(132)와 인입호스(141)와 본체부(131)을 연결하고 도입부(132)에서 본체부(131)로 도입된 약액(L)의 일부를 도출하기 위한 관형 조인트(133a)를 구비한 도출부(133)를 가지며, 도출부(133)의 조인트(133a)의 상면에 구멍부(13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약액공급장치(100)에서는 도출부(133)의 조인트(133a)의 상면에 구멍부(133b)가 구비된다. 그 때문에 흡인 펌프(142)를 이용하여 본체부(131) 내의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할 때, 상기 구멍부(133b)에 의해 약액(L)이 외기 접촉하므로 흡인 펌프(142)의 동작에 기인한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할 때 흡인 펌프(14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액(L)을 자연낙하시키기 위한 유로는 필요없고 탱크(110)의 설치위치도 특별히 닥터 챔버(130)의 상방 등으로 한정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약액공급장치(100)는 닥터 챔버(130)로부터 약액(L)을 빼낼 때의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을 억제하는 동시에 최대한 공간을 절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약액공급장치(100)라고 말할 수 있다.

또 닥터 챔버(130)는 구멍부(133b)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방으로 늘어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튜브(133c)를 구비한다.

즉, 도입부(132)에서 도입된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 약액(L)이 구멍부(133b)를 통해 그 튜브(133c) 내로 유입되는지 아닌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튜브(133c) 내로 유입된 것이 확인된 경우는 저장부(131a)에 저장되는 약액(L)의 양이 과다해져 있다는(아닐록스 롤(151)에 대해 약액(L)이 과공급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다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그 과다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튜브(133c)의 상단(자유단)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형성함으로써 구멍부(133b)에 대한 종이가루 등 이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3의 약액공급장치(200)에 대해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에서는 구멍부(133b)에 연결된 튜브(133c) 내에 대한 약액(L)의 유입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아닐록스 롤(151)에 대해 약액(L)이 과공급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지만, 본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200)에서는 상기 상태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판별결과를 알리도록 구성한다.

이하의 약액공급장치(200)의 설명에서는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일치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도출부(233)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133a)와 구멍부(133b)와 구멍부(133b)의 상방에 형성된 원통형부(133d)와 원통형부(133d)에 장착된 센서부(133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통형부(133d)는 구멍부(133b)의 둘레면에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해 고착 접속되며 상방으로 늘어난 원통형의 부재이다.

센서부(133e)는 원통형부(133d)에 형성된 센서(133f)와 센서(133f)에 장착되며 센서(133f)의 검지에 연동하여 알리는 알림부(133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133f)는 예를 들어 피검지체를 향해 발광하는 발광소자(도시생략)와 피검지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도시생략)를 포함하며, 수광소자로부터의 반사광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그 센서(133f)가 형성된 높이위치(도 16에 나타내는 y1)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알림부(133g)는 예를 들어 스피커 등이며,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하는 약액(L)의 높이가 상기 센서(133f)가 형성된 높이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된 경우 음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입부(132)에서 도입된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이 상기 높이위치에 이르렀는지 아닌지 검지함으로써 저장부(131a)에 저장되는 약액(L)의 양이 과다하게 되어 있는지(아닐록스 롤(151)에 대해 약액(L)이 과공급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다상태에 이르렀을 경우 사용자는 알림부(133g)에 의해 그것을 알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과다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원통형부(133d)는 내부가 공동이고 상단측이 외기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부(133b)의 작용을 상쇄해 버리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약액공급장치(200)에 의한 약액(L)의 순환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급 펌프(122)를 구동시켜서 저장 탱크(110)로부터 약액(L)을 밀어내고 압출호스(121) 및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를 통하여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에 공급한다.

이어서 회전운동부(160)를 회전운동시켜서 아닐록스 롤(151)에 저장부(131a)에 있는 약액(L)을 공급하고, 쇄판 롤(152)을 통해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 위에 전사시킨다.

그리고 흡인 펌프(142)를 구동시키고 도출부(233)를 통해 저장부(131a)에 있는 약액(L)의 일부를 저장 탱크(110)를 향하여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이 때 도출부(233)의 조인트(133a) 내에서 구멍부(133b)에서의 외기 접촉을 통해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시에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센서(133f)가 형성된 높이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되어 알림부(133g)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것이 알려진 경우,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유량을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약액공급장치(200)에 의하면, 닥터 챔버(130)는 구멍부(133b)의 둘레면에 하단이 접속되고 상방으로 연신한 원통형의 원통형부(133d)와, 원통형부(133d)에 형성되며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위치(센서(133f)가 형성된 높이위치)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센서(133f)와,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상기 소정의 높이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된 경우에 알리는 알림부(133g)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약액공급장치(200)에 의하면 약액공급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물론, 약액(L)을 순환시킬 때 센서(133f) 및 알림부(133g)에 의해 아닐록스 롤(151)에 대해 약액(L)이 과공급상태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판별결과를 알릴 수 있으므로, 상기 상태판별을 사용자 스스로 해야 하는 부담이 경감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4의 약액공급장치(300)에 대해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 및 실시형태 3의 약액공급장치(200)에서는 구멍부(133b)의 개구량은 고정치가 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300)에서는 그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의 약액공급장치(300)의 설명에서는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 및 실시형태 3의 약액공급장치(2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일치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도출부(333)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133a)와 원통형부(133d)와 센서부(133e)와 원통형부(133d)에 장착된 조정부(133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정부(133h)는 예를 들어 니들 밸브이며, 조인트(133a)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로서의 구멍부(133j)와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밸브 본체(133i)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멍부(133j)는 소정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개구의 주위가 오리피스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본체(133i)는 상기 구멍부(133j)의 개구의 상방에 배치되며 선단이 테이퍼형이면서 상하운동 가능한 니들축(도시생략)을 구비하고, 그 니들축을 상하운동시켜서 구멍부(133j)의 구멍과 접촉할 때의 개방도에 따라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정부(133h)에 의해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약액(L)을 순환시킬 때 닥터 챔버(131) 내의 내압변동량에 따라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센서부(133e)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센서(133f)가 형성된 높이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된 경우,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압출량을 조정함으로써 대처할 뿐만 아니라 조정부(133h)에 의한 구멍부(133j)의 개구량 조정에 의해 구멍부(133j)에 의한 에어제거 능력을 높여서(외기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여)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을 억제한다고 하는 대처를 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내압변동을 억제함으로써 내압변동에 의해 초래되는 닥터 챔버(130) 내로부터의 약액(L)의 분출이나 아닐록스 롤(151) 위에 있는 약액(L)이 닥터 챔버(130) 측으로 빨려들어가는 일 등이 바람직하게 방지되므로 약액(L)의 순환이 촉진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약액공급장치(300)에 의한 약액(L)의 순환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급 펌프(122)를 구동시키고 저장 탱크(110)에서 약액(L)을 밀어내어 압출호스(121) 및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를 통해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에 공급한다.

이어서 회전운동부(160)를 회전운동시켜서 아닐록스 롤(151)에 저장부(131a)에 있는 약액(L)을 공급하고, 쇄판 롤(152)를 통해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 상에 전사시킨다.

그리고 흡인 펌프(142)를 구동시키고 도출부(333)를 통해 저장부(131a)에 있는 약액(L)의 일부를 저장 탱크(110)를 향해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상기 순환시에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센서(133f)가 형성된 높이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되어 알림부(133g)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것이 알려진 경우, 조정 밸브(123)의 조작 또는 조정부(133h)에 의한 구멍부(133j)의 개구량 조정에 의해 대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약액공급장치(300)에 의하면, 닥터 챔버(130)는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조정부(133h)를 구비한다.

즉, 약액공급장치(300)에 의하면 약액공급장치(100)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물론 상기 조정부(133h)에 의해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약액(L)을 순환시킬 때 닥터 챔버(131) 내의 내압변동량에 따라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변동을 한층 더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에서는 압출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 및 압출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를 닥터 챔버(130)가 각 하나만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는 각 예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8(A)에서는 대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R0) 둘레로 회전하는 아닐록스 롤(151)을 따라 대폭의 직사각형으로 외부 프레임이 형성된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의 좌우단 부근 개소에 각각 압출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닥터 챔버(130)의 중앙부에 인입호스(141)에 연결되는 하나의 도출부(133)가 존재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도 하다.

즉, 도 18(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압출호스(121)가 각각 2개의 도입부(132)에 연결되어 약액(L)을 닥터 챔버(130)의 좌우단 부근으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저장 탱크(110) 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L)을 닥터 챔버(130) 내에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중앙부의 도출부(133)로부터 넘친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 도 18(B)에서는 대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R0) 둘레로 회전하는 아닐록스 롤(151)을 따라 대폭의 직사각형으로 외측 프레임이 형성된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의 좌우단 부근 개소 및 중앙부 개소에 각각 압출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의 좌우측 개소에 각각 인입호스(141)에 연결되는 2개의 도출부(133)가 존재하는 구조로도 되어 있다.

즉, 도 18(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도입부(132) 각각의 사이에 2개의 도출부(133)가 각각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어 3개의 압출호스(121)가 각각 3개의 도입부(132)에 연결되어 약액(L)을 닥터 챔버(130)의 좌우단 부근 및 중앙부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저장 탱크(110) 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L)을 닥터 챔버(130) 내에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2개의 도출부(133)로부터 넘친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한편 도 18(C)에서는 대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R0) 둘레로 회전하는 아닐록스 롤(151)을 따라 대폭의 직사각형으로 외측 프레임이 형성된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을 따른 등간격으로 도면의 상측쪽의 복수 개소에 각각 압출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입부(132)에 인접한 닥터 챔버(130)의 도면 하측쪽 개소에 각각 인입호스(141)에 연결되는 복수의 도출부(133)가 존재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도 하다.

즉, 도 18(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도입부(132)에 압출호스(121)로부터 각각 약액(L)이 공급되는 동시에 이 도입부(132)에 각각 인접하고 있는 복수의 도출부(133)로부터 넘친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도 저장 탱크(110) 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L)을 닥터 챔버(130) 내에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도출부(133)로부터 넘친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개량 및 설계 변경을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약액공급장치(100)에서 튜브(133c)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는 구멍부(133b)의 상부에 에어필터를 설치하여 구멍부(133b)로 종이가루 등의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구멍부(133b)는 저장부(131a)에 있는 약액(L)의 액면보다 상방이라면 본체부(131)의 측면에 형성해도 된다.

<플렉소 2롤 전사 형식의 실시형태>

여기에서는 플렉소 인쇄 방식에서의 2롤 전사 형식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플렉소 인쇄 방식인 약액도포부(53A)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약액 탱크(66A)에 딥 롤인 스퀴지 롤(62A)이 잠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약액 탱크(66A) 밖에서 스퀴지 롤(62A)과 접하면서 아닐록스 롤(63A)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아닐록스 롤(63A)과 접하고 또한 적층 연속시트(S2)의 일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A)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A)과 함께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A)가 후술하는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의 롤러(54A)와 대향하고 또한 상기한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11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플렉소 인쇄 형식인 약액도포부(53B)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약액 탱크(66B)에 딥 롤인 스퀴지 롤(62B)이 잠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약액 탱크(66B) 밖에서 스퀴지 롤(62B)과 접하면서 아닐록스 롤(63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아닐록스 롤(63B)과 접하고 또한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B)과 함께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B)가 롤러(54A)와 대향하지 않고 상기한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지 않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에 약액도포부(53A) 및 약액도포부(53B)로부터 약액이 각각 도포되는데 이 때 약액도포부(53A)에 의한 롤러(54A)와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측의 도포량을 약액도포부(53B)에 의한 다른 면측의 도포량에 대해 줄이면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플렉소 형식을 이용함으로써 판이 수지이며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적층 연속시트(S2)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인쇄압으로 조정가능해지므로 그라비아 인쇄 방식과 같은 금속 롤로 도포하는 것보다도 적층 연속시트(S2)에 주름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가공속도가 고속이라 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연속시트(S2)를 700m/분 이상의 속도로 반송하면서 약액이 되는 약액을 2.5g~5g/㎡의 도포량으로 도포할 때에도 도포가 균일하고 사행 없이 적층 연속시트(S2)를 감을 수 있게 된다.

<플렉소 1롤 전사 형식의 실시형태>

플렉소 인쇄 방식에서 1롤 전사 형식이란 상기한 플렉소 2롤 전사 형식에서 스퀴지 롤(62A, 62B)을 생략한 것이다. 이 경우 아닐록스 롤(63A, 63B)이 각각 약액 탱크(66A, 66B)에 잠겨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이 아닐록스 롤(63A, 63B)에 대해서는 아닐록스 롤(63A, 63B) 표면의 약액을 긁어내는 닥터 블레이드(도시생략)를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플렉소 1롤 전사 형식은 메인터넌스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이점이나 블레이드의 마모나 약액 내 종이가루 등의 이물 혼입상태를 용이하게 육안으로 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컨택트 엠보싱 수단)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1)에는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컨택트 엠보싱을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롤 또는 탄성 롤인 받침 롤(54B)과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54C)를 가지는 금속제이며 경질인 롤러(54A)가 소정의 압력을 가져 서로 외주면끼리 맞닿으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 연속시트(S2)에서 티슈페이퍼 제품의 폭 방향 중앙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 좌우 각 2개씩 존재하는 볼록부(54C)와 받침 롤(54B) 사이에 적층 연속시트(S2)를 끼워서 반송하는 것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적층 연속시트(S2)의 연속 방향을 따라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 컨택트 엠보싱(CE)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컨택트 엠보싱(CE)을 실시하는 롤러(54A)와 대향한 측의 면을 외주측으로 하여 상기한 권취수단(56)이 적층 연속시트(S2)를 감게 된다.

이와 같이 컨택트 엠보싱(CE)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연속시트(S2)의 층간박리를 방지한다. 또 컨택트 엠보싱(CE)은 티슈페이퍼 제품의 단부에서 층간박리가 잘 일어나지 않게 티슈페이퍼 제품의 폭 방향 양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의 설치 개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액부여 수단(53)의 후단이면서 슬릿수단(55)의 전단이나 캘린더 수단(52)의 후단이면서 약액부여 수단(53)의 전단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캘린더 수단(52)의 후단이면서 슬릿수단(55)의 전단 중 어느 한 개소이면 되는 것이다.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 컨택트 엠보싱(CE)을 부여하는 경우,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약액을 도포한 다음 0.3~2.5초, 바람직하게는 0.3~1.0초 이내에 컨택트 엠보싱(CE)을 부여하는 것도 제안된다. 0.3초 미만이면 약액이 원지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받침 롤(54B)이나 롤러(54A)에 약액이 부착되어 단지(斷紙)되거나 받침 롤(54B)이나 롤러(54A)에 오염물이 부착하거나 한다. 2.5초를 넘으면 약액을 도포한 적층 연속시트(S2)가 완전히 신장되기 때문에 그 후 공정 주름이 잘 생기지 않아 부피가 큰 티슈페이퍼 제품을 얻기 힘들어진다. 또 적층 연속시트(S2)가 완전히 신장되면 드로우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신장이 없어지고 흡습, 흡수로 인해 인장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단지되기 쉬워져 조업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이 접합 공정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로서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54C)를 가지는 금속제이며 경질인 롤러(54A)를 이용했지만,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 접합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롤러(54A) 대신에 표면에 미세한 침형 부재를 가진 롤러를 롤러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합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부의 선단 형상이 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인 것을 롤러로 이용해도 되고, 볼록부의 선단 형상이 가늘고 긴 선형, 가늘고 비스듬하게 신장되는 선형 등인 것을 롤러로 이용해도 된다.

한편 볼록부의 배열로는 등간격을 생각할 수 있지만, 지그재그 모양으로 하거나 등간격으로 하지 않아도 되고, 또 볼록부를 1열로 배치하여 컨택트 엠보싱을 연속하여 부여하는 것 외에 볼록부를 2열 이상의 복수 열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컨택트 엠보싱을 긴밀하게 복수 열 부여하도록 볼록부가 배치된 군을 복수 나열하여 복수의 컨택트 엠보싱군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접합 공정으로는 상기와 같이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것 외에 초음파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차 약액도포수단(53)과 컨택트 엠보싱 수단(54) 사이에 적층 연속시트(S2)의 텐션을 제어하는 텐션 컨트롤 수단(57)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텐션 컨트롤 수단(57)은 원통형의 롤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 연속시트(S2)의 휨 정도에 맞추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텐션 컨트롤 수단(57)을 형성하는 경우,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의 전단과 텐션 컨트롤 수단(57)의 후단에 캘린더 수단(52)을 배치하는 것도 제안된다. 이 경우 텐션 컨트롤 수단(57)의 후단에 배치된 캘린더 수단(52)에서는, 약액도포시에는 캘린더 롤(52A)을 받침 롤(52B)에서부터 적층 연속시트(S2)의 종이두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시켜서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평활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지나버리게 하는 것도 제안된다(제2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1차 연속시트)

1차 연속시트(S11, S12)의 원료 펄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티슈페이퍼 제품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원료 펄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원료 펄프로는 예를 들어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합성 펄프, 재생 펄프 등에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쇄목 펄프(GP), 스톤 그라운드 펄프(SGP), 리파이너 그라운드 펄프(RGP), 가압식 쇄목 펄프(PGW), 서모 메카니컬 펄프(TMP), 케미서모 메카니컬 펄프(CTMP), 블리치 케미서모 메카니컬 펄프(BCTMP) 등의 기계 펄프(MP), 화학적 기계 펄프(CGP), 반화학적 펄프(SCP),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등의 크라프트 펄프(KP), 소다 펄프(AP), 아황산염 펄프(SP), 용해 펄프(DP) 등의 화학적 펄프(CP),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 펄프, 탈잉크 펄프(DIP), 웨이스트 펄프(WP) 등의 재생 펄프, 찌꺼기 펄프(TP), 목면, 아마, 삼, 황마, 마닐라삼, 모시풀 등을 원료로 하는 넝마 펄프, 짚 펄프, 에스파르토 펄프, 바가스 펄프, 대나무 펄프, 케나프 펄프 등의 경간 펄프, 인피 펄프 등의 보조 펄프 등에서 1종 또는 여러 종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원료 펄프는 NBKP와 LBKP를 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히 재생 펄프가 배합되어 있어도 되지만, 감촉 등의 점에서 NBKP와 LBKP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고, 그 경우 배합 비율(JIS P 8120)로는 NBKP:LBKP=20:80~80:20이 좋고, 특히 NBKP:LBKP=30:70~60:40이 바람직하다.

1차 연속시트(S11, S12)는 JIS P 8124에 의한 평량이 10~25g/㎡이고, 바람직하게는 12~2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6g/㎡이다. 평량이 10g/㎡ 미만이면 부드러움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적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평량이 25g/㎡를 넘으면 너무 단단해져 촉감이 악화된다.

또한 종이두께(오자키제작소 제조 피코크로 측정)는 1플라이에서 80~250㎛, 바람직하게는 10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80㎛이다.

1차 연속시트(S11, S12)는 크레이프율이 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율이 10% 미만이면 가공시에 단지되기 쉽고 신장이 적으며 탄력이 없는 티슈페이퍼 제품이 된다. 한편 크레이프율이 30%를 넘으면 가공시 시트의 장력 컨트롤이 어렵고 단지되기 쉬워지며 제조 후에는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상 나쁜 티슈페이퍼 제품이 된다.

1차 연속시트(S11, S12)는 JIS P 8113에 규정되는 건조 인장강도(이하, 건조지력이라고도 함)의 세로 방향이 2플라이에서 200~700cN/25mm, 바람직하게는 250~600cN/2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600cN/25mm이며, 또한 가로 방향이 2플라이에서 100~300cN/25mm, 바람직하게는 130~270cN/2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250cN/25mm이다. 원지의 건조 인장강도가 너무 낮으면 제조시 및 사용시에 단지나 신장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기 쉽고, 너무 높으면 사용시에 뻣뻣한 촉감이 된다.

이 지력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조지력 증강제를 내첨(드라이어 파트보다 전 단계, 예를 들어 펄프 슬러리에 첨가)하거나, 펄프의 프리니스를 저하(예를 들어 30~40ml 정도 저하)시키거나, NBKP 배합률을 증가(예를 들어 50% 이상으로)시키는 등의 수법을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건조지력제로는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아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습윤지력제로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우레아 수지, 산콜로이드·멜라민 수지, 열가교성 부여 PA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습윤지력제를 내첨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펄프 슬러리에 대한 중량비로 5~20kg/t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지력제를 내첨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펄프 슬러리에 대한 중량비로 0.5~1.0kg/t 정도로 할 수 있다.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1)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플라이 수단(51)으로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한 쌍의 제1차 약액분무 도포수단(40)에 의해 약액을 도포하고(제1차 약액분무 공정), 그 후에 한 쌍의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으로 약액을 도포하고(제2차 약액도포 공정), 슬릿수단(55)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고(슬릿 공정), 다음으로 슬릿 공정에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권취수단(56)에 의해 형성한다.

또 본 형태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1)와 마찬가지로 적층 공정의 후단이면서 약액도포 공정의 전단에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한 쌍의 캘린더 수단(52)으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약액도포 공정의 후단이면서 슬릿 공정의 전단에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 컨택트 엠보싱을 실시하는 컨택트 엠보싱 공정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또는 제조방법에서는 가공속도는 100~1100m/분이고, 바람직하게는 350~1050m/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1000m/분이다. 100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낮고 1100m/분을 초과하면 적층 연속시트(S2)의 단지 빈도가 높아지며 약액도포 공정은 쇄판 롤이나 아닐록스 롤의 약액 전이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도포 불균일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상기 예에서는 주로 플렉소 인쇄 방식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라비아 인쇄 방식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다. 그라비아 인쇄 방식은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액 트레이(70)로부터 딥 롤(71)이 일정량의 약액을 올리고 딥 롤(71)의 셀에 남은 약액은 그라비아 롤(72)에 옮겨진다. 이어서 그라비아 롤(72)에 옮겨진 약액은 스크레이핑 블레이드(73)에 의해 긁혀지면서 압동(壓胴)(74)을 백업으로 하는 적층시트(S2)의 표면에 동시에 옮겨진다. 그라비아 롤(72)의 망점밀도 등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

상기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R)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다수 세팅되고 세팅된 2차 원단 롤(R)로부터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어 접으면서 적층하는 것에 의해 티슈페이퍼 다발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그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도면 중 부호 2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1)의 도시하지 않은 2차 원단 롤 지지부에 세팅된 2차 원단 롤(R, R...)을 나타내고 있다. 이 2차 원단 롤(R, R...)은 필요한 수가 도시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도 2에서 수평 방향, 도 3에서 지면 전후 방향)으로 옆으로 나란히 세팅되어 있다. 각 2차 원단 롤(R)은 상기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으로 티슈페이퍼 제품 폭으로 슬릿이 들어가 있어 티슈페이퍼 제품의 복수 배 폭, 도시한 예에서는 2배 폭으로 감겨 세팅되어 있다.

2차 원단 롤(R)에서 풀려나온 연속된 띠형 2차 연속시트(3A 및 3B)는 가이드 롤러(G1, G1) 등의 가이드수단으로 안내되어 접기기구부(20)에 이송된다. 그리고 접기기구부(2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기판(P, P...)이 필요한 수 병설되어 이루어지는 접기판군(21)이 구비되어 있다. 각 접기판(P)에 대해서는 한 쌍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또는 3B)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G2, G2)나 가이드 둥근봉부재(G3, G3)가 각각 적소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접기판(P, P...)의 하방에는 접으면서 겹쳐 쌓아진 적층띠(30)를 받아 반송하는 컨베이어(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접기판(P, P...)을 이용한 접기기구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4052048호 특허명세서 등에 의해 공지인 기구이다. 이러한 종류의 접기기구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3B...)를 Z자 모양으로 접으면서 인접하는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3B...)의 측단부 상호를 맞추면서 쌓는다.

도 7~도 10에 접기기구부(20)의 특히 접기판(P)에 관한 부위를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이 접기기구부(20)에서는 각 접기판(P)에 대하여 한 쌍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가 안내된다. 이 때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는 가이드 둥근봉부재(G3, G3)에 의해 측단부 상호가 겹치지 않도록 위치를 움직이면서 안내된다.

접기판(P)에 안내된 시점에서 하측에 겹쳐 있는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를 제1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라고 하고 상측에 겹쳐 있는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를 제2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B)라고 하면, 이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에서 제2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B)와 겹치지 않는 측단부(e1)가 접기판(P)의 측판(P1)에 의해 제2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B)의 상측으로 되접히는 동시에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B)에서 제1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와 겹치지 않는 측단부(e2)가 접기판(P)의 슬릿(P2)으로부터 접기판(P) 밑으로 끌려들어가듯이 하여 하측으로 되접힌다. 이 때 도 5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의 접기판(P)에서 접으면서 쌓여 겹쳐진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의 측단부(e3)(e1)가 접기판(P)의 슬릿(P2)으로부터 제2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B)의 되접힌 부분 사이로 안내된다. 이렇게 하여 각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3B...)는 Z자 모양으로 접히는 동시에 인접하는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의 측단부 상호가 맞춰지고, 따라서 제품 사용시에 최상위의 티슈페이퍼를 당기면 다음에 있는 티슈페이퍼의 측단부가 당겨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1)에서 얻어진 적층띠(3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의 절단 수단(41)에 있어서 흐름 방향(FL)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재단(절단)되어 티슈페이퍼 다발(30a)이 되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티슈페이퍼 다발(30a)은 더 후단에 있는 설비에서 수납박스(B)에 수납된다. 이상과 같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1)에서는 적층띠(30)의 종이방향은 흐름 방향(FL)을 따라 세로 방향(MD 방향)으로 되어 있고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가로 방향(CD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층띠(30)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얻어진 티슈페이퍼 다발(30a)을 구성하는 티슈페이퍼의 종이방향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슈페이퍼의 접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MD 방향)이 되고, 티슈페이퍼의 접기부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가로 방향(CD 방향)이 된다.

도 6(b)에 수납박스(B)에 티슈페이퍼 다발(30a)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제품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수납박스(B)의 상면에는 퍼포레이션(M)이 형성되어 있고 이 퍼포레이션(M)을 따라 수납박스(B) 상면의 일부를 파단함으로써 수납박스(B)의 상면이 개구하게 되어 있다. 이 개구는 중앙에 슬릿을 가지는 필름(F)에 의해 덮여 있으며 이 필름(F)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티슈페이퍼(T)를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티슈페이퍼 다발(30a)을 구성하는 티슈페이퍼의 종이방향은 티슈페이퍼의 접기부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가로 방향(CD 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슈페이퍼(T)를 수납박스(B)에서 꺼낼 때에는 그 인출 방향이 티슈페이퍼(T)의 가로 방향(CD 방향)을 따르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제3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은 캘린더 수단(52)과 제2차 약액도포수단(53) 사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를 이용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플라이 수단(51)으로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한 쌍의 캘린더 수단(52)으로 평활화 처리하고(평활화 공정), 평활화 처리된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 컨택트 엠보싱을 부여하고(컨택트 엠보싱 공정), 컨택트 엠보싱이 부여된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한 쌍의 제1차 약액분무수단(40) 및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으로 약액을 도포하고(약액도포 공정), 슬릿수단(55)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고(슬릿 공정), 다음으로 슬릿 공정에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권취수단(56)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에서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적층 연속시트(S2)를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부터 슬릿수단(55)으로 직접 이송하여 제1차 약액분무수단(40) 및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S2)를 보내기만 하면 된다.

[제4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액도포 공정(40, 53)은 플라이 수단(51)과 캘린더 수단(52) 사이에 설치하고, 캘린더 수단(52)을 1단으로 하여 제2차 약액도포수단(53)과 컨택트 엠보싱 수단(54)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4)를 이용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플라이 수단(51)으로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병설된 한 쌍의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으로 약액을 도포하고(약액도포 공정), 한 쌍의 캘린더 수단(52)으로 평활화 처리하고(평활화 공정), 평활화 처리된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 컨택트 엠보싱을 부여하고(컨택트 엠보싱 공정), 슬릿수단(55)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고(슬릿 공정), 다음으로 슬릿 공정에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권취수단(56)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4)에서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적층 연속시트(S2)를 플라이 수단(51)으로부터 캘린더 수단(52)으로 이송하여 약액도포수단(40, 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S2)를 보내기만 하면 된다.

[제5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캘린더 수단(52)을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한 쌍의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을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5)를 이용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 관련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플라이 수단(51)으로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한 쌍의 캘린더 수단(52)으로 평활화 처리하고(평활화 공정),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한 쌍의 제1차 약액분무수단(40) 및 제2차 약액도포수단(53)으로 약액을 도포하고(약액도포 공정),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하여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 컨택트 엠보싱을 부여하고(컨택트 엠보싱 공정), 슬릿수단(55)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고(슬릿 공정), 다음으로 슬릿 공정에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권취수단(56)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5)에서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적층 연속시트(S2)를 캘린더 수단(52)으로부터 컨택트 엠보싱 수단(54)으로 직접 이송하여 약액도포수단(40, 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S2)를 보내기만 하면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도 1 및 도 11에 나타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X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2플라이 권취의 2차 원단 롤(R)을 이용하여 필요한 세트수만큼 상기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세팅하여 티슈페이퍼 제품(실시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형태>

실시예 1은 로터 댐프닝 방식에 의한 제1차 약액분무를 하고 그 후에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제2차 약액도포를 한 것이다. 제1차 약액분무: 편측당 1.0g/㎡로 한 것이다. 제2차 약액도포: 편측당 1.0g/㎡로 한 것이다. 따라서 2플라이 합계에서의 약액부여량은 4.0g/㎡가 된다.

실시예 2는 로터 댐프닝 방식에 의한 제1차 약액분무를 하고 그 후에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제2차 약액도포를 한 것이다. 제1차 약액분무: 편측당 0.6g/㎡로 한 것이다. 제2차 약액도포: 편측당 1.4g/㎡로 한 것이다. 따라서 2플라이 합계에서의 약액부여량은 4.0g/㎡가 된다.

실시예 3은 로터 댐프닝 방식에 의한 제1차 약액분무를 하고 그 후에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제2차 약액도포를 한 것이다. 제1차 약액분무: 편측당 1.6g/㎡로 한 것이다. 제2차 약액도포: 편측당 0.4g/㎡로 한 것이다. 따라서 2플라이 합계에서의 약액부여량은 4.0g/㎡가 된다.

실시예 4는 노즐 방식에 의한 제1차 약액분무를 하고 그 후에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제2차 약액도포를 한 것이다. 제1차 약액분무: 편측당 1.0g/㎡로 한 것이다. 제2차 약액도포: 편측당 1.0g/㎡로 한 것이다. 따라서 2플라이 합계에서의 약액부여량은 4.0g/㎡가 된다.

실시예 5는 로터 댐프닝 방식에 의한 제1차 약액분무를 하고 그 후에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한 제2차 약액도포를 한 것이다. 제1차 약액분무: 편측당 1.0g/㎡로 한 것이다. 제2차 약액도포: 편측당 1.0g/㎡로 한 것이다. 따라서 2플라이 합계에서의 약액부여량은 4.0g/㎡가 된다.

비교예 1은 2단계 약액부여를 행하지 않고 플라이머신으로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약액도포를 1회만 한 것이다. 도포량은 편측당 2.0g/㎡로 하고 2플라이 합계에서의 약액부여량은 4.0g/㎡로 한 것이다.

비교예 2는 플라이머신으로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제1차 약액도포를 편측당 1.0g/㎡의 도포량(양면에서는 2.0g/㎡)로 한 후 계속해서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제2차 약액도포를 편측당 1.0g/㎡의 도포량(양면에서는 2.0g/㎡)으로 행한 2단계 도포 방식에 의한 것이다. 2플라이 합계에서의 약액부여량은 4.0g/㎡로 한 것이다.

<다른 조건>

원지를 구성하는 펄프는 NBKP 30%, LBKP 70%로 했다. 또 크레이프율이 19%인 것을 사용했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대해서는 동일한 조성의 약액을 점도가 110mPa·s(40℃)가 되도록 조제했다.

참고예 1은 출원인에 의해 시판중인 비보습계 범용 티슈페이퍼, 참고예 2는 출원인에 의해 시판중인 로션 타입 티슈페이퍼이지만, 참고예 3 및 참고예 4는 타사의 시판품이므로 알 수 없는 내용을 포함한다.

표 중에 나타내는 각 파라미터는 이하와 같다.

미터평량…JIS P 8124(1998)에 준하여 측정했다. 2플라이 티슈 제품의 경우, 2플라이 시트의 평균미터평량을 기재했다.

종이두께…JIS P 8127(1998)의 조건하에서 다이얼 두께 게이지(두께측정기) "PEACOCK G형"(오자키제작소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제품밀도…제품의 밀도는 JIS P 8111 조건하에서 습도를 조절한 티슈페이퍼 제품미터평량을 2배로 한 값(C)을 "PEACOCK G형"에 의한 티슈페이퍼(2플라이)에서의 종이두께(D)로 나눈 값으로, 단위를 g/㎤, 소수점 셋째 자리수로 나타낸다.

건조인장강도…JIS P 8113(1998)의 인장시험방법에 준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습윤인장강도…JIS P 8135(1998)에 준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신장율…미네베아 주식회사 제조 "만능 인장압축시험기 TG-200N"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소프트니스…JIS L 1096 E법에 준한 핸들 O미터법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단, 시험편은 100mm×100mm의 크기로 하고, 클리어런스는 5mm로 하여 실시했다. 1플라이에서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각각 5회씩 측정하고 그 전체 10회의 평균치를 소수점 첫째 자리수로 하고 cN/100mm를 단위로 나타냈다.

정마찰계수…JIS P 8147(1998)에 준하여 다음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1플라이로 벗긴 티슈페이퍼를 종이의 겉이 바깥에 오도록 아크릴판에 붙인다. 2플라이 그대로 100g의 추에 티슈페이퍼를 감아 아크릴판 위의 티슈에 올린다. 아크릴판을 기울여서 추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각도를 측정한다. 각도 측정은 8회 실시하여 평균각도를 산출하고 그 탄젠트값을 정마찰계수로 한다.

MMD…정마찰계수의 평균편차(MMD)이다. MMD는 매끄러움의 지표 중 하나이며, 수치가 작을수록 매끄럽고, 수치가 클수록 매끄러움이 떨어진다다. 그리고 MMD치의 측정 방법으로는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자(212)의 접촉면을 소정 방향(도 23(a)에서의 오른쪽 비스듬히 하측 방향)으로 20g/cm의 장력이 부여된 측정시료인 티슈페이퍼(211)의 표면에 대하여 25g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면서 장력이 부여된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속도 0.1cm/s로 2cm 이동시킨다. 이 때의 마찰계수를 마찰감 테스터 KES-SE(가토테크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마찰계수를 마찰거리(이동거리=2cm)로 나눈 값을 MMD치로 했다. 또한 마찰자(212)는 직경 0.5mm의 피아노선(P)을 20개 인접시켜 이루어지고 길이 및 폭이 모두 10mm가 되도록 형성된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에는 선단이 20개의 피아노선(P; 곡률반경 0.25mm)으로 형성된 단위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a)에는 마찰자(212)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도 23(b)에는 도 23(a)에서 1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수분율…JIS P 8124(1998)에 준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약액함유량…약액함유량이란 JIS P 8111의 표준상태에서 티슈페이퍼의 단위면적에 대해 포함되는 건조상태(절건)의 약액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부여한 약액 중에서 수분 이외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 티슈페이퍼의 단위면적이란 플라이된 시트를 평면으로 수직선상에 있는 시점에서 본 면적이며, 플라이된 각 시트 및 그 표리면의 합계면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약액함유율…약액함유율이란 JIS P 8111 조건하에서 습도를 조절한 소정 질량의 티슈페이퍼 제품을 분모(A)(g)로 하고 소정 질량의 티슈페이퍼 제품 중에 포함되는 약액 중에서 수분을 제외한 질량(B)(g)을 분자로 하여 (B)를 (A)로 나눈 비율을 (%)로 나타낸다.

(약액 함유율%)=(B)÷(A)×100(%)

관능평가…실시예 1~5, 비교예 1, 2 및 참고예 1~4에 대하여 소비자 87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드러움, 매끄러움, 두께감, 촉촉함에 대해 하기의 기준에 기초하여 관능 평가했다.

그리고 평가기준은 약액이 부여되지 않은 비보습계 범용 티슈페이퍼(비교예 1)의 성적을 모두 "3"으로 하고 "매우 우수하다"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5", "우수하다"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4", "기준과 동일하다"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3", "뒤떨어진다"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2", "현저하게 뒤떨어진다"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1"로 했다. 그리고 약액부여 티슈페이퍼에 대해서는 끈적임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도 평가하여 평가기준은 "끈적임이 적다"고 생각한 것을 "○"로 하고, "확실히 끈적임이 있다"고 생각한 것을 "×"로 했다.

그리고 관능평가 불균일이란 각 관능평가가 폭 방향 및 흐름 방향으로 안정되어 있는지 아닌지 시트의 폭 방향 및 흐름 방향에서 상기 소비자 87명에 제공한 샘플의 채취위치와의 상관으로 조사한 것이다. 평가는 비교예 1에서 각 관능평가의 폭 방향 및 흐름 방향에서의 안정성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예 1의 경우를 "1 ", 우수하다를 "2", 현저하게 우수하다를 "3"으로 한 것이다.

[표 1]

[표 2]

[표 3]

[표 4]

[표 5]

[표 6-1]

[표 6-2]

[표 7]

결과를 표 안에 기재하지 않았지만, 실시예 1~실시예 5 모두 제조현장에서 비교예 2의 플렉소 방식 2단도포와 비교하여 종이가루의 발생이 적고 안정된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와 비교예 1의 비교에서는 실시예가 관능평가 불균일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플렉소 방식 2단도포에서도 관능평가 불균일이 적기는 하지만 비교예 2의 플렉소 방식 2단도포와의 비교로 실시예를 보면 "두께감"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실시예 1~5 내에서 비교하면 제1차 약액분무수단 및 제2차 약액도포수단에서의 부여량은 0.5~1.5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앞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 및 도면은 이하의 발명도 개시하고 있다.

[발명 1]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페이퍼 제품용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1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수단,

상기 연속시트 각각에 대하여 약액을 분무상태로 부여하는 제1차 약액분무수단,

그 후에 각각의 연속시트에 대하여 약액을 플렉소 인쇄 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해 도포하는 제2차 약액도포수단,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수단, 및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축으로 감아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장치.

[발명 2]

상기 제1차 약액분무수단이 상기 적층수단의 다음이면서 상기 슬릿수단 전에 행해지는 발명 1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장치.

[발명 3]

상기 적층 수단과 상기 제1차 약액분무수단 사이에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수단을 가지는 발명 2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장치.

[발명 4]

상기 제2차 약액도포수단과 상기 슬릿수단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 컨택트 엠보싱을 실시하는 컨택트 엠보싱 수단을 가지는 발명 2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장치.

[발명 5]

상기 제1차 약액의 부여가 노즐식 분무 방식에 의한 것인 발명 1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장치.

[발명 6]

상기 제1차 약액의 부여가 로터 댐프닝 분무 방식에 의한 것인 발명 1에 기재된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장치.

[발명 7]

상기 발명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의해 얻어진 상기 2차 원단 롤을 다수 준비하고, 그 롤들을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서 라인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각 2차 원단 롤에서 풀려나오는 복수의 2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동시에 그 이송 과정에서 접으면서 겹쳐 쌓고, 그 후 소정 매수의 적층시트를 소정 길이 절단하여 티슈페이퍼 다발로 하고 이 적층을 수납박스 내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서 이용되는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및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40: 제1차 약액분무수단(제1차 약액분무 공정)
51: 플라이 수단(적층 공정)
52: 캘린더 수단(평활화 공정)
53: 제2차 약액도포수단(제2차 약액도포 공정)
54: 컨택트 엠보싱 수단(컨택트 엠보싱 공정)
55: 슬릿수단(슬릿 공정)
56: 제2 권취수단(2차 원단 롤 권취 공정)
115: 양키 드라이어(건조 공정)
119: 제1 권취수단(제1 권취 공정)
40: 약액분무수단(약액분무 공정)
190: 착수수단(착수 공정)
W: 습지
S1: 건지
S11, S12: 1차 연속시트
S2: 적층 연속시트
JR: 1차 원단 롤
R: 2차 원단 롤

QQ群二维码
意见反馈